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051B1 -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 Google Patents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051B1
KR101924051B1 KR1020170045082A KR20170045082A KR101924051B1 KR 101924051 B1 KR101924051 B1 KR 101924051B1 KR 1020170045082 A KR1020170045082 A KR 1020170045082A KR 20170045082 A KR20170045082 A KR 20170045082A KR 101924051 B1 KR101924051 B1 KR 10192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air
main
unit
nozz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694A (ko
Inventor
정용채
Original Assignee
(주)디유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유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디유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4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05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04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 B29B7/7409Mix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oamable substances with supply of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42Mixing, kneading or conveying the foam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는 폴리우레탄 발포원료(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을 유도하는 공기 투입시 공기와 발포원료의 스월(swirl) 유동이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혼합 효율 증대 및 발포원료 배출 유량 증대가 도모되고,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발포원료의 팬 스프레이(pan spray) 영역이 확대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Mixing head with nozzle for making swirl of foaming material}
본 발명은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발포원료(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을 유도하는 공기 투입시 공기와 발포원료의 스월(swirl) 유동이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혼합 효율 증대 및 발포원료 배출 유량 증대가 도모되고,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발포원료의 팬 스프레이(pan spray) 영역이 확대될 수 있는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폼은 폴리올(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ianate)의 부가반응에 의해 생성되어 신발의 아웃솔(Outsole)이나 건축자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여기서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는 액상의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공급되어 혼합되는 믹싱 헤드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믹싱 헤드에서 혼합되어 균질 혼합물로 배출되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반응에 의해 폴리우레탄 폼이 발포 성형되는데, 믹싱 헤드로부터 배출되는 균질 혼합물이 정해진 형상을 갖는 제품 금형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폴리우레탄 폼 제품이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믹싱헤드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25184호 "이중 피스톤를 갖는 믹싱챔버 조립식 소형 믹싱헤드", 등록번호 제10-1623031호 "슬리브 노즐 교체형 소형 믹싱헤드" 등을 안출한 바 있다.
여기서, 폴리우레탄 폼 제조를 위한 액상 원료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충돌력에 의해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고압 발포방식의 믹싱헤드는 혼합용 통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혼합용 통로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원료공급노즐이 형성되는 하우징 블록, 하우징 블록과 일체로 연결되는 실린더 블록, 실린더 블록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피스톤헤드와 피스톤헤드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 블록의 혼합용 통로를 통해 이동하게 되는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지는 클리닝 피스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하우징 블록의 원료공급노즐을 통해 혼합용 통로로 공급되는 이종(異種)의 액상 원료가 서로 충돌력에 의해 혼합된 후, 균일 혼합물로서 토출되면서 발포성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압 발포방식의 믹싱헤드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의 품질은 믹싱헤드에서의 원료 간 혼합 효율에 많은 영향을 받음에 따라 원료 간 혼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현재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원료가 혼합되어 토출되는 조건에서는 혼합 효율 증대가 폴리우레탄 폼의 안정적인 제조에 중요하므로, 원료의 혼합 효율이 증대되는 믹싱헤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6876호 "혼합유도 공기노즐을 갖는 소량 토출용 믹싱헤드"를 개발한 바 있다. 