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950A - 부분 교체가 용이한 임펠러를 구비한 우레탄 발포기 헤드 - Google Patents

부분 교체가 용이한 임펠러를 구비한 우레탄 발포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950A
KR20180096950A KR1020170023385A KR20170023385A KR20180096950A KR 20180096950 A KR20180096950 A KR 20180096950A KR 1020170023385 A KR1020170023385 A KR 1020170023385A KR 20170023385 A KR20170023385 A KR 20170023385A KR 20180096950 A KR20180096950 A KR 20180096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isocyanate
supply nozzle
urethane
reac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창
Original Assignee
노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기창 filed Critical 노기창
Priority to KR102017002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950A/ko
Publication of KR2018009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04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 B29B7/7409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with supply of gas
    • B29B7/7414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with supply of gas with rotatable stirrer, e.g. using an intermeshing rotor-st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4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50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extrusion or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04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 B29B7/7409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with supply of gas
    • B29B7/7419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with supply of gas with static or injector mix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04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 B29B7/7409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with supply of gas
    • B29B7/7419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with supply of gas with static or injector mixer elements
    • B29B7/7423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with supply of gas with static or injector mixer elements preceded or followed by rotatable stirr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6Mixers with stream-impingement mixing head
    • B29B7/7605Mixers with stream-impingement mixing head having additional mix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6Mixers with stream-impingement mixing head
    • B29B7/7631Part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02Constructions or methods for cleaning the mixing or knea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42Mixing, kneading or conveying the foam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67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using spray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폴리올 저장소로부터의 폴리올 주제의 원액과 이소시아네이트 저장소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액체 원료 공급 실린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함께 발포되는 우레탄 발포기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폴리올 공급 노즐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은 액체 원료 공급 실린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된다. 중공의 반응실에는 폴리올 공급 노즐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의 끝단이 양 측면에서 상호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폴리올 공급 노즐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로부터의 상기 폴리올 주제의 원액과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혼합된다. 토출구는 상기 중공의 반응실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의 분사 배향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의 분사 배향이 상기 토출구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이 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부분 교체가 용이한 임펠러를 구비한 우레탄 발포기 헤드 {URETHANE FOAMING HEAD HAVING IMPELLER WITH REPLACE PARTS}
본 발명은 우레탄 발포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 주제의 원액과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반응실에서 혼합되어 토출구를 통해 분사되는 우레탄 발포기 헤드로써 특히 부분 교체가 용이한 임펠러를 구비한 우레탄 발포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레탄 폼은 폴리올을 주성분으로 하여 발포제, 촉매, 난연제 및/또는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폴리올 주제의 성분과 이소시아네트와 같은 경화제의 두 원액을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형성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2종의 원액을 급속하게 혼합하여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계를 발포기라 한다. 이러한 발포기는 폴리올 주제의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경화를 혼합하는 방식에 따라 통상 고압 발포기와 저압 발포기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고압 발포기는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주제(1)인 폴리올 시스템과 경화제(2)인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고압 발포 헤드(7) 내부의 좁은 챔버(8) 내부에서 서로 고압으로 만나서 급속하게 섞이게 되는데, 이 원액들이 챔버(8) 내부로 고압으로 분사되기 위해서는, 원액들(1,2)을 고압 하에서도 정량을 공급할 수 있는 고압 정량 펌프(5)로 발포 헤드(7)까지 이송한 후, 헤드 내부 혼합 챔버(8)로 뿜어나오는 말단 노즐(6)을 통해 정량이 빠져나가려는 원액이 결국 100bar (약 102kgf/cm2) 이상의 압력을 만들어 분사되게 하고, 이렇게 분사된 원액(1,2)들은 작은 챔버(8) 내부에서 서로 강력하게 부딪쳐 순식간에 섞이게 되어 높은 효율로 혼합된다. 