KR100904231B1 - 위치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231B1
KR100904231B1 KR1020090026108A KR20090026108A KR100904231B1 KR 100904231 B1 KR100904231 B1 KR 100904231B1 KR 1020090026108 A KR1020090026108 A KR 1020090026108A KR 20090026108 A KR20090026108 A KR 20090026108A KR 100904231 B1 KR100904231 B1 KR 10090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upport
pivot
fix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형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6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2011/103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with circumferential and evenly distributed detents around the pivot-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부 몸체; 상기 고정부 몸체에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 몸체; 그 중심이 상기 힌지축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 몸체에 고정된 고정부 스토퍼; 및 그 중심이 상기 힌지축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회동부 몸체에 설치되는 회동부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 스토퍼가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 스토퍼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회동부 몸체를 정지상태로 유지하는 힌지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 장치는 필요에 따라 회동부 스토퍼를 직선 운동시켜 고정부 스토퍼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회동부 몸체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 장치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어의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26108
힌지, 도어, 위치 고정, 고정부 스토퍼, 회동부 스토퍼, 태양 기어

Description

위치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힌지 장치 {HINGE APPARATUS WITH POSITION FIXING DEVICE}
본 발명은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 항공기, 열차 등에 탑재되는 장비의 시스템 캐비닛 도어 등을 설치하기 위한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 장치는 두 개체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주변에서는 도어(door)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흔히 이용되고 있다. 도어용 힌지 장치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부 몸체와, 고정부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도어에 장착되는 회동부 몸체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의 출입문, 가전 제품, 캐비닛, 옷장 등에 장착되어 있다.
힌지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설치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도어의 회동축을 중력 방향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도어의 경우 원하는 만큼 도어를 열어놓으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도어는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도어가 열려 있더라도 일정 정도는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더라도, 바람 등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어 스토퍼를 설치하기도 한다.
한편,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힌지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설치한 출입문, 가전 제품, 캐비닛 등이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도어 스토퍼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일정 정도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도 정지될 수 있다. 반면에, 선박이나 항공기, 열차와 같은 대형 운송 수단 등에 설치된 도어의 경우, 별도의 도어 스토퍼를 설치해야만 한다. 즉, 운행 중 일정 시간동안 도어를 열어 두거나, 운행 중 돌발 상황에 의한 수리 / 점검이 요구되면 일정 시간동안 도어를 열어 놓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도어 스토퍼가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형 운송 수단 등에 설치되는 도어에는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 장치를 도어에 설치하거나, 도어와는 별개로 쐐기 형상의 버팀목 등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도어를 열린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어에 설치된 고정 장치는 힌지 장치와는 별도로 도어 레버와 연동되는 바(bar)를 설치하여 도어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도어 프레임, 바닥면 또는 천정면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도어의 고정 또는 해제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 장치는 바와 맞물리는 홈을 도어 프레임, 바닥면 또는 천정면에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정된 각도에서만 도어가 열린 상태로 고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선박과 같이 요동치는 운송 수단에서는 도어의 설치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도어의 견고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도어의 하중이 증가하는데, 도어 레버와 연동되는 고정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면 도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견고성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또한, 고정 장치를 도어의 외장에 부착하여 도어 자체의 견고 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으나, 이는 도어의 외관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어의 구조를 간결하게 유지하면서, 열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힌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 항공기, 열차와 같은 대형 운송 수단에 설치된 장비의 시스템 캐비닛의 도어를 임의의 각도만큼 열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힌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하중용 도어의 견고성을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도어를 임의의 각도로 열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힌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부 몸체;
상기 고정부 몸체에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 몸체;
그 중심이 상기 힌지축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 몸체에 고정된 고정부 스토퍼; 및
그 중심이 상기 힌지축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회동부 몸체에 설치되는 회동부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 스토퍼가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 스토퍼에 선택 적으로 맞물려 상기 회동부 몸체를 정지상태로 유지하는 힌지 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 스토퍼는 외주면에 기어치형이 형성된 태양 기어이고,
