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125B1 -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및 현장발포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및 현장발포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125B1
KR100904125B1 KR1020047014266A KR20047014266A KR100904125B1 KR 100904125 B1 KR100904125 B1 KR 100904125B1 KR 1020047014266 A KR1020047014266 A KR 1020047014266A KR 20047014266 A KR20047014266 A KR 20047014266A KR 100904125 B1 KR100904125 B1 KR 10090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tip
foam
foamable composition
discharg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130A (ko
Inventor
루디헨리제이
Original Assignee
시일드 에어 코포레이션(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일드 에어 코포레이션(유에스) filed Critical 시일드 에어 코포레이션(유에스)
Publication of KR2004009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67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using spray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4238With cleaner, lubrication added to fluid or liquid sealing at valve interface
    • Y10T137/4245Cleaning or steam sterilizing
    • Y10T137/4259With separate material addition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발포 디스펜서(10) 및 이 디스펜서용 다공성 팁(18)에 관한 것이며, 팁(18)의 최외측 림(56)은 디스펜서(10)의 배출 단부(14)를 지나 연장된다.

Description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및 현장발포 디스펜서{TIP FOR A FOAM-IN-PLACE DISPENSER}
본 발명은 맞춤형(on-demand) 현장발포(foam-in-place) 포장 쿠션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디스펜서(dispens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디스펜서용 팁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현장발포 포장은 포장된 물품의 맞춤형 보호를 위해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그것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에 있어서, 현장발포 포장은 완충될 물품을 유지하는 용기 내로 디스펜서로부터 발포형 조성물을 주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피포장물은 부푸는(팽창하는) 폼(foam)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플라스틱으로 감겨진다. 폼이 부품에 따라, 폼은 피포장물과 용기(예를 들면, 골판지 상자) 사이의 나머지 공간으로 팽창하여 피포장물용 맞춤형 쿠션을 형성한다.
통상의 발포형 조성물은 아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화합물과, 폴리올(polyol)[즉, 다수의 수산기(hydroxyl group)를 함유한 화합물] 등의 수산기 함유 재료를 전형적으로 물 및 촉매와 함께 혼합하여 형성된다. 아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선구물질(precursor)이 반응하여 폴리우레탄을 형성한다. 동시에, 물이 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생성한다. 이산화탄소는 폴리우레탄을 폼형 셀룰러 구조체, 즉 폴리우레탄 폼으로 팽창시키며, 이 구조체가 포장된 물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다른 타입의 현장발포 포장에 있어서, 자동 장치는 가요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예를 들어 백 형태의 가요성 용기를 제조하고 이 용기가 형성될 때 용기 내에 발포형 조성물을 디스펜싱한다. 그 혼합물이 용기 내에서 폼으로 팽창할 때, 용기는 밀폐되고 전형적으로 완충될 물품을 유지하는 상자 또는 판지 상자 내로 넣어진다. 부푸는 폼은 다시 유효한 공간으로 팽창하는 경향이 있지만, 단지 용기 내측에서만이다. 용기가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들 용기는 포장된 물품 주위에 개별적인 맞춤형 폼 쿠션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장발포 쿠션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예시적인 장치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 4,800,708 호, 제 4,854,109 호, 제 5,376,219 호 및 제 6,003,288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현장발포 포장용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발포형 조성물의 하나의 단점은 폼 선구물질 및 생성 폼이 약간의 접착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발포형 조성물은 피포장물에 고착하여 그 위에서 폼으로 경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폼 선구물질이 그 내부에서 혼합되어 그로부터 배출되는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폴리올과 아이소시아네이트 폼 선구물질은 백 또는 다른 용기 내로 주입하기 바로 직전까지 서로 혼합되지 않아야 한다. 가장 일반적인 타입의 디스펜서에 있어서, 2개의 폼 선구물질은 디스펜서에 도입되고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 내의 내부 챔버에서 서로 혼합되어 발포형 조성물을 형성하며, 그 다음에 생성된 발포형 조성물은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에 장착된 팁(즉, 노즐)을 통해 디스펜서를 빠져나간다. 디스펜서가 반복 작동함에 따라, 특히 자동 또는 연속적인 방식에 있어서, 발포형 조성물은 팁 상에 잔류 퇴적하고 폼으로 경화하여, 추가적인 발포형 조성물의 적절한 배출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경화된 폼은 팁을 완전히 막거나, 랜덤한 제어되지 않는 방향, 즉 의도되지 않은 방향으로 발포형 조성물이 향하게 하며, 일반적으로 임의의 오지향된 폼의 세정 및 디스펜서의 조속한 작동 중지를 필요로 한다.
