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667B1 - 네트워크에 기반한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에 기반한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667B1
KR100903667B1 KR1020070077860A KR20070077860A KR100903667B1 KR 100903667 B1 KR100903667 B1 KR 100903667B1 KR 1020070077860 A KR1020070077860 A KR 1020070077860A KR 20070077860 A KR20070077860 A KR 20070077860A KR 100903667 B1 KR100903667 B1 KR 100903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content
robot content
bloc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604A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로보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보티즈 filed Critical (주)로보티즈
Priority to KR102007007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667B1/ko
Priority to JP2007336239A priority patent/JP2009034807A/ja
Publication of KR2009001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8Licen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기반한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의 구성 및/또는 동작을 위한 콘텐츠(이하, "로봇 콘텐츠"라 함)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로봇 유저들 사이에 공유, 교환, 매매 등의 방법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로봇 콘텐츠 작성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저장하며,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를 상대로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로봇 콘텐츠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형 로봇, 로봇 콘텐츠, 업로드, 다운로드, 콘텐츠 거래

Description

네트워크에 기반한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Network-based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contents for robot}
- 본 특허출원(연구)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음. [2006-S-028-01, 상호 협력하는 분신형 네트워크기반 휴머노이드 기술개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기반한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의 구성 및/또는 동작을 위한 콘텐츠(이하, "로봇 콘텐츠"라 함)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로봇 유저들 사이에 공유, 교환, 매매 등의 방법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로봇 콘텐츠 거래는 로봇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유상 또는 무상으로 상호 공유하거나, 로봇 콘텐츠를 상호 교환하거나, 로봇 콘텐츠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매매하거나, 로봇 콘텐츠 제공자에 대해 보상하거나, 로봇 콘텐츠를 제공받은 자에 대해 비용을 청구하거나, 로봇 콘텐츠의 품질을 평가하거나, 불법복제 내지 모방된 로봇 콘텐츠 아닌지 인증하는 등 로봇 콘텐츠의 거래시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행위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로봇 산업은 종래에는 주로 산업용 로봇 위주로 전개되었으나, 최근 로봇 기술의 발전, 정부의 지원정책, 로봇의 이용에 대한 대중의 관심 등을 통해 개인용 로봇 산업이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용 로봇의 주요 적용 분야로 엔터테인먼트 로봇을 들 수 있는데, 엔터테인먼트 로봇은 사람의 일을 대신해 주는 것보다는 사람에게 놀이, 오락, 취미, 기분전환, 심리치료 등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엔터테인먼트 로봇들은 대체로 예컨대 일본 소니의 '아이보'와 같은 완성형 로봇으로서, 마치 가전제품과 같이 제조업체에서 지정한 사양대로 제작되므로 결국 하나의 고정된 형태를 가지고 지정된 종류의 기능을 구현하게 되므로, 살아있는 로봇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그 동작, 형태, 기능의 자유도 내지 확장성에 상당한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단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액츄에이터, 센서 등 로봇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분을 모듈화하여 조립식 블록처럼 각 모듈을 서로 다른 몇 가지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서로 다른 형태의 로봇을 구성할 수 있는 소위 블록형 로봇들과, 로봇 내부에 칩을 내장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로봇의 동작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는 방식의 소위 프로그래머블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블록형 로봇은 제조업체에서 미리 구상한 몇 가지 형태의 로봇 조립에 적합한 전용 부품들만을 이용하여 로봇을 조립하게 되므로 형태의 확장성에서는 여전히 제한이 있었다.
