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845B1 - 조립식 계단 - Google Patents

조립식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845B1
KR100903845B1 KR1020080071403A KR20080071403A KR100903845B1 KR 100903845 B1 KR100903845 B1 KR 100903845B1 KR 1020080071403 A KR1020080071403 A KR 1020080071403A KR 20080071403 A KR20080071403 A KR 20080071403A KR 100903845 B1 KR100903845 B1 KR 100903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aircase
stairs
present
st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303A (ko
Inventor
김용근
Original Assignee
김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근 filed Critical 김용근
Priority to KR102008007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84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25Stairways having str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견고하고 시공이 완료된 계단의 하부면이 별도의 덮개로 막는 작업이 없이도 계단모양으로 굴곡 되지 않고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계단실의 천정이 미려하고 깨끗하게 마무리됨으로써 고품질을 추구하는 현대 건축에 부합하는 조립식 계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계단의 단위 계단세트를 한 쌍의 계단옆판 사이에 계단모양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계단유닛으로 조립하게 되면, 계단 하부가 굴곡 된 채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평탄면으로 마감함으로써 조립식 계단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계단의 구조 및 마감 재료를 소비자의 다양하고 까다로운 요구에 부응하여 적용할 수 있는 조립식 계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계단을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압출하여 조립식 계단의 마감판이나 그 자체로써 계단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및 설치가 간편하고 외관이 아름다운 조립식 계단을 제공하여 고급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계단세트의 상부면은 하나 이상의 디딤판과 하나 이상의 챌판으로 구성되어 계단모양으로 층계가 형성되고 계단세트의 하부면은 상기 상부면과 같이 계단모양으로 굴곡되지 않고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계단세트를, 장방형의 평판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계단옆판 사이에 체결수단으로써 계단모양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계단유닛으로 조립함으로써, 계단 하부면의 굴곡된 형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계단 하부의 전체 면이 별도의 막는 작업 없이도 저절로 평탄면 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을 제공하고, 또한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을 계단 형태로 압출 성형한 것을 계단 폭에 맞도록 절단가공한 계단세트를 다수 구비하여 한 쌍의 계단옆판 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해 계단유닛을 형성하고, 슬래브와 계단참의 난간부분에 정착부재를 설치한 다음, 상기 계단옆판 양단을 정착부재에 결합하여 조립식 계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을 제공한다.
조립식 계단, 철골 계단, 계단

Description

조립식 계단{Assembly stairway}
본 발명은 조립식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이 편리하면서도 견고하고 시공이 완료된 계단의 하부면이 별도의 덮개로 막는 작업이 없이도 계단모양의 굴곡 없이 저절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계단실의 천정이 미려하고 깨끗하게 마무리됨으로써 고품질을 추구하는 현대 건축에 부합하는 조립식 계단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을 건설하는데 있어서 계단의 시공은 주로 계단 형태의 거푸집을 유로폼이나 합판으로 가설하여 거푸집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으로 계단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 공법은 협소한 계단실 공간에서 거푸집을 가설하기 때문에 작업이 까다로워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며 공기가 많이 소요되어 벽체나 슬래브의 공사비보다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근래에는 철골구조로 건축하는 고층건물의 계단은 철골계단으로 많이 설치하고 있다. 철골계단을 설치하는 공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 데, 그 한 가지 공법으로는 철판을 계단 모양으로 절곡하여 만든 단위 계단세트의 양단 모서리를 장방형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계단옆판에 용접하고 연접한 단위 계 단세트와 접한 부분도 용접하는 방법으로 철골계단유닛을 제작하여 계단실의 바닥슬래브에서 계단참 사이에 설치하고 연속해서 계단참에서 상층슬래브 사이에 설치하고 있으나, 이 공법은 계단의 디딤판이 한 겹의 철판만으로 이루어져 사람이 통행할 때 금속 특유의 높은 소음이 발생하여 불쾌감을 주기 때문에 주거용 및 사무용 건물에는 적합하지 않아 거의 적용하지 않고 있으며 철골계단의 이음 부분을 용접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용접 열에 의해 긴 계단옆판이 휘어져 계단실의 벽체와 프레임의 외부 면이 상호 밀착이 되지 않아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철골계단을 설치하는 다른 공법으로는, 도 138에 도시한 미국특허(특허번호 3,897,665)(등록일자 1975. 8. 5)에 의하면, 횡단면이 ㄴ 자 형태이며 하향 돌출되는 원형 비드에 봉강(303)이 장착된 하판(300)의 윗면에 역시 횡단면이 ㄴ 자 형태인 상판(301)을 겹쳐서 이루어진 다수의 계단스텝을 한 쌍의 계단옆판(302)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봉강(303)에 너트를 체결하여 계단형상으로 연결설치하는 철골계단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도 137a 내지 도 137b 에 도시한 일본공개특허(특개평09-221894)에 의하면, 횡단면이 ㄴ 자 형태이며 하향 돌출되는 비드의 양측단에 너트(303a)가 결합된 하판(300a)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일정한 공극을 두고 역시 횡단면이 ㄴ 자 형태인 상판(301b)을 겹쳐서 이루어진 다수개의 계단스텝을 한 쌍의 계단옆판(302a)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너트(303a)에 볼트(304b)를 체결하여 계단형상으로 연결설치하는 철골계단을 제시하고 있으나 계단옆판(302a)의 양단이 고정되는 앵커의 볼트공과 계단옆판(302a)의 양단에 형성된 볼트공이 서로 일치하기가 어려워 연결작업에 큰 애로가 있으며, 하판(300a)의 비드 양측단에 스폿 용접으로 결합된 너트(303a)가 계단스텝을 계단옆판(302a)에 볼트(304b)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당겨지면서 용접부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너트(303a)에 유격이 없기 때문에 계단스텝을 계단옆판(302a)에 볼트(304b)로써 체결할 때 볼트공을 일치시켜 체결하기가 어렵고, 종래의 철골조립 계단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계단유닛의 하부가 계단 모양으로 굴곡 된 채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 소비자들의 까다로운 미적 수준에 부응하지 못해 공동주택이나 사무실 등에는 제한적으로밖에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철골계단의 양단을 슬래브와 계단참에 연결하는 앵커의 설치 위치가 콘크리트 타설 시에 압력에 의해 정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아 철골계단을 상기 슬래브와 계단참에 설치된 앵커에 연결할 때 볼트공이 일치하지 않아 볼트를 체결하는 데 큰 애로가 있어 현장에서 보수하면서 시공하기 때문에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철골계단의 마감재의 윗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을 별도로 설치하고 있으나 논슬립을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로 훼손되어 미관을 해치며 또한 표면에 습기가 있으면 쉽게 미끄러지게 된다. 또한, 철골계단유닛을 슬래브 및 계단참에 연결하기 위해 설치하는 앵커의 바닥면이 거푸집을 해체하고 나면 외부로 노출되어 녹이 발생하면서 팽창되기 때문에 슬래브 및 계단참에 크랙이 발생하여 건물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으며, 계단참을 기준으로 상부 계단유닛과 하부 계단유닛이 만나는 틈새로 앵커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고, 계단 디딤판의 마감재가 모르타르, 타일, 테라죠, 대리석 등으로 한정되고 챌판의 마감재가 단순하여 요구수준이 높아진 까다로운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상에서와 같은 종래의 철골계단은 계단 설치가 완료된 후에 계단 하부면의 형태가 계단모양으로 굴곡되어 있어 계단실이 창고와 같은 느낌을 주고 미관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사무용 빌딩 등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꺼리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계단 설치 공법에 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계단의 단위 계단세트를 하나 이상의 디딤판과 하나 이상의 챌판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부면이 막혀 있는 구조로 형성하거나 횡단면을 삼각형 구조로 형성하여, 한 쌍의 계단옆판 사이에 계단모양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계단유닛으로 조립하게 되면, 별도의 덮개로 막는 작업이 없이도 계단 하부의 형태가 계단 형상으로 굴곡 된 채로 외부로 들어 나지 않고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계단의 하부와 같이 평탄면으로 마감함으로써 조립식 계단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계단의 구조 및 마감 재료를 소비자의 다양하고 까다로운 요구에 부응하여 적용할 수 있는 조립식 계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단을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압출한 압출재를 계단 폭으로 절단가공하여 조립식 계단의 마감판이나 그 자체로써 계단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및 설치가 간편하고 외관이 아름다운 조립식 계단을 제공하여 고급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단유닛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해 슬래브 및 계단참의 난간에 설치하는 정착부재를 봉재로 구성하여 정착부재의 연결봉이 바닥 철근의 단부와 교차하는 부분을 결속구로 체결하여 정착부재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철근과 연결하도록 하고, 계단옆판을 정착부재에 볼트로써 체결할 때 수직 및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연결브라켓을 연결부품으로 사용함으로써 두 부재의 볼트공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도 오차를 수용하여 볼트 체결이 가능토록 하여 부실공사를 방지하면서 시공상의 애로도 해소시켜 조립식 계단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단유닛을 슬래브 및 계단참에 연결하기 위해 설치하는 정착부재의 바닥면에 방청 캡을 씌워 거푸집을 해체한 후 외부로 노출되어도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계단참을 기준으로 상부 계단유닛과 하부 계단유닛이 만나서 정착부재에 결합하는 부분의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미장커버를 설치하여 세밀한 부분까지도 계단실의 미관을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단세트의 보강비드 양단부에 걸림 작용을 하는 너트안착부를 형성하여 걸림부가 구비된 체결너트를 간단하게 장착함으로써 계단의 제조공정을 줄여주고 계단세트를 계단옆판에 결합할 때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나 설치 후에도 체결너트가 쉽게 탈락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식 계단의 안전을 제고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청 금속판에 돌출부를 다수 형성한 논슬립을 계단의 디딤판에 설치하거나 마감판에 일체로 논슬립부를 형성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사후관리가 필요 없으며 미관이 아름다운 논슬립이 구비되는 조립식 계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계단세트의 상부에 조립되며 장방형의 평판형태로 이루어진 디딤판(21)과; 계단 세트의 중간부에 조립되며 장방형의 평판에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하부로 돌출된 보강비드(221)가 두 줄 이상 형성되어 그 양측단에 결합너트가 장착되는 너트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강판(22)과; 계단세트의 하부에 조립되며 횡단면이 삼각형태로서 수직의 챌면부(231)와 상기 챌면부(231)의 하단부에서 예각으로 절곡되어 빗면을 이루어 계단 하부의 굴곡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덮개부(232)로 이루어진 하부덮개판(23); 을 일체로 결합하여 횡단면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계단세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상부면은 하나 이상의 디딤판과 하나 이상의 챌판으로 구성되고 하부면은 상기 상부면과 같이 계단모양으로 굴곡되지 않고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 계단세트나 또는 횡단면으로 외곽부분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계단세트를 한 쌍의 계단옆판에 계단 모양으로 연결 설치하여 계단유닛으로 조립함으로써, 별도의 덮개로 막지 않아도 계단의 하부가 계단 모양으로 굴곡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전체 면이 평탄면으로 마감되고 계단통행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켜주기 때문에 조립식 계단을 주택이나 빌딩 등 미관을 고려해야 하는 건축물의 계단으로도 광범위하게 적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계단세트를 계단옆판에 결합시켜 계단유닛으로 조립하는 체결 부품인 결합너트가 + 형상으로 구성되어 너트안착부에 장착되므로 결합너트를 계단세트에 결합하는 공정이 간단하고 견고하여 안전성을 제고시키는 효 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계단세트의 상부면에 타설된 모르타르가 계단의 통행에 따른 진동에 의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방지턱이 확고하게 형성되어 양생 된 모르타르를 계단세트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마감판을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설치하므로 제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표면이 미려하여 조립식 계단을 다양한 건축물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계단유닛을 슬래브 및 계단참에 고정하는 정착부재가 봉재로 구성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슬래브 및 계단참에 배근 된 철근에 고정하기가 용이하며, 결속구를 이용하여 철근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음부가 견고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압력에 의해 정착부재가 밖으로 밀려나가지 않게 하고, 장공이 형성된 연결브라켓 또는 조정와샤가 있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맞춰가면서 볼트를 체결할 수 있으므로 계단옆판의 단부를 정착부재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정착부재의 노출부분에 미장커버를 설치하여 깨끗한 마감 처리를 하며, 난간대기둥을 계단옆판에 간단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난간대를 설치하기 위해 계단세트나 계단옆판에 용접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횡단면이 삼각형태로 된 계단세트의 내부 공간에 경량콘크리트나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우레탄 발포나 글라스울 등을 충진하여 통행 시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계단세트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보강판에 보강비드를 세 줄 이상 형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비드에는 결합너트가 장착되지 않고 계단 및 