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803B1 - 디스크 제어 시스템, 디스크 제어 장치 및 디스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 제어 시스템, 디스크 제어 장치 및 디스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803B1
KR100902803B1 KR1020070060614A KR20070060614A KR100902803B1 KR 100902803 B1 KR100902803 B1 KR 100902803B1 KR 1020070060614 A KR1020070060614 A KR 1020070060614A KR 20070060614 A KR20070060614 A KR 20070060614A KR 100902803 B1 KR100902803 B1 KR 10090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ification
disk control
completed
area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2378A (ko
Inventor
고우지 후지무라
다케노리 호시노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04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 G06F11/3612Software analysis for verifying properties of programs by runtime analysi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1Plc I-O input output
    • G05B2219/11101Verifying ram data correct, validity, reload faulty data with correc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과제
자기 디스크 등의 베리파이 (verify) 처리를 실시하는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서, 다른 처리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함과 함께, 베리파이 처리를 마지막까지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베리파이할 기억 영역을 소정의 에어리어마다 분할하여 베리파이를 실시하도록 하고, 베리파이 완료된 에어리어 번호를 기억하여, 베리파이 완료된 에어리어의 다음 에어리어로부터 베리파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는, 베리파이 완료된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기억된 어드레스 다음부터 베리파이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또는, 베리파이 실시 간격 또는 베리파이 개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는, CPU 사용률 또는 디스크 제어 장치의 사용률에 따라, 베리파이의 빈도를 변화시키도록 하였다.
베리 파이, 디스크 제어 장치

Description

디스크 제어 시스템, 디스크 제어 장치 및 디스크 제어 방법{DISC CONTROL SYSTEM, DISC CONTROL APPARATUS, AND DISC CONTROL METHOD}
도 1 은,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차트.
도 3 은,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차트.
도 4 는, 실시예 2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5 는, 실시예 2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차트.
도 6 은, 실시예 2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차트.
도 7 은, 실시예 3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8 은, 실시예 3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차트.
도 9 는, 실시예 4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10 은, 실시예 4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차트.
도 11 은, 실시예 5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12 는, 실시예 5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차트.
도 13 은, 실시예 6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14 는, 실시예 6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 차트.
부호의 설명
1 RAID 콘트롤러
2, 3 HDD
4 파라미터 저장부
6 OS (오퍼레이션 시스템)
7 디스크 제어 장치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75703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84976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24893호
본 발명은, 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의 데이터 체크 (이하 「베리파이 (verify)」 라 한다) 를 실시하는 디스크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수의 HD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를 결합하여 디스크 어레이로 하여 1 대의 HDD 로서 사용함으로써 액세스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 또는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내 장애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RAID (Redundant Arrays of Independent Disks)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RAID 기술에서의 종래의 베리파이의 방법에서는, 한 번, 베리파이를 개시하면, 베리파이를 완료할 때까지 그 처리를 정지시키지 못하고, 베 리파이를 완료할 때까지 일정한 부하를 시스템에 계속 부여하기 때문에, CPU 사용률이 증가하여, 다른 처리의 처리 속도가 늦어지거나 일시적으로 행업되는 일이 있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CPU 사용률이 일정 이상이 되었을 때에 베리파이 처리를 정지시키는 CPU 부하 제어 