따라서 화학적 반응이 충실하게 일어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우레탄 폼을 형성하는 셀의 크기가 미세하고 균질한 우수한 폼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고압 발포기는 토출 용량이 커서 산업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반면, 저압 발포기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압력 없이 저압으로 원액(1,2)들을 이송하되, 저압 발포 헤드(9) 안에서 원액(1,2)들을 원활히 섞어주기 위해서 모터(12)에 의해 빠르게 회전하는 회전체(9-1)를 사용하는데, 짧은 시간에 섞임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회전체(9-1)가 고속으로 돌면서 회전체(9-1)에 돌출된 많은 돌기 형상의 회전날개(9-2)가 주제(1)인 폴리올과 경화제(2)인 이소시아네이트를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한 많이 서로 충돌하게 하여 혼합 효율을 증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저압 발포기는 토출 용량이 작아 소규모의 신발 종류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저압 발포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올 주제의 성분과 경화제 성분의 효율적인 혼합을 위해 외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회전체(9-1)가 사용되므로, 그 자체로 중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발포 후의 내부를 청소함에 있어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빠른 경화로 인해 세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우레탄 발포기에는 일체형의 임펠러가 사용되어 블레이드가 손상되면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53252호 (2008년08월13일 등록, 발명의 명칭 "우레탄 저압 발포기 헤드") 한국등록특허 제10-0853251호 (2008년08월13일 등록, 발명의 명칭 "우레탄 고압 발포기 헤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5088호 (2012년05월31일 공개, 발명의 명칭 "고압 저압 일체형 우레탄 발포장치")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 발포기와 저압 발포기의 중간적 형태로서 필요에 따라 고압 발포기 또는 저압 발포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발포기 헤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포기 내부의 잔류물의 경화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형태의 발포기 헤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펠러에 형성된 블레이드가 손상되어도 임펠러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교체함으로써 블레이드 손상에 대한 대응이 보다 원활하게 하는 발포기 헤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올 저장소로부터의 폴리올 주제의 원액과 이소시아네이트 저장소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액체 원료 공급 실린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함께 발포되는 우레탄 발포기 헤드에 있어서,
액체 원료 공급 실린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구조의 폴리올 공급 노즐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
폴리올 공급 노즐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의 끝단이 양 측면에서 상호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폴리올 공급 노즐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로부터의 상기 폴리올 주제의 원액과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혼합되는 중공의 반응실; 및
상기 중공의 반응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우레탄 토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의 구형 반응실에 형성되어 있는 우레탄 토출구에는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는 상단 블레이드 블록과 중간의 중간 블레이드 블록 및 하단의 회전 방지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블레이드 블록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블레이드 블록의 상부에는 볼트부가 마련되어 있고 하부에는 너트부가 마련되어 있어 이웃하는 블레이드 블록이 나사산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발포기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의 분사 배향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의 분사 배향이 상기 토출구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이 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의 분사 배향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의 분사 배향의 교차점이 상기 중공의 반응실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의 분사 배향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의 분사 배향의 교차점의 상부에 상기 중공의 반응실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용 용제 노즐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우레탄 발포기 헤드에는 금형에 따라 원액을 설정된 압력에 따라 토출하는 토출압력조절장치, 토출 후의 선택적 세척을 위한 세척조작장치가 함께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노즐의 개방 또는 폐쇄는 실린더에 의한 이동에 따른 조작체의 이동에 의해 결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압 또는 고압, 또는 통상의 저압과 고압 사이의 압력으로 우레탄을 선택적으로 발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기 헤드를 사용자가 쉽게 운반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의 반응실 내에 청소를 경화제의 경화 없이 예를 들어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의해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의 반응실 하부의 우레탄 토출구에 마련되는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가 각각의 블레이드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어 손상된 블레이드가 있어도 전체 교체 없이 부분적인 교체만으로 블레이드 손상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압 우레탄 발포기의 발포 헤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저압 우레탄 발포기의 발포 해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우레탄 발포기 헤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우레탄 발포기 헤드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우레탄 발포기 헤드의 내부에서 각각의 노즐을 통한 폴리올 주제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혼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우레탄 발포기 헤드의 내부를 청소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우레탄 발포기 헤드에 적용되는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우레탄 발포기 헤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우레탄 발포기 헤드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우레탄 발포기 헤드의 내부에서 각각의 노즐을 통한 폴리올 주제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혼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우레탄 발포기 헤드의 내부를 청소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우레탄 발포기 헤드에 적용되는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올 저장소(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의 폴리올 주제의 원액과 이소시아네이트 저장소(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액체 원료 공급 실린더(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함께 발포되는 우레탄 발포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우레탄 발포기 헤드는 액체 원료 공급 실린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구조의 폴리올 공급 노즐(100)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0)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발포기 중의 그 헤드 부분만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헤드 부분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우레탄 발포기 헤드는 폴리올 공급 노즐(100)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0)의 끝단이 양 측면에서 상호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폴리올 공급 노즐(100)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0)로부터의 상기 폴리올 주제의 원액과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혼합되는 중공의 반응실(300)을 갖는다.