계단참의 처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스테인리스스틸 등 강도를 갖추고 있으면서 방청 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디딤판에 돌출턱이 다수 형성되고 내부 및 돌출턱에 탄성부재가 내재된 논슬립으로 계단이나 미끄러짐의 방지가 필요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확고하게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용접식 철골계단을 대체하여 간편하게 현장에서 조립만 하면 계단의 설치가 완성되는 구조이므로 공사비 및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계단옆판을 여러 개의 부품으로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계단옆판도 작은 힘으로 쉽게 현장에서 길이를 맞춰가면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마감판을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제조하여 철근콘크리트 계단의 마감재로 사용함으로써 마감면이 미려하고 시공성이 좋아 기존의 계단 설치 공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를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등의 재료를 압출기로 성형하여 내부공간에 글라스울 등의 불연 및 방음 재료를 충진하여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의 내부면에 밀착시켜 간극을 없애줌으로써 방음효과가 뛰어나며, 압출재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면 완성품이 되므로 제조공정이 간 단 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중량이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므로 재료비가 철보다 고가이지만 제조비용 및 시공비에서 절감이 되고 마감면도 미려해 공동주택 및 일반주택은 물론이고 사무용 빌딩 등 다양한 건축물의 계단으로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계단옆판을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압출 성형한 다음 종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강도가 높은 철재 심을 내재시켜 제조함으로써 소요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계단옆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계단은 고정지그를 구비하여 슬래브 및 계단참의 난간부에 설치하는 정착부재를 정위치에 고정하고 슬래브 및 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도 정착부재가 밖으로 밀려나가지 못하도록 하며 공사 시에 낙하물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계단유닛 및 계단참유닛이 설치되기 이전에는 작업 통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부면은 하나 이상의 디딤판과 하나 이상의 챌판으로 구성되고 하부면은 상기 상부면과 같이 계단모양으로 굴곡되지 않고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 계단세트를, 장방형의 평판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계단옆판 사이에 체결수단으로써 계단모양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계단유닛으로 조립함으로써, 계단 하부면의 굴곡된 형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계단 하부의 전체 면이 저절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계단 하부면을 평탄면으로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막는 작업이 필요 없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횡단면의 외곽 부분이 삼각형 구조로서 디딤판과 챌판과 경사판으로 구성되는 계단세트를 다수 구비하여 한 쌍의 계단옆판 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해 계단유닛을 형성하고, 슬래브와 계단참의 난간부분에 정착부재를 설치한 다음, 상기 계단옆판 양단을 슬래브와 계단참에 설치한 정착부재에 결합하여 조립식 계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딤판과 보강판과 하부덮개판을 일체로 조립하여 완성한 횡단면이 삼각형 구조인 계단세트를 다수 구비하여 한 쌍의 계단옆판 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해 계단유닛을 형성하고, 슬래브와 계단참의 난간부분에 정착부재를 설치한 다음, 상기 계단옆판 양단을 슬래브와 계단참에 설치한 정착부재에 결합하여 조립식 계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딤판과 보강판과 하부덮개판 및 마감판을 다양하게 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완성한 횡단면이 삼각형 구조인 계단세트를 다수 구비하여 한 쌍의 계단옆판 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해 계단유닛을 형성하고, 슬래브와 계단참의 난간부분에 정착부재를 설치한 다음, 상기 계단옆판 양단을 슬래브와 계단참에 설치한 정착부재에 결합하여 조립식 계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을 계단 형태로 압출 성형한 것을 계단 폭에 맞도록 절단가공한 계단세트를 다수 구비하여 한 쌍의 계단옆판 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해 계단유닛을 형성하고, 슬래브와 계단참의 난간부분에 정착부재를 설치한 다음, 상기 계단옆판 양단을 슬래브와 계단참에 설치한 정착부재에 결합 하여 조립식 계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품을 조립하여 만든 다수의 조립식 계단참세트를 한 쌍의 계단참옆판 사이에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계단유닛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중에서도 1 내지 도 3은 디딤판(21)과 보강판(22)과 하부덮개판(23)으로 이루어진 부품을 일체로 조립하여 횡단면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계단세트(2)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마감판(24)이 추가로 구비되어 계단세트(2)의 디딤판과 챌판을 덮어 마감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디딤판(21)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서 계단세트의 상부에 조립되며, 윗면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마감판(24)을 설치하거나 테라죠판, 대리석판, 타일 등을 붙여 조립식 계단의 설치를 마감한다.
상기 보강판(22)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서 계단세트의 중간부에 조립되며,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하부로 돌출된 보강비드(221)가 두 줄 형성되어 보강판(22)의 처짐을 방지하고 보강비드(221)의 양단에 비드의 양측면이 천공된 너트안착부(222a)가 형성되며, 횡방향의 양단은 위쪽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고 그 단부가 다시 안쪽으로 짧게 수직 절곡된 빠짐방지턱(223)이 형성되어 양생된 모르타르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너트안착부(222a)의 천공된 구멍에는 후술 되는 + 형 결합너트(14)의 두 걸림부(143)가 끼워져 결합너트(14)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 한다. 상기 보강판(22)에 형성하는 보강비드(221)는 두 줄 이상으로 형성하여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하부덮개판(23)은 계단세트의 하부에 조립되며, 횡단면이 삼각형태로서 앞쪽의 수직면은 챌면부(231)로서 내부로 돌출되는 보강비드(233)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보강하며, 상기 챌면부(231)의 하단에서 예각으로 절곡되어 빗면을 이루고 그 단부가 다시 상향으로 절곡된 덮개부(232)는 계단의 하부를 계단의 경사각대로 평탄면으로 유지하게 함으로써 계단 하부가 계단 모양처럼 굴곡된 상태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종래의 철골 계단의 단점을 해소하고 계단을 오르내릴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사무용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은 물론이고 미관을 중시하는 모든 건축구조물에 조립식 계단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이상의 디딤판(21)과 보강판(22) 및 하부덮개판(23)의 하단부에는 배수공을 형성하여 공사 중에 발생하는 물이나 계단실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공사가 마감된 후에는 계단세트의 내부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특히 외부에 설치되는 계단세트에는 배수공을 필수적으로 형성하여 계단세트 내부에 습기가 잔류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상의 세 가지의 구성부품을 조립하여 계단세트(2)로 만드는 공정은, 보강판(22)의 너트안착부(222a)에 결합너트(14)를 장착시키고 보강판(22)의 상부에 디딤판(21)을 겹쳐놓고 두 부품을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리벳팅, 클린칭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하부덮개판(23)의 상단에 위치시키고 상호 접하는 디딤판(21)의 빠짐방지턱(223)의 수직면과 하부덮개판(23)의 챌면부(231) 및 덮개부(232)의 수직면을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리벳팅, 클린칭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계단세트(2)를 완성한다.
상기 도 4 및 도 5는 계단세트(2)를 계단옆판(3)에 결합할 때 볼트가 체결되는 결합너트(14)를 도시한 것으로서, 결합너트(14)는 + 자 형태로서 중공에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중간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된 두 걸림부(143)로 구성된다. 원통부의 일측은 계단옆판(3)의 외부로부터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부(141)이고, 원통부의 타측은 안착안정부(142)로서 너트안착부(222a)에 장착된 결합너트(14)의 상하 유격을 방지시키며, 걸림부(143)는 너트안착부(222a)의 천공에 끼워져 결합너트(14)가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여 허용 인장력 이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너트(14)는 너트부(141)와 안착안정부(142)의 외형이 원통형이기 때문에 포머기 등으로 양산이 가능하며, 중공부에 탭을 통과시키는 공법으로 암나사를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 계단세트(2)는 한 쌍의 계단옆판(3)의 사이에 위치되어 계단세트(2)에 장착된 결합너트(14)에 볼트를 체결하여 계단유닛(1)으로 구성되는데, 도 6 내지 도 7에 의하면 상기 계단옆판(3)은 장방형의 평판 구조로서 계단세트(2)에 장착된 결합너트(14)가 체결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양단에 정착부재와 결합하는 연결부품인 연결브라켓(6)이 체결되는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다.
상기 계단옆판(3)에 형성되는 통공의 외부에 접시형 구멍 내기를 하여 접시 머리 볼트로써 계단세트(2)를 체결함으로써 계단옆판(3)의 외면이 계단실의 벽체에 밀착되게 할 수도 있다.
계단세트(2)의 디딤판 및 챌판을 덮어 마감하는 마감판(24)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딤판(21)의 상부 및 하부덮개판(23)의 챌면부(231)를 덮을 수 있도록 횡단면이 ㄱ 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평부인 상판부(241)와 수직부인 챌면부(242)가 분리된 구조로서 두 부품의 조립을 통해 마감판(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부(241)의 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짧고 두툼하게 돌출되어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중공이면서 내측면에 중공보다 작은 폭으로 개방된 결합홈부(243)가 형성되고, 상판부(241)의 후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된 결합돌기부(244a)가 형성되며, 표면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리브가 돌출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부(246)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종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끝 부분이 화살촉 모양인 정착돌기(245)가 형성되어 계단세트(2)의 디딤판(21) 위에 타설되는 모르타르에 정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챌면부(242)는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짧게 수직 절곡된 부분에 상기 상판부(241)의 결합홈부(243)에 끼워 맞춤 될 수 있도록 단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결합돌기부(244)가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241)의 결합홈부(243)에 종방향으로 끼워져 결합함으로써 두 부재가 일체로 결합하여 마감판(24)으로 구성되며, 하단부의 외면에 단턱을 두고 두께가 얇아지는 결합홈부(243a)가 형성되어 계단유닛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판부(241)의 결합돌기부(244a)와 맞물린다.
상기 마감판(24)은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계단세트(2)를 계단옆판(3)에 결합하여 완성한 계단유닛(1)의 디딤판(21)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설치한다.
상기 마감판(24)은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을 압출 성형하는 공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마감판(24)을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하여 하나로 조립하는 구조는 비교적 소형 압출기에서도 압출이 가능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마감판(24)을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을 압출하여 제조하면 표면이 미려하고 무게가 가벼워 설치가 간편하고 계단의 하중에 부담을 주지 않아 고층건물의 조립식 계단의 마감재로 적합하다.
도 12 내지 도 23은 슬래브와 계단참 사이에 계단유닛(1)을 설치할 때 계단옆판(3)의 양단이 결합 되는 정착부재(5) 및 연결브라켓(6, 6a)의 구조 및 적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계단옆판(3)의 양단이 고정되는 세 개의 결합브라켓을 봉재로 연결한 구조의 정착부재(5)를 나타낸다. 정착부재(5)의 양단에는 좁은 폭의 결합브라켓(51b)이 결합되고 중앙에는 넓은 폭의 결합브라켓(51a)이 결합되며 결합브라켓의 사이는 봉재로 된 연결봉(53a, 53b)으로 연결된다. 결합브라켓은 하기 도 19 내지 도 20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연결브라켓(6)이 결합되는 브라켓고정부(57, 57a)와 계단옆판(3)의 단부 하단이 안착 되는 프레임안착부(52a, 52b)로 구성되는데,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브라켓(51a)이 슬래브 또는 계단참의 바닥면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스페이서부(54)가 바닥면에서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는 합성수지와 같은 방청재질로 만든 캡(55)을 씌워 슬래브 및 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된 후에 거푸집을 제거하여도 철재로 이루어진 결합브라켓의 스페이서부(54)가 콘크리트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녹이 발생하여 부피가 팽창됨으로써 슬래브나 계단참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브라켓(51c)의 하부에 스페이서결합부(54b)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재질의 스페이서(54a)를 결합해 사용하여도 상기 캡(55)과 동일한 작용을 한다.
도 15는 정착부재(5)의 양단에 설치되는 결합브라켓(51b)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의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이나 폭이 좁으며 슬래브 또는 계단참의 바닥면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스페이서부(54)가 바닥면에서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합성수지와 같은 방청재질의 캡(55)이 씌워지며, 도 16에 도시한 정위치고정부재(56)는 사각형 평판의 네 코너부분에 연결봉(53a)이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더 큰 통공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결합브라켓(51a, 51b)의 브라켓고정부(57, 57a)의 하부에 설치되고 또한 결합브라켓(51a, 51b)의 사이의 중간에도 설치되어 네 코너부분의 통공에 연결봉(53a)이 끼워져 정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정위치고정부재(56)의 하부에도 합성수지와 같은 방청재질의 캡(55)을 씌워 녹을 방지한다.