처리 기술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이나, 베리파이를 실시하는 에어리어를 세분화하여, 하나의 베리파이 커맨드 당 처리 시간을 짧게 하는 에어리어 분할 처리 기술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CPU 부하 제어 처리에서는, CPU 사용률이 소정 이상이 되면 베리파이 처리를 일단 정지시키기 때문에, 운용 중에 CPU 사용률이 높은 처리가 연속된 경우에는, 베리파이 처리를 정지시킨 시간이 길어져 마지막까지 베리파이를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 문제는, 최근의 HDD 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한층 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즉, HDD 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베리파이를 종료하기 전에 시스템 운용이 종료되어 버려, 다음번 기동시에 재차, 최초의 어드레스로부터 베리파이를 실시하게 되어, 언제까지나 베리파이를 완료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 다른 하나의 에어리어 분할 처리에서도, 운용 중에 CPU 사용률이 높은 처리가 연속된 경우에는, 다른 처리와 경합하여 영향을 주는 일이 있었다. 그리고, 동일하게, 최근의 HDD 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베리파이 종료 전에 운용이 종료되어 버려, 다음번 기동시에 재차, 최초의 어드레스로부터 베리파이를 실시하게 되어, 언제까지나 베리파이를 완료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구성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은, 기억 장치의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는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서, 적어도 베리파이 실시 완료된 정보를 저장하는 파라미터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라미터 저장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또는, 다른 발명에서는, CPU 등의 사용률을 측정하는 사용률 측정부와, CPU 사용률 등의 판정 임계치를 저장하는 파라미터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률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와, 상기 판정 임계치에 기초하여,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는 빈도를 변화시키도록 하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 형태 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RAID 기술을 이용한 디스크 어레이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백 그라운드에서 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의 베리파이를 실시하는 시스템이면 되고, 하나의 기억 장치의 베리파이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베리파이하는 기억 영역을 설정된 분할수로 분할하여 베리파이를 실시하고 베리파이 완료된 에어리어 번호를 기억하도록 하여 다음 베리파이에서는, 베리파이 미실시 에어리어로부터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구성)
도 1 은,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AID 기술을 이용한 파일 시스템에서는, 고속화를 목적으로 한 분산 기록으로서 스트라이핑 (RAID0),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미러 링 (RAID1), 이들을 복합화한 것 (RAID1+0) 등의 몇 개의 RAID 레벨을 서포트하고 있고, 이것을 RAID 콘트롤러 (1) 및 디스크 제어 장치 (7) 에 의해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RAID1+0 제어인 경우에는, 기억 영역 전체를 상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임의로 설정된 분할수로 분할된 2 대의 HDD (2 및 3) 는, 이들을 제어하는 디스크 제어 장치 (7) 를 경유하여, 상위 장치 (10) 인 지점의, RAID 콘트롤러 (1), 그리고 그 상위측의 오퍼레이션 시스템 (이하 「OS(6)」 라고 한다), 그 상위측의 어플리케이션 (이하 「AP」 라고 한다) 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RAID 콘트롤러 (1) 의 내부에는, 디스크 제어용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파라미터 저장부 (4) 가 형성되어, 기억 영역 전체를 분할하는 값으로서의 분할수 (4a) 와, 마지막으로 베리파이를 완료한 실시 완료 에어리어 번호 (4b) 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파라미터 저장부 (4) 를 RAID 콘트롤러 (1) 의 내부에 형성하는 구성을 예로서 이하에 설명하지만, AP (5) 를 비롯해 OS (6) 나 RAID 콘트롤러 (1) 등에 저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파라미터 저장부 (4) 의 내용을 레지스트리 파일 등에 기술하여 HDD (2 및 3) 에 저장해 두도록 해도 된다.
(동작)
이상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이 동작을, 도 2 및 도 3 의 동작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도 2 와 같이, 베리파이 개시전에 파라미터 저장부 (4) 의 분할수 (4a) 및 실시 완료 에어리어 번호 (4b) 를 판독하고 (단계 S1), 분할수 (4a) 에 의해 베리파이 대상의 총용량을 분할하고 (단계 S2), 실시 완료 에어리어 번호 (4b) 에 의해 개시 에어리어를 결정하고 (단계 S3), 베리파이를 실행한다 (단계 S4). 예를 들어, 도 1 과 같이, #002 까지, 베리파이를 종료했을 때에는, 다음번 베리파이에서는 #003 에서부터 실시한다.
그리고, 도 3 으로 옮겨, 본 시스템의 운용을 종료할 때에, 베리파이를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 S5), 새로운 에어리어의 베리파이를 완료했을 때에는, 전회 베리파이를 실시했을 때의 기록인 실시 완료 에어리어 번호 (4b) 를 갱신한다. 이 경우에는, 다음번 베리파이는, 새롭게 베리파이를 완료한 에어리어의 다음 에어리어로부터 베리파이를 실행시키게 된다.