상기 중공의 반응실(300)의 하부에는 우레탄 토출구(4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레탄 토출구(400)의 내부에는 중공의 반응실(300)로부터의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더욱 더 완전히 혼합되게 하는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600)가 적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100)의 분사 배향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0)의 분사 배향이 상기 토출구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이 되게 구성된다. 즉, 폴리올 공급 노즐(100)의 끝단(102)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2)의 끝단(202)이 토출구(400)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반대 방향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올 공급 노즐(100)의 끝단(102)으로부터 공급되는 폴리올 주제 원액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2)의 끝단(202)으로부터 공급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구형 반응실(300)의 내부에서 상호 교차되게 하면서 그 순간부터 강제적으로 혼합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올 주제 원액의 분사 배향과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의 분사 배향의 교차점이 구형 반응실(300)의 내부 또는 구형 반응실(300)의 표면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 토출구(400)에 별도의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600)가 구비되어 상기한 구형 반응실(300)로부터의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재가 더욱 더 혼합되게 한다.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6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100)의 분사 배향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0)의 분사 배향의 교차점의 상부에 상기 중공의 반응실(30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용 용제 노즐(50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형 반응실(300)의 내부로 직접 세척용 용제가 공급되면, 구형 반응실의 내부에는 사실상의 폴리올 주제 원액과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의 잔여물이 전혀 생성되지 않아 이후 별도의 세척 작업 없이도 우레탄 발포 작업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른 우레탄 발포기 헤드의 우레탄 토출구(400)에는 별도의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600)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우레탄 발포기 헤드에 마련되는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6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구비된 상단 블레이드 블록(610)과 상기 상단 블레이드 블록(6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중간 블레이드 블록(620)들을 포함한다. 중간 블레이드 블록(620)의 하부에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의 회전 방지 블록이 마련된다. 회전 방지 블록(630)은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600)의 회전을 방해함으로써 구형 반응실(300)로부터의 혼합재가 보다 강제적으로 혼합되게 한다.
각각의 블레이드 블록(610)(620)의 외주면에는 각각의 블레이드(602)가 블레이드 블록610)(620)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 형성된다.
각각의 블레이드 블록(610)(620)의 상부에는 볼트부(622)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너트부(624)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 블록(610)(620)의 이웃하는 볼트부(622)와 너트부(624)는 나사산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로써, 각각의 블레이드 블록(610)(620)에 일체로 마련된 블레이드(602)가 부분적으로 손상되어도 전체 교체 없이 그 부분의 블레이드 블록(610)(620)만 교체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상기 우레탄 발포기 헤드에는 금형에 따라 원액을 설정된 압력에 따라 토출하는 토출압력조절장치, 토출 후의 선택적 세척을 위한 세척조작장치가 함께 제공된다(도 3의 조작 버튼 중의 임의 선택). 상기 노즐의 개방 또는 폐쇄는 실린더에 의한 이동에 따른 조작체의 이동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폴리올 공급 노즐
200 :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
300 : 구형 반응실
400 : 우레탄 토출구
500 : 세척용 용제 노즐
600 :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
602 : 블레이드
610 : 상단 블레이드 블록
620 : 중간 블레이드 블록
622 : 볼트부
624 : 너트부
630 : 회전 방지 블록

Claims (4)

  1. 폴리올 저장소로부터의 폴리올 주제의 폴리올 원액과 이소시아네이트 저장소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액체 원료 공급 실린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공급되어 함께 발포되는 우레탄 발포기 헤드에 있어서,
    액체 원료 공급 실린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구조의 폴리올 공급 노즐(100)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0);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의 끝단이 양 측면에서 상호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로부터의 상기 폴리올 주제의 원액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 원액이 혼합되는 중공의 구형 반응실(300); 및
    상기 중공의 구형 반응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우레탄 토출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의 구형 반응실(300)에 형성되어 있는 우레탄 토출구(400)에는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60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스태틱 믹서 또는 임펠러(600)는 상단 블레이드 블록(610)과 중간의 중간 블레이드 블록(620) 및 하단의 회전 방지 블록(300)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블레이드 블록(610)(62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6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블레이드 블록(610)(620)의 상부에는 볼트부(622)가 마련되어 있고 하부에는 너트부(624)가 마련되어 있어 이웃하는 블레이드 블록(610)(620)이 나사산 결합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발포기 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구형 반응실(300) 내에서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100)로부터의 폴리올 분사 배향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0)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 분사 배향이 상기 토출구(400)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이 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발포기 헤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100)로부터의 폴리올 분사 배향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0)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 분사 배향의 교차점이 상기 중공의 구형 반응실(300)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발포기 헤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공급 노즐(100)로부터의 폴리올 분사 배향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공급 노즐(200)로부터의 이소시아네이트 분사 배향의 교차점의 상부에 상기 중공의 구형 반응실(30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용 용제 노즐(500)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발포기 헤드.