도 17은 이상의 정착부재(5)를 개방형 슬리브(10a)와 쐐기(10b)로 이루어진 결속구(10)로 슬래브와 계단참에 배근 한 철근(12)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계단유닛(1)의 계단옆판(3)이 고정되는 결합브라켓(51a, 51b)을 연결봉(53a, 53b)으로 연결한 정착부재(5)는 철판이나 형강으로 제작하는 종래의 정착부재보다 제조비 용이 절감되고, 연결봉(53a, 53b)과 슬래브나 계단참에 배근 된 철근과 교차한 부분 및 정착부재의 양단에 돌출되는 연결봉(53a, 53b)과 벽체에 배근 된 철근이 교차한 부분에 간단하게 결속구(10)로 고정이 가능하여 이음부가 견고하므로 배근 된 철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도 압력에 의해 정착부재(5)가 난간 방향으로 밀려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구조의 정착부재(5a)를 도시한 것으로서, 연결봉(53a)을 결합브라켓(51a, 51b)의 브라켓고정부(57, 57a)의 하부에 결합하고 봉재로 이루어진 정위치고정부재(56a)를 연결봉(53a)을 고정하며, 중앙부에 위치하는 결합브라켓(51a)의 프레임안착부(52a)의 바닥면에 탭구멍이 형성되어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한 미장커버(7)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71a, 71b)이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19 내지 도 20은 연결브라켓(6)을 도시한 것으로, 계단옆판(3)을 정착부재(5)에 연결하는 꺾쇠 모양의 연결 부재로서 수평부(62)와 수직부(61)로 이루어지며, 브라켓고정부(57, 57a)에 결합되는 수평부(62)에는 횡방향으로 장방형 통공이 형성되고 정착부재(5)의 계단옆판(3)에 결합되는 수직부(61)에는 종방향으로 두 개의 장방형 통공이 직렬로 형성되어 계단유닛(1)의 계단옆판(3)을 정착부재(5)에 결합할 때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켜 계단옆판(3)과 정착부재(5)의 볼트 구멍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도 오차를 수용하여 볼트 결합이 가능토록 하여 부실공사를 방지한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3은 다른 구조의 연결브라켓(6a)으로서, 수직부(61)에는 종방향으로 두 개의 장방형 통공이 직렬로 형성되고, 수평부(62)에 내주면에 단턱을 가진 원형공이 형성되고 이 원형공에 끼워지면 서 단턱에 걸쳐지도록 원주면에 단턱이 있으면서 중앙에 장공(63a)이 형성된 원판형의 조정와샤(63)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계단유닛(1)을 정착부재(5)에 결합할 때 조정와샤(63)를 적절히 회전시키면서 수평방향으로 조절가능한 범위를 확대하여 두 부재 간에 결합작업을 더 용이하게 한다.
도 24는 반원형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난간대고정부재(8)로써 난간대기둥(9)을 계단옆판(3)에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계단옆판(3)에 볼트가 관통되는 구멍을 뚫고 계단옆판(3)의 내부로부터 볼트를 통과시키면서 하나의 난간대고정부재(8)의 통공을 통과시켜 다른 하나의 난간대고정부재(8)의 탭구멍에 볼트를 느슨하게 체결한 다음 난간대기둥(9)을 난간대고정부재(8)의 홈에 끼우고 볼트를 완전히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난간대기둥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8은 다수의 계단세트(2)를 계단옆판(3)에 고정하여 계단유닛(1)으로 조립하는 단계와 정착부재(5)를 슬래브 및 계단참의 난간에 설치하는 단계와 계단유닛(1)을 정착부재(5)에 결합하는 단계와 슬래브 및 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계단실이 완성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9 내지 도 31은 정착부재(5)의 중앙부에 결합 된 결합브라켓(51d)의 프레임안착부(52a)의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브라켓(72a, 72b)이 결합되고 이 브라켓(72a, 72b)의 전면에 결합되어 내부의 노출을 막아주는 커버(71)로 구성된 미장커버(7)를 나타낸다. 정착부재(5)의 프레임안착부(52a)는 상부 계단유닛(1)과 하부 계단유닛(1)의 두 계단옆판(3)의 양단이 모두 안착 되는 부분으로서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유닛(1)을 설치한 다음 중앙부에 생기는 공간을 미장커 버(7)로 막아 결합브라켓(51d)의 내부가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디딤판(21)과 보강판(22)과 하부덮개판(23)을 일체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계단세트(2)를 한 쌍의 계단옆판(3)에 볼트로써 결합하고 상부 계단세트와 하부 계단세트가 접하는 부분에는 부분적으로 아크용접 등을 하여 접착시켜 계단유닛(1)으로 조립하고 이 계단유닛(1)을 슬래브와 계단참 사이에 걸쳐놓고 계단옆판(3)을 정착부재(5)에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디딤판(21)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마감판(24)을 붙여 조립식 계단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은, 계단의 하부가 종래의 조립식 철골계단에서처럼 계단 모양의 굴곡이 그대로 들어나 보기 흉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하부덮개판(23)을 설치하여 계단의 하부를 철근콘크리트계단의 하부면과 같이 굴곡짐이 없이 평탄면으로 마무리하고 계단 통행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킴으로써 공동주택이나 사무용 빌딩으로 건설되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은 물론 철골구조 건물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특징이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철골계단에서 계단세트를 계단옆판에 결합할 때 볼트가 체결되는 너트가 스폿 용접으로만 비드에 결합 됨으로써 볼트로 체결할 때 당겨지면서 이탈될 우려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계단세트(2)의 보강판(22)의 너트안착부(222a)의 천공된 부분에 체결너트(14)의 두 걸림부(143)가 끼워져 견고하게 결합 되기 때문에 계단세트(2)를 계단옆판(3)에 결합하기 위해 볼트를 체결하여도 이탈되지 않으므로 안전이 보완되고, 계단 상부의 마감판(24)을 마 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을 압출 성형하여 설치하게 되면 외관이 미려해지고 통행 시에 발생하는 철골 계단의 소음을 감소시켜주며, 계단참에 설치하는 정착부재(5)의 중간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미장커버(7)를 씌워 미관을 좋게 하고, 하부덮개판(23)의 챌면부(231)에도 보강비드(233)가 형성되어 수직 하중에 대해 보강하며, 정착부재(5)가 주로 봉재로써 구성됨으로써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슬래브 및 계단참에 배근 된 철근과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며, 계단유닛(1)을 정착부재(5)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오차를 수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연결브라켓(6)이 구비되므로 연결부의 체결이 담보되며 시공이 매우 편리해져 공기를 단축하게 하는 등의 특징이 있는 조립식 계단을 제공한다.
도 32 내지 도 3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강판(22a)과 하부덮개판(23a)과 마감판(24a)으로 이루어진 부품을 일체로 결합하여 횡단면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계단세트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보강판(22a)은 횡단면이 ㄱ 자 형태로서, 수평부인 상판부(227)와 수직부인 챌면부(2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부(227)에는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하부로 돌출된 보강비드(221)가 두 줄로 형성되어 수평부의 처짐을 방지하고 보강비드(221)의 양단에 + 자형 체결너트(14a)가 안착 되는 너트안착부(222c)가 형성되며, 상기 챌면부(224)는 상기 상판부(227)를 지지하며 하단부가 외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된 받침턱(224b)이 형성되어 마감판(24a)의 상판부(241)가 앉혀지는 시트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 보강판(22a)의 보강비드(221)는 두 줄 이상으로 계단의 설치 상황에 따라 가감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덮개판(23a)은 삼각형태로서, 수평부인 디딤판부(234)와 빗면이 되는 덮개부(232)로 구성되며, 상기 디딤판부(234)는 계단의 디딤판 부분으로서 전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짧게 안쪽을 향해 예각으로 절곡된 빠짐방지턱(235)이 형성되어 모르타르의 빠짐을 방지하며, 상기 덮개부(232)는 디딤판부(234)의 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고 연속하여 둔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빗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계단유닛의 하부가 계단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평탄한 면이 되도록 함으로서 계단 형태로 굴절된 계단 하부의 노출을 막아 조립식 철골계단의 가장 큰 문제점을 해소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덮개부(232)의 하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짧게 절곡되어 챌면부(231)가 형성되고 연속해서 앞쪽으로 짧게 수직 절곡된 빠짐방지턱(231a)이 형성되어 모르타르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디딤판부(234)의 빠짐방지턱(235)을 예각으로 형성하는 것은 양생 된 콘크리트 덩어리가 진동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마감판(24a)은 상기 하부덮개판(23a)의 디딤판부(234)의 상부 및 보강판(22a)의 챌면부(224)를 덮어 마감할 수 있는 ㄱ 자 형태로서, 상판부(241)의 모서리 부분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논슬립부(246)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후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된 결합돌기부(244a)가 형성되고, 상판부(241)의 하부에는 하향 돌출되면서 끝 부분이 화살촉 모양으로 이루어진 정착돌기(245)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부덮개판(23a)의 디딤판부(234)의 윗면에 타설되는 모르타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챌면부(242)의 하단부에는 단턱을 두고 두께가 얇아지는 결합홈부(243a)가 형성되어 마감판(24a)을 계단세트 에 덮어 마감할 때 상기 상판부(241)에 형성된 결합돌기부(244a)와 맞물려 결합한다.