한편, 프로그램머블 로봇의 경우에도, 프로그램 작성에 익숙치 않은 로봇 유 저들의 경우 자체적으로 로봇 콘텐츠의 제작이 불가능한 상황임에도 제조업체 등에서 제공되는 로봇 콘텐츠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결국 프로그래머블 로봇의 구입을 꺼리게 되며,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한 로봇 유저들의 경우에도 자신이 제작한 로봇 콘텐츠를 자신의 로봇에 적용하여 이용할 뿐 타인들과 상호교환 내지 매매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었으므로 새로운 로봇 콘텐츠의 지속적 창출에 대한 동기가 부여되지 않으며, 이러한 상황들은 결국 프로그래머블 로봇 시장의 확대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예컨대 레고®와 같은 조립식 블록 완구처럼 로봇의 모터, 센서 등 각 구성부품을 일관성있는 외형적 특징을 가진 표준형 블록으로 형성하고 각 구성부품의 연결부재 또한 일관성 있는 외형적 특징을 가진 표준형 연결부재로 형성하여 블록형 구성부품의 조립에 의해 로봇을 임의의 형태로 확장할 수 있는 표준 하드웨어 플랫폼을 가진 블록형 로봇(여기서, 블록형 로봇은 이와 동일 내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조립식 로봇, 가변형상 로봇, 다관절 로봇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한다)을 제공하고, 이러한 블록형 로봇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는 소위 로봇 콘텐츠를 로봇 유저가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로봇 유저들이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블록형 로봇의 외형, 동작, 기능 등에 관한 로봇 콘텐츠를 제작하여 블록형 로봇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 유저들이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하드웨어 플랫폼에 의해 로봇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로봇 유저들의 로봇 콘텐츠들과 블록형 로봇들 간에도 호환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로봇 제조사나 로봇 콘텐츠 전문 공급 업체뿐만 아니라 로봇 유저들 상호 간에도 유상 또는 무상으로 상호 공유하거나, 로봇 콘텐츠를 상호 교환하거나, 로봇 콘텐츠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매매하거나, 로봇 콘텐츠 제공에 따른 보상을 받거나, 로봇 콘텐츠의 품질을 평가하는 등의 소위 로봇 콘텐츠 거래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 콘텐츠의 거래시에 필요한 보안을 제공함으로써 로봇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로봇 콘텐츠 거래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 콘텐츠의 공급을 위한 연구/개발비가 부담되는 로봇 제조업체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며, 로봇 유저들이 로봇 콘텐츠를 일종의 UCC(User Created Contents)로서 상호 거래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로봇 유저들 사이에 로봇 콘텐츠 커뮤니티를 형성하도록 도모함으로써 로봇 문화의 저변확대 및 관련 로봇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로봇 콘텐츠 작성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저장하며,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를 상대로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로봇 콘텐츠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통신 모듈, 구동부, 센서부, 중앙 제어부 및 연결부재들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에 연결된 블록형 로봇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봇 콘텐츠는 상기 소프트웨어 로봇 콘텐츠 외에 로봇의 형태에 관한 시각 자료로 구성된 하드웨어 로봇 콘텐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는 업로드된 로봇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로봇 콘텐츠 DB; 상기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로봇 유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로봇 유저 DB; 상기 로봇 콘텐츠의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에 관련된 상기 로봇 유저에 대한 과금/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과금/정산 모듈;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정품 유무 인증, 상기 로봇 콘텐츠의 중복 업로드 유무 인증, 상기 로봇 유저의 인증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방법은, 상기 로봇 콘텐츠를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에서 저장된 로봇 콘텐츠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목록에서 선택된 로봇 콘텐츠를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에서 상기 업로드 단계와 상기 다운로드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와 관련하여 과금/정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에서 상기 업로드된 로봇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인증 번호를 인증하는 단계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다운로드된 로봇 콘텐츠를 상기 블록형 로봇에 인스톨하여 상기 블록형 로봇의 동작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울러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에서 상기 로봇 콘텐츠의 업로드 관련 정보가 업데이트될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에 관련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공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 하드웨어 플랫폼을 가진 블록형 로봇이 제공되고, 그 블록형 로봇의 동작,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콘텐츠를 로봇 유저가 직접 작 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제공되므로, 로봇 유저들이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블록형 로봇의 외형, 동작, 기능 등에 관한 로봇 콘텐츠를 제작하여 블록형 로봇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 유저들이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하드웨어 플랫폼에 의해 로봇 콘텐츠를 제작하게 되므로, 서로 다른 로봇 유저들의 로봇 콘텐츠들과 블록형 로봇들 간에도 호환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유상 