상기 "혼합유도 공기노즐을 갖는 소량 토출용 믹싱헤드"는 공기노즐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하우징 블록 내부로 폴리우레탄 폼 제조를 위한 이종(異種)의 액상 원료가 공급되어 1차 충돌에 의한 혼합후 2차적인 압축공기 유동에 의해 추가적인 혼합이 유도되도록 함에 따라, 혼합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도 1에서와 같이 폴리우레탄 발포원료(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를 팬 스프레이(pan spray) 방식으로 외부로 배출할 경우, 폴리우레탄 발포원료의 혼합 효율이 낮은 상태에서는 폴리우레탄 발포원료 배출 유량이 작아지면서 팬 스프레이 영역이 좁혀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폴리우레탄 발포원료의 혼합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믹싱헤드 구조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25184호 "이중 피스톤를 갖는 믹싱챔버 조립식 소형 믹싱헤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23031호 "슬리브 노즐 교체형 소형 믹싱헤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66876호 "혼합유도 공기노즐을 갖는 소량 토출용 믹싱헤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하우징 블록에 결합되는 스월유도 배출블록에 공기 투입기가 장착되고, 공기 투입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스월유도 배출블록의 배출 통로로 편심되게 투입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스월유도 배출블록의 배출 통로를 통과하는 발포원료의 스월(swirl) 유동이 유도되고, 이를 통해 발포원료의 혼합 효율과 배출유량 증대가 도모될 수 있으며, 발포원료 배출유량 증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발포원료의 팬 스프레이(pan spray) 영역이 극대화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혼합용 통로(110)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혼합용 통로(110)에 측방으로 연결되는 발포원료 공급로(120)(130)가 형성되며, 하우징 블록(100)의 발포원료 공급로(120)(130)로 폴리올 원료와 이소시아네이트 원료를 공급하게 되는 폴리올 공급노즐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노즐이 설치되는 하우징 블록(100)과; 하우징 블록(100)과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고, 하우징 블록(100)의 혼합용 통로(110)와 연결되는 배출 통로(250)가 형성되며, 배출 통로(250)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투입시키는 공기 투입기(300)를 포함하는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을 포함하여,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의 배출 통로(250)로 유입된 발포원료가 배출 통로(250)로 편심되게 유입된 공기에 의해 스월 유동하게 되면서 발포원료 간 혼합효율의 증대와 발포원료 외부 배출시 팬 스프레이 영역 증대가 도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에서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은, 하우징 블록(100)에 고정되고, 배출 통로(250)로 사용되는 입구측 통로(251)의 전방으로 하우징블록 연결공간(211)이 형성되는 한편 입구측 통로(251)의 후방으로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및 플러그 고정공간(213)이 형성되며, 하우징블록 연결공간(211)에 하우징 블록(100)의 일단부가 오링(400)을 매개로 결합되고, 공기 투입기(300)가 측방으로 장착되는 어댑터 유닛(210)과; 어댑터 유닛(210)의 메인노즐 장착공간(212)에 오링(400)을 매개로 삽입고정되고, 배출 통로(250)로 사용되는 메인 통로(252) 및 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 통로(253)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공기 투입기(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메인 통로(252)로 유도하는 공기 유도로(221)가 메인 통로(252)와 편심되게 연결 형성되고, 선단부위에 측방으로 돌출된 고정단턱(223)이 형성되는 메인노즐 유닛(220)과; 메인노즐 유닛(220)과 오링(400)을 매개로 결합되고, 배출 통로(250)로 사용되는 단면적이 축소되는 축소 통로(254)와 분출로(255)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후단부위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단턱(231)이 형성되어 메인노즐 유닛(220)의 고정단턱(223)과 맞물리게 되는 스프레이노즐 유닛(230) 및; 중공형 원통체로 이루어져 어댑터 유닛(210)의 플러그 고정공간(213)에 삽입고정되고, 스프레이노즐 유닛(230)의 고정단턱(231)에 걸림고정되는 걸림턱(241)이 형성되어 메인노즐 유닛(220)과 스프레이노즐 유닛(230)을 가압 고정시키는 플러그 유닛(2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에서 어댑터 유닛(210)은 하나의 공기 투입기(300)가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후단 부위에 연결되게 배치되도록 하고, 메인노즐 유닛(220)은 후단 부위 외주면이 경사면(222)으로 이루어져 어댑터 유닛(210)의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하단 부위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틈새공간(214)이 형성되도록 하되, 메인노즐 유닛(220)의 공기 유도로(221)가 틈새공간(214)에 연결 형성되어 어댑터 유닛(210)의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후단 부위에 배치된 공기 투입기(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틈새공간(214), 공기 유도로(221)를 거쳐 메인 통로(252)로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에서 메인노즐 유닛(220)의 공기 유도로(221)는 후단면 표면 부위에 요입 형성되되, 복수의 공기 유도로(221)가 메인 통로(252)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에서 공기 투입기(300)는 압축공기가 첨단(尖端)형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의 에어 니들(air needle)(31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에 의하면, 폴리우레탄 발포원료(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을 유도하는 공기 투입시 공기와 발포원료의 스월(swirl) 유동이 유도되도록 하므로, 혼합 효율이 증대되는 한편 발포원료의 배출 유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발포원료의 팬 스프레이(pan spray) 영역이 확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폴리우레탄 발포용 믹싱헤드의 팬 스프레이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의 주요부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를 이루는 스월유도 배출블록의 확대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월유도 배출블록을 이루는 메인노즐 유닛에서의 공기 유입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발포기술,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믹싱헤드, 에어레이션(airation)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1)는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 블록(100)과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의 배출 통로(250)로 유입된 발포원료가 배출 통로(250)로 편심되게 유입된 공기에 의해 스월 유동하게 되면서 발포원료 간 혼합효율의 증대와 발포원료 외부 배출시 팬 스프레이 영역 증대가 도모되도록 한 기술이다.