이상의 보강판(22a)과 하부덮개판(23a)의 디딤판부(234) 및 하단부에는 배수공을 형성하여 공사 중에 발생하는 물이나 계단실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공사가 마감된 후에는 계단세트의 내부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마감판(24a)은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마감판(24)과 같이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압출 성형한 압출품을 계단 폭으로 절단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이와 같은 마감판(24a)을 계단의 마감재로 사용하게 되면 시공이 간편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빌딩이나 집합건물 및 일반주택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미관상의 시공품질이 콘크리트계단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종래의 조립식 철골계단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계단 구성부품의 조립 및 시공순서는, 보강판(22a)의 너트안착부(222c)에 결합너트(14a)를 장착시켜 하부덮개판(23a)의 개구부로 삽입한 다음, 두 부품의 겹쳐진 부분에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리벳팅, 클린칭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계단세트(2a)로 만들고, 다수의 계단세트(2a)를 한 쌍의 계단옆판(3)에 볼트로써 결합하고 상부 계단세트와 하부 계단세트의 접촉부에 부분적으로 아크용접 등을 하여 견고하게 접착시켜 계단유닛(1)으로 구성시킨 다음, 슬래브와 계단참의 난간에 설치된 정착부재(5)에 거치하여 체결하고, 하부덮개판(23a)의 디딤판부(234)의 윗면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다수의 마감판(24a)을 덮 어 고정하면 계단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도 37 내지 도 39는 계단세트(2a)를 계단옆판(3)에 결합하는 결합너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7에 도시된 결합너트(14a)는 전체 모서리가 각형을 이루는 + 자 형태로서 종방향의 통공 전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제조공정에서 탭을 통과시키면서 나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횡방향의 양 날개부분은 걸림부(143)로서 보강판(22a)의 너트안착부(222c)에 끼워져 빠짐을 방지하며 특히 상기 걸림부(143)가 끝 부분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경사각을 가진 걸림턱(144)이 형성되어 확고하게 빠짐을 방지하고, 결합너트(14a)의 종방향의 일측은 너트부(141)로서 볼트가 체결되어 계단옆판(3)과 계단세트(2a)를 결합시키며, 타측은 안착안정부(142)로서 결합너트(14a)가 상기 걸림부(143)를 중심으로 상하로 유동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결합너트(14a)는 주조 및 단조 등의 방법으로 성형한 것을 종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한 다음 관통공에 탭을 통과시켜 암나사를 형성하는 공법으로 양산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도 38에 도시된 결합너트(14b)는, 상기 도 37의 결합너트(14a)와 거의 동일한 구조이며 단지 안착안정부(142)가 없는 T자 형태가 다른 점이다. 그리고 도 39에 도시된 결합너트(14c)도 상기 결합너트(14a)와 거의 동일한 구조이며 단지 너트부(141)와 안착안정부(142)의 외면이 둥근 모양인 것이 다른데 이와 같이 외면이 둥근 구조는 포머기에 의해 양산이 가능해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40 내지 도 4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디딤판(21b)과 보강판(22b)과 마감판(24b)으로 이루어진 부품을 일체로 결합하여 횡단면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계단세트(2b)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디딤판(21b)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서 횡방향의 일단이 상향으로 짧게 예각으로 절곡된 빠짐방지턱(211)이 형성되어 디딤판(21b)의 상부면에 양생된 모르타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주입구(212)가 형성되어 하부면에 겹쳐지는 보강판(22b)의 주입구(226)를 거쳐 보강판(22b)의 내부로 모르타르를 주입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상기 보강판(22b)은 횡단면이 삼각형태로서 상판부(227)에는 종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하향으로 돌출된 보강비드(221)가 두 줄 형성되어 상판부(227)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보강하고 그 양단에는 횡방향으로 짧게 비드가 연장된 너트안착부(222c)가 형성되어 계단세트(2b)를 계단옆판(3)에 고정하는 결합너트(14a)가 장착되며, 또한 상판부(227)에 상기 디딤판(21b)의 주입구(212)와 동일한 위치에 주입구(226)가 형성되어 보강판(22b)의 내부로 모르타르를 타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판부(227)의 횡방향의 일단이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고 연속해서 둔각으로 다시 연장된 덮개부(225)는 삼각형의 빗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계단 하부의 굴절된 부분이 그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덮개부(225)의 아래 코너 쪽에 배수공(228)이 형성되어 공사 중에 발생하는 물이나 계단실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보강판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 등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공사가 마감된 후에는 계단세트의 내부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판부(227) 의 횡방향의 타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수직 연장된 챌면부(224)는 상판부(227)를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하부에서 외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는 받침턱(224b)이 형성되어 마감판(24b)이 앉혀지는 시트가 되고 또한 덮개부(225)의 하단부에서 상향으로 짧게 절곡되고 다시 외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어 상기 받침턱(224b)의 하부에서 겹쳐지는 빠짐방지턱(224c)이 형성되어 디딤판(21b)의 윗면에 타설된 모르타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마감판(24b)은 횡단면이 ㄱ 자 형태로서 상판부(241)의 윗면에 종방향으로 리브가 돌출된 논슬립부(246)가 형성되어 계단을 오르내릴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상판부(241)의 하부면에는 하향 돌출되어 끝 부분에 화살촉 모양의 빠짐방지턱이 있는 정착돌기(245)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마감판(24b)이 모르타르에 확실히 정착되면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판부(241)의 후단부에는 상향으로 짧게 돌출된 결합돌기부(244a)가 형성되고 챌면부(242)의 하단부의 외면에는 단턱을 두고 낮아지는 결합홈부(243a)가 형성되어 마감판(24b)을 계단세트(2a)에 덮어 시공할 때 상측에 설치되는 마감판(24b)의 결합돌기부(244a)와 맞물리며 결합한다. 상기 마감판(24b)은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마감판(24a)과 같이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압출 성형한 압출재를 계단 폭으로 절단가공하여 사용하면 제조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표면이 미려해 계단의 외관을 한층 돋보이게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계단의 조립은, 먼저 보강판(22b)의 너트안착부(222c)에 결합너트(14a)를 안착시키고 상판부(227)에 디딤판(21b)을 겹쳐 놓고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계단세트(2b)를 조립한 다음, 다수의 계단세트(2b)를 한 쌍의 계단옆판(3)에 볼트로써 체결하고 상부 계단세트와 하부 계단세트의 접촉부에 부분적으로 아크용접 등을 하여 견고하게 접착시켜 계단유닛(1)을 만들고, 계단유닛(1)을 슬래브 및 계단참에 설치한 정착부재(5)에 양단을 고정하고 콘크리트를 디딤판(21b)의 주입구(212)로 타설하여 보강판(22b)의 내부 공간에 채우기 시작하여 디딤판(21b)의 몰탈걸림턱(211)의 상단까지 타설하고 디딤판(21b)의 상부에 마감판(24b)을 덮으면 계단의 시공이 완료된다. 물론 슬래브 및 계단참에도 마감판(24b)의 시공 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보강판(22b)의 내부 공간에는 경량콘크리트나 기포콘크리트 등 중량이 가벼운 공법으로 시공한다. 이처럼 보강판(22b)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진함으로써 조립식 계단을 얇은 스테인리스스틸 판재 등으로 제조할 경우에 소음을 줄여주고 보강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도 44 내지 도 46은 조립식 계단의 설치공사 중에 상기 디딤판(21b)의 윗면에 임시로 설치하여 디딤판(21b)의 주입구(212) 및 보강판(22b)의 주입구(226)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판(24b1)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기본 구조는 상기 마감판(24b)과 동일하며 단지 상판부(241)의 두께가 디딤판(21b)의 빠짐방지턱(211)의 높이보다 두꺼우며, 상판부(241)에 종방향의 양 측면에 구멍을 뚫고 자석안착구(247)를 형성하여 자석(248)과 마개(249)를 차례로 수납시켜 디딤판(21b)의 상부에 덮게 되면 자석(248)이 계단옆판(3)에 부착하여 마감판(24b1)을 간편하게 설치하도록 한다. 이상의 마감판(24b1)은 공사중에 임시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합성수지와 같이 가격이 저렴하고 튼튼한 재질로 사용하여 반복사용토록 한다.
도 47 내지 도 5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보강판(22c)과 하부덮개판(23c)과 마감판(24b)으로 이루어진 부품을 일체로 결합하여 횡단면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계단세트(2c)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보강판(22c)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서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상부로 돌출된 보강비드(221)가 두 부분 형성되어 보강판(22c)의 처짐을 방지하고 보강비드(221)의 양단 부분에 횡방향으로 짧게 비드부가 연장되어 결합너트(14a)가 안착 되는 너트안착부(222c)가 형성되며, 횡방향의 일단은 상향으로 예각 절곡되는 빠짐방지턱(223)이 형성되어 양생된 모르타르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덮개판(23c)은 횡단면이 직각삼각형 구조로서, 상부면인 디딤판부(234)와 수직면인 챌면부(231)와 빗면인 덮개부(232)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딤판부(234)의 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챌면부(231)가 형성되고 챌면부(231)의 하단부가 다시 외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면서 받침턱(231b)이 형성되어 마감판(24b)의 상판부(241)가 앉혀지는 시트 역할을 하며, 또한 디딤판부(234)의 후단부가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고 이어서 둔각으로 연장되어 삼각형의 빗면에 해당하는 덮개부(232)가 형성되어 계단 하부의 굴절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덮개부(232)의 하단부로부터 다시 상향으로 짧게 절곡되어 상기 받침 턱(231b)과 만나는 부분에서 외부로 짧게 절곡된 빠짐방지턱(231a)이 형성되어 보강판(22c)의 상부에 타설되어 양생된 모르타르의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마감판(24b)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마감판(24b)과 동일한 구조이다.
이상의 보강판(22c)과 하부덮개판(23c)의 상판부 및 하단부에는 배수공을 형성하여 공사 중에 발생하는 물이나 계단실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공사가 마감된 후에는 계단세트의 내부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계단의 조립은, 먼저 보강판(22c)의 너트안착부(222C)에 결합너트(14a)를 장착시켜 하부덮개판(23c)의 디딤판부(234)의 윗면에 겹쳐놓고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두 부재를 결합하여 계단세트(2c)로 조립한 다음, 다수의 계단세트(2c)를 두 계단옆판(3)에 볼트로써 체결하고 상부 계단세트와 하부 계단세트의 접촉부에 부분적으로 아크용접 등을 하여 견고하게 접착시켜 계단유닛(1)으로 조립하고, 계단유닛(1)을 슬래브 및 계단참에 설치한 정착부재(5)에 양단을 고정한 다음, 보강판(22c)의 윗면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그 위에 마감판(24b)을 덮어 고정하면 계단의 시공이 완료된다. 물론 슬래브 및 계단참에도 마감판(24b)의 시공 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51 내지 도 5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디딤판(21d)과 보강판(22d)과 마감판(24a)으로 이루어진 부품을 일체로 결합하여 횡단면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계단세트(2d)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디딤판(21d)은 횡단면이 ㄱ 자 형태로서 상판부(216)와 챌면부(213)로 구성되며, 챌면부(213)의 하단부로부터 외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는 받침턱(211a)이 형성되어 마감판(24a)의 상판부(241)가 앉혀지는 시트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판(22d)은 횡단면이 삼각형태로서, 상부면인 상판부(227)와 빗면인 덮개부(225)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부(227)는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상부로 돌출된 보강비드(221)가 두 부분 형성되어 상판부(227)의 처짐을 방지하고 보강비드(221)의 양단에 체결너트(14a)가 장착되는 너트안착부(222a)가 형성되며 전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짧게 예각으로 절곡되는 빠짐방지턱(223)이 형성되어 양생된 모르타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너트안착부(222a)는 보강비드(221)의 양단의 양측면이 천공된 부분으로서 이 너트안착부(222a)에 결합너트(14a)의 두 걸림부(143)가 끼워져 계단옆판(3)의 외부로부터 볼트가 체결되면서 당겨질 때 결합너트(14a)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상판부(227)의 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고 다시 둔각으로 연장되는 삼각형의 빗면에 해당하는 덮개부(225)가 형성되어 계단 모양대로 굴절된 계단 하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덮개부(225)의 하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상향으로 짧게 절곡되는 챌면부(224)가 형성되고 다시 외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는 빠짐방지턱(224C)이 형성되어 양생된 모르타르의 빠짐을 방지한다.
상기 마감판(24a)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마감판(24a)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보강판(22d)과 디딤판(21d)의 상판부 및 하단부에는 배수공을 형성하여 공사 중에 발생하는 물이나 계단실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이 배출 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공사가 마감된 후에는 계단세트의 내부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의 계단의 조립은, 먼저 보강판(22d)의 너트안착부(222a)에 결합너트(14a)를 장착시켜 놓고 디딤판(21d)의 상판부(216)가 보강판(22d)의 상판부(227) 아랫면에 위치하도록 겹쳐놓고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계단세트(2d)로 조립한 다음, 다수의 계단세트(2d)를 두 계단옆판(3)의 사이에 볼트로써 체결하고 상부 계단세트와 하부 계단세트의 접촉부에 부분적으로 아크용접 등을 하여 견고하게 접착시켜 계단유닛(1d)으로 조립하고, 계단유닛(1d)을 슬래브 및 계단참에 설치한 정착부재(5)에 양단을 고정한 다음, 보강판(22d)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보강판(22d)의 상부에 마감판(24a)을 덮으면 계단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55 내지 도 5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서, 디딤판(21e)과 보강판(22)으로 이루어진 부품을 일체로 결합하여 계단세트(2e)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디딤판(21e)은 횡단면이 ㄴ 자 형태로서, 수평면인 상판부(216)와 상기 상판부(216)의 후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수직절곡된 챌면부(213)로 구성되며, 상판부(216)의 전단부가 상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는 빠짐방지턱(211)이 형성되어 모르타르의 타설 시 외부로 흐르지 않게 하면서 모르타르의 상한선이 된다.
상기 보강판(2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보강판(22)과 동일한 구조이며 또한, 두 줄의 보강비드(221) 사이에 너트안착부(222a)가 없는 보강비드를 추가로 형성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보강판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디딤판(21e)과 보강판(22)에는 배수공을 형성하여 공사 중에 발생하는 물이나 계단실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공사가 마감된 후에는 계단세트의 내부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서의 계단의 조립은, 보강판(22)의 너트안착부(222a)에 결합너트(14a)를 장착한 다음, 디딤판(21e)의 상판부(216)에 보강판(22)을 겹쳐놓고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두 부재를 결합하여 계단세트(2e)로 조립한 다음, 다수의 계단세트(2e)를 두 계단옆판(3)의 사이에 볼트로써 체결하고 상부 계단세트와 하부 계단세트의 접촉부에 부분적으로 아크용접 등을 하여 견고하게 접착시켜 계단유닛(1e)으로 만들고, 계단유닛(1e)을 슬래브 및 계단참에 설치한 정착부재(5)에 양단을 고정한 다음, 보강판(22)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마그네슘마감판, 알루미늄마감판, 테라죠판, 대리석판, 타일 등으로 마감하여 계단의 시공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은 계단의 하부가 굴곡된 채로 노출되 는 구조이기 때문에 미관을 중시하지 않는 건축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시공비가 절약된다.
도 59 내지 도 6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로서, 디딤판(21f)과 내부보강재(214)와 마감판(24f)을 일체로 결합하여 횡단면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계단세트(2f)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디딤판(21f)은 횡단면이 삼각형태로서 상부는 두 겹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 하판은 보강판부(217)로서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하향 돌출된 보강비드(221)가 두 부분 형성되어 처짐을 방지하고 보강비드(221)의 양단에 비드 양측면이 천공된 너트안착부(222a)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4a)가 장착되며, 상기 보강판부(217)의 전단부로부터 하향 수직절곡되어 챌면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챌면부(213)의 하단부로부터 예각 절곡되어 끝 부분이 다시 상향으로 짧게 연장된 덮개부(215)가 형성되어 계단 하부의 노출을 방지하고, 상기 덮개부(215)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보강판부(217)의 상부로 겹쳐지면서 밀착되는 상판부(216)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부(217)와 상판부(216)는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접합한다.
