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103B1 -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103B1
KR100903103B1 KR1020070125629A KR20070125629A KR100903103B1 KR 100903103 B1 KR100903103 B1 KR 100903103B1 KR 1020070125629 A KR1020070125629 A KR 1020070125629A KR 20070125629 A KR20070125629 A KR 20070125629A KR 100903103 B1 KR100903103 B1 KR 100903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urrent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852A (ko
Inventor
구분회
오재응
Original Assignee
우리엘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엘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엘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103B1/ko
Priority to PCT/KR2008/007104 priority patent/WO2009072787A2/en
Priority to US12/667,325 priority patent/US8294178B2/en
Publication of KR2009005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 or current-block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01L33/30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3/32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containing nitro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층 내에서의 전자, 정공의 결합률을 극대화하여 전기적 특성 및 내부 양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어 활성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합물 반도체층 및 상기 활성층의 상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활성층에 전자 또는 정공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전류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양자효율, 전류확산, 화합물반도체

Description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Compoun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활성층 내에서의 전자, 정공의 결합률을 극대화하여 전기적 특성 및 내부 양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칭함)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1962년 GaAsP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적색 LED가 상품화된 것을 시작으로 GaP:N 계열의 녹색 LED 등이 정보통신기기를 비롯한 전자장치의 표시 광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가 주목받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GaN을 In, Al 등의 원소와 조합하여 녹색, 청색 및 백색광을 방출하는 반도체층들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평판표시장치, 신호등, 실내 조명, 고해상도 출력 시스템, 광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n-전극(110), 기판(101), 질화물계 반도체층 및 p-전극(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질화물계 반도체층은 n형 반도체층(102), 활성층(103) 및 p형 반도체층(10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n-전극(110)과 p-전극(120)은 각각 n형 반도체층(102)의 상부와 p형 반도체층(104)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질화물계 발광소자에 있어서, n-전극(110)과 p-전극(120)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n형 반도체층(102)과 p형 반도체층(104)으로부터 각각 전자(electrons)와 정공(holes)이 발생되어 활성층(103)으로 유입되며, 전자와 정공이 결합함으로써 활성층(103)으로부터 광이 발생된다.
한편, 활성층(103)의 광추출 효율(light extraction efficiency)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n형 반도체층(102)에서 발생되는 전자의 농도와 p형 반도체층(104)에서 발생되는 정공의 농도가 유사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경우, 통상 n형 반도체층(102)은 1.0 x 1019 cm-3의 전자 농도를 발생시키는 반면, p형 반도체층(104)은 정공을 제공하는 효율이 좋지 않아 일반적으로 5.0 x 1017 cm-3의 정공 농도를 발생시킨다. 상기 p형 반도체층(104) 내에 보다 많은 p형 불순물을 도핑할 수는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정공 제공 효율이 떨어져 p형 불순물의 도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p형 반도체층(104)에 비해 상기 n형 반도체층(102)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상기 p-전극(120)과 가까운 활성층(103)의 영역에 전자와 정공의 몰리게 되며, 이로 인해 전류 인가시 활성층(103) 전체에 균일하게 전류가 확산되지 못하여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전기적 특성 및 내부 양자 효율(internal quantum efficiency)이 감소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다른 기술은 상기 p-전극(120)과 p형 반도체층(104) 사이에 투명전극(105)을 사용하고 이를 상기 p형 반도체층(104)의 전면 상에 증착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활성층 내에서의 전자, 정공의 결합률을 극대화하여 전기적 특성 및 내부 양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어 활성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합물 반도체층 및 상기 활성층의 상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구비되는 상기 활성층에 전자 또는 정공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전류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류확산층은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 또는 Ⅱ-Ⅵ 산화물 반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는 Inx(AlyGa1-y)N(0≤x≤1, 0≤y≤1)의 일반식에 포함되는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Ⅱ-Ⅵ 산화물 반도체는 MgxZn1-xO(0≤x≤1)의 일반식에 포함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류확산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류확산층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위 전류확산층은 복수의 전류유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유도층 내에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될 수 있으며, 상기 전류 유도층 내에 n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경우, 상기 전류유도층 내의 n형 불순물 이온의 도핑 농도는 5 x 1019 cm-3 보다 작으며, 상기 전류유도층 내에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경우, 상기 전류유도층 내의 p형 불순물 이온의 도핑 농도는 1 x 1020 cm-3 보다 작다. 