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350B1 - 연속식 자침기 - Google Patents

연속식 자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350B1
KR100903350B1 KR1020080026193A KR20080026193A KR100903350B1 KR 100903350 B1 KR100903350 B1 KR 100903350B1 KR 1020080026193 A KR1020080026193 A KR 1020080026193A KR 20080026193 A KR20080026193 A KR 20080026193A KR 100903350 B1 KR100903350 B1 KR 10090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needle
magnet
locking
magnetic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닥터
Priority to KR102008002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350B1/ko
Priority to CN200880104138.9A priority patent/CN101815495B/zh
Priority to JP2010516918A priority patent/JP5021074B2/ja
Priority to EP08778758.6A priority patent/EP2173309B1/en
Priority to BRPI0814730A priority patent/BRPI0814730A2/pt
Priority to PCT/KR2008/004100 priority patent/WO2009011522A1/en
Priority to US12/669,478 priority patent/US836673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을 연속적으로 자침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식 자침기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침이 투입 저장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구 상측에 설치되어,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의 첨예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부상시키는 제2자석과, 상기 카트리지의 타격위치에 있는 침을 환부에 자침되도록 타격하는 타격수단이 구비된 자침기몸체; 및 내부에 제1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자침기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자침기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회동시켜, 상기 장착구에 카트리지 결합시 제1자석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되,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 근접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의 이탈을 록킹시킴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이 자력에 의해 당겨져 타격위치에 자동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서 이탈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의 록킹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에 작용하는 자력을 제거하는 회동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자침기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압축턱의 높이는 공이코의 단부에서 상기 압축턱까지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의 침병 길이의 1/2이하로 하여 버튼을 누르다 말고 다시 눌러도 정상 동작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올바르지 못한 카트리지 결합과 타격공이가 로딩된 침을 완전하게 타격하지 못하고 복귀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오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카트리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연속식 자침기, 침, 카트리지, 타격공이, 작동간

Description

연속식 자침기{Consecutive acupuncture device}
본 발명은 한 손으로 파지하고 시술하기에 편안한 펜 타입의 연속식 자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개 이상의 침을 침 저장 카트리지에 무 배열 상태로 침을 저장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버튼을 눌러 연속 자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침시간을 절약함은 물론 사용자가 편리하게 그리고 위생적으로 시술을 할 수 있게 하고, 환자에게는 침이 보이지 않으므로 시술 전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자침 시 순간적인 타격 방식에 의해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연속식 자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식 자침기는 연속적으로 침을 자침할 수 있는 자침기로서, 이와 관련한 기술의 일예로서,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5844호에 개시된 "연속식 자침기"가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5844호의 청구범위 제1항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을 연속적으로 자침 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식 자침기에 있어서, 한개 이상의 침이 투입 저장되는 카트리지(10)와, 상기 카트리지(10)의 일측에 위치되며 저장된 침이 자력에 의해 당겨져서 타격위치에 자동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제1자석(1)과, 상기 카트리지(10)의 상측에 위치되며 타격위치에 있는 침을 환부에 자침되도록 타격하는 타격수단과, 상기 카트리지(10)의 하측에 배치되며 타격된 침이 송출되는 홀이 형성된 송출부(30)를 포함하되, 상기 타격수단은, 카트리지(10) 상측에 복귀스프링(22)에 의해 위로 탄지되어 설치된 버튼(23)과, 상기 버튼(23) 내부에 타격스프링(25)에 의해 아래로 탄지되어 설치된 공이(26)와, 상기 공이(26)의 일측에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공이코(28)와, 상기 공이코(28) 하측에 버튼(23)을 누를 때 상기 공이코(28)가 걸려져서 일정 위치까지 타격스프링(25)을 압축시키도록 형성된 압축턱(21a)과, 상기 공이코(28) 상측에 상기 타격스프링(25)이 일정길이 이상 압축되었을 때 상기 공이코(28)의 경사면을 눌러서 상기 공이코(28)가 압축턱(21a)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해제턱(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자침기"라고 개시되어 있다.