또는 무상으로 상호 공유하거나, 로봇 콘텐츠를 상호 교환하거나, 로봇 콘텐츠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매매하는 등의 거래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되므로, 로봇 콘텐츠 창작자의 창작 의욕이 고무되고 로봇 콘텐츠의 거래가 활발해 져서 궁극적으로 로봇 산업의 저변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 콘텐츠 거래에 동기를 부여하고 로봇 콘텐츠 거래에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로봇 콘텐츠 제공에 따른 인증 및 과금/정산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되므로, 로봇 콘텐츠 거래의 안정성이 제고되어 로봇 콘텐츠 거래의 활성화를 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 콘텐츠의 거래시에 필요한 보안을 제공함으로써 로봇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로봇 콘텐츠 거래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 콘텐츠의 공급을 위한 연구/개발비가 부담되는 로봇 제조업체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며, 로봇 유저들이 로봇 콘텐츠를 일종의 UCC(User Created Contents)로서 상호 거래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로봇 유저들 사이에 로봇 콘텐츠 커뮤니티를 형성하도록 도모함으로써 로봇 문화의 저변확대 및 관련 로봇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에서 로봇이라 함은 개인용 로봇, 휴대용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교육용 로봇, 로봇형 완구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에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은 네트워크(네트워크는 인터넷과 모든 종류의 근거리/원거리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개념)를 통해 상호 연결된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 및 블록형 로봇(1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는 본 발명의 로봇 콘텐츠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나 기관 또는 로봇 제조사에서 운영하는 서버로서, 로봇 콘텐츠의 거래를 위한 업로드, 다운로드, 저장, 목록 제공, 검색, 인증, 과금/정산 기능 등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에는 로봇 콘텐츠 DB(310), 로봇 유저 DB(320), 인증 모듈(330), 과금/정산 모듈(340) 등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달리 일부 구성요소(예컨대, 인증 모듈, 과금/정산 모듈 등)가 기존의 네트워크에 구비된 외부 구성요소(예컨대, 인증 서버, 과금 및 정산 서버 등)로 각기 대체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는 로봇 유저에 의해 업로드된 로봇 콘텐츠들을 로봇 콘텐츠 DB(310)에 저장하고 저장된 로봇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며, 로봇 유저가 로봇 콘텐츠 목록을 검색하여 선택한 로봇 콘텐츠를 다운로드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블록형 로봇(100)마다 고유의 인증번호가 부여될 경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의 인증 모듈(330)에서는 로봇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로봇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로봇 유저가 정품 블록형 로봇(100)을 소유한 정상 이용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으며, 로봇 유저에게 제공된 로봇 콘텐츠 제작용 소프트웨어 플랫폼마다 고유의 인증번호가 부여될 경우에도 해당 로봇 콘텐츠가 정품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된 것인지를 인증할 수 있으며, 또한 서버(300)에 저장되거나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로봇 콘텐츠를 상기 로봇 인증번호나 소프트웨어 플랫폼 인증번호 또는 양자의 결합을 이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상기 인증 모듈(330)에서 동일 로봇 콘텐츠의 무단 복제, 이중 업로드, 서로 다른 로봇으로의 중복 다운 로드 등 부정적인 로봇 콘텐츠 거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는 업로드되어 저장된 로봇 콘텐츠의 규격 및 품질을 검사하여 불량 로봇 콘텐츠를 표시 또는 삭제하거나 로봇 콘텐츠를 등급화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서버 관리자의 개입에 의해 수동적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규격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상기 인증 모듈(330) 내지 별도의 콘텐츠 품질 평가 수단(미도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는 로봇 유저들에게 사용자 계정을 할당하여 이를 로봇 유저 DB(320)에 저장하고, 각 로봇 유저의 로봇 콘텐츠 거래와 관련하여 사이버 머니 또는 계좌 이체 등의 공지의 전자 금융 거래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로봇 콘텐츠를 업로드 및/또는 다운로드하는 로봇 유저들에 대해 과금/정산 모듈(340)을 이용하여 과금 및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ID, 비밀번호를 발급하거나, 로봇 유저가 보유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나 로봇의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 설정을 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는 각각의 로봇 유저가 운영하는 단말기로서, 개인용 컴퓨터(PC), 핸드폰,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통상의 단말기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 별도의 전용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는 블록형 로봇(100) 및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와의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운 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족하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와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 사이의 통신 방식 내지 통신 모듈은 모든 종류의 공지된 방식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여기서는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와 블록형 로봇(100) 간의 통신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와 블록형 로봇(100)에 USB 포트와 같은 통신 