KR1020170023385A 2017-02-22 2017-02-22 부분 교체가 용이한 임펠러를 구비한 우레탄 발포기 헤드 KR20180096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385A KR20180096950A (ko) 2017-02-22 2017-02-22 부분 교체가 용이한 임펠러를 구비한 우레탄 발포기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385A KR20180096950A (ko) 2017-02-22 2017-02-22 부분 교체가 용이한 임펠러를 구비한 우레탄 발포기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950A true KR20180096950A (ko) 2018-08-30

Family

ID=6345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385A KR20180096950A (ko) 2017-02-22 2017-02-22 부분 교체가 용이한 임펠러를 구비한 우레탄 발포기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9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664A (ko) * 2019-09-24 2021-04-01 (주)유피티 믹싱 헤드용 노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51B1 (ko) 2007-09-11 2008-08-20 아진테크주식회사 우레탄 고압 발포기 헤드
KR100853252B1 (ko) 2007-09-11 2008-08-20 아진테크주식회사 우레탄 저압 발포기 헤드
KR20120055088A (ko) 2010-11-23 2012-05-31 주식회사 에스피씨 고압 저압 일체형 우레탄 발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251B1 (ko) 2007-09-11 2008-08-20 아진테크주식회사 우레탄 고압 발포기 헤드
KR100853252B1 (ko) 2007-09-11 2008-08-20 아진테크주식회사 우레탄 저압 발포기 헤드
KR20120055088A (ko) 2010-11-23 2012-05-31 주식회사 에스피씨 고압 저압 일체형 우레탄 발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664A (ko) * 2019-09-24 2021-04-01 (주)유피티 믹싱 헤드용 노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21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and dispensing and mixing nozzle therefore
EP1483095B1 (en) Tip for a foam-in-place dispenser
JPH1134106A (ja) ポリウレタン混合物を製造する自己洗浄混合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466876B1 (ko) 혼합유도 공기노즐을 갖는 소량 토출용 믹싱헤드
KR102073822B1 (ko) 안료의 혼합이 용이한 우레탄 발포기
KR101711436B1 (ko) 발포소재의 고른 혼합 및 믹싱헤드의 효과적 클리닝이 가능한 발포성형장치
KR20180096950A (ko) 부분 교체가 용이한 임펠러를 구비한 우레탄 발포기 헤드
KR20180020707A (ko) 드라이 아이스 블럭 세척장치
KR101914681B1 (ko) 임의의 색상을 발현할 수 있는 우레탄 발포기용 믹싱헤드
KR20170122460A (ko) 우레탄 발포기 헤드
US3917779A (en) Introduction of reactants into moulds and article produced
US3042311A (en) Spray guns and the like
KR101924051B1 (ko)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KR20080008327A (ko) 스프레이 헤드
JPH05220768A (ja) 発泡樹脂混合装置
KR100566756B1 (ko)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형장치
KR102316579B1 (ko) 혼합 효율이 높은 믹싱 헤드 뭉치
KR102263229B1 (ko) 자동화 발포성형용 스프레이 장치
US3794451A (en) Introduction of reactants into moulds
JPS6315891B2 (ko)
JPH11267554A (ja) 二液混合式スプレー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426329B1 (ko)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분사장치
KR101348268B1 (ko) 발포기 믹싱헤드의 스페이셔 튜브
JP2023027881A (ja) 拡散及び注入ガン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H0493205A (ja) 改良された機械洗浄式衝突混合型ミキシング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