한편, 연속식 자침기의 카트리지는 상술한 연속식 자침기에 장착되어 연속식 자침기의 타격공이 작동간(6)이 타격하는 위치로 침(10)이 순차적으로 로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식 자침기에 구비된 제1자석(5)에 의해 카트리지(1)에 담겨진 침(10)이 타격공이 작동간(6)의 타격위치로 당겨져 로딩되고, 제2자석(4)에 의해 침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침(10)은 타격공이 작동간(6)이 침(10)의 상단을 순간적으로 타격함에 따라 하방으로 배출되어 자침되고, 작동간이 원위치 되면 제1자석(5)에 의해 대기하고 있던 침 하나가 작동간 하부의 타격위치에 순차적으로 로딩되는 구조로 이루 어진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에 내장된 침들이 장전슬롯으로 원활하게 진입되기 위해서는 카트리지에 담겨진 침들이 제2자석(4)에 의해 위쪽으로 부상된 상태로 정렬 되어야 한다.
하지만, 카트리지를 본체에 결합할 때 결합 순간부터 카트리지에 담겨진 침들이 자침기 측벽에 구비된 제1자석(5)에 의해 장전슬롯 방향으로 당겨져서 붙어버리기 때문에 제2자석(4)을 통해 상측으로 부상되지 못하여 장전슬록으로 원활하게 밀려 들어가지 않고 장전슬롯 입구에서 걸려버리는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타격공이의 작동간(6)이 로딩된 침(10)을 완전하게 타격하지 못하고 복귀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위치에서 하방으로 밀려난 침(10)의 상단부 지점(P1)이 받침점 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롯에 순차 정렬된 다수의 침(10)의 상단부는 도 4의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하단부는 도 4의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다음번 자침 시 타격위치에 정렬되지 않고 기울어지게 배치된 침을 타격하게 되어 타격된 침이 배출되지 않는 오동작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타격공이 작동간(6)이 타격하려 시도하면, 침(10)이 정상적으로 자침되지 않고 카트리지 전체가 하방으로 밀려서 자침기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를 연속식 자침기에 결합과 분리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헐거워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카트리지가 자침기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카트리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식 자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침을 연속적으로 자침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연속식 자침기는, 적어도 하나의 침이 투입 저장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구, 상기 장착구에 장착된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의 첨예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부상시키는 제2자석, 상기 카트리지의 타격위치에 있는 침을 환부에 자침되도록 타격하는 타격수단이 구비된 자침기몸체; 및 상기 카트리지를 연속식 자침기의 장착구에 결합 시 제2자석의 자기장 영향만 받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제1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자침기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여 카트리지 결합 시 제1자석의 자기장 영향을 받지 않도록 회동시켜 자침기 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되,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 근접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의 이탈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이 자력에 의해 당겨져 타격위치에 자동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서 이탈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의 이탈을 언록킹시킴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에 작용하는 자력을 제거하는 회동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자석부에는 록킹돌기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에는 록킹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자석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 근접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에 끼워져 록킹되고, 상기 회동자석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서 이탈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으로부터 빠져서 언록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자석부는, 상기 제1자석이 내부에 수용된 케이싱에 안착되고 복수의 탄성결합홈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록킹돌기가 형성된 하부조립체, 상기 탄성결합홈에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을 감싸면서 상기 하부조립체와 탄성결합되며 상기 자침기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기 위한 힌지결합돌기가 형성된 상부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침기몸체에 구비된 타격수단은, 카트리지 상측에 복귀스프링에 의해 위로 탄지되어 설치된 버튼, 상기 버튼 내부에 타격스프링에 의해 아래로 탄지되어 설치된 공이, 상기 공이의 일측에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공이코, 상기 공이코 하측에 버튼을 누를 때 상기 공이코가 걸려져서 일정 위치까지 타격스프링을 압축시키도록 형성된 압축턱, 상기 공이코 상측에 상기 타격스프링이 일정길이 이상 압축되었을 때 상기 공이코의 경사면을 눌러서 상기 공이코가 압축턱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해제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이코의 단부에서 상기 압축턱까지의 길이는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의 침병 길이의 1/2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침기몸체에는 상기 버튼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기 위한 록킹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를 자침기 몸체의 장착구에 장착할 때에는 제1자석이 내장된 회동자석부가 자침기 몸체의 일측으로 회동되어 열린 상태이기 때문에 카트리지에 잠겨진 침들이 장착구 상측의 제2자석의 자력만 작용하여 먼저 일정 높이로 부상되어 정렬된다. 