여기서, 상기 전류유도층은 1∼300n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류유도층에 있어서, 최대 농도의 전류유도층과 최소농도의 전류유도층 사이의 도핑 농도비는 1 : 0.00001∼0.5이며, 상기 단위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류유도층 중에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되지 않은 전류유도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류유도층에 있어서, 각각의 전류유도층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낮은 불순물 농도를 갖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류유도층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조합되어 단위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며, 상기 단위 전류확산층 내의 각 전류유도층 사이의 저항 차이에 의해 전류가 전류확산층의 수평 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되어 활성층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n형 불순물 이온으로 실리콘(Si) 이온이 이용되고, 상기 p형 불순물 이온으로 마그네슘(Mg) 이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실리콘(Si) 기판, GaAs 기판, MgO 기판, 사파이어(Al2O3) 기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기판 중 어느 하나 상에 GaN, InGaN, AlGaN, AlInGaN 중 어느 하나가 적층된 템플릿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활성층 상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일정 농도의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전류확산층이 구비됨에 따라, 전계 인가시 활성층 내에서의 전자와 정공의 결합률을 극대화시켜 활성층 내에 균일하게 전류를 확산시킬 수 있게 되며, 궁극적으로 누설전류, 항복전압 등의 전기적 특성 및 발광소자의 내부 양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발광소자의 정전기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확산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형 전류확산층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전류확산층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는 기판(201)과, 상기 기판(201) 상에 구비되는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은 상기 n형 반도체층(202), 활성층(203), p형 반도체층(204) 및 전류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류확산층은 상기 활성층(203)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n형 반도체층(202)과 활성층(203) 사이 또는 상기 활성층(203)과 p형 반도체층(204)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n형 반도체층(202)과 활성층(203) 사이 및 상기 활성층(203)과 p형 반도체층(204) 사이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일측에는 발광소자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n-전극, p-전극이 구비된다. 참고로, 발광소자는 그 형태에 따라 수평형과 수직형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의 발광소자는 수평형 및 수직형 발광소자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기판(201)은 실리콘(Si) 기판(201), GaAs 기판(201), MgO 기판(201), 사파이어(Al2O3) 기판(201)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기판(201) 중 어느 하나 상에 GaN, InGaN, AlGaN, AlInGaN 중 어느 하나가 적층된 템플릿 기판(201)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 반도체층을 구성하는 상기 n형 반도체층(202), 활성층(203), p형 반도체층(204) 및 전류확산층은 모두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되며, 일 실시예로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 또는 Ⅱ-Ⅵ 산화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로는 Inx(AlyGa1-y)N(0≤x≤1, 0≤y≤1)의 일반식에 포함되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Ⅱ-Ⅵ 산화물 반도체로는 MgxZn1-xO(0≤x≤1)의 일반식에 포함되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n형 반도체층(202)과 p형 반도체층(204)은, 상기 n-전극과 p-전극에 전계가 인가되면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생시켜 상기 활성층(203)에 공급하여 궁극적으로 상기 활성층(203) 내에서 전자와 정공의 결합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전류확산층은 일정 농도의 전자 또는 정공을 구비하여 전계 인가시 해당 전자 또는 정공을 상기 활성층(203)에 공급함으로써 활성층(203) 전체에 전류가 균일하게 확산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류확산층에는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되어 있으며,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전류확산층은 활성층(203)과 p형 반도체층(204) 사이에 구비되고, n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전류확산층은 n형 반도체층(202)과 활성층(203) 사이에 구비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n형 반도체층(202)과 활성층(203) 사이에 구비되는 전류확산층은 n형 전류확산층, 활성층(203)과 p형 반도체층(204) 사이에 구비되는 전류확산층은 p형 전류확산층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확산층이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n형 불순물 이온으로는 실리콘(Si) 이온, 상기 p형 불순물 이온으로는 마그네슘(Mg) 이온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류확산층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류확산층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위 전류확산층은 복수의 전류유도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전류유도층은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최 소 단위의 층으로서 상기 전류유도층 내에 실질적으로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다. 