한편, 단계 S5 에서 베리파이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시 완료 에어리어 번호 (4b) 는 갱신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다음번 베리파이 실시를 하는 경우에도, 이번과 동일한 에어리어로부터 실시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실시 완료된 에어리어의 마지막 번호를 기억해 두고, 다음 베리파이에서는, 실시 완료된 에어리어의 다음 에어리어로부터 실시하도록 설명했지만, 실시 완료된 에어리어 번호를 모두 기억해 두고, 다음 베리파이에서는 미실시 에어리어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에어리어에 대해 베리파이를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1 의 효과)
이상과 같이,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베리파이하는 기억 영역을, 설정된 분할수로 분할하여 베리파이를 실시하도록 하고 베리파이 완료된 에어리어 정보를 기억하도록 하였으므로, 베리파이 1 회당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다른 처리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다음 베리파이에서는, 실시 완료된 에어리어의 다음부터 베리파이를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베리파이 완료된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다음 베리파이에서는, 기억된 베리파이 완료된 어드레스의 다음부터 베리파이를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구성)
도 4 는, 실시예 2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2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RAID 콘트롤러 (1) 의 파라미터 저장부 (4) 에 마지막으로 베리파이를 실시한 실시 완료 어드레스 (4c) 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과 동 일하므로, 간략화를 위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동작)
이상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2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이 동작을, 도 5, 도 6 의 동작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도 5 와 같이, 베리파이 개시전에, 마지막으로 베리파이를 실시한 어드레스인 파라미터 저장부 (4) 의 실시 완료 어드레스 (4c) 를 판독하고 (단계 S10), 해당 실시 완료 어드레스 (4c) 로부터 베리파이 개시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단계 S11), 베리파이를 실행한다 (단계 S12).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 완료 어드레스 (4c) 가 "1234AB (H)" 일 때에는, 베리파이 개시 어드레스는, 다음의 어드레스인 "1234AC (H)" 가 된다.
그리고, 도 6 으로 옮겨, 본 시스템의 운용을 종료할 때에, 베리파이할 전체 기억 영역의 베리파이를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 S13), 베리파이가 완료된 경우에는, 실시 완료 어드레스 (4c) 를 선두 어드레스, 즉 0(H) 로 갱신한다. 이 경우, 다음번 베리파이는, 선두 어드레스 0(H) 로부터 새롭게 베리파이를 실행시키게 된다.
한편, 베리파이할 전체 기억 영역의 베리파이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베리파이를 실시한 어드레스를 실시 완료 어드레스 (4c) 에 겹쳐쓰기하여 갱신한다. 이 경우, 다음번 베리파이는, 실시 완료 어드레스 (4c) 다음부터 실시하게 된다.
(실시예 2 의 효과)
이상과 같이, 실시예 2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마지막으로 베리파이를 실시한 어드레스를 베리파이 개시 어드레스로서 기억해 두도록 하였으므로, 다음의 베리파이에서는, 베리파이 완료된 다음의 어드레스부터 실시할 수 있고, 베리파이를 위한 시간을 길게 잡을 수 없는 시스템에서도, 베리파이할 전체 영역을 베리파이 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베리파이를 실시하는 간격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성)
도 7 은, 실시예 3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3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RAID 콘트롤러 (1) 의 파라미터 저장부 (4) 에 베리파이를 실시하는 간격 (시간) 을 나타내는 베리파이 실시 간격 (4d) 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간략화를 위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동작)
이상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3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이 동작을, 도 8 의 동작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베리파이 개시전에, 파라미터 저장부 (4) 에 저장된 베리파이 실시 간격 (4d) 을 판독하고 (단계 S20), 해당 베리파이 실시 간격 (4d) 으로부터 베리파 이를 실시하는 간격 (시간) 을 결정하고 (단계 S21), 베리파이를 실행한다 (단계 S22).
그리고, 이 베리파이 실시 간격 (4d) 의 간격 (시간) 에 의해, 베리파이를 반복하여, 시스템 전체의 운용 종료와 함께 베리파이를 종료한다.