이어서 회동자석부를 닫아야만 비로소 제1자석의 자력에 의해 일측 장전슬롯 쪽으로 끌려오므로 정렬된 침들이 장전슬롯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타격공이 작동간이 로딩된 침을 완전하게 타격하지 못하고 복귀하는 경우에도 인접한 침들이 기울어져서 배치되어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발생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들이 뒤엉키더라도, 카트리지를 분리하지 않고 회동자석부를 회동시켜 제2자석의 자력을 제거하면 카트리지의 침들을 재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자석부를 닫은 상태에서는 카트리지가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고, 제품 사용법이 손쉬우며, 제품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카트리지(100), 자침기몸체(200), 회동자석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 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카트리지(10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침(10)이 투입 저장되고, 자침기몸체(200)에 장착되어 환부에 자침하기 위한 침(10)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자침기몸체(200)는 상기 카트리지(100)가 장착되는 장착구(200h)와, 이 장착구(200h)에 장착된 카트리지(100)에 저장된 침(10)의 첨예부(10b)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부상시키는 제2자석(310)과 저장된 침(10)을 타격위치로 자동로딩시키며 카트리지를 자침기몸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1자석(210)을 구비한 회동자석부(300) 및 및 카트리지(100)의 타격위치에 있는 침(10)을 환부에 자침되도록 타격하는 타격수단(220)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자석부(300)는 내부에 제1자석(310)이 구비되어 상기 자침기몸체(2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카트리지(100)의 일측에 근접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100)의 이탈을 방지하고, 침(10)이 자력에 의해 당겨져 타격위치에 자동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00)의 일측에서 이탈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10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언록킹시킴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100)에 저장된 침(10)에 제1자석(310)의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한편, 카트리지(100) 및 자침기몸체(200)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00)는 자침기몸체(200)에 장착되어 침(10)을 하나씩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카트리지(100)에는 침저장공 간이 형성되어 제1자석(도 8의 310)의 자력에 의해 침(10)이 하나씩 슬라이딩이동되어 연속식자침기의 타격공이 작동간(도 9의 223-1)이 타격하는 타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슬롯(미도시)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롯의 단부에는 타격된 침(10)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카트리지(100)의 하부에는 송출부(110)가 구비된다. 이 송출부(110)에는 송출부(110)의 아래로 돌출되도록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돌출길이에 따라 환부에 자입되는 침(10)의 깊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가이드(120)가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침기몸체(200)는 상술한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카트리지(100)의 삽입부(104)가 장착되는 장착구(200h), 이 장착구(200h)에 장착된 카트리지(100)에 저장된 침(10)의 첨예부(10b)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부상시키는 제2자석(210), 상기 카트리지(100)의 타격위치에 있는 침(10)을 환부에 자침되도록 타격하는 타격수단(220)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구(200h)는 카트리지(100)의 삽입부(104)가 충분히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며, 카트리지(100)의 삽입부(104)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장착구(200h)에 카트리지(100)의 삽입부(104)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100)에 저장된 침(10)이 제2자석(210)의 자력에 의해 당겨져 부상되어 침(10)의 첨예부(10b)가 바닥에 닿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관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의 회동자석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의 회동자석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먼저, 회동자석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자석부(300)는 내부에 상기 카트리지 내의 침을 자동 로딩시키기 위한 제1자석(310)이 구비되어 상기 자침기몸체(2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동자석부(300)는 