이상의 디딤판(21f)의 상판부 및 하단부에는 배수공을 형성하여 공사 중에 발생하는 물이나 계단실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공사가 마감된 후에는 계단세트의 내부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내부보강재(214)는 디딤판(21f)의 양단에서 내부로 끼워 디딤판(21f)을 보강하는 보강재로서 횡단면이 삼각형 모양으로 폭이 짧고 크기는 디딤판(21f)의 내부에 끼워 맞춤식으로 삽입되는 정도이며 상부면은 디딤판(21f)의 보강판부(217)에 형성된 보강비드(218)가 끼워지도록 하향 돌출된 비드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보강재(214) 두 개를 각각 디딤판(21f)의 양단에서 내부로 삽입한 다음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등의 방법으로 디딤판(21f)과 결합시킨다. 상기 내부보강재(214)는 직경이 큰 파이프로 인발가공하거나 철판을 포밍가공하여 적절한 길이로 잘라 사용하면 원가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마감판(24f)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서, 상판부(241)로부터 횡방향의 일단이 하향으로 짧게 수직절곡되어 챌면부(242)가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241) 및 챌면부(242)의 외면에 무늬철판 형태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계단을 오르내릴 때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의 계단의 제조 및 조립은, 디딤판(21f)의 양단에서 두 개의 내부보강재(214)를 삽입 설치한 다음에 두 부재를 스폿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고, 디딤판(21f)에 마감판(24f)을 겹쳐놓고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계단세트(2f)로 조립한 다음, 다수의 계단세트(2f)를 두 계단옆판(3)의 사이에 볼트로써 체결하고 상부 계단세트와 하부 계단세트의 접촉부에 부분적으로 아크용접 등을 하여 견고하게 접착시켜 계단유닛(1f)으로 만들고, 계단유닛(1f)을 슬래브 및 계단참에 설치한 정착부재(5)에 양단을 고정하여 조립식 계단을 설치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63 내지 도 7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로서, 이 중에서 도 63 내지 도 72는 디딤판(21g)과 보강판(22g) 및 하부덮개판(23g)과 이에 더하여 논슬립(100)을 일체로 결합하여 횡단면이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계단세트(2g)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73 내지 도 77은 상판(41)과 보강판(42)과 하판(43)을 일체로 결합하여 계단참세트(40)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디딤판(21g)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서, 상판부(216)와 상기 상판부(216)로부터 횡방향으로 일단이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챌면부(213)로 구성된다.
상기 보강판(22g)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서 상판부(227)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어 챌면부(224)가 형성되며, 상판부(227)에는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하향 돌출된 보강비드(221)가 두 부분 형성되어 보강판(22g)의 처짐을 방지하고 보강비드(221)의 양단에 비드 양측면이 천공된 너트안착부(222a)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4a)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덮개판(23g)은 횡단면이 삼각형태로서 전면의 수직부는 챌면부(231)로서 상기 디딤판(21g)의 챌면부(213)를 지지하며, 상기 챌면부(231)의 하단부로부터 예각으로 절곡되고 선단부가 다시 짧게 상향으로 절곡된 덮개부(232)가 형성되어 계단 하부의 노출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의 보강판(22g)과 하부덮개판(23g)의 하단부에는 배수공을 형성하여 공 사 중에 발생하는 물이나 계단실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공사가 마감된 후에는 계단세트의 내부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논슬립(100)은 계단의 통행 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디딤판(21g)의 전면 모서리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도 67 내지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이 좁은 장방향의 평판형태로 이루어지고 3개의 부재를 겹친 다층구조로서, 상층부는 방청이 가능한 금속재질의 평판으로 이루어진 디딤판부(101)로서 횡방향의 일단이 짧게 하향 절곡되고 디딤판부(101) 전체 면에 걸쳐 원형이나 장방형 등으로 천공되면서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턱(101a)이 다수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걸림 작용을 하고, 중층부는 상기 디딤판부(101)와 동일한 크기로 탄성이 있으면서 기름에 손상되지 않는 내유성 재질의 탄성부재(102)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상기 디딤판부(101)의 돌출턱(101a)에 꼭 맞게 끼워지며 상단면이 돌출턱(101a)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의 돌기부(102a)가 상기 돌출턱(101a)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돌출턱(101a)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주는 구조가 됨으로써 상기 디딤판부(101)를 밟을 때 탄성부재(102)는 압축되면서 돌출턱(101a)에 의해 미끄러짐이 방지되며, 하층부의 하부판(103)은 상기 디딤판부(101)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102)의 하부면을 덮는 커버가 된다.
이상의 디딤판부(101)와 탄성부재(102)와 하부판(103)을 적층 결합한 논슬립(100)은 디딤판(21g)의 모서리 부분에 볼트(104, 106)와 너트(105, 107)로써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슬립(100)은 스테인리스스틸 이나 마그네슘합금 등으로 제조하여 철근콘크리트계단의 모서리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기존의 황동 논슬립이나 우레탄 재질로 만든 논슬립보다 미려하며 돌출턱(101a)에 의해 미끄럼방지 기능이 뛰어나다.
도 70은 다른 구조의 논슬립(100a)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논슬립(100)과 동일한 형태이면서 더 큰 규격으로 형성하는 논슬립(100a)으로 공장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해야 하는 장소의 바닥에 부착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등 다양하게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1 내지 도 72는 또 다른 구조의 논슬립(100b)을 도시한 것으로서, 폭이 좁고 긴 평판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디딤판부(101)와 상기 디딤판부(101)와 동일한 크기로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디딤판부(101)의 통공과 동일한 위치에 디딤판부(101)의 통공에 꼭 맞게 끼워지는 돌기부(102a)가 다수 형성된 탄성부재(102)를 결합한 구조이다. 상기 디딤판부(101)는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방청 금속으로 제작하여 습기가 많은 장소 등에도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부재(102)는 금강사 분말 등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를 내유성 고무 등의 원료에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고무 속에 고르게 혼합된 금강사에 의해 돌기부(102a)가 마모되어도 항상 동일한 성능으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논슬립(100b)을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하여 공장 바닥이나 미끄럼방지 시설이 필요한 곳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73 내지 도 77은 계단참세트(40)를 도시한 것으로, 상판(41)과 보강판(42)과 하판(43)을 일체로 결합하여 계단참세트(40)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상판(41)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 횡방향의 양단이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어 수직부(412)가 형성되는 구조로서 계단참세트(40)의 상부에 조립된다.
상기 보강판(42)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 횡방향의 양단이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는 수직부(426)가 형성되어 상판(41)의 수직부(412)와 하판(43)의 수직부(432)의 단부가 접하는 부분의 안쪽에 위치해 겹쳐지면서 이 겹침 부분을 스폿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키며, 상부면에는 종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두 부분에 하부로 돌출된 보강비드(421)가 형성되고 이 보강비드(421)의 양단에 비드 양측이 천공된 너트안착부(422)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4a)가 장착된다.
상기 하판(43)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 횡방향의 양단이 상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는 수직부(432)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41)의 수직부(412)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의 상판(41)과 보강판(42)과 하판(43)을 조립하여 계단참세트(40)로 조립하는 순서는, 보강판(42)의 너트안착부(422)에 결합너트(14a)를 장착시킨 다음 상판(41)을 겹쳐 놓고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두 부재를 접합하여 하판(43)에 겹쳐 놓고 상판(41)과 하판(43)의 수직부(412, 432)와 보강판의 수직부(426)가 겹쳐지는 부분에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계단참세트(40)로 완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의 조립 순서는, 보강판(22g)에 결합너트(14a)를 장착하고 디딤판(21g)을 상기 보강판(22g)의 윗면에 겹쳐놓고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두 부재를 결합 하고 논슬립(100)을 디딤판(21g)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하여 결합볼트(106)와 결합너트(107)로 체결하여 하부덮개판(23g)의 상부에 포개놓고 디딤판(21g)의 챌면부(213)와 하부덮개판(23g)의 챌면부(231)의 단부가 접하는 내측에서 두 챌면부(224, 231)와 동시에 겹쳐있는 보강판(22g)의 챌면부(224)를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후방에서 겹쳐있는 보강판(22g)의 챌면부(224)와 하부덮개판(23g)을 역시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계단세트(2g)로 조립한다. 이어서 한 쌍의 계단옆판(3)에 다수의 계단세트(2g)를 준비하여 계단세트(2g)의 양단에 정착된 결합너트(14a)에 볼트를 체결하고 상부 계단세트와 하부 계단세트의 접촉부에 부분적으로 아크용접 등을 하여 견고하게 접착시켜 계단유닛(1g)으로 조립하고, 또한 한 쌍의 계단참옆판(47)에 다수의 계단참세트(40)를 구비하여 계단참세트(40)에 장착된 결합너트(14a)에 볼트를 체결하고 계단참세트의 이음부에는 부분적으로 아크용접 등을 하여 견고하게 접착시켜 계단참유닛(4)으로 만들어, H빔 등으로 시공한 슬래브 및 계단참에 일체화된 계단참유닛(4)과 계단유닛(1g)을 설치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 계단참유닛(4)의 윗면에 논슬립(100a, 100b)을 설치하여 미끄럼 방지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계단유닛(1g) 및 계단참유닛(4)은 공장이나 창고 등에 설치하는 용접식 철재 계단을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조립식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해 공기가 단축되어 계단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계단 하부의 마감이 깨끗해 계단실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도 78 내지 도 9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보강판(22h)과 마감판(24h)을 일체로 결합하여 계단세트(2h)를 구성하는 것과 보강판(42)과 하판(43)을 일체로 결합하여 계단참세트(40a)를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판(22h)은 횡단면이 ㄱ 자 형태로서 상판부(227)와 챌면부(224)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판부(227)는 종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하부로 돌출된 보강비드(221)가 두 줄 형성되고 보강비드의 양단에는 비드 양측이 천공된 너트안착부(222a)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4a)가 장착되며 상판부(227)의 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고 이어서 안쪽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면서 다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수직부(229)가 형성되며, 상기 챌면부(224)에는 내향 돌출된 다수의 보강비드(224a)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챌면부(224)의 지지력을 강화시키고 하단부로부터 외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는 받침턱(224b)이 형성되어 계단유닛(1h)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하측 보강판(22h)의 수직부(229)가 앉혀지는 받침 역할을 하며, 상기 챌면부(224)의 하부에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계단유닛(1h)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하측 보강판(22h)의 수직부(229)의 볼트공과 일치되면서 이 볼트공에 볼트를 통과시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다수의 보강판(22h)을 조립해 나간다. 또한, 상판부에는 배수공을 형성하여 공사 중에 발생하는 물이나 계단실의 상부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계단 공사가 마감된 후에는 계단세트의 내부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마감판(24h)은 장방형의 평판형태로 이루어진 상판부(241)와 상기 상판부(241)의 일단이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는 챌면부(242)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판부(241)와 챌면부(242)의 표면이 오톨도톨하게 돌출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도 81 내지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판(22h)과 마감판(24h)을 일체로 결합하여 계단세트(2h)로 조립하고 다수의 계단세트(2h)를 계단유닛(1h)으로 조립하는 과정은, 보강판(22h)의 너트안착부(222a)에 결합너트(14a)를 장착시키고 상판부(227)에 마감판(24h)을 겹쳐놓고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계단세트(2h)로 조립한 다음에, 한 쌍의 계단옆판(3)에 다수의 계단세트(2h)를 결합하여 계단유닛(1h)으로 조립하는데 먼저 결합너트(14a)에 계단옆판(3)의 외부로부터 볼트공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보강판(22h)의 챌면부(224)와 수직부(229)가 접하는 부분에도 볼트공을 통해 볼트와 너트로써 체결하여 계단유닛(1h)으로 조립해 나간다.
도 83 내지 도 85는 상판(41)과 보강판(42)과 하판(43)으로 구성되는 계단참세트(40a)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상판(41)은 장방형의 평판 형태로 미끄럼 방지를 위해 겉면이 오톨도톨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강판(42)은 장방형의 평판과 상기 장방형의 평판의 횡방향으로 양단이 하향으로 수직 절곡된 수직판부(423)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부면에 종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하부로 돌출된 보강비드(421)가 형성되어 상부면의 휨을 방지하고 보강비드(421)의 양단에 비드의 양측면이 천공된 너트안착부(422)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4a)가 장착된다. 보강판(42)의 전방에 있는 수직판부(423)에는 수직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비드(423a)가 다수 형성되어 수직판부(423)를 보강하고, 후방의 수직판부(423)에는 상기 상부면의 보강비드(421)와 동일한 구조의 보강비드(421)가 형 성된다. 상기 전후방의 두 수직판부(423)의 하단부에는 볼트공이 다수 형성되어 하판(43)을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결합한다.