(실시예 3 의 효과)
이상과 같이, 실시예 3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베리파이를 실시하는 간격을 미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베리파이에 의한 다른 처리에 대한 영향을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베리파이 개시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성)
도 9 는, 실시예 4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4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RAID 콘트롤러 (1) 의 파라미터 저장부 (4) 에 베리파이 개시 시간 (스타트 타임) 을 표시하는 베리파이 개시 시간 (4e) 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간략화를 위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동작)
이상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4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이 동작을, 도 10 의 동작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베리파이 개시전에, 파라미터 저장부 (4) 에 저장된 베리파이 개시 시간 (4e) 을 판독하고 (단계 S30), 베리파이 개시 시간 (4e) 으로부터 베리파이를 개시하는 시간을 설정하고 (단계 S31), 베리파이 개시 시간 (4e) 이 되면 (단계 S32), 베리파이를 실행한다 (단계 S32). 이 베리파이 개시 시간은 실시간 타이머로 감시하여, 설정된 시간이 되었을 때에 인터럽트 처리로 베리파이를 실시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베리파이를 반복하여, 시스템 전체의 운용 종료와 함께, 베리파이를 종료한다.
(실시예 4 의 효과)
이상과 같이, 실시예 4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베리파이를 개시하는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시스템 기동 후의 초기 설정 등의 다른 처리를 고려하여 베리파이 개시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다른 처리에 주는 영향을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CPU 사용률에 따라, 베리파이의 빈도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구성)
도 11 은, 실시예 5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5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RAID 콘트롤러 (1) 의 파라미터 저장부 (4) 에, 베리파이를 정지시키는 CPU 사용률의 상한치인 CPU-High (4f) 와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연장시키는 CPU 사용률의 하한치인 CPU-Low (4g) 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간략화를 위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CPU 사용률에 대해서는, 통상, OS (6) 에 문의를 실시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 (6) 가, Windows 인 경우에는 (Windows 는, 미국 Microsoft 사의 등록상표), Performance Counter 클래스 등을 이용하여 CPU 의 사용률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이상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5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이 동작을, 도 12 의 동작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베리파이 개시전에 파라미터 값 CPU-High (4f) 및 CPU-Low (4g) 를 판독하고 (단계 S40), 베리파이 개시 후 (단계 S41), 상기 기술한 방법에 의해 CPU 사용률 α 측정하여 (단계 S42), 그 CPU 사용률 α 에 따라 이하의 처리를 각각 실시한다 (단계 S43).
즉, CPU 사용률 α 가 상한치 CPU-High (4f) 이상일 경우에는, CPU 가 Busy 상태이므로 베리파이를 일시 정지시키고 (단계 S45),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후 (단계 S46), 재차 CPU 사용률 α 를 측정하고 (단계 S47), 상한치 CPU-High (4f) 보다 Zch% 정도 밑돌아 Busy 상태가 아닐 때에는 (단계 S48), 베리파이를 재개한다 (단계 S49). 또한, Busy 상태의 판정 임계치인 Zch 로서는, 통상, 10%∼2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베리파이를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 S55ㆍS56),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2 로 되돌아가, CPU 사용률 α 를 측정하고 이후, 상기 서술한 바와 동일한 처리를 반복 실시한다.
한편, 단계 S43 에서, CPU 사용률 α 가 하한치 CPU-Low (4g) 이하였을 경우에는, CPU 가 빈 상태이므로,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소정 시간 짧게 하여 베리파이를 계속시킨다 (단계 S50ㆍS51). 여기서,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짧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소정량 감산하도록 해도 되고, 일정한 비율로 나눗셈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CPU 사용률 α 를 측정하여 (단계 S52), 하한치 CPU-Low (4g) 보다 Zcl% 정도 웃돌았을 때에는 (단계 S53), Busy 상태가 되는 중이므로,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초기치로 되돌리고 (단계 S54), 일정시간 경과 후, 베리파이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 S55ㆍS56), 베리파이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2 로 되돌아가, CPU 사용률 α 를 측정하고, 이후의 처리를 동일하게 실시한다.
또한, 단계 S53 에서의 판정 임계치인 Zcl 로서는, 상기 서술한 단계 S48 에서의 판정 임계치와 동일하게, 통상, 10%∼2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단계 S43 에서, CPU 사용률 α 가 상한치 CPU-High (4f) 보다 작고, 또한 하한치 CPU-Low (4g) 보다 큰 경우에는, CPU 가 통상의 상태이므로 베리파이를 계속하고 (단계 S44), 일정시간 경과 후, 베리파이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2 로 되돌아가, CPU 사용률 α 를 측정하고 이후의 처리를 동일하게 실시한다 (단계 S55ㆍS56).