자침기몸체(200)의 일측, 즉, 카트리지(100)의 삽입부(104)가 삽입되는 장착구(200h)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자침기몸체(200)의 일측에는 회동자석부(300)와 힌지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힌지결합홀이 구비되어 있고, 회동자석부(300)에는 자침기몸체(200)에 구비된 복수의 힌지결합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복수의 힌지결합돌기(33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100)의 일측에 근접한 상기 회동자석부(300)의 대응면에는 록킹돌기(302)가 돌설되고, 이 록킹돌기(302)에 대응되는 카트리지(100)의 대응면에는 록킹홈(10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자석부(300)가 상기 카트리지(100)의 일측에 근접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록킹돌기(302)가 록킹홈(102)에 끼워져 록킹된 상태가 되고, 회동자석부(300)가 상기 카트리지(100)의 일측에서 이탈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록킹돌기(302)가 록킹 홈(102)으로부터 빠져서 언록킹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회동자석부(300)는 자침기 몸체의 외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지고 카트리지는 자침기 몸체(200)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회동자석부(300)의 록킹돌기(302)가 내부에 삽입된 카트리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카트리지 록킹홈(102)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h1)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회동자석부(300)를 더욱 구체적으로 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자석부(300)는 제1자석(310)이 내부에 수용된 케이싱(315)이 안착되고 복수의 탄성결합홈이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록킹돌기(302)가 형성된 하부조립체(320)와, 상기 탄성결합홈에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315)을 감싸면서 상기 하부조립체(320)와 탄성결합되며 상기 자침기몸체(2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기 위한 힌지결합돌기(334)가 형성된 상부조립체(33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하부조립체(320)와 상부조립체(330)를 일체로 하여 내부에 제1자석(310)이 구비된 일체형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회동자석부(300)가 회동하여 자침기 몸체로부터 이탈한 경우에서는, 카트리지를 어느 방향에서 어떻게 삽입하든 카트리지 내의 침은 회동자석부(300) 내부의 제1자석에 의한 자기장 영향은 받지 않고, 자침기 몸체에 장착된 제2자석(미도시)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부상되어 정렬된 상태에서, 회동자석부(300)를 회동시켜 자침기 몸체에 결합되는 순간 카트리지 내에 저장된 침이 타격위치로 끌려오게 되므로 잘못된 카트리지 삽입시 발생 할 수 있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자석부(300)가 카트리지(100)와 서로 록킹된 상태에서는,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여 헐거워져 발생하는 카트리지의 이탈, 즉, 카트리지(100)가 자침기몸체(200)로부터 이탈되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00)에 저장된 침(10)들을 재정렬 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침기몸체(200)로부터 카트리지(100)를 분리하지 않고, 회동자석부(300)를 회동시켜 제1자석(310)의 자력을 제거하면 카트리지(100)에 저장된 침(10)을 재정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축턱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침기몸체(200)에 구비된 타격수단은, 카트리지 상측에 복귀스프링(S1)에 의해 위로 탄지되어 설치된 버튼(221), 상기 버튼 내부에 타격스프링(S2)에 의해 아래로 탄지되어 설치된 공이(223), 상기 공이의 일측에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공이코(225), 상기 공이코(225) 하측에 버튼을 누를 때 상기 공이코(225)가 걸려져서 일정 위치까지 타격스프링(S2)을 압축시키도록 형성된 압축턱(227), 상기 공이코(225) 상측에 상기 타격스프링(S2)이 일정길이 이상 압축되었을 때 상기 공이코(225)의 경사면을 눌러서 상기 공이코(225)가 압축턱(227)에서 이탈되어 타격되도록 하는 해제턱(22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이코(225)의 단부에서 상기 압축턱(227)까지의 길이는 상기 카트리지(100)에 저장된 침의 침병(10a) 길이의 1/2 이하로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공이코의 단부에서 상기 압축턱까지의 길이(d1)를 침병(10a)길이의 1/2 이하로 하면 타격공이 작동간이 로딩된 침을 완전하게 타격하지 못하고 복귀하는 경우에도 타격위치의 침이 "d1" 이하의 길이로만 밀려나기 때문에 완전히 타격되지 못한 침의 상단부가 인접한 침의 "d1" 길이(d2) 이하에 위치하게 되므로 인접한 침이 기울어지지 않고 그대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동작을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침기몸체에는 상기 버튼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스위치(도 6의 2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록킹스위치(도 6의 221-1)는 버튼(221)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기 위한 것이며,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버튼(221)이 눌려져 침(10)이 발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속식 자침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연속식 자침기는 회동자석부(300)가 자침기 몸체에서 이탈되도록 회동 시킨 후, 침이 저장된 