상기 하판(43)은 장방향의 평판과 상기 장방형의 평판의 횡방향으로 양단이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어 하단부에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수직부(432)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판(42)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한 후 볼트와 너트로써 체결하여 보강판(42)의 두 수직판부(423)를 보강한다.
이상의 세 가지 부재로 구성된 계단참세트(40a)는 계단유닛(1h)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위치에 조립되며 이후에 계단참유닛(4a)으로 조립되는 계단참세트는 도 86 및 도 87에 도시한 계단참세트(40a1)가 조립된다. 상기 계단참세트(40a1)는 상기 계단참세트(40a)와 구성 및 구조가 동일하며 단지 보강판(42)의 전방 수직판부(423)에 비드(423a)가 형성되지 않은 것이 다른 특징이다. 이와 같이 계단참유닛(4a)으로 조립되는 계단세트 중에서 계단유닛(1h)의 상단과 결합하는 계단참세트(40a) 이외에는 수직판부(423)에 굳이 비드(423a)를 형성하지 않아도 전후방에 결합하는 계단참세트의 수직판부(423)와 겹쳐지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로 지지작용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계단참세트(40a, 40a1) 구성부품의 조립순서는 먼저 보강판(42)의 너트안착부(422)에 결합너트(14a)를 장착한 다음, 보강판(42)의 상부면에 상판(41)을 겹쳐 놓고 스폿 용접, 마찰 교반 용접, 클린칭,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보강판(42)의 내부 하단에 하판(43)을 끼워 넣고 볼트와 너트로써 체결하여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한 다수의 계단참세트(40a, 40a1)를 한 쌍의 계단참옆 판(47) 사이에 위치시켜 결합너트(14a)에 볼트를 체결하여 계단참유닛(4a)으로 조립한다.
도 88 내지 도 92 는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를 결합하여 계단유닛 및 계단참유닛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프레임 역할을 하는 조립식 계단옆판(3a)을 나타낸다.
상기 계단옆판(3a)은 다수의 운형판부재(31)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운형판부재(31)는 양단이 구름모양으로 둥근 형태의 굴곡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서 계단옆판으로 조립할 때 결합 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운형판부재(31)의 양단에는 이웃에 조립되는 단위 부품들과 결합할 수 있도록 아령 형태로 머리는 둥글면서 크고 허리도 둥글면서 잘록한 곡선이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31a)가 형성되어 이웃에 결합 되는 운형판부재(31)의 연결부(31a)와 끼워 맞춰지면서 연결된다.
도 9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계단옆판(3a)은 두 장을 겹쳐 계단세트와 계단참세트를 조립하며 이때 겹쳐지는 두 장의 계단옆판(3a)의 연결부(31a)가 동일한 위치에서 만나지 않고 서로 엇갈리게 조립해야 견고한 이음이 된다.
이와 같은 조립식 계단옆판(3a)은 여러 개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조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위 부품들의 중량이 가벼워지고 크기가 작아져 운반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해져 계단유닛이나 계단참유닛을 공장에서 조립하지 않고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해지며, 현장 특성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면서 계단 시공을 할 수 있으므로 계단유닛 및 계단참유닛의 부품들을 기성품으로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쉽게 구 입해서 조립식 계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계단옆판(3a)은 판재가 이중으로 겹쳐진 구조이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내릴 때 일어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상의 제 9 실시예의 조립과정은 도 9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너트(14a)와 볼트로써 계단세트(2h) 및 계단참세트(40a)를 계단옆판(3a)에 결합하고 또한 계단세트(2h) 하부 및 계단참세트(40a) 하부를 볼트와 너트로써 체결하여 조립식 계단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구조는 계단옆판(3a)이 조립식이므로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며 부품이 가벼워 시공이 편리해 비용이 절감되고, 계단의 하부가 굴절된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건물, 창고, 공장 등의 계단에 적용할 수 있다.
도 93 내지 도 9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같은 경금속으로 압출 성형한 압출품을 시공하고자 하는 계단의 폭으로 절단하여 계단의 마감재로 사용하는 마감판(24i)을 나타낸다.
상기 마감판(24i)은 횡단면이 ㄴ 자 형태로서, 수평부인 상판부(241)와 수직부인 챌면부(242)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부(241)의 전단부에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하향 돌출되어 밑면에 요홈이 구비된 결합홈부(243a)가 형성되고 표면에는 종방향으로 리브가 다수 돌출된 논슬립부(246)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종방향으로 길게 리브가 다수 형성되고 그 단부가 화살촉 모양으로 된 정착돌기(245)가 형성되어 모르타르에 견고하게 정착되며, 상기 챌면부(242)의 상단부에 상기 상판부(241)의 결 합홈부(243a)에 끼워지는 결합돌기부(244a)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상판부(241)의 정착돌기(245)와 동일한 구조의 정착돌기(24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마감판(24i)은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계단의 마감판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도 9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을 제거한 계단의 윗면 및 챌판에 모르타르를 바르고 하측에서 조립되는 마감판(24i)의 결합돌기부(244a)에 상측에서 조립되는 마감판(24i)의 결합홈부(243a)를 끼우면서 마감판(24i)을 설치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마감판(24i)은 마그네슘합금 이나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성형하는 구조로서, 고가이지만 압출기로 성형하면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가격경쟁력이 확보되고 표면이 미려해 종래의 테라죠판, 대리석판, 타일 등의 마감재를 붙여 시공하는 계단이나 쇄석이 혼합된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표면을 그라인더로 갈아 만든 계단 보다 마감이 고급스러워 고급건축물에 부합할 수 있으며, 특히 모르타르 표면을 그라인더로 연마하는 공법은 시공할 때 소음이 크고 폐수가 배출되어 수질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현재에는 이 시공법의 사용이 대부분 제한되어 있어 마감재를 기성품으로 만들어 현장에서 붙여 시공할 수밖에 없으므로 본 발명의 마감판(24i)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을 압출하는 산업의 기술 개발 의욕을 북돋을 수 있고 특히 마그네슘합금의 압출에는 열 방출량이 많아 제어조건이 알루미늄합금에 비해 정밀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선진국에 비해 마그네슘을 이용하는 기술이 낙후된 우리나라의 관련 기술의 개발을 촉진하게 하는 등 관련산업의 발달을 유도하는 파생효과도 있다. 또한, 마 그네슘은 알루미늄 무게의 2/3 정도로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매장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다른 산업의 이용은 물론이고 건축자재로서도 적합한 것이 큰 특징이다.
도 96 내지 도 10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로서,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같은 경금속으로 압출 성형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계단의 폭으로 절단한 상판부(241)와 챌면부(242)를 조립하여 횡단면이 ㄱ 자 형태인 마감판(24j)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상판부(241)는 장방형의 평판 형태로 계단의 윗면을 덮어 마감하는 것으로서, 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짧게 돌출되어 안쪽에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입구는 좁고 내부가 넓은 홈부로 이루어진 결합홈부(243)가 형성되고 후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된 결합돌기부(244a)가 형성되어 계단에 시공할 때 상측의 챌면부(242)에 형성된 결합홈부(243a)에 끼워지며, 하부면에는 긴 리브가 다수 돌출되어 그 단부에 화살촉 모양의 걸림고리가 있는 정착돌기(245)가 형성되어 마감판(24j)을 모르타르에 견고하게 정착시키며, 표면에 종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논슬립부(246)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상기 챌면부(242)는 장방형의 평판 형태로서 계단의 챌판을 덮어 마감하는 것으로서,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단부로 갈수록 두꺼워져 상기 상판부(241)에 형성된 결합홈부(243)에 측면에서 끼워지면서 횡방향으로는 빠지지 않는 구조의 결합돌기부(244)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짧게 절곡되고 다시 상향으로 짧게 절곡된 결합홈부(243a)가 형성되어 상기 챌면부(241)의 결합돌기부(244a)가 끼워지며, 챌면부(242)의 이면에도 상기 상판부(241)에 형성된 동일한 구조의 정착돌기(245)가 형성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마감판(24j)의 조립 및 시공은, 먼저 상판부(241)의 결합홈부(243)에 챌면부(242)의 결합돌기부(244)를 측면에서 종방향으로 삽입하여 마감판(24j)으로 조립한 다음, 거푸집을 제거한 계단의 윗면 및 챌판에 모르타르를 바르고 상측 마감판(24j)의 결합홈부(243a)에 하측 마감판(24j)의 결합돌기부(244a)을 끼우면서 계단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시공한다.
도 99 내지 도 101은 상기 마감판(24j)과 전체적인 구조는 동일하면서 일부 부분적으로 구조가 다른 마감판(24j1)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판부(241)의 후단부에 하향으로 짧게 수직절곡되고 다시 후방으로 짧게 절곡되며 연속해서 상향으로 짧게 절곡되어 U자 형태의 요홈이 만들어져 결합홈부(243a)가 형성되고 챌면부(242)의 하단부는 평판 그대로 이루어진 것이 상기 마감판(24j)의 상판부(241) 및 챌면부(242)와 다른 특징이다. 이처럼 결합홈부(243a)를 상판부(241)에 형성하고 챌면부(242)의 하단부를 평판 그대로 둠으로써 계단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시공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마감판(24i)과 동일하게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으로 압출 성형이 가능하며, 마감판(24j1)이 두 개의 부품으로 분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소형 압출기로도 압출 성형이 가능해 금형 가공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02 내지 도 120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로서, 계단세트(2k) 및 계단참세트(40b)의 구조와 조립식 계단의 부품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 중에서 도 102 내지 도 103은 보강판(22k)이 내장되어 강도를 향상시킨 구조로 압출 성형한 계단세트(2k)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계단세트(2k)는 횡단면이 삼각형태로서, 상부면인 상판부(25)와 빗면인 덮개부(27)와 챌판인 챌면부(26)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부(25)는 높이가 낮은 직사각통 형태로써 내측에 종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칸막이가 있어 내부가 둘로 분리된 보강판수납부(28)가 형성되어 보강판(22k)이 삽입되면서 상판부(25)의 휨강도를 보강하고, 윗면의 앞쪽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리브가 돌출된 논슬립부(25b)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상판부(25)의 후단부 측면에 T 자 형태로서 내부 폭이 넓고 입구의 폭이 좁은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부(25a)가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계단유닛(1k)으로 조립할 때 챌면부(26)의 결합돌기부(26a)가 종방향으로 끼워져 결합한다. 상기 덮개부(27)는 계단의 하부가 굴곡 된 채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계단 하부의 미관을 깨끗하게 한다. 상기 챌면부(26)의 하단에 종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단부의 폭이 넓고 하부의 폭이 좁은 T 자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진 결합돌기부(26a)가 형성되어 계단유닛(1k)로 조립할 때 상기 상판부(25)의 결합홈부(25a)에 측면에서 종방향으로 끼워 결합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계단세트(2k)의 상판부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철과 같은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봉재나 파이프를 내재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봉재나 파이프를 계단세트의 폭보다 계단옆판의 두께만큼 길게 구비하여 양단에 수나사부를 형성하며 계단옆판의 대응되는 위치에 수나사부의 직경보다 큰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봉재나 파이프를 내재 한 계단세트를 한 쌍의 계단옆판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봉재나 파이프의 수나사부에 T 자 형태의 너트를 체결하여 너트의 몸통이 계단옆판의 통공 내부에 내재되면서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판(22k)은 상기 계단세트(2k)의 보강판수납부(28)에 삽입되어 보강하는 것으로서, 장방형의 평판형태이며 횡방향의 양단이 상향으로 수직 절곡된 보강날개(223a)가 형성되어 보강판의 휨강도를 보완하고, 종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상부로 돌출된 보강비드(221)가 형성되어 보강판의 휨강도를 보강하며 그 양단에 횡방향으로 비드가 짧게 연장되어 비드의 양측면이 천공된 너트안착부(222b)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4a)가 장착된다. 그런데 보강비드(221)의 양단에 형성되는 너트안착부는 도 1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비드(221)의 양측면이 천공되어 이 천공부분에 결합너트(14)의 걸림부(143)가 끼워져 빠지지 않는 구조의 너트안착부(222a)와 도 1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비드(221)의 양단에 횡방향으로 비드가 짧게 연장되는 구조의 너트안착부(222c)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4)의 걸림부(143)가 끼워져 빠지지 않는 구조의 너트안착부(222c)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 중에서 도 108 내지 도 111은 계단참세트(40b)와 이를 보강하는 보강판(45)으로 이루어지는 계단참유닛(4b)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계단참세트(40b)는 사각통 형태로서 상부면인 상판부(41a)와 전후면의 수직부인 두 부분의 수직판부(42a)와 하부면인 하판부(43a)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부(41a)는 높이가 낮은 직사각통 형태로서 그 내부 공간은 보강판수납부(44)로서 보강판(45)이 삽입되어 상판부(41a)의 휨을 보강하고, 상기 상판부(41a)의 후단부 측면에 횡단면이 T 자 형태로서 내부의 폭이 넓고 입구의 폭이 적은 결합홈부(425)가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고 전단부의 측면에 끝 부분이 폭이 넓고 시작부분이 폭이 좁은 T 자 형태의 결합돌기부(424)가 형성되어 계단참유닛(4b)으로 조립할 때 상기 결합홈부(425)에 종방향으로 끼워 결합하고, 전후면의 두 수직판부(42a)의 하단에도 상기 상판부(41a)에 형성된 결합홈부(425)와 결합돌기부(424)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계단참유닛(4b)으로 조립할 때 상호 끼워져 결합하고, 하판부(43a)의 내부면에 종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압출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구멍이 있는 리브가 형성되어 그 양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결합공(431)이 구비되어 계단참세트(40b)를 계단참옆판(47)에 결합할 때 볼트 또는 나사못으로 체결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계단참세트(40b)의 상판부에 보강판수납부를 구비하지 않고 공간이 없도록 압출 성형하여 종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고 그 중공에 철과 같은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봉재를 삽입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판(45)은 장방향의 평판형태로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상부로 돌출되는 보강비드(451)가 두 부분 형성되어 보강판(45)의 휨강도를 증대시키고 그 양단에는 비드 양측면이 천공된 너트안착부(452)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4a)가 장착되면서 두 걸림부(143)가 끼워지며 횡방향의 양단에는 상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되는 보강비드(451)가 형성되어 보강판(45)의 휨강도를 증대시킨다.