디스펜서의 팁 및 다른 부분으로부터 발포형 조성물을 용해시켜 제거할 수 있는 세정 용제(cleaning solvent)를 사용하여 각 디스펜싱 사이클의 마지막에 폼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많은 상이한 기술 및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중 하나는 세정 용제와 공기의 혼합물을 펌핑하는 다공성 배출 팁을 이용한다. 세정 용제와 공기를 혼합하여 다공성 팁을 통과시킬 때의 용제 및 공기의 교반(agitation)은 폼 및 발포형 조성물을 팁으로부터 씻어내는 기능을 하는 세정 작용을 일으킨다(예를 들면, 그 개시내용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 4,898,327 호 참조).
상기 기술보다 개선된 기술은 팁의 면으로 절두원추형 표면을 이용하여 세정 작용이 발생하는 선형 영역을 보다 크게 하고 있다(예를 들면, 그 개시내용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 5,255,847 호 및 제 5,950,875 호 참조).
또한 상기 특허에 개시된 것보다 더 개선된 기술은 다공성 팁을 통해 공기 및 용제를 강제하는데 요구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압력 변환기 또는 다른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다. 공기/용제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팁으로부터 발포형 조성물을 대부분 제거하지만 전부 제거하지는 않기 때문에, 폼 잔류물이 점진적으로 팁 상에 축적된다. 폼 잔류물의 축적이 증가함에 따라, 다공성 요소를 통해 공기 및 용제를 강제하는데 요구되는 압력이 증가한다. 압력이 소정 한계에 도달하면, 주입 노즐을 보수하도록 작업자에게 경고하고, 선택적으로 디스펜싱 시스템을 작업 중단시킬 수도 있다.
상기 기술이 디스펜서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지만, 추가적인 개선에 대한 여지가 남아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는, 디스펜서 세정 사이클 동안에 용제가 다공성 팁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 상의 국부적으로 낮은 지점으로부터 떨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사용중, 디스펜서는 일반적으로 팁이 위치되는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가 하방으로 향하고 있는 상태로 실질적인 수직 배향을 취함). 디스펜서로부터 떨어지는 용제는 혼합된 폼 선구물질의 화학약품으로 포화되고, 포화된 용제가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에서 떨어짐에 따라 소량의 혼합된 폼 선구물질의 화학약품이 잔류물로서 남겨지고, 이것이 고형물질로 경화한다. 각 디스펜싱 및 세정 사이클에서, 고형 잔류물은 석회 동굴 내의 종유석과 매우 흡사하게 퇴적하여 성장한다. 포화된 용제가 다공성 팁으로부터 멀리 이동하기 때문에, 폼 잔류물은 팁 상에 축적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그것을 통해 공기 및 용제를 강제하는데 요구되는 압력은 폼 잔류물 '종유석'의 크기가 증가한 경우에도 증가하지 않는다. 결국, 폼 잔류물은 (압력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경고는 없지만 폼 디스펜싱 시스템의 적절한 작업을 방해하는 크기까지 성장한다. 또한, 잔류물이 다공성 팁으로부터 떨어져 축적하기 때문에, 다공성 팁의 표면에 대한 공기/용제 혼합물의 세정 작용은 잔류물의 성장을 방지하거나 느리게 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으며, 그에 의해 사용 수명이 소망하는 것보다 짧아진다.