상기 카트리지(100)를 자침기몸체(200)의 장착구(200h)에 삽입한 후, 회동자석부(300)를 카트리지(100)의 일측에 근접한 위치로 회동하여 카트리지(100)에 저장된 침(10)이 자력에 의해 당겨져 타격위치에 자동으로 배치되도록함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트리지(100)의 송출부(110)를 환부에 대고 버튼(221)을 눌러 일정길이 이상 하강시키면, 버튼(221) 내부의 공이코(225)가 압축턱(227)에 걸려져서 공이(223)를 탄지하는 타격스프링(S2)이 압축되며, 이 버튼(221)을 일정길이 이상 더 하강시키면, 공이코(225)의 경사면이 해제턱(229)에 의해 눌려져서 압축턱(227)으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타격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공이(223)를 발사시켜 타격 위치에 있는 침(10) 한 개를 순간적으로 타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빠른 속도로 순간적 타격이 이루어져야 시술에 따른 통증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침관을 이용하여 타격하는 방식에 비해 타격시 속도가 빨라 자침 시 월등한 통증 감소 효과가 있다.
타격 후 연속식 자침기를 환부로부터 들어올리면, 침(10)은 자침기에서 배출되어 환부에 그대로 꽂혀 있게 된다.
이어서, 눌려졌던 버튼(221)을 놓게 되면 공이(223)는 복귀스프링(S1)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고, 대기하고 있던 다른 침(10) 한 개가 제1자석(210)의 자력에 의해 타격위치에 자동으로 끌려와서 로딩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한 개 이상의 침(10)을 연속적으로 자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속식 자침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연속식 자침기의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3 및 도 4은 종래의 연속식 자침기의 카트리지의 타격공이 작동간에 따른 오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의 전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의 회동자석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의 회동자석부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자침기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침 10a:침병
10b:첨예부 100:카트리지
102:록킹홈 200:자침기몸체
200h:장착구 210:제1자석
220:타격수단 221:버튼
221-1:록킹스위치 223:공이
225:공이코 227:압축턱
229:해제턱 300:회동자석부
302:록킹돌기 310:제2자석
315:케이싱 320:하부조립체
330:상부조립체 334:힌지결합돌기
S1:복귀스프링 S2:타격스프링

Claims (5)

  1. 침을 연속적으로 자침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식 자침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침이 투입 저장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구, 상기 장착구에 장착된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의 첨예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부상시키는 제2자석, 상기 카트리지의 타격위치에 있는 침을 환부에 자침되도록 타격하는 타격수단이 구비된 자침기몸체; 및
    내부에 제1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자침기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장착구에 상기 카트리지를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자침기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자석의 자력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회동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자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자석부와 상기 카트리지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록킹돌기와 록킹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동자석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 근접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에 끼워져 카트리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록킹되고, 상기 회동자석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일측에서 이탈한 위치로 회동한 경우에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으로부터 빠져서 상기 카트리지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언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자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침기몸체에 구비된 타격수단은,
    카트리지 상측에 복귀스프링에 의해 위로 탄지되어 설치된 버튼, 상기 버튼 내부에 타격스프링에 의해 아래로 탄지되어 설치된 공이, 상기 공이의 일측에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공이코, 상기 공이코 하측에 버튼을 누를 때 상기 공이코가 걸려져서 일정 위치까지 타격스프링을 압축시키도록 형성된 압축턱, 상기 공이코 상측에 상기 타격스프링이 일정길이 이상 압축되었을 때 상기 공이코의 경사면을 눌러서 상기 공이코가 압축턱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해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자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코의 단부에서 상기 압축턱까지의 길이는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침의 침병 길이의 1/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자침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침기몸체에는 상기 버튼을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자침기.