하우징 블록(100)은 혼합용 통로(110)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혼합용 통로(110)에 측방으로 연결되는 발포원료 공급로(120)(130)가 형성되며, 하우징 블록(100)의 발포원료 공급로(120)(130)로 폴리올 원료와 이소시아네이트 원료를 공급하게 되는 폴리올 공급노즐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노즐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하우징 블록(100)에는 믹싱챔버 실린더 블록(미도시), 클리닝 실린더 블록(미도시) 등이 추가적으로 결합된다.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은 하우징 블록(100)과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하우징 블록(100)의 혼합용 통로(110)와 연결되는 배출 통로(2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에는 배출 통로(250)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투입시키는 공기 투입기(300)가 장착된다. 여기서 공기 투입기(300)는 압축공기가 첨단(尖端)형 배출구(311)로 배출되는 구조의 에어 니들(air needle)(310) 및 에어 니들(31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유닛(3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어댑터 유닛(210), 메인노즐 유닛(220), 스프레이노즐 유닛(230), 플러그 유닛(2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어댑터 유닛(210)은 하우징 블록(100)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유닛(210)은 배출 통로(250)로 사용되는 입구측 통로(251)의 전방으로 하우징블록 연결공간(211)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하우징블록 연결공간(211)에 하우징 블록(100)의 일단부가 오링(400)을 매개로 결합된다. 그리고 어댑터 유닛(210)은 입구측 통로(251)의 후방으로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및 플러그 고정공간(213)을 형성하여 메인노즐 유닛(220)과 플러그 유닛(240)이 장착고정되도록 한다. 어댑터 유닛(210)의 측방으로는 공기 투입기(300)가 장착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유닛(210)은 하나의 공기 투입기(300)가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후단 부위에 연결되게 배치되도록 한다.
메인노즐 유닛(220)은 어댑터 유닛(210)의 메인노즐 장착공간(212)에 오링(400)을 매개로 삽입고정되는 것으로, 배출 통로(250)로 사용되는 메인 통로(252) 및 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 통로(253)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노즐 유닛(220)에는 공기 투입기(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메인 통로(252)로 유도하는 공기 유도로(221)가 메인 통로(252)와 편심되게 연결 형성되어 있다. 메인노즐 유닛(220)의 공기 유도로(221)는 메인노즐 유닛(220) 후단면 표면 부위에 요입 형성되는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노즐 유닛(220)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복수의 공기 유도로(221)가 메인 통로(252)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메인 통로(252)로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력을 극대화시켜 메인 통로(252)를 통과하는 발포원료의 스월 유동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유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노즐 유닛(220)은 후단 부위 외주면이 경사면(222)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어댑터 유닛(210)의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하단 부위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틈새공간(214)이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노즐 유닛(220)의 공기 유도로(221)는 틈새공간(214)에 연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어댑터 유닛(210)의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후단 부위에 배치된 공기 투입기(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틈새공간(214), 공기 유도로(221)를 거쳐 메인 통로(252)로 유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노즐 유닛(220)의 선단부위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고정단턱(223)이 형성된다.
스프레이노즐 유닛(230)은 배출 통로(250)로 사용되는 단면적이 축소되는 축소 통로(254)와 분출로(255)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메인노즐 유닛(220)의 메인 통로(252)와 확장 통로(253), 스프레이노즐 유닛(230)의 축소 통로(254)와 분출로(255)는 순차적으로 일직선 상에 형성되어 배출 통로(250)를 구성하게 된다. 스프레이노즐 유닛(230)은 메인노즐 유닛(220)과 오링(400)을 매개로 결합된다. 여기서 스프레이노즐 유닛(230)의 후단부위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단턱(231)이 형성되어 메인노즐 유닛(220)의 고정단턱(223)과 맞물리게 되고, 메인노즐 유닛(220)의 고정단턱(223)에 형성된 오링 홈(224)에 오링(400)이 배치되면서 스프레이노즐 유닛(230)과 메인노즐 유닛(220)이 오링(400)을 매개로 결합된다.