따라서, 현장발포 디스펜서의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한 다음 디스펜싱 사이클을 방해하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형태로 폼 흐름의 방향을 바꾸기에 충분한 폼 잔류물이 디스펜서 팁 근처에 축적하기 전에 작업자에게 알리는 현장발포 시스템의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팁이 현장발포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팁으로부터 멀리 용제가 이동하는 문제를 극복하는 개선된 디스펜서 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개선된 팁은, 가스 및 액체 투과성이지만, 디스펜서를 통해 유동하는 발포형 조성물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재료로 형성된 본체와, 디스펜서를 통한 발포형 조성물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밸빙 로드의 단부가 통과할 수 있고, 또한 발포형 조성물이 유동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하는 본체 내의 보어를 포함하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본체를 향해 내측으로 지향된 절두원추형 표면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세정 용제와 공기의 혼합물이 본체를 관통하도록 지향되는 경우에, 공기와 용제의 거품 혼합물이 절두원추형 표면을 빠져나가서, 밸빙 로드의 단부 또는 절두원추형 표면과 점착할 수 있는 임의의 발포형 조성물 또는 그 유도체(derivative)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촉진하는 세정 작용을 제공하며, 절두원추형 표면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구비하며, 팁은 대직경부와 일치하거나 또는 그에 인접하는 최외측 림을 더 포함하며, 팁의 최외측 단부가 배출 단부를 지나 연장되도록 팁이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배출 단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서 이동가능하여 디스펜서를 통한 발포형 조성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빙 로드와, 하우징의 배출 단부에 장착되는 팁을 포함하며, 상기 팁은, 가스 및 액체 투과성이지만, 디스펜서를 통해 유동하는 발포형 조성물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재료로 형성된 본체와, 발포형 조성물이 유동할 수 있고, 또한 밸빙 로드의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하는 본체 내의 보어를 포함하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본체를 향해 내측으로 지향된 절두원추형 표면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세정 용제와 공기의 혼합물이 본체를 관통 지향되는 경우에, 공기와 용제의 거품 혼합물이 절두원추형 표면을 빠져나가서, 밸빙 로드의 단부 또는 절두원추형 표면과 점착할 수 있는 임의의 발포형 조성물 또는 그 유도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촉진하는 세정 작용을 제공하며, 절두원추형 표면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구비하며, 팁은 대직경부와 일치하거나 또는 그에 인접하는 최외측 림을 더 포함하며, 팁의 최외측 단부가 하우징의 배출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외측 림을 갖는 절두원추형 형상을 이용함으로써, 용제 및 폼 잔류물의 생성 축적물이 팁의 다공성 표면에 한정된다. 이것은 폼 선구물질 및 폼 잔류물을 팁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할 때 공기/용제 혼합물의 유효성을 증대시키고, 이에 의해 팁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한다. 또한, 팁의 표면으로 포화된 용제를 한정함으로써, 공기/용제 혼합물을 팁을 통해 강제하는데 요구되는 압력의 모니터링에 의해 팁이 보수 또는 교체될 필요가 있는 경우의 보다 효과적인 표시를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해 예상치 못한 막힘, 및 청소 작업과 관련된 시간 소모를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디스펜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팁 및 배출 단부의 확대 단면도.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펜서(10)는 배출 단부(14)를 구비하는 하우징(12)과, 하우징 내에 배치된 밸빙 로드(valving rod)(16)와, 배출 단부(14)에 장착된 팁(18)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펜서는 하우징(12) 및 코어부(20)를 관통하는 한쌍의 개구(17, 19)를 포함한다(도 1 참조). 코어부는 팁(18)을 지탱한다. 밸빙 로드(16)는 이중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디스펜서를 통한 발포형 조성물의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밸빙 로드가 하우징을 관통하여 병진 및 왕복 이동할 때, 밸빙 로드의 단부(22)는 코어부(20)의 보어(24)를 관통하고 또한 팁(18)의 대응 보어(26)를 관통한다. 상기 참조(및 인용) 미국 특허 제 5,255,84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밸빙 로드(16)가 도시된 위치로부터 후퇴되는 경우, 폼 선구물질[전형적으로 폴리올 및 아이소시아네이트(이들 모두 소정 압력하에 있음)]은 개별적으로 개구(17, 19)를 통해 보어(24)로 도입되게 된다. 즉, 밸빙 로드(26), 특히 그것의 단부(22)가 "개방" 위치로 후퇴한 경우(즉 도 2에 있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경우), 보어(24)는 폼 선구물질이 혼합되어 발포형 조성물을 형성하는 채널(channel)을 형성하며, 보어(26)는 발포형 조성물이 디스펜서 외부로 유출되게 한다.