KR1020080026193A 2007-07-18 2008-03-21 연속식 자침기 KR100903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193A KR100903350B1 (ko) 2008-03-21 2008-03-21 연속식 자침기
CN200880104138.9A CN101815495B (zh) 2007-07-18 2008-07-11 连续针刺设备和用于连续针刺设备的套筒
JP2010516918A JP5021074B2 (ja) 2007-07-18 2008-07-11 連続式刺鍼器及び連続式刺鍼器のカートリッジ
EP08778758.6A EP2173309B1 (en) 2007-07-18 2008-07-11 Consecutive acupuncture device
BRPI0814730A BRPI0814730A2 (pt) 2007-07-18 2008-07-11 consecutive acunpuncture device and cartridge for consecutive acunpuncture device
PCT/KR2008/004100 WO2009011522A1 (en) 2007-07-18 2008-07-11 Consecutive acupuncture device and cartridge for consecutive acupuncture device
US12/669,478 US8366732B2 (en) 2007-07-18 2008-07-11 Consecutive acupuncture device and cartridge for consecutive acupunctu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193A KR100903350B1 (ko) 2008-03-21 2008-03-21 연속식 자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350B1 true KR100903350B1 (ko) 2009-06-23

Family

ID=4098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193A KR100903350B1 (ko) 2007-07-18 2008-03-21 연속식 자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58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침 시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025A (ko) * 1992-05-28 1993-12-18 채영복 자동연속적으로 작동되는 피부침 기구
KR100553006B1 (ko) 2005-03-09 2006-02-20 주식회사 네오닥터 자동식 자침기
KR100585844B1 (ko) 2005-12-20 2006-06-02 주식회사 네오닥터 연속식 자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025A (ko) * 1992-05-28 1993-12-18 채영복 자동연속적으로 작동되는 피부침 기구
KR100553006B1 (ko) 2005-03-09 2006-02-20 주식회사 네오닥터 자동식 자침기
KR100585844B1 (ko) 2005-12-20 2006-06-02 주식회사 네오닥터 연속식 자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58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다나메디컬 침 시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1074B2 (ja) 連続式刺鍼器及び連続式刺鍼器のカートリッジ
US9271526B2 (en) Electronic cigarette box
JP4443610B2 (ja) 連続式刺針器
US7104400B2 (en) Medical syringe container
CN102379705B (zh) 一种安全采血笔
JPH03500254A (ja) 注射器に関する改良
KR100903350B1 (ko) 연속식 자침기
JP5397846B2 (ja) 遊技機
KR100585844B1 (ko) 연속식 자침기
JP2021171370A (ja) 遊技機
CN210712276U (zh) 一种具有锁定装置的熨烫设备
KR200485916Y1 (ko) 베드민턴 셔틀콕 보관용 케이스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US6270080B1 (en) Coin-operated item vending and game apparatus
KR100865666B1 (ko) 연속식 자침기의 카트리지
JP4049796B2 (ja) フロアハッチ用取手
KR101303835B1 (ko) 압력조리기의 뚜껑개폐 안전장치
JP5048016B2 (ja) プレパラート収納ケース
KR200486956Y1 (ko)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KR200410109Y1 (ko) 연속식 자침기
KR100924511B1 (ko) 연속식 자침기의 카트리지
JP3124233U (ja) 画鋲ケース
KR200366107Y1 (ko) 완구용 트레이딩 카드 케이스
JP4446550B2 (ja) レール解体の容易なパチンコ機の遊技盤
JP2648949B2 (ja) パチンコ機の球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