플러그 유닛(240)은 캡 형상의 중공형 원통체로 이루어져 어댑터 유닛(210)의 플러그 고정공간(213)에 삽입고정되는 것으로, 스프레이노즐 유닛(230)의 고정단턱(231)에 걸림고정되는 걸림턱(241)이 형성되어 메인노즐 유닛(220)과 스프레이노즐 유닛(230)을 가압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1)는 하우징 블록(100)에 결합되는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에 공기 투입기(300)가 장착되고, 공기 투입기(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의 배출 통로(250)로 편심되게 투입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의 배출 통로(250)를 통과하는 발포원료의 스월(swirl) 유동이 유도되고, 이를 통해 발포원료의 혼합 효율과 배출유량 증대가 도모될 수 있으며, 발포원료 배출유량 증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발포원료의 팬 스프레이(pan spray) 영역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100 : 하우징 블록
110 : 혼합용 통로
120, 130 : 발포원료 공급로
200 : 스월유도 배출블록
210 : 어댑터 유닛
211 : 하우징블록 연결공간
212 : 메인노즐 장착공간
213 : 플러그 고정공간
214 : 틈새공간
220 : 메인노즐 유닛
221 : 공기 유도로
222 : 경사면
223 : 고정단턱
224 : 오링 홈
230 : 스프레이노즐 유닛
231 : 고정단턱
240 : 플러그 유닛
241 : 걸림턱
250 : 배출 통로
251 : 입구측 통로
252 : 메인 통로
253 : 확장 통로
254 : 축소 통로
255 : 분출로
300 : 공기 투입기
310 : 에어 니들
311 : 첨단형 배출구
320 : 압축공기 공급유닛
400 : 오링

Claims (5)

  1. 혼합용 통로(110)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혼합용 통로(110)에 측방으로 연결되는 발포원료 공급로(120)(130)가 형성되며, 하우징 블록(100)의 발포원료 공급로(120)(130)로 폴리올 원료와 이소시아네이트 원료를 공급하게 되는 폴리올 공급노즐과 이소시아네이트 공급노즐이 설치되는 하우징 블록(100)과;
    하우징 블록(100)과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고, 하우징 블록(100)의 혼합용 통로(110)와 연결되는 배출 통로(250)가 형성되며, 배출 통로(250)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투입시키는 공기 투입기(300)를 포함하는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을 포함하여,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의 배출 통로(250)로 유입된 발포원료가 배출 통로(250)로 편심되게 유입된 공기에 의해 스월 유동하게 되면서 발포원료 간 혼합효율의 증대와 발포원료 외부 배출시 팬 스프레이 영역 증대가 도모되도록 하되,
    상기 스월유도 배출블록(200)은,
    하우징 블록(100)에 고정되고, 배출 통로(250)로 사용되는 입구측 통로(251)의 전방으로 하우징블록 연결공간(211)이 형성되는 한편 입구측 통로(251)의 후방으로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및 플러그 고정공간(213)이 형성되며, 하우징블록 연결공간(211)에 하우징 블록(100)의 일단부가 오링(400)을 매개로 결합되고, 공기 투입기(300)가 측방으로 장착되는 어댑터 유닛(210)과;
    어댑터 유닛(210)의 메인노즐 장착공간(212)에 오링(400)을 매개로 삽입고정되고, 배출 통로(250)로 사용되는 메인 통로(252) 및 단면적이 확장되는 확장 통로(253)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공기 투입기(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메인 통로(252)로 유도하는 공기 유도로(221)가 메인 통로(252)와 편심되게 연결 형성되고, 선단부위에 측방으로 돌출된 고정단턱(223)이 형성되는 메인노즐 유닛(220)과;
    메인노즐 유닛(220)과 오링(400)을 매개로 결합되고, 배출 통로(250)로 사용되는 단면적이 축소되는 축소 통로(254)와 분출로(255)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후단부위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단턱(231)이 형성되어 메인노즐 유닛(220)의 고정단턱(223)과 맞물리게 되는 스프레이노즐 유닛(230) 및;
    중공형 원통체로 이루어져 어댑터 유닛(210)의 플러그 고정공간(213)에 삽입고정되고, 스프레이노즐 유닛(230)의 고정단턱(231)에 걸림고정되는 걸림턱(241)이 형성되어 메인노즐 유닛(220)과 스프레이노즐 유닛(230)을 가압 고정시키는 플러그 유닛(2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댑터 유닛(210)은 하나의 공기 투입기(300)가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후단 부위에 연결되게 배치되도록 하고, 메인노즐 유닛(220)은 후단 부위 외주면이 경사면(222)으로 이루어져 어댑터 유닛(210)의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하단 부위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틈새공간(214)이 형성되도록 하되,