또한, 디스펜서(10)는, 보어(24, 26) 내에 액밀 시일(liquid-tight seal)을 유지하고 그리고 밸빙 로드(16)가 하우징(12)을 관통하여 왕복 운동할 때 밸빙 로드로부터 폼 잔류물을 긁어내기 위해 스페이서(30)를 스크레이퍼(scraper)(32)에 대하여 가압하는 스프링(2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0)에 의해 형성된 저장실(34)은 밸빙 로드에 점착되어 있을 수 있는 폼 잔류물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해 세정 용제로 충전될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로서 디스펜서는 밸빙 로드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밸빙 로드(16) 상의 한쌍의 정지 링(36)과, 배출 단부(14)에 대향하는 단부(40)에서 디스펜서를 밀봉하는 한쌍의 O-링(38)과, 현장발포 포장기의 적절한 끼워맞춤부(fitting) 상에 디스펜서를 장착하는 장착 스터드(mounting stud) 또는 나사식 샤프트(42)를 포함한다(후술됨).
밸빙 로드(16)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로 복귀한 경우, 밸빙 로드는 보어(24)와의 교차부에서 개구(17, 19)를 폐쇄함으로써 폼 선구물질이 보어(24)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밸빙 로드는 또한 팁(18)의 보어(26) 외측으로 발포형 조성물이 유출하는 것을 차단한다. 그러나, 소량의 폼 잔류물은 팁 상에, 일반적으로 보어(26) 근처의 팁의 면(48)상에 잔류하고, 또한 밸빙 로드의 단부(22) 상에, 특히 그것의 단부면(50) 상에 잔류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발포형 조성물 및 생성 폼을 포함하는 이러한 잔류물은 디스펜서의 작동성을 유지하도록 연속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이하, 이렇게 하여 개선된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팁(18)은 가스 및 액체 투과성이지만, 디스펜서를 통해 유동하는 발포형 조성물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재료로 형성된 대체로 원통형 본체를 포함한다. 팁(18)을 구성할 수 있는 적합한 재료의 예로는, 소결 금속, 및 다공성 폴리에틸렌 등의 다공성 플라스틱이 있다.
하우징(12)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압축 공기와 용제의 혼합물을 다공성 팁(18)으로 도입할 수 있는 입구(44)를 포함한다. 이것은 하우징(12)과 동심이고 팁(18)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 챔버(46)를 이용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압축 공기는 공기/용제 혼합물을 환형 챔버(46)로부터 다공성 팁(18)을 통해 강제하고, 이 혼합물은 이 팁의 면(48)으로부터 팁을 빠져나간다. 용제 및 공기를 혼합하여 다공성 팁을 통과시킬 때의 용제 및 공기의 교반은 팁(18)의 면(48)으로부터 또한 밸빙 로드(16)의 단부면(50)으로부터 폼 잔류물을 세정 및 제거하는 것을 촉진하는 거품(frothing) 세정 작용을 일으킨다. 상기 참조 미국 특허 제 5,255,847 호에 보다 충분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기/용제 혼합물에 의해 유발된 세정 작용의 효과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팁의 본체를 향해 내측으로 지향된 절두원추형 표면으로 팁(18)의 면(48)을 제공함으로써 증대된다.
면(48)의 절두원추형 표면은 대직경부(52) 및 소직경부(54)를 갖는다. 팁(18)은 면(48)의 대직경부(52)와 일치하거나 또는 그에 인접하는 최외측 림(56)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 림(56)은 본질적으로 대직경부(52)와 일치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림(56)은 대직경부(52)로부터 이격되지만 그에 인접하여 있을 수 있다. 즉, 림(56)은 소직경부(54)보다 대직경부에 공간적으로 근접하여 있을 수 있다.
중요하게는, 팁(18)의 최외측 림(5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배출 단부(14)를 지나서, 즉 팁에 인접한 하우징의 배출 단부의 임의의 표면을 지나서 거리 "d"만큼 연장된다. 팁(18)의 다공성 구조와 면(48)의 절두원추형 형상을 조합하는 이러한 특징부는 포화된 용제를 하우징의 배출 단부(14)의 인접 표면으로 이동시키기보다는 팁으로부터 세정하는 포화된 용제/폼 잔류물의 혼합물을 팁의 면(48)에 효과적으로 한정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결과적으로, 포화된 용제가 세정 사이클 동안에 팁의 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세정될 수 있기 때문에, 팁의 사용 수명 및 그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용 수명은 크게 연장된다. 또한, 압축 공기와 용제의 혼합물을 입구(44) 및 환형 챔버(46)를 통해 공급하기 위해 상기 참조 미국 특허 제 4,898,327 호 및 제 5,255,847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펌핑 시스템을 이용한 경우, 공기/용제 혼합물을 다공성 팁을 통해 강제하는데 요구되는 압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모니터링되어, 팁의 면상의 폼 잔류물의 임의의 축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압력이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현장발포 포장 작업자에게 디스펜서를 보수하도록 경고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세정과 관련된 예상치 못한 작업 중단을 회피한다.