이상의 계단참세트(40b)의 조립방법은, 보강판(45)의 너트안착부(452)에 결 합너트(14a)를 장착시킨 다음 하나의 계단참세트(40b)의 결합홈부(425)에 다른 하나의 계단참세트(40b)의 결합돌기부(424)를 측면에서부터 삽입하여 결합하고 다수로 조립된 계단참세트(40b)를 한 쌍의 계단참옆판(47)의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 및 나사못으로써 보강판(45)에 정착된 결합너트(14a) 및 하판부(43a)의 결합공(431)에 체결하여 계단참유닛(4b)으로 조립한다.
그런데 계단참유닛(4b)의 가장 전면에 조립되는 계단참세트(40b)는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부(424)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데 도 110 내지 도 111에 도시한 몰딩(46)을 결합돌기부(424)에 결합하여 깨끗하게 마감할 수 있다. 상기 몰딩(46)은 C 자형의 바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상기 계단참세트(40b)의 결합돌기부(424)에 종단부로부터 끼워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부(461)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종방향으로 리브가 다수 돌출되는 논슬립부(462)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세트(2k) 및 계단참세트(40b)는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을 압출기로 압출 성형한 후 계단 폭으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양산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철골계단과 비교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표면이 미려해 종래의 철근콘크리트 계단 및 조립식 철골계단을 대체하여 건축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계단세트(2k) 및 계단참세트(40b)의 내부 공간에 경량콘크리트나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우레탄발포를 하거나 글라스울 등을 충진하여 통행할 때 소음을 감소시키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레탄발포를 할 때 발포의 압력에 의해 계 단세트(2k) 및 계단참세트(40b)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계단세트(2k) 또는 계단참세트(40b)를 틀의 내부에 고정한 다음 발포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 중에서 도 112 내지 도 115는 횡방향의 양단이 외부로 돌출된 리브 형태의 몰딩부(32)가 있는 계단옆판(3b)을 도시한 것으로, 특히 도 113의 계단옆판(3b)은 철 등으로 이루어진 재료를 압연가공하여 제조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계단옆판(3b)을 생산할 때 판재를 절단가공하여 생산하는 것보다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제조과정에서 몰딩부(32)가 형성됨으로써 미관을 좋게 하며, 또한 도 114는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을 압출 성형한 계단옆판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여 철 등 강도가 높은 재료로 이루어진 보강재(33)를 내재시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표면이 아름다우면서도 소요 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의 계단옆판(3b)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 1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옆판(3b)의 종방향의 단부에는 압출 공정에서는 몰딩부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별도로 몰딩(32a)을 구비하여 단부의 중공에 삽입설치하여 몰딩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계단옆판(3b)에 몰딩부(32)를 형성하면 미관이 좋아지고 계단세트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하는 볼트의 머리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계단옆판의 외면과 벽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굳이 볼트공에 접시형 구멍 내기를 하여 접시머리볼트를 체결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 중에서 도 116 내지 도 118은 정착부재(5b)의 구조 및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정착부재(5b)는 도 12에 도시한 정착부재(5)와 구조가 동일하며, 다만 정착부재(5b)의 중간부에도 양단에 설치한 결합브라 켓(51b)과 동일한 결합브라켓(51b)을 두 개 연결하여 설치한 것이 다른 특징으로서 한 종류의 결합브라켓(51b)으로 정착부재(5b)를 구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가 간편해진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 중에서 도 119 내지 도 120은 계단옆판(3c)의 구조와 상기 계단옆판(3c)에 계단세트(2k) 및 계단참세트(40b)를 결합하고, 계단옆판(3c)에 난간대기둥(9)이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계단옆판(3c)은 얇은 철판 두 장을 겹쳐서 구성되기 때문에 두꺼운 철판 한 겹으로 구성되는 계단옆판(3)보다 중량이 가벼워져 현장시공이 용이하고 계단을 오르내릴 때 소음을 감소시키며, 계단옆판(3c)에 조립식 난간대고정부재(8)가 일체로 결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난간대기둥(9)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계단옆판(3c)에 계단세트(2k) 및 계단참세트(40b)를 결합하는데 있어서 계단세트(2k) 및 계단참세트(40b)에 안착 된 결합너트(14a)에는 볼트(200)로써 체결하고 알루미늄합금이나 마그네슘합금으로 제조된 계단참세트(40b)의 결합공(431) 또는 암나사부에는 끝이 뾰족한 나사못(201) 또는 볼트로써 체결하여 결합한다.
도 121 내지 도 124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로서, 이에 의하면, 조립식 계단은 한 쌍의 계단옆판(3)에 알루미늄합금이나 마그네슘합금으로 압출 성형한 다수의 계단세트(2m)를 계단 형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 계단세트(2m)는 횡단면이 ㄱ 자 형태로서 수평의 상판부(25)와 수직의 챌면부(26)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판부(25)는 내부가 중공이면서 중간 칸막이에 의해 내부가 둘로 분리되어 보강판(22m)이 수납되는 보강판수납부(28)가 형성된 직사 각통 형태로 윗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리브가 종방향으로 돌출된 논슬립부(25b)가 형성되며 횡방향의 후단부의 측면에는 내부가 넓고 입구가 좁은 T 자 형태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부(25a)가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챌면부(26)의 하단부의 외면에는 끝 부분의 폭이 넓고 시작부의 폭은 좁은 T 자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진 결합돌기부(26a)가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하측 계단세트(2m)의 결합홈부(25a)에 종방향의 측면에서 삽입하여 계단세트(2m)를 계단옆판(3)으로 조립해 나가며 또한 상기 챌면부(26)의 하단부의 내면에는 압출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중공으로 이루어진 리브가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고 그 양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결합공(26b)이 형성되어 계단옆판(3)의 외부로부터 볼트 또는 나사못(201)을 체결하여 계단세트(2m)를 한 쌍의 계단옆판(3)에 고정한다.
상기 상판부(25)의 두 보강판수납부(28)에는 보강판(22m)이 각각 삽입되어 상판부(25)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휨을 방지한다. 보강판(22m)은 장방형의 평판 형태로 종방향의 전장에 걸쳐 하부로 돌출되어 보강판(22m)의 휨을 방지하는 보강비드(221)가 형성되고 그 보강비드(221)의 양단에는 비드의 양 측면이 천공된 너트안착부(222a)가 형성되어 결합너트(14)의 두 걸림부(143)가 안착 되며, 횡방향의 양단에도 하향으로 짧게 수직 절곡된 보강날개(223a)가 형성되어 역시 보강판(22m)의 휨을 방지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계단세트(2m)의 상판부에 보강판수납부를 형성하지 않고 종방향의 중공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철과 같은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봉재를 삽입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계단세트(2m)의 조립은, 먼저 계단세트(2m)의 두 보강판수납부(28)에 결합너트(14)를 너트안착부(222a)에 장착시킨 두 개의 보강판(22m)을 각각 삽입 설치하고 하측 계단세트(2m)의 결합홈부(25a)에 상측 계단세트(2m)의 결합돌기부(26a)를 결합시켜 조립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계단세트(2m)를 일체로 결합한 다음 조립된 계단세트(2m)를 한 쌍의 계단옆판(3)에 결합시키는데 결합너트(14)에는 볼트(200)로 체결하고 결합공(26b)에는 나사못(201) 또는 볼트를 체결하여 계단유닛(1m)으로 조립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계단세트(2m)와 동일한 구조이면서 단지 횡단면이 ㄴ 자 형태로서 상판부의 전단부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내측면에 내부가 넓고 입구가 좁은 요홈으로 이루어진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챌면부의 상단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끝 부분의 폭이 넓고 시작부가 좁은 결합돌기부가 형성되는 구조의 다른 계단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서 계단유닛(1m)을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으로 압출 성형하여 제조하게 되면 계단의 마감이 미려해 별도로 타일과 같은 마감재를 붙이는 마감공사가 필요 없어지고, 계단의 하부가 계단의 굴곡진 모양 그대로 노출되어도 무방한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계단세트(2m)를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으로 압출 성형하여 계단 폭으로 절단하여 사용하면 계단세트를 제조하기 위해 프레스가공이나 절곡작업 등의 공정이 필요 없게 되며 스폿 용접이나 클린칭 또는 리벳팅 등의 작업도 필요 없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매우 간편해지고 중량이 가벼워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공기도 크게 단축되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25 내지 도 127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로서, 이에 의하면, 조립식 계단은 한 쌍의 계단옆판(3)에 알루미늄합금이나 마그네슘합금으로 압출 성형한 다수의 계단세트(2n)를 계단 형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 계단세트(2n)는 횡단면이 삼각형태이며 수평의 상판부(25)와 수직의 챌면부(26) 및 삼각형의 빗면에 해당하는 덮개부(27)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부(25) 및 챌면부(26)의 구조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계단세트(2m)와 동일한 구조이며, 덮개부(27)는 계단의 하부가 계단 모양으로 굴곡된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막아 종래의 조립식 철골계단의 문제점을 제거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 계단을 대체하여 조립식 계단을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계단세트(2n)의 내부에는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칸막이를 추가로 형성하여 보강함으로써 하중에 의해 상판부(25) 및 챌면부(26)가 처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하며, 상판부(25)의 내측면과 챌면부(26)와 덮개부(27)의 내측 칸막이에 일측이 개방되거나 닫힌 중공을 가진 리브가 종방향으로 전장에 걸쳐 형성되고 그 양단에는 중공 그대로 두거나 암나사부가 형성된 결합공(26b)이 형성되어 계단세트(2n)를 계단옆판(3)에 결합시켜 계단유닛(1n)으로 조립할 때 나사못(201) 또는 볼트로써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상의 계단세트(2n)를 조립하여 계단유닛(1n)으로 구성하는 방법 및 효과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28 내지 도 130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로서, 이에 의하면, 조립식 계단은 한 쌍의 계단옆판(3)에 알루미늄합금이나 마그네슘합금으로 압출 성형한 다수의 계단세트(2p)를 계단 형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 계단세트(2p)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계단세트(2m)와 거의 동일한 구조이며, 다만 계단옆판(3)에 결합하기 위해 상판부에 결합공(26b)을 형성하여 나사못(201)이나 볼트로써 체결하도록 하며, 상판부의 윗면에 논슬립부(25b)를 안쪽까지 확대하여 형성하고, 보강판(22m)을 제외시켜 조립하는 것이 다른 특징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계단세트(2p)의 상판부에 보강판수납부를 형성하지 않고 종방향의 중공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봉재를 삽입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계단세트(2p)를 조립하여 계단유닛(1p)으로 구성하는 방법 및 효과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32 내지 도 133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로서, 이에 의하면, 조립식 계단은 한 쌍의 계단옆판(3)에 알루미늄합금이나 마그네슘합금으로 압출 성형한 다수의 계단세트(2q)를 계단 형상으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 계단세트(2q)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의 계단세트(2p)와 거의 동일한 구조이며, 다만 상판부(25)의 내부에 칸막이가 없이 하나의 중공으로 형성된 충진부(28a)가 부가되어 경량콘크리트, 기포콘크리트, 우레탄발포, 글라스울, 모르타르 등과 같은 충진재(11)를 충진하여 구성되는 것이 다른 특징이다. 상기 계 단세트(2p)에 충진재(11)를 충진함으로써 계단의 통행 시에 소음을 감소시키고 계단세트(2q)의 강도를 보강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계단세트(2q)의 상판부에 보강판수납부를 형성하지 않고 종방향의 중공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봉재를 삽입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를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압출 성형하여 조립식 계단으로 설치하게 되면 건축물의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볍고 파손이 잘 되지 않는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마감판으로 덮어 보호한다. 상기 마감판은 상기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ㄴ 자 형태로서 수직인 챌면부와 수평인 상판부로 이루어지며 상판부와 챌면부의 단부에 각각 결합홈부와 결합돌기부를 형성하여 계단에 덮을 때 상호 맞물려 결합하도록 하고 상판부의 종방향의 양단에 자석을 구비하여 계단옆판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있다가 건축 공사가 마무리된 다음에 간단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며, 상판부의 윗면에는 종방향으로 리브가 돌출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계단참세트를 덮어 보호하는 마감판은 평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단에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돌기부가 형성되어 상호 맞물려 결합하도록 한다.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와 마감판을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압출 성형한 조립식 계단의 부품은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보호커버를 씌워 운반하고 설치하며 건축공사가 완료된 다음에 제거함으로써 표면을 보호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으로 압출하여 구성되는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의 디딤판 및 챌판에 테라죠판, 대리석판, 타일 등의 재료를 부착하여 마감할 수 있다.