    메인노즐 유닛(220)의 공기 유도로(221)가 틈새공간(214)에 연결 형성되어 어댑터 유닛(210)의 메인노즐 장착공간(212) 후단 부위에 배치된 공기 투입기(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틈새공간(214), 공기 유도로(221)를 거쳐 메인 통로(252)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메인노즐 유닛(220)의 공기 유도로(221)는 후단면 표면 부위에 요입 형성되되, 복수의 공기 유도로(221)가 메인 통로(252)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5. 제 1항에 있어서,
    공기 투입기(300)는 압축공기가 첨단(尖端)형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의 에어 니들(air needle)(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KR1020170045082A 2017-04-07 2017-04-07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KR101924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82A KR101924051B1 (ko) 2017-04-07 2017-04-07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82A KR101924051B1 (ko) 2017-04-07 2017-04-07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694A KR20180113694A (ko) 2018-10-17
KR101924051B1 true KR101924051B1 (ko) 2018-11-30

Family

ID=6409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082A KR101924051B1 (ko) 2017-04-07 2017-04-07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039B1 (ko) * 2019-02-19 2019-10-02 (주)이스턴에프티씨 크리닝기능을 갖는 발포폼 믹싱헤드장치
KR20210035664A (ko) 2019-09-24 2021-04-01 (주)유피티 믹싱 헤드용 노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039B1 (ko) * 2019-02-19 2019-10-02 (주)이스턴에프티씨 크리닝기능을 갖는 발포폼 믹싱헤드장치
KR20210035664A (ko) 2019-09-24 2021-04-01 (주)유피티 믹싱 헤드용 노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694A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5602B2 (en) Atomizer nozzle
RU2040346C1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поверхности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705016B2 (ja) 噴霧器に関するプッシュボタン
KR102168146B1 (ko) 풀콘 공기 보조식 분사 노즐 조립체
KR101924051B1 (ko) 스월 유도형 노즐을 갖는 믹싱헤드
KR101466876B1 (ko) 혼합유도 공기노즐을 갖는 소량 토출용 믹싱헤드
CN106164592B (zh) 燃烧器、具有这种燃烧器的燃气轮机和燃料喷嘴
US20130192593A1 (en) Nozzle unit and dispenser
EP2357071B1 (en) Mixing head apparatus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2917803A (zh) 用于喷射装置的喷头
JPH0787907B2 (ja) 改良されたスプレーノズルデザイン
KR101826634B1 (ko) 화장품용기의 미스트 펌프
US8673191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plastic parts interspersed with reinforcing fibres
CN103140294A (zh) 静态喷射混合器
US20060180682A1 (en) Nozzle particularly for atomizing a liquid
US2042746A (en) Spray head
KR101082771B1 (ko) 개선된 거품 형성 유닛
US10974260B2 (en) Gapped scanner nozzle assembly and method
KR101963796B1 (ko) 기체-액체 혼합 분사노즐
JP2002512120A (ja) 泡スプレー装置
KR101633234B1 (ko)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
KR930000972Y1 (ko) 노즐장치
KR101887209B1 (ko) 섬유강화 복합재료 수지 주입용 믹싱헤드
KR101914681B1 (ko) 임의의 색상을 발현할 수 있는 우레탄 발포기용 믹싱헤드
US3042311A (en) Spray gun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