거리 "d"는 바람직하게 약 0.01인치 내지 약 0.1인치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 약 0.015인치 내지 약 0.06인치의 범위에 있다. 예로써, 거리 "d"는 0.035인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다면, 상기 참조 미국 특허 제 5,950,875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탈착가능한 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탈착가능한 팁은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에 예를 들어 나사식 접속을 통해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체 디스펜서를 분해하거나 또는 교체할 필요 없이, 필요에 따라 팁을 제거하여 청소하거나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디스펜서(10)는 폴리올,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백 내 발포 포장(foam-in-bag packaging)용 폴리올과 아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하는 발포형 조성물을 디스펜싱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경우, 이용되는 용제는 폴리올과 아이소시아네이트 폼 선구물질 뿐만 아니라, 이들 혼합물에 의해 생성된 발포형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반응 생성물 모두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합한 세정 용제는 글리콜(glycol), 에테르(ether) 및 글리콜과 에테르의 혼합물(예를 들면, 트라이프로필렌 글리콜과 메틸에테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상세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에 제한하지 않고, 변형 및 변경이 상기 요지의 견지에서 가능하고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Claims (12)

  1.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에 배치하도록 구성된, 발포형 조성물을 디스펜싱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에 있어서,
    가스 및 액체 투과성이지만,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유동하는 발포형 조성물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재료로 형성된 본체와,
    채널을 제공하는 상기 본체 내의 보어로서, 상기 채널은 발포형 조성물이 상기 채널을 통해 유동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발포형 조성물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밸빙 로드의 단부가 상기 채널을 통과할 수 있는, 상기 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본체를 향해 내측으로 지향된 절두원추형 표면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세정 용제와 공기의 혼합물이 상기 본체를 관통하도록 지향되는 경우에, 공기와 용제의 거품 혼합물이 상기 절두원추형 표면을 빠져나가서, 상기 밸빙 로드의 단부 또는 상기 절두원추형 표면과 점착할 수 있는 발포형 조성물 또는 그 유도체(derivative)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촉진하는 세정 작용을 제공하며, 상기 절두원추형 표면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구비하며, 상기 팁은 상기 대직경부와 일치하거나 또는 그에 인접하는 최외측 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팁의 최외측 단부가 상기 배출 단부를 지나 연장되도록 상기 팁이 상기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에 배치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림은 0.01인치 내지 0.1인치 범위의 거리만큼 상기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림은 0.015인치 내지 0.06인치 범위의 거리만큼 상기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소결 금속 및 다공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상기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6. 발포형 조성물을 디스펜싱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에 있어서,
    배출 단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발포형 조성물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가능한 밸빙 로드와,
    상기 하우징의 배출 단부에 장착되는 팁을 포함하며,
    상기 팁은, 가스 및 액체 투과성이지만,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유동하는 발포형 조성물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재료로 형성된 본체와,
    발포형 조성물이 유동할 수 있고, 또한 밸빙 로드의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하는 상기 본체 내의 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상기 본체를 향해 내측으로 지향된 절두원추형 표면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세정 용제와 공기의 혼합물이 상기 본체를 관통하도록 지향되는 경우에, 공기와 용제의 거품 혼합물이 상기 절두원추형 표면을 빠져나가서, 상기 밸빙 로드의 단부 또는 상기 절두원추형 표면과 점착할 수 있는 발포형 조성물 또는 그 유도체의 적어도 일부의 제거를 촉진하는 세정 작용을 제공하며, 상기 절두원추형 표면은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구비하며, 상기 팁은 상기 대직경부와 일치하거나 또는 그에 인접하는 최외측 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팁의 최외측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배출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림은 0.01인치 내지 0.1인치 범위의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의 배출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 림은 0.015인치 내지 0.06인치 범위의 거리만큼 상기 하우징의 배출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소결 금속 및 다공성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상기 디스펜서의 배출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장발포 디스펜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폴리올,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과 아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하는 발포형 조성물을 디스펜싱하도록 구성된
    현장발포 디스펜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글리콜, 에테르, 및 글리콜과 에테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세정 용제에 대해 투과성인
    현장발포 디스펜서.