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USB 메모리와 같은 저장매체를 사용하여 상호 간에 로봇 콘텐츠의 전달을 할 수 있으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와 블록형 로봇(100)에 블루투스나 지그비, UWB 등의 PAN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118)이 구비되는 경우 이러한 통신 모듈(118)을 통해 상호 간에 직접적인 로봇 콘텐츠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와 달리 무선 인터넷 모듈 등 인터넷 통신 모듈이 제공될 경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호 간에 로봇 콘텐츠의 전송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블록형 로봇(100)은 액츄에이터로 구성된 구동부(114),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116), 중앙 제어부(112) 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블록형 로봇(100)에 인스톨된 로봇 콘텐츠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부(114), 센서부(116), 중앙 제어부(112) 등의 각 구성요소가 지시된 동작을 수행함에 의해 로봇의 전체적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중앙 제어부(112)에 내장된 메모리에는 블록형 로봇(100)의 고유한 인증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물론 로봇 유저의 의도에 따라 센서부(116)가 없는 로봇이 기획되거나, 액츄에이터 모듈이나 센서 모듈 등 각 모듈에 자체 제어부가 내장된 고급형 로봇의 경 우 중앙 제어부(112)가 없는 로봇이 기획되거나, 중앙 제어부(112)에 무선 통신 기능이 없는 대신 USB 메모리 등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필요 데이터를 제공받는 로봇 등이 기획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변형예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블록형 로봇(100)의 외형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다양한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가 조립식 블록과 같이 반복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표준형 블록(120) 형태로 제공되어 표준형 연결부재(130)를 이용한 표준형 블록(120)들의 반복 결합에 의해 임의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블록형 로봇(100)의 통신 모듈(118) 또한 중앙 제어부(112)에 구조적으로 내장된 형태인 것이 각 블록(120)의 형태상의 표준화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종래의 프로그래머블 로봇의 동작 프로그램이 본 발명의 로봇 콘텐츠 제작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에서 제작된 로봇 콘텐츠와 호환성이 있을 경우 기존의 프로그래머블 로봇 및 관련 동작 프로그램 또한 본 발명의 블록형 로봇 및 로봇 콘텐츠의 개념에 포함되어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물론, 이 경우 해당 로봇 및 프로그램의 인증 방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함).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로봇 유저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판매 루트를 통해 본 발명의 블록형 로봇(또는 블록형 로봇 조립 키트)(100)을 구입하고, 자신의 PC와 같은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로봇 콘텐츠 제작용 소프트웨어 플랫폼(이하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라 한다)을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에서 다운로드하여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에 인스톨하게 된다(S100).
이때, 각 블록형 로봇(100)과 소프트웨어 플랫폼에는 고유의 인증번호가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인증번호는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를 통해 전송되어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 접속 시 정상 사용자 내지 정품 인증에 이용되거나, 그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된 로봇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로봇 콘텐츠의 부정한 복사, 모방, 도용 등을 방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블록형 로봇(100)의 중앙 제어부(112)와 소프트웨어 플랫폼에는 각각의 고유 인증 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블록형 로봇(100) 내지 블록형 로봇 키트의 중앙 제어부(112)에 저장된 로봇 인증 번호는 블록형 로봇(100)과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의 초기 통신시에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로 전송 및 저장되어 로봇 콘텐츠의 다운로드 및/또는 업로드시에 로봇 콘텐츠를 상기 블록형 로봇(100)의 인증 번호,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인증 번호, 또는 양자의 결합을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 및/또는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기본 로봇 콘텐 츠가 CD-ROM과 같은 저장매체에 기록되어 블록형 로봇(100)과 함께 패키지 형태로 판매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 다운로드 과정이 생략될 것이다.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로봇 콘텐츠 제작 도구, 로봇 콘텐츠를 블록형 로봇(100)에서 실행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 로봇 콘텐츠 업로드/다운로드 프로그램 및/또는 업데이트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술적 또는 상업적 목적에 따라 이들 중 일부가 별도의 독립된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그 종류는 단독 실행파일 내지 압축파일의 형태일 수도 있고 ASP, Active X control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어서, 로봇 유저는 자신의 블록형 로봇(100)의 형태의 결정하여 블록형 로봇(100)을 조립하고(프로그램머블 블록형 로봇 키트를 구매하여 이를 블록형 로봇으로 조립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함), 완성된 블록형 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콘텐츠를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하거나(S110) 또는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로봇 콘텐츠를 다운로드한다(S132).