또한, CPU 가 Busy 상태인 경우, 단계 S45 에서 베리파이를 일시 정지하도록 설명했지만, 일시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길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CPU 가 빈 상태에서 Busy 상태가 되는 중인 경우, 단계 S54 에서,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초기치로 되돌려 길게 하도록 설명했지만,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소정의 양 또는 비율에 의해 길게 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5 의 효과)
이상과 같이 실시예 5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CPU 사용률에 의해 CPU 상태를 판정하고, Busy 상태일 때에는 베리파이를 중단하여 CPU 사용률이 저하되는 것을 기다리도록 하고, 한편, 빈 상태인 경우에는 베리파이의 간격을 짧게 하도록 하였으므로, 베리파이에 의한 다른 처리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디스크 제어 장치의 사용률에 따라, 베리파이의 빈도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구성)
도 13 은, 실시예 6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6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RAID 콘트롤러 (1) 의 파라미터 저장부 (4) 에, 베리파이를 정지시키는 디스크 제어 장치의 사용률의 상한치인 Disk I/O-High (4h) 와,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연장시키는 디스크 제어 장치의 사용률의 하 한치인 Disk I/O-Low (4i) 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간략화를 위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디스크 제어 장치의 사용률에 대해서는, CPU 의 사용률과 동일하게, OS (6) 에 문의를 실시함으로써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 (6) 가, Windows 인 경우에는 (Windows 는, 미국 Microsoft 사의 등록상표), Performance Counter 클래스 등을 이용하여 디스크 제어 장치의 사용률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동작)
이상의 구성에 의해, 실시예 6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이 동작을, 도 14 의 동작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베리파이 개시전에 파라미터 값 Disk I/O-High (4h) 및 Disk I/O-Low (4i) 를 판독하고 (단계 S60), 베리파이 개시 후 (단계 S61),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 β 를 측정하여 (단계 S62),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 β 에 따라 이하의 처리를 각각 실시한다 (단계 S63).
즉,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 β 가 상한치 Disk I/O-High (4h) 이상일 경우에는, 디스크 제어 장치 (7) 가 Busy 상태이므로 베리파이를 일시 정지시키고 (단계 S65), 소정의 시간을 경과 후 (단계 S66), 재차,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 β 를 측정하여 (단계 S67), 상한치 Disk I/O-High (4h) 보다 Zdh% 정도 밑돌아 Busy 상태가 아닐 때에는 (단계 S68), 베리파이를 재개한다 (단계 S69). 여기서, Busy 상태의 판정 임계치인 Zdh 로서는, 실시예 5 과 동일하게, 통상, 10%∼2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베리파이를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 S75ㆍS76),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2 로 되돌아가,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 β 를 측정하고, 이후, 상기 서술한 바와 동일한 처리를 반복 실시한다.
한편, 단계 S63에서,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 β 가 하한치 Disk I/O-Low (4i) 이하인 경우에는, 디스크 제어 장치 (7) 가 빈 상태이므로,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소정량 짧게 하여 베리파이를 계속시킨다 (단계 S70ㆍS71). 여기서,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짧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소정량을 감산하도록 해도 되고, 일정한 비율로 나눗셈하여 감소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 β 를 측정하여 (단계 S72), 하한치 Disk I/O-Low (4i) 보다 Zdl% 이상 웃돌았을 때에는 (단계 S73), Busy 상태가 되는 중이므로,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초기치로 되돌리고 (단계 S74), 일정시간 경과 후, 베리파이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 S75ㆍS76), 베리파이를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2 로 되돌아가,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 β 를 측정하고, 이후의 처리를 동일하게 실시한다.