또한, 상기 전류유도층은 1∼300n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단위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류유도층은 서로 다른 도핑 농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동일한 도핑 농도를 가질 수도 있다. n형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전류유도층은 5 x 1019 cm-3 농도 이하의 n형 불순물 이온으로 도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p형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전류유도층은 1 x 1020 cm-3 농도 이하의 p형 불순물 이온으로 도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위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류유도층에 있어서, 최대 농도의 전류유도층과 최소농도의 전류유도층 사이의 도핑 농도비는 1 : 0.00001∼0.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도핑 농도로 불순물 이온이 도핑되는 전류유도층 이외에 상기 단위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류유도층 중 불순물 이온이 도핑되지 않은 전류유도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형 전류확산층, p형 전류확산층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단위 전류확산층(310)이 저농도(1 x cm-3)의 전류유도층(301)과 고농도(1 x 1019cm-3)의 전류유도층(301)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단위 전류확산층(310)이 5번 반복 적층되어 n형 전류확산층(300)을 구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단위 전류확산층(410)이 저농도(1 x 1016cm-3)의 전류유도 층(401)과 고농도(5 x 1017cm-3)의 전류유도층(401)으로 구성되고, 이와 같은 단위 전류확산층(410)이 5번 반복 적층되어 p형 전류확산층(400)을 구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소자의 단면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단면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확산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형 전류확산층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전류확산층의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기판 202 : n형 반도체층
203 : 활성층 204 : p형 반도체층
301, 401 : 전류유도층
310, 410 : 단위 전류확산층
300, 400 : 전류확산층

Claims (13)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어 활성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합물 반도체층; 및
    상기 활성층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활성층에 전자 또는 정공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전류확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류확산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 전류확산층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단위 전류확산층은 복수의 전류유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전류유도층은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전류유도층과,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되지 않은 전류유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확산층은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 또는 Ⅱ-Ⅵ 산화물 반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는 Inx(AlyGa1-y)N(0≤x≤1, 0≤y≤1)의 일반식에 포함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Ⅱ-Ⅵ 산화물 반도체는 MgxZn1-xO(0≤x≤1)의 일반식 에 포함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유도층 내에 n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경우, 상기 전류유도층 내의 n형 불순물 이온의 도핑 농도는 5 x 1019 cm-3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유도층 내에 p형 불순물 이온이 도핑된 경우, 상기 전류유도층 내의 p형 불순물 이온의 도핑 농도는 1 x 1020 cm-3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전류확산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류유도층에 있어서, 최대 농도의 전류유도층과 최소농도의 전류유도층 사이의 도핑 농도비는 1 : 0.000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유도층은 1∼300n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실리콘(Si) 기판, GaAs 기판, MgO 기판, 사파이어(Al2O3) 기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기판 중 어느 하나 상에 GaN, InGaN, AlGaN, AlInGaN 중 어느 하나가 적층된 템플릿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KR1020070125629A 2007-12-05 2007-12-05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KR100903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29A KR100903103B1 (ko) 2007-12-05 2007-12-05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PCT/KR2008/007104 WO2009072787A2 (en) 2007-12-05 2008-12-02 Light emitting device using compound semiconductor
US12/667,325 US8294178B2 (en) 2007-12-05 2008-12-02 Light emitting device using compound semicondu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29A KR100903103B1 (ko) 2007-12-05 2007-12-05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852A KR20090058852A (ko) 2009-06-10
KR100903103B1 true KR100903103B1 (ko) 2009-06-16

Family

ID=4071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629A KR100903103B1 (ko) 2007-12-05 2007-12-05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94178B2 (ko)
KR (1) KR100903103B1 (ko)