상기 회동부 스토퍼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내벽에 형성된 기어치형을 포함하는 내접 기어(internal gear)이며,
상기 태양 기어와 내접 기어의 기어치형의 수를 동일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회동부 몸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 스토퍼를 가압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회동부 스토퍼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홈; 상기 회동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에 수용된 지지핀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제1 지점에서 상기 지지핀의 일단이 상기 지지홈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 스토퍼로부터 상기 회동부 스토퍼를 이탈시키고,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가 90도 회전한 제2 지점에서 상기 지지핀의 일측면이 상기 지지홈의 내벽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동부 스토퍼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 스토퍼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 장치는 필요에 따라 회동부 스토퍼를 직선 운동시켜 고정부 스토퍼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회동부 몸체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 로써, 상기 힌지 장치에 의해 설치된 도어의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장치에 의해 설치되는 도어는 별도의 고정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어의 구조가 간결해지면서 고하중용 도어의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어의 구조를 이용하여 고정부 스토퍼와 회동부 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도어를 열어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는 고정부 몸체(101), 회동부 몸체(102), 고정부 스토퍼(103) 및 회동부 스토퍼(104)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회동부 몸체(102)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축(A1)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와 선택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회동부 몸체(102)의 회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 몸체(101)는 상기 회동부 몸체(102)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제공된 고정편(111)과, 상기 고정편(11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편(113a, 113b)들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편(113a, 113b)들은 스크루(미도시) 등에 의해 상기 고정편(111)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113a, 113b)들은 주조 등의 공정을 통해 상기 고정편(111)과 한 몸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기 힌지 장치(100) 전체의 조립성 등을 고려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편(111)과 별도로 제작된 형상이 예시되고 있다.
상기 회동부 몸체(102)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편(113a, 113b)들 중 하나에 대면하게 배치되며, 회동핀(151)이 상기 지지편들 중 하나(113b), 상기 회동부 몸체(102), 상기 지지편들 중 다른 하나(113a)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회동부 몸체(102)는 상기 회동핀(151)의 지지를 받아 상기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핀(151)은 그 일단에 체결되는 이-링(E-ring)(155)에 의해 상기 고정부 몸체(101)에 결속되며, 이는 도 5와 도 6을 통해 도시되고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상기 회동핀(151) 상에 이미 이-링(155)이 체결된 모습이 도시되고 있으며, 실제 조립 과정에서 상기 회동핀(151)을 상기 지지편(113a, 113b)들과 회동부 몸체(102)를 관통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이-링(155)을 체결하는 것임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는 외주면에 기어치형(133)이 형성된 태양 기어로서, 상기 지지편(113a, 113b)들 중 하나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는 상기 고정부 몸체(101)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의 중심은 상기 힌지축(A1) 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 또한 상기 고정부 몸체(101),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편들 중 하나(113b)와 한 몸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기어치형(133)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 공정 등을 고려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가 상기 지지편(113a, 113b)들과는 별도로 제작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그 일단에 형성된 내접 기어(internal gear)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의 중심, 더 구체적으로 상기 내접 기어의 회전 중심이 상기 힌지축(A1) 상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내접 기어는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의 일단에 형성된 수용홈(141)과, 상기 수용홈(141)의 내벽에 형성된 기어치형(1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태양 기어와 내접 기어의 기어치형(133, 143) 수는 일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와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는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되는 형상으로 제작된 것이다.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와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각각 일측의 상기 지지편(113b)과 상기 회동부 몸체(102)에 배치되면서, 그 중심이 각각 상기 힌지축(A1)에 일치되므로, 상기 회동핀(151)은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와 회동부 스토퍼(104)를 관통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그 일단의 내접 기어가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에 대면하는 상태로 상기 회동부 몸체(102)에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힌지축(A1) 방향으로 직선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145)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 몸체(102)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의 형 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평면(미도시)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의 외주면 형상과 그에 상응하는 상기 회동부 몸체(102)의 내부 공간의 형상에 의해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힌지축(A1)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부 몸체(10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회동부 몸체(102) 내에서는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회동부 몸체(102) 내에서는 회전하지 못하며, 상기 힌지축(A1)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만 가능한 것이다.