또한, 단계 S73 에서의 판정 임계치인 Zdl 로서는, 전술 단계 S68 에서의 판정 임계치와 동일하게 10%∼2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단계 S63 에서,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 β 가 상한치 Disk I/O-High (4h) 보다 작고, 또한 하한치 Disk I/O-Low (4i) 보다 큰 경우에는, 통상 의 상태이므로 베리파이를 계속하고 (단계 S64), 일정시간 경과 후, 베리파이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2 로 되돌아가,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 β 를 측정하고 이후의 처리를 동일하게 실시한다 (단계 S75ㆍS76).
또한, 디스크 제어 장치 (7) 가 Busy 상태인 경우, 단계 S65 에서 베리파이를 일시 정지하도록 설명했지만, 일시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길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디스크 제어 장치 (7) 가 빈 상태에서 Busy 상태가 되는 중인 경우, 단계 S74 에서,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초기치로 되돌리도록 설명했지만, 베리파이 실시 간격을 소정의 양 또는 비율에 의해 길게 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6 의 효과)
이상과 같이 실시예 6 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디스크 제어 장치 (7) 의 사용률에 의해 디스크 제어 장치 상태를 판정하고, Busy 상태일 때에는 베리파이를 중단시켜 디스크 제어 장치의 사용률이 저하되는 것을 기다리도록 하고, 한편, 빈 상태인 경우는 베리파이의 간격을 짧게 하도록 하였으므로, 베리파이에 의한 다른 처리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그 밖의 변형예》
이상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각 실시형태를 독립하여 실시하도록 설명했지만, 각각을 복합시켜 실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실시예 1 과 실시예 5 를 복합시켜, 기억 장치의 기억 영역을 소 정의 에어리어마다 분할하여 베리파이를 실시하고 실시 완료된 에어리어 번호를 기억해 두고, 다음 베리파이에서는 해당 실시 완료된 에어리어의 다음 에어리어에서부터 베리파이를 실시하도록 하고, CPU 가 Busy 상태인지 여부를 CPU 사용률에 의해 판정하여, Busy 상태이면, 베리파이의 빈도를 내리고, 빈 상태이면 베리파이의 빈도를 증가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기 디스크 등의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는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기억 장치의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는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서, 적어도 베리파이 실시 완료된 정보를 저장하는 파라미터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라미터 저장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하였으므로, 다른 처리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함과 함께, 중복된 베리파이를 실시할 필요가 없고 확실하게 베리파이를 완료할 수 있다.
또는, CPU 등의 사용률을 측정하는 사용률 측정부와, CPU 사용률 등의 판정 임계치를 저장하는 파라미터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률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와, 판정 임계치에 기초하여,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는 빈도를 변화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다른 처리에 대한 영향을 더욱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확실하게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2)

  1. 기억 장치의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는 디스크 제어 시스템에서,
    적어도 베리파이 실시 완료된 정보를 저장하는 파라미터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라미터 저장부의 정보에 기초하여 베리파이 실시 완료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는 제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저장부는, 상기 기억 장치의 기억 영역을 소정의 에어리어마다 분할하는 분할수 및 베리파이 완료된 에어리어 번호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분할수에 의해 기억 영역을 분할하고 상기 베리파이 완료된 에어리어 번호의 다음 에어리어에서부터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저장부는, 베리파이 완료된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리파이 완료된 어드레스 다음부터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저장부는, 베리파이 처리 간격 또는 베리파이 개시 시간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리파이 처리 간격 또는 베리파이 개시 시간에서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장치.
  5. CPU 사용률 또는 디스크 제어 장치의 사용률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CPU 사용률 또는 디스크 제어 장치 사용률의 판정 임계치를 저장하는 파라미터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와 상기 판정 임계치에 기초하여,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는 빈도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파이 처리의 빈도는, 베리파이 간격 또는 베리파이를 정지시키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장치.
  7. 기억 장치와,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크 제어 장치와,
    상기 디스크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상위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억 장치의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시스템.
  8. 기억 장치의 기억 영역을 소정의 에어리어마다 분할하여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와,
    베리파이 완료된 에어리어 번호를 기억하는 단계를 형성하고,
    상기 베리파이 완료된 에어리어 번호의 다음 에어리어에서부터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방법.
  9. 베리파이 완료된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단계를 형성하고,
    상기 베리파이 완료된 어드레스의 다음부터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방법.