KR1020047014266A 2002-03-13 2003-03-12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및 현장발포 디스펜서 KR100904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97,913 US6929193B2 (en) 2002-03-13 2002-03-13 Tip for a foam-in-place dispenser
US10/097,913 2002-03-13
PCT/US2003/007431 WO2003078129A1 (en) 2002-03-13 2003-03-12 Tip for a foam-in-place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130A KR20040093130A (ko) 2004-11-04
KR100904125B1 true KR100904125B1 (ko) 2009-06-24

Family

ID=2803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266A KR100904125B1 (ko) 2002-03-13 2003-03-12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및 현장발포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929193B2 (ko)
EP (1) EP1483095B1 (ko)
JP (1) JP4250086B2 (ko)
KR (1) KR100904125B1 (ko)
CN (1) CN100355547C (ko)
AT (1) ATE327878T1 (ko)
AU (1) AU2003218087A1 (ko)
BR (1) BRPI0308389B1 (ko)
CA (1) CA2478703C (ko)
DE (1) DE60305657T2 (ko)
MX (1) MXPA04008429A (ko)
NZ (1) NZ534810A (ko)
WO (1) WO2003078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2847B2 (en) * 2003-05-09 2009-06-30 Intellipack Dispenser mixing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using same
US7553437B2 (en) * 2007-05-10 2009-06-30 Sealed Air Corporation (Us) Method and mold assembly for making a molded foam article
US8511047B2 (en) * 2007-08-07 2013-08-20 Sealed Air Corporation (Us) Device for mixing and dispensing fluids
US20090108491A1 (en) * 2007-10-25 2009-04-30 Sealed Air Corporation (Us) Mold, mold image and method for making a molded article
JP5212809B2 (ja) * 2008-09-24 2013-06-19 株式会社多加良製作所 樹脂成形装置
US11325286B2 (en) 2009-09-24 2022-05-10 Sealed Air Corporation (Us) Mixing machine for producing foam within a bag
US8356463B2 (en) * 2009-09-30 2013-01-22 Sealed Air Corporation (Us) Apparatus for forming flexible containers, dispensing fluid into the containers, and enclosing the fluid within the containers
MX343570B (es) * 2009-12-18 2016-11-09 Graphic Packaging Int Inc Empaque para recipientes.
US9623622B2 (en) 2010-02-24 2017-04-18 Michael Baines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US9637607B2 (en) 2012-11-21 2017-05-02 Sealed Air Corporation (Us) Method of making foam
US8869859B2 (en) 2012-12-12 2014-10-28 Sealed Air Corporation (Us) Dispensing and sealing system
US9027797B2 (en) 2013-01-23 2015-05-12 Gojo Industries, Inc. Shield for a fluid dispenser
WO2018112286A1 (en) 2016-12-15 2018-06-21 Sealed Air Corporation (Us) Packaging method
CA3131423A1 (en) * 2019-02-28 2020-09-03 Foam Supplies, Inc. Technologies for foam formation and output
CN110801974B (zh) * 2019-11-25 2021-03-05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具备喷嘴清洗疏通功能的涂料喷涂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1482A (en) * 1971-09-17 1973-06-26 Atlantic Richfield Co Distribu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7370A (en) 1971-01-18 1972-08-29 Instapak Corp Liquid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3938298A (en) 1974-05-20 1976-02-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ystem for inflation and sealing of air cushions
US4023733A (en) * 1974-10-25 1977-05-17 Instapak Corporation Foam dispensing apparatus
US3945569A (en) 1974-10-25 1976-03-23 Instapak Corporation Foam dispensing apparatus
US4169002A (en) 1975-12-24 1979-09-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forming air inflated cushioning material
US4426023A (en) 1981-03-06 1984-01-17 Sealed Air Corporation Cleaning assembly for a foam dispensing apparatus
US4377256A (en) * 1981-06-22 1983-03-22 Gusmer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pensing a mixture of mutually reactive liquids
US4674268A (en) 1985-09-26 1987-06-23 Sealed Ai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oam cushions for packaging purposes
US4854109A (en) 1988-08-22 1989-08-08 Sealed Air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oam cushions for packaging purposes
US4800708A (en) 1987-11-16 1989-01-31 Sealed Ai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oam cushions for packaging purposes
US4898327A (en) 1988-08-22 1990-02-06 Sealed Air Corporation Injection system for foamable compositions
US4893453A (en) 1989-01-24 1990-01-16 Weikert Roy J Packaging system and method
US5027583A (en) 1989-07-11 1991-07-02 Sealed Air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foam cushions for packaging purposes
US5187917A (en) 1990-10-29 1993-02-23 Cvp Systems, Inc. Automatic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and flexible pouch therefor
US5255847A (en) 1991-09-26 1993-10-26 Sealed Air Corporation Tip for a foam in place injection cartridge
US5376219A (en) 1991-09-26 1994-12-27 Sealed Air Corporation High speed apparatus for forming foam cushions for packaging purposes
US6003288A (en) 1992-02-28 1999-12-21 Sealed Air Corporation Compact packaging device for forming foam filled cushions for packaging purposes
US5335483A (en) 1992-09-02 1994-08-09 Sealed Ai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oam cushions for packaging purposes
US5950875A (en) 1995-11-30 1999-09-14 Sealed Air Corporation Modular foam dispenser
US5727370A (en) 1996-06-21 1998-03-17 Flexible Products Co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oam cushions utilizing flexible foam mixing chamber
NL1004307C2 (nl) 1996-10-18 1998-04-21 Free Flow Packaging Int Inc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ussen gevuld met een gasvormig medium.