상기 회동부 몸체(102)가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된 때,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를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에 맞물리게 하여 상기 회동부 몸체(102)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와 회동부 스토퍼(104)가 기어 형상에 의해 맞물리는 구조이므로, 앞서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된다'라고 하였더라도, 실제로 상기 회동부 몸체(102)를 정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각도는 기어치형(133, 143)의 수에 따라 일정 각도 단위, 예를 들면, 5도 또는 10도 각도 단위로 설정됨에 유의한다.
한편, 평상시에는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정지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 장치(100)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를 유지하는 지지 부재(106)와,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더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106)는 그 일단에 지지핀(161)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의 외주면,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평면(145) 에 지지홈(147)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부재(106)는 상기 회동부 몸체(102)에 형성된 관통홀(121)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핀(161)은 상기 지지 부재(106)의 회전축(A2)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106)의 지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일단(161a)은 상기 지지 부재(106)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상기 지지홈(147)은 적어도 바닥면(147a)과 일측벽(147b)을 포함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147a)에는 고정홈(147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를 상기 회동부 몸체(102)에 설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106)를 상기 관통홀(121)에 설치하면, 상기 지지핀(161)은 상기 지지홈(147) 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핀(161)의 일단은 상기 고정홈(147c)과 맞물려서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가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53)는 상기 회동부 몸체(102)에 수용되며, 상기 힌지축(A1) 방향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핀(161)의 일단이 상기 고정홈(147c)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탄성 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축(A1)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에 맞물리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 장치(100)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5는 상기 힌지 장치(100)의 잠금 해제 상태, 즉, 상기 회동부 몸체(102)가 회동 가능한 상태(이하, '제1 지점'이라 칭함)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지점에서 상기 지지핀(161)의 일단이 상기 지지홈(147)의 내벽,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닥면(147a)의 고정홈(147c)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153)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에 근접하게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지지핀(161)의 일단이 상기 고정홈(147c)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로부터 이탈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가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161)의 일단을 상기 고정홈(147c)에 맞물리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 부재(106)가 회전하면,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로부터 서서히 이탈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힌지 장치(100)의 잠금 상태, 즉, 상기 회동부 몸체(102)가 회동 불가능한 상태(이하, '제2 지점'이라 칭함)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지점에서, 상기 지지핀(161)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90도 회전한 상태이며, 상기 탄성 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가 상기 힌지축(A1) 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지지홈(147)의 내벽,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닥면(147a)이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의 일측면(161b)에 지지될 때까지 상승한다. 결국,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 상기 지지 부재(106)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에 근접하게 이동하며, 상기 제2 지점에 이르러서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에 완전 하게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의 기어치형(133)과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의 기어치형(143)이 완전히 맞물릴 수 있는 위치가 아니라면, 상기 지지 부재(106)가 상기 제2 지점으로 회전하는 동안 사용자는 도어,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동부 몸체(102)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의 기어치형(143)을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의 기어치형(133)에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지지 부재(106)가 상기 제1 지점으로 90도 회전한 지점으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편(113a, 113b)의 외주면 중, 상기 회전축(A2) 둘레를 감싸는 곡면(161c) 또한 상기 지지홈(147)의 바닥면(147a)에 지지될 수 있는 부분이며, 상기 지지 부재(106)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90도 이상 회전하더라도 상기 곡면(161c)이 상기 바닥면(147a)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는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상기 지지 부재(106)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힌지 장치(100)는 조절 손잡이(109; 도 1에 도시됨)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절 손잡이(109)는 상기 지지 부재(106) 자체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 부재(106)와는 별도로 제작된 예가 도시되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절 손잡이(109)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 