이러한 로봇 콘텐츠는 블록형 로봇(100)의 형태, 조립 방법 등을 설명하는 설명서, 설계도, 사진, 동영상 등의 시각 자료를 의미하는 하드웨어 콘텐츠와, 이러한 하드웨어 콘텐츠에 의해 정의된 블록형 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 콘텐츠를 모두 포함하며, 로봇 콘텐츠의 거래시 하드웨어 콘 텐츠와 소프트웨어 콘텐츠가 함께 또는 별개로 거래될 수 있다.
한편, 로봇 콘텐츠를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에서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경우, 로봇 유저는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에 접속하여 로봇 콘텐츠 거래(S130)를 시작하고 해당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로봇 콘텐츠 중 희망하는 로봇 콘텐츠를 선택하여 다운로드한다(S132).
상기 다운로드 단계(S132)와 함께 블록형 로봇, 로봇 유저,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의 인증 단계(S136), 및 해당 로봇 콘텐츠가 유료 콘텐츠인 경우 과금/정산 단계(S138)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칭하여 로봇 콘텐츠 거래 단계(S130)라 한다. 여기서, 로봇 콘텐츠의 거래라 함은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를 통해 로봇 콘텐츠를 서로 다른 로봇 유저들 사이에 매매하거나,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등의 단계 및 이러한 단계에 수반되는 인증, 과금/정산, 콘텐츠 검증 단계 등을 통칭한다.
상기 인증 단계(S136)에서 블록형 로봇의 인증 번호 및/또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로봇 콘텐츠의 암호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는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와의 접속 과정에서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의 인증 번호 및/또는 해당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형 로봇(100)의 인증 번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로봇 콘텐츠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로봇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암호화되지 않은 로봇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200)에서 상기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로봇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유료 로봇 콘텐츠의 경우에는 상기 암호화 과정이 수반되지만, 무료 로봇 콘텐츠의 경우에는 암호화 과정이 생략되거나 또는 널(Null) 값을 인증 번호로 사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암호화된 로봇 콘텐츠가 블록형 로봇(100)에 탑재되면, 블록형 로봇(100)은 자신의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암호를 해제한 뒤 로봇 콘텐츠를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로봇 콘텐츠에 암호화된 로봇 인증번호와 로봇 콘텐츠를 탑재한 로봇의 인증번호가 상이할 경우 로봇 콘텐츠의 실행이 불가능해 지므로, 로봇 콘텐츠의 무단 도용이 방지될 수 있다. 보안의 강화를 위해서는, 동일한 인증 번호를 이용하더라도 저장 또는 전송시마다 새로운 변수 값을 이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블록형 로봇(100)의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로봇 콘텐츠의 경우는 해당 블록형 로봇(100)에서만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프트웨어 플랫폼 인증 번호를 이용한 암호화의 경우에는 해당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등록된 다수의 블록형 로봇들(100) 중 하나 또는 전체에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을 과정을 통해 로봇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로봇 유저는 해당 로봇 콘텐츠를 이용하여 로봇의 동작을 테스트하게 된다(S120).
한편, 자신이 직접 로봇 콘텐츠를 제작한 로봇 유저의 경우 로봇 동작의 테스트 단계(S120)를 거친 후, 해당 로봇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먼저 로봇 콘텐츠를 제작한 로봇 유저가 해당 로봇 콘텐츠를 로봇 콘텐츠 거 래 서버(300)에 업로드하면(S132), 로봇 콘텐츠 서버(300)는 해당 로봇 콘텐츠의 이중 업로드 여부, 로봇 콘텐츠의 규격 적합성, 정상 사용자 여부 등을 인증한 후(S136) 해당 로봇 콘텐츠를 로봇 콘텐츠 DB(310)에 저장하고, 로봇 콘텐츠의 유상/무상 여부에 따라 필요한 과금/정산을 수행한다(S138).