WO (1) WO200907278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5902B2 (en) 2010-12-16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o-structured light-emitting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60747A1 (de) 2009-12-30 2011-07-0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93055 Halbleiterchip
CN102097560B (zh) * 2010-12-31 2012-11-14 厦门市三安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复合式双电流扩展层的氮化物发光二极管
KR20130097363A (ko) * 2012-02-24 201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2738334B (zh) * 2012-06-19 2015-07-08 厦门市三安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电流扩展层的发光二极管及其制作方法
KR102013363B1 (ko) * 2012-11-09 2019-08-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US9935238B2 (en) * 2014-04-07 2018-04-03 Lg Innotek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ing system
CN104300064B (zh) * 2014-10-10 2018-04-24 华灿光电(苏州)有限公司 一种GaN基发光二极管的外延片及其制备方法
US9865772B2 (en) 2015-01-06 2018-01-09 Apple Inc. LED structures for reduced non-radiative sidewall recombination
US9484492B2 (en) * 2015-01-06 2016-11-01 Apple Inc. LED structures for reduced non-radiative sidewall recombination
US9601659B2 (en) * 2015-01-06 2017-03-21 Apple Inc. LED structures for reduced non-radiative sidewall recombination
DE102016120419A1 (de) * 2016-10-26 2018-04-26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Halbleiterkörper
KR102432226B1 (ko) * 2017-12-01 2022-08-12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반도체 소자
TW202032810A (zh) * 2018-12-31 2020-09-01 美商納諾光子公司 包含電子分散層之量子點發光二極體及其製造方法
US12000552B2 (en) 2019-01-18 2024-06-04 Kyocera Sld Laser, Inc. Laser-based fiber-coupled white light system for a vehicle
CN114188448B (zh) * 2020-09-14 2024-05-28 厦门乾照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芯片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301A (ko) * 2005-10-31 2007-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971B1 (ko) 2005-02-28 2006-10-11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KR100638729B1 (ko) * 2005-03-30 2006-10-30 삼성전기주식회사 3족 질화물 발광 소자
US20070029541A1 (en) * 2005-08-04 2007-02-08 Huoping Xin High efficiency light emitting device
KR100674862B1 (ko) * 2005-08-25 2007-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KR101073249B1 (ko) 2005-09-06 2011-10-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03091B1 (ko) * 2005-09-08 2007-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65364B1 (ko) * 2005-12-28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TWI320606B (en) * 2006-08-07 2010-02-11 Epistar Corp A method for making a light emitting diode by electroless plating
KR100869962B1 (ko) * 2006-12-07 2008-1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류 확산층을 포함하는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US20100006884A1 (en) * 2007-08-07 2010-01-14 Epistar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KR20090034169A (ko) *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에피밸리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301A (ko) * 2005-10-31 2007-05-03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5902B2 (en) 2010-12-16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o-structured light-emitt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2787A3 (en) 2009-08-27
US20110006320A1 (en) 2011-01-13
US8294178B2 (en) 2012-10-23
WO2009072787A2 (en) 2009-06-11
KR20090058852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103B1 (ko)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
KR100631971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
JP4359263B2 (ja) 半導体発光装置
KR101611412B1 (ko) 발광 소자
KR20040008216A (ko) 질화물 반도체소자
CN114843384A (zh) 一种发光二极管的外延结构及其制备方法
CN112909141A (zh) 一种氮化物半导体发光元件及其制作方法
KR20130019279A (ko) 발광소자
KR20120100056A (ko) 발광 소자
KR20100066207A (ko) 반도체 발광소자
KR101043345B1 (ko) 질화물 반도체 소자
KR20100027407A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EP2816616A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101504155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2212781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KR101678524B1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3953A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CN111326616A (zh) 一种半导体发光元件
KR102416413B1 (ko) 마이크로 발광소자
TW200410425A (en)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KR20170096489A (ko) 발광 소자
KR20230114562A (ko) 마이크로 발광소자
KR102363038B1 (ko)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9633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CN117525231A (zh) 一种发光二极管及发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