부재(106)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106)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동부 스토퍼(104)를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에 맞물리게 하거나 상기 고정부 스토퍼(103)로부터 이탈 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힌지 장치(100)는 그 자체에 회동부 몸체(102)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는 위치고정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견고성이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도어를 정지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고정부 스토퍼와 회동부 스토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태양 기어와 내접 기어를 이용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고정부 스토퍼와 회동부 스토퍼가 서로 맞물려 회동부 몸체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고정부 스토퍼를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하고, 회동부 스토퍼의 수용홈 또한 고정부 스토퍼 형상에 상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하더라도 회동부 몸체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회동부 몸체가 회동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회동부 몸체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회동부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4)

  1. 힌지 장치에 있어서,
    고정부 몸체;
    상기 고정부 몸체에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 몸체;
    그 중심이 상기 힌지축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 몸체에 고정된 고정부 스토퍼; 및
    그 중심이 상기 힌지축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회동부 몸체에 설치되는 회동부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 스토퍼가 직선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 스토퍼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회동부 몸체를 정지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스토퍼는 외주면에 기어치형이 형성된 태양 기어이고,
    상기 회동부 스토퍼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의 내벽에 형성된 기어치형을 포함하는 내접 기어(internal gear)이며,
    상기 태양 기어와 내접 기어의 기어치형의 수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 몸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고정부 스토퍼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 스토퍼를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 스토퍼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홈;
    상기 회동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에 수용된 지지핀을 더 구비하고,
    제1 지점에서 상기 지지핀의 일단이 상기 지지홈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 스토퍼로부터 상기 회동부 스토퍼를 이탈시키고,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가 90도 회전한 제2 지점에서 상기 지지핀의 일측면이 상기 지지홈의 내벽에 지지되면서 상기 회동부 스토퍼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 스토퍼에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KR1020090026108A 2009-03-26 2009-03-26 위치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힌지 장치 KR10090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08A KR100904231B1 (ko) 2009-03-26 2009-03-26 위치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08A KR100904231B1 (ko) 2009-03-26 2009-03-26 위치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4231B1 true KR100904231B1 (ko) 2009-06-25

Family

ID=4098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108A KR100904231B1 (ko) 2009-03-26 2009-03-26 위치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7042A (zh) * 2020-06-19 2020-08-25 浙江幸福之家门业有限公司 一种定角度开启阻尼门铰链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59A (ko) * 2000-12-12 2001-03-05 이동진 도어 클로저
KR200307805Y1 (ko) 2002-12-27 2003-03-19 한라정밀 주식회사 다용도 힌지장치
US7210199B2 (en) 2004-12-21 2007-05-01 Clark Richard T Hinge apparatus
JP2008223247A (ja) 2007-03-08 2008-09-25 Kanto Auto Works Ltd ドアヒン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459A (ko) * 2000-12-12 2001-03-05 이동진 도어 클로저
KR200307805Y1 (ko) 2002-12-27 2003-03-19 한라정밀 주식회사 다용도 힌지장치
US7210199B2 (en) 2004-12-21 2007-05-01 Clark Richard T Hinge apparatus
JP2008223247A (ja) 2007-03-08 2008-09-25 Kanto Auto Works Ltd ドアヒン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7042A (zh) * 2020-06-19 2020-08-25 浙江幸福之家门业有限公司 一种定角度开启阻尼门铰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3390U (ja) 扉および/または開閉式調度品の部品用の3軸調整可能な完全隠しヒンジ
JP4071262B2 (ja) 隠し丁番
EP2468999B1 (en)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KR101992670B1 (ko) 폴딩도어 회전장치
US20180010376A1 (en) Hinge
EP2472035A1 (en) Lock device for vehicle
US8147008B2 (en) Interlock system for multi-door enclosures
CN103089098B (zh) 安装门板的调整装置
US20100115846A1 (en) Modular window operating system
ITMI20012372A1 (it) Armadio di distribuzione
KR100904231B1 (ko) 위치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힌지 장치
CN101265781A (zh) 用于锁闭壳体开口的门设备
CA3050843C (en) Arc resistant door with multi-latch system
JP7082839B1 (ja) ラッチ一体化ドア
JP5642449B2 (ja) ピボットヒンジ
JP3165169U (ja) 引戸錠装置
US10221599B2 (en) Adjustment device
KR20010061859A (ko) 체커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
KR101943765B1 (ko) 좌우 겸용 도어 로킹장치
CN111386373B (zh) 用于门或窗的把手组件、门或窗及安装方法
CN1952337A (zh) 制动外壳的门的装置
KR102338924B1 (ko) 창호용 열림 보조장치
JP6226806B2 (ja) ヒンジの位置決め構造
EP2937500A1 (en) Pivot for a door
JP2012122248A (ja) 扉ヒンジの姿勢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