US5776510A (en) 1996-11-01 1998-07-07 Sealed Air Corporation On-demand production of foam cushions with defined three-dimensional geometry
US5942076A (en) 1997-03-13 1999-08-24 Sealed Air Corporation Inflatable cushion forming machine
NL1010831C1 (nl) 1998-12-16 2000-06-19 Assen Reinier Frans Karel Van Beschermdop voor verstuiver met druppelvanger.
US6209286B1 (en) 1999-03-09 2001-04-03 Novus Packaging Corpo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of pneumatically filled inflatable packaging pillow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1482A (en) * 1971-09-17 1973-06-26 Atlantic Richfield Co Distribu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19790A (ja) 2005-07-07
AU2003218087A1 (en) 2003-09-29
JP4250086B2 (ja) 2009-04-08
CN1642709A (zh) 2005-07-20
DE60305657D1 (de) 2006-07-06
KR20040093130A (ko) 2004-11-04
MXPA04008429A (es) 2004-11-26
CA2478703C (en) 2007-12-04
EP1483095B1 (en) 2006-05-31
US20030173416A1 (en) 2003-09-18
BRPI0308389B1 (pt) 2017-05-16
EP1483095A1 (en) 2004-12-08
NZ534810A (en) 2008-02-29
CN100355547C (zh) 2007-12-19
CA2478703A1 (en) 2003-09-25
DE60305657T2 (de) 2007-05-03
BRPI0308389A2 (pt) 2016-06-28
ATE327878T1 (de) 2006-06-15
US6929193B2 (en) 2005-08-16
WO2003078129A1 (en) 200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125B1 (ko) 현장발포 디스펜서용 팁 및 현장발포 디스펜서
US4898327A (en) Injection system for foamable compositions
EP1068058B1 (en) Modular foam dispenser
US54680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dry particulate material in a fluid flow line
EP0483856B1 (en) Foam mixer-applicator with foaming chamber and method of using
US7013615B2 (en) Self-cleaning fluid dispenser
JP2009220887A (ja) 高速泡ポンプ
AU724569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ic foam
JP2017530856A (ja) カートリッジホルダ、マルチチャンバ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らを有する計量及び混合装置
JP2017530856A5 (ko)
US5040728A (en) Composite valving rod scraper device and cartridge
US5074470A (en) Valving rod with scraper device for foam dispensing apparatus
US997521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dry ice snow
US4838458A (en) Adjustable valving rod
KR100922457B1 (ko)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된 물질의 분배장치
US39088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ir-curable viscous materials
JPS62158628A (ja) 容器に物質を充填するための装置
BE1026905A1 (nl) Verbeterde vulling van vloeistoffen in polyurethaan spuitbussen
KR20180096950A (ko) 부분 교체가 용이한 임펠러를 구비한 우레탄 발포기 헤드
JPH04211914A (ja) 複数成分分配装置
KR20210145360A (ko) 카트리지 교체형 발포기
JP2021176616A (ja) 調合システム及び調合方法
JPH09278006A (ja) 気泡抜き方法及び気泡抜き装置
GB2318782A (en) Metered disp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