상기 인증 단계(S136)에서의 인증 과정은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인증 번호 내지 블록형 로봇(100)의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과금/정산에는 사이버 머니, 신용카드 포인트, 자체 포인트, 계좌이체, 신용카드 결제 등 통상의 전자 거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300)는 채팅 툴, 메신저 툴, 문자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예컨대 새로운 로봇 콘텐츠가 업로드될 때 해당 로봇 콘텐츠가 적용될 수 있는 타입의 블록형 로봇 키트를 구입한 로봇 유저들에게 업로드 소식 정보를 제공하거나, 로봇 유저들 간에 정보 교환 및 직거래 기능을 지원하는 등 로봇 콘텐츠에 관련된 포탈 사이트 내지 커뮤니티 사이트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의 개념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여러 양상에 따른 다양한 블록형 로봇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방법의 흐름도.

Claims (9)

  1. 반복 결합이 가능한 일관성 있는 외형적 특징을 가진 표준형 블록의 형태로 구성된 블록형 로봇;
    상기 블록형 로봇에 탑재되어 상기 블록형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는 로봇 콘텐츠에 대해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 및
    상기 로봇 콘텐츠를 작성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저장하고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 및 상기 블록형 로봇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상기 로봇 콘텐츠에 대한 제작 도구, 상기 로봇 콘텐츠를 상기 블록형 로봇에서 실행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 상기 로봇 콘텐츠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봇 콘텐츠는 상기 블록형 로봇의 형태 및 조립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설명하는 하드웨어 콘텐츠와 상기 블록형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 콘텐츠는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접속된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고 상기 블록형 로봇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는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작성되어 업로드되는 상기 로봇 콘텐츠를 저장하는 로봇 콘텐츠 DB와, 상기 로봇 콘텐츠의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를 신청하는 로봇 유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로봇 유저 DB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는 업로드되어 저장된 상기 로봇 콘텐츠의 규격 및 품질을 검사하여 불량 로봇 콘텐츠를 표시 또는 삭제하거나 상기 로봇 콘텐츠를 등급화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는 상기 로봇 콘텐츠의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에 관련된 상기 로봇 유저에 대한 과금/정산을 수행하기 위한 과금/정산 모듈; 및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인증 번호와 상기 블록형 로봇의 인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콘텐츠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로봇은 통신 모듈, 구동부, 센서부, 중앙 제어부 및 연결부재들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형 로봇의 상기 구동부, 센서부, 중앙 제어부는 반복 결합이 가능한 일관성 있는 외형적 특징을 가진 표준형 블록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관성 있는 결합 방식을 가진 표준형 연결부재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로봇의 통신 모듈은 PAN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USB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기반으로 상기 로봇 콘텐츠를 거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가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작성된 상기 로봇 콘텐츠를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에 업로드하는 (a) 단계;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가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인증 번호와 상기 블록형 로봇의 인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콘텐츠에 대해 로봇 콘텐츠의 이중 업로드 여부, 로봇 콘텐츠의 규격 적합성, 및 정상 사용자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b) 단계;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가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에 업로드된 로봇 콘텐츠들의 목록에서 선택된 로봇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c) 단계; 및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가 다운로드된 상기 로봇 콘텐츠를 상기 블록형 로봇에 탑재하여 실행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로봇 콘텐츠 중계 단말기는 상기 블록형 로봇 및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로봇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상기 로봇 콘텐츠는 해당 인증 번호를 구비한 상기 소프트웨어 플랫폼 또는 상기 블록형 로봇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콘텐츠 거래 서버가 로봇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하는 과정에서 과금 및 정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 로봇 콘텐츠 거래 방법.