이상의 계단세트(2q)를 조립하여 계단유닛(1q)으로 구성하는 방법 및 효과는 상기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34 내지 도 136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로서, 이에 의하면, 고정지그(15)는 사다리 형태로서 외곽의 프레임(151)에 횡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대(152)가 연결되어 작업자가 밟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151)의 전체를 철재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낙하방지망(153)을 설치하여 하방으로 낙하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사방 모서리 중에서 하단의 두 모서리에는 수직부재(155a)와 볼트공이 있는 받침대(155b)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155)이 형성되어 하측에 설치하는 정착부재(5b)의 브라켓고정부(57a)와 결합하고 상단의 두 모서리에는 상향으로 짧게 절곡되는 수직부재(154c)가 구비되고 그 단부에서 수평연장되어 수평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수평부재(154a)가 연결되고 다시 수평부재(154)의 장공에 볼트로써 수직연결되는 수직부재(154b)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154)이 형성되어 상측에 설치한 정착부재(5b)의 브라켓고정부(57a)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지그(15)의 상부 모서리에 연결되는 고정브라켓(154)을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은 도 1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부재(5b)의 브라켓고정부(57a)에 고정브라켓(154)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계단참이나 슬래브의 난간부에 설 치된 거푸집에 의해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고정브라켓(154)의 수평부재(154)를 장공으로 형성하여 계단의 설계에 따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지그(15)는 슬래브와 계단참 사이에 계단유닛을 설치하기 전에 정착부재(5b)를 정위치에 고정시켜 주고 또한 슬래브나 계단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정착부재(5b)가 밖으로 밀려나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고정지그(15)를 제거한 다음 계단유닛을 정착부재(5b)에 연결할 때 볼트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며, 낙하방지망(153)이 설치되어 작업중에 건축자재의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망 역할도 하며, 공사중에 작업자가 임시로 통행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제 1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는 조립식 계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는 철판 등으로 성형할 수 있는 구조이나 성형 재료는 철판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의해 얼마든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제조공법은 프레스, 절단기, 절곡기 등의 설비로 제조가 가능하며 특히 포밍공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부품들은 포밍기를 이용하면 생산속도가 빨라 양산이 가능하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제조공법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기존의 다양한 제조공법으로 얼마든지 생산이 가능하며 특히 철판을 사용하는 계단세트는 내식성과 도장성이 뛰어난 전기아연도금강판(EGI)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조립식 계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계단세트의 상부가 되는 디딤판은 적정 두께의 철판으로 구성하고 계단세트의 하부가 되는 하부덮개판은 강도가 높아 철판보다 두께가 얇아도 되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으로 구성하는 것 과 같이 계단의 상부와 하부를 다른 재질의 이종금속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제 10 실시예 내지 제 16 실시예는 조립식 계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는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합금이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압출 성형할 수 있는 구조이나 재료는 이에 국한하지 않고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등과 같이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기존의 다양한 제조공법을 응용하여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특히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계단세트는 착색, 피막, 아노다이징 등의 표면처리공법을 통해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계단세트를 조립하여 계단유닛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하부에 횡방향으로 이음선을 따라 가느다란 홈이 횡방향으로 생기게 되는데 조립식 계단의 설치를 완료한 다음에 도색을 할 때 이음선에 퍼티를 발라 홈을 없애고 도색을 하여 마무리한다. 또한, 계단의 하부가 계단 모양의 굴곡 된 채로 노출되는 구조의 조립식 계단에 있어서는 하부면에 별도로 평판 부재를 사용하여 마감할 수 있으나 계단세트가 삼각형인 구조에 비해 별도의 공사가 필요해지며 비용이 증가하고 마감면의 평탄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의 모든 내부공간에 경량콘크리트, 기포콘크리트, 우레탄, 글라스울 등 흡음기능, 난연 또는 불연기능, 압축강도와 구조력이 좋은 재료를 충진하여 종래의 조립식 계단의 문제점인 통행 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조립식 계단을 건축 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 및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결합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결합너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세트를 계단옆판에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인 마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의 마감판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정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정착부재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정착부재의 다른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정착부재의 또 다른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정착부재의 또 다른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정착부재를 철근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정착부재를 철근에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유닛과 정착부재를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연결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난간대기둥을 조립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세트를 계단옆판에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계단유닛과 정착부재를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미장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정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립식 계단에 난간대기둥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결합너트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결합너트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또 다른 구조의 결합너트의 사시도 및 평 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 및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마감판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계단세트에 마감판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계단세트에 마감판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6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6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논슬립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7a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논슬립의 단면도이다.
도 6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논슬립의 사시도이다.
도 6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논슬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논슬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또 다른 구조의 논슬립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1a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또 다른 구조의 논슬립의 단면도이다.
도 7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또 다른 구조의 논슬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계단참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계단참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7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계단참세트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계단유닛 및 계단참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7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계단유닛 및 계단참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8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세트를 조립하여 계단유닛을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세트를 조립하여 계단유닛을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참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참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8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참세트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계단참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계단참세트를 나타내는 사시 도이다.
도 8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옆판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옆판의 평면도이다.
도 9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를 결합하여 계단유닛 및 계단참유닛으로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유닛 및 계단참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단유닛 및 계단참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9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9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5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6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7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98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0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계단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계단세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0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보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또 다른 구조의 보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6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7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참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9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참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10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몰딩의 사시도이다.
도 111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참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옆판의 사시도이다.
도 11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옆판의 측면도이다.
도 114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계단옆판의 측면도이다.
도 11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세트를 계단옆판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6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정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7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다른 구조의 정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유닛을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9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세트 및 계단참세트를 결합하여 계단유닛 및 계단참유닛을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0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계단유닛 및 계단참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21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2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23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구성부품 및 결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24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5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26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127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8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29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130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2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133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의 계단세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4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의 고정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35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의 고정지그에 정착부재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6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의 정착부재를 철근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7a는 종래의 조립식 계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7b는 종래의 조립식 계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8은 종래의 다른 조립식 계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1b, 1c, 1d, 1e, 1f, 1g, 1h, 1k, 1m, 1n, 1p, 1q : 계단유닛
2, 2a, 2b, 2b1, 2c, 2d, 2e, 2f, 2g, 2h, 2k, 2m, 2n, 2p, 2q : 계단세트
21, 21b, 21d, 21e, 21f, 21g : 디딤판
22, 22a, 22b, 22c, 22d, 22g, 22h, 22k, 22m : 보강판
23, 23a, 23c, 23g : 하부덮개판
24, 24a, 24b, 24b1, 24f, 24h, 24i, 24j, 24j1 : 마김판
3, 3a, 3b, 3c : 계단옆판
31 : 운형판부재 31a : 연결부
32 : 몰딩부 32a : 몰딩
33 : 보강재
4, 4a, 4b : 계단참유닛
40, 40a, 40a1, 40b : 계단참세트
5, 5a, 5b, 5c, 5d : 정착부재
6, 6a : 연결브라켓
7 : 미장커버
8 : 난간대고정부재
9, 9a : 난간대기둥
10 : 결속구
10a : 슬리브 10b : 쐐기
11 : 충진재
12 : 철근
13 : 모르타르
14, 14a, 14b, 14c : 결합너트
15 : 고정지그
16 : 거푸집
100, 100a, 100b : 논슬립
200 : 볼트
201 : 나사못
300, 300a : 하판
301, 301a : 상판
302, 302a : 계단옆판
303 : 봉강
303a : 너트
304a : 볼트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횡단면이 ㄱ 자 형태로서 상판부(241)의 후단부에서 상향으로 짧게 돌출된 결합돌기부(244a)가 형성되고 챌면부(242)의 하단부의 외면에는 단턱을 두고 낮아지는 결합홈부(243a)가 형성되며 상판부(241)에 종방향의 양 측면에 자석(248)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마감판(24b1)을 구비하여, 계단공사 중에 계단세트(2b)의 윗면 및 챌판에 덮어 디딤판(21b)의 주입구(212) 및 보강판(22b)의 주입구(226)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판.
  14. 삭제
KR1020080071403A 2008-07-23 2008-07-23 조립식 계단 KR100903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403A KR100903845B1 (ko) 2008-07-23 2008-07-23 조립식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403A KR100903845B1 (ko) 2008-07-23 2008-07-23 조립식 계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270A Division KR20080100296A (ko) 2007-05-12 2007-05-12 조립식 계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303A KR20080100303A (ko) 2008-11-17
KR100903845B1 true KR100903845B1 (ko) 2009-06-26

Family

ID=4028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403A KR100903845B1 (ko) 2008-07-23 2008-07-23 조립식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67Y1 (ko) * 2019-02-22 2019-10-21 (주)대길산업 계단용 논슬립 철제 디딤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0390Y1 (en) * 1994-08-30 1997-11-28 Chae Dong Sook Assembling bead for stairways
JP2002155608A (ja) * 2000-11-21 2002-05-31 Nippon Light Metal Co Ltd ユニット階段
JP2003138712A (ja) 2001-11-01 2003-05-14 Nippon Light Metal Co Ltd 階 段
KR20070010672A (ko) * 2005-07-19 2007-01-24 정민선 고강도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 프리캐스트 계단 단위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계단 단위 구조체를 이용한 계단과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0390Y1 (en) * 1994-08-30 1997-11-28 Chae Dong Sook Assembling bead for stairways
JP2002155608A (ja) * 2000-11-21 2002-05-31 Nippon Light Metal Co Ltd ユニット階段
JP2003138712A (ja) 2001-11-01 2003-05-14 Nippon Light Metal Co Ltd 階 段
KR20070010672A (ko) * 2005-07-19 2007-01-24 정민선 고강도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 프리캐스트 계단 단위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계단 단위 구조체를 이용한 계단과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303A (ko) 2008-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4426A1 (en) Lightweight Wall Structure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0924482B1 (ko) 조립식 계단
KR100903833B1 (ko) 조립식 계단
KR100695275B1 (ko) 계단구조 및 계단의 구축방법
JP5725596B2 (ja) 階段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903845B1 (ko) 조립식 계단
KR100903881B1 (ko) 조립식 계단
KR100903847B1 (ko) 조립식 계단
KR100903858B1 (ko) 조립식 계단
KR100903849B1 (ko) 조립식 계단
KR100924619B1 (ko) 조립식 계단
KR100903856B1 (ko) 조립식 계단
KR100903880B1 (ko) 조립식 계단
KR100903864B1 (ko) 조립식 계단
KR100903879B1 (ko) 조립식 계단
KR100903854B1 (ko) 조립식 계단
JP4516585B2 (ja) 建物用内部階段およびその建造方法
KR100903844B1 (ko) 조립식 계단
US20040020142A1 (en) Prefabricated stairway and method
WO2012000030A1 (en) Pre- fabricated module for forming a staircase
KR20080100296A (ko) 조립식 계단
KR20080100305A (ko) 조립식 계단
KR101376356B1 (ko) 아파트 베란다용 복합 창틀의 구조
US20080263970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monolithic tiered concrete slabs
CA3048291A1 (en) Modular staircas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