  9. 삭제
KR1020070077860A 2007-08-02 2007-08-02 네트워크에 기반한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090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860A KR100903667B1 (ko) 2007-08-02 2007-08-02 네트워크에 기반한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07336239A JP2009034807A (ja) 2007-08-02 2007-12-27 ネットワーク基盤のロボットコンテンツ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860A KR100903667B1 (ko) 2007-08-02 2007-08-02 네트워크에 기반한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04A KR20090013604A (ko) 2009-02-05
KR100903667B1 true KR100903667B1 (ko) 2009-06-18

Family

ID=4043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860A KR100903667B1 (ko) 2007-08-02 2007-08-02 네트워크에 기반한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9034807A (ko)
KR (1) KR100903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58B1 (ko) * 2009-06-23 2012-05-21 주식회사 유진로봇 지능형 로봇 서비스 시스템
JP2013202761A (ja) * 2012-03-29 2013-10-07 Hibot:Kk ロボットの構成要素制御用プログラム作成支援システム
EP3216569A1 (en) * 2016-03-07 2017-09-13 Aldebaran Robotics Modular manufacturing of a robot
JP7180198B2 (ja) * 2018-08-20 2022-11-3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自走式移動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2169822A (ja) * 2019-10-08 2022-11-10 Ana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
CN112383902A (zh) * 2020-11-04 2021-02-19 深圳优地科技有限公司 机器人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275A (ja) * 2001-04-12 2002-10-25 Sanyo Electric Co Ltd ロボット用動作プログラムの自動配信システム、ロボット用動作プログラムの自動受信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装置
KR20060102601A (ko) * 2005-03-24 2006-09-28 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로봇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9040B2 (ja) * 1997-11-30 2007-05-23 ソニー株式会社 ロボツト装置
JP3448646B2 (ja) * 1999-11-09 2003-09-2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三次元可動構造物の自動組立体
JP2001310283A (ja) * 2000-02-14 2001-11-06 Sony Corp 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2354551A (ja) * 2001-05-25 2002-12-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ボット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ロボット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US6454624B1 (en) * 2001-08-24 2002-09-24 Xerox Corporation Robotic toy with posable joints
US6575802B2 (en) * 2001-08-24 2003-06-10 Xerox Corporation Robotic toy modular system with distributed program
JP2003108791A (ja) * 2001-09-28 2003-04-11 Yamaha Corp 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JP3728506B2 (ja) * 2002-08-09 2005-12-21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電源分散型ユニット
US20060117324A1 (en) * 2002-12-19 2006-06-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JP2004237432A (ja) * 2003-02-07 2004-08-26 Navigation Networks:Kk インターネットを使ったロボット用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を含むロボット番組の配信方法
JP2004318862A (ja) * 2003-03-28 2004-11-11 Sony Corp 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提供システム
JP4280999B2 (ja) * 2004-07-02 2009-06-1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ロボットシステム
JP2007193736A (ja) * 2006-01-23 2007-08-0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機能可変型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機能可変型ロボット制御方法ならびに機能可変型ロボット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275A (ja) * 2001-04-12 2002-10-25 Sanyo Electric Co Ltd ロボット用動作プログラムの自動配信システム、ロボット用動作プログラムの自動受信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装置
KR20060102601A (ko) * 2005-03-24 2006-09-28 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로봇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04A (ko) 2009-02-05
JP2009034807A (ja)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667B1 (ko) 네트워크에 기반한 로봇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7436568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より実現され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171611B (zh) 游戏环境中的安全虚拟网络
CN110024330A (zh) 对IoT装置的服务提供
CN102823195B (zh) 利用由虚拟机进行的软件测试远程维护电子网络中的客户端系统的系统和方法
CN105653315B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节点化操作系统下载方法
CN105637915B (zh) 用于从第一设备注册表向第二设备注册表指派代理设备的方法
CN102855539B (zh) 通信处理装置和方法、信息管理装置和方法
CN108256858A (zh) 连接的对象的去中心化的授权的创建和管理的系统和方法
CN104063060B (zh) 房源信息交互的方法
Elrom The blockchain developer
CN109523302A (zh) 基于区块链的广告推送方法、装置及计算设备
CN106462428A (zh) 用于传送和访问软件组件的系统与方法
CN102576243A (zh) 无线电力网络中的物理和虚拟标识
MX2007013355A (es) Modelo confiable suplementario para expedicion de licencias para software/politica de distribucion digital comercial.
CN108133294A (zh) 基于信息共享的预测方法及装置
WO2019008853A1 (ja) 提供装置、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34060B1 (ko) 블록체인 기반 이동 기구 특정 토큰의 거래를 위한 메타버스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060080464A1 (en) System and method of utilizing a MAC address based unlocking key
Júnior et al.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a Software Product Line for Mobile Learning Applications.
KR102109201B1 (ko) 사용자 단말기들 사이의 게임 아이템 거래를 중개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387015B1 (ko) 블록체인 기반 분실된 이동 기구의 조회 및 보상을 수행하는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14526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이동 기구 제조/유통 내역 트래킹 서비스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5796997A (zh) 一种空调选购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AU2018259150B2 (en)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