  10. 베리파이의 간격 또는 베리파이 개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형성하고,
    상기 베리파이의 간격 또는 베리파이 개시 시간에서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방법.
  11. CPU 사용률 또는 디스크 제어 장치 사용률을 측정하는 단계와,
    CPU 사용률 또는 디스크 제어 장치 사용률의 판정 임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형성하고,
    상기 측정한 CPU 사용률 또는 디스크 제어 장치 사용률 및 상기 판정 임계치에 기초하여, 베리파이 처리를 실시하는 빈도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디스크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파이 처리의 빈도는, 베리파이의 간격 또는 베리파이를 정지시키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어 방법.
KR1020070060614A 2006-06-26 2007-06-20 디스크 제어 시스템, 디스크 제어 장치 및 디스크 제어방법 KR100902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75121 2006-06-26
JP2006175121A JP4904942B2 (ja) 2006-06-26 2006-06-26 ディスク制御システム、ディスク制御装置およびディスク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378A KR20070122378A (ko) 2007-12-31
KR100902803B1 true KR100902803B1 (ko) 2009-06-12

Family

ID=3900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614A KR100902803B1 (ko) 2006-06-26 2007-06-20 디스크 제어 시스템, 디스크 제어 장치 및 디스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04942B2 (ko)
KR (1) KR100902803B1 (ko)
CN (1) CN100549929C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3053A (ja) * 1998-01-09 1999-07-30 Fujitsu Ltd ディスク装置およびベリファイ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2001100939A (ja) * 1999-09-27 2001-04-13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アレイ装置およびディスクアレイ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5432A (ja) * 1988-03-28 1989-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記録再生装置
JPH1153845A (ja) * 1997-08-04 1999-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
JP2000285031A (ja) * 1999-03-29 2000-10-13 Teglet Gijutsu Kaihatsu:Kk コンピューターファイル自動複製装置および方法
JP2000311452A (ja) * 1999-04-28 2000-11-07 Nec Corp 磁気ディスク装置
JP4091325B2 (ja) * 2002-03-22 2008-05-2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再生装置並びに同装置におけるフォーマット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04011823A (ja) * 2002-06-10 2004-01-15 Kayaba Ind Co Ltd 電磁緩衝器
JP2004078787A (ja) * 2002-08-22 2004-03-11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オーディオ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JP4081395B2 (ja) * 2003-03-24 2008-04-2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4319087A (ja) * 2004-06-18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3053A (ja) * 1998-01-09 1999-07-30 Fujitsu Ltd ディスク装置およびベリファイ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2001100939A (ja) * 1999-09-27 2001-04-13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アレイ装置およびディスクアレイ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9929C (zh) 2009-10-14
CN101097502A (zh) 2008-01-02
JP2008003996A (ja) 2008-01-10
KR20070122378A (ko) 2007-12-31
JP4904942B2 (ja)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4664B2 (ja) サービス品質に基づくストレージ階層化及び移動技法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704239B2 (en) Garbage collection method for storage medium,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RU2642349C1 (ru) Способ для со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посредством устройства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и устройство хранения данных
JP4699837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管理計算機及びデータ移動方法
US9626105B2 (en) Controlling a storage system
US8312121B2 (en) Storage system comprising function for alleviating performance bottleneck
JP4935331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と記憶領域の選択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146087B2 (ja) ストレージ制御プログラム,ストレージ制御方法,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その階層制御装置
JP2015210718A (ja) 記憶制御装置、ストレージシステム、および記憶制御プログラム
JP6111575B2 (ja) ストレージ装置、内部処理制御方法および内部処理制御プログラム
JP6119533B2 (ja) ストレージ装置,ステージング制御方法及びステージング制御プログラム
TWI662418B (zh)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mory access method
US9448740B2 (en) Storage apparatus and hierarchy control method
CN110058960B (zh) 用于管理存储系统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US20150039824A1 (en) Implementing enhanced buffer management for data storage devices
US20130246706A1 (en) Storage apparatus and program update method
JP4891811B2 (ja) 制御装置および記憶装置
JP2008046763A (ja) ディスクアレイサブ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902803B1 (ko) 디스크 제어 시스템, 디스크 제어 장치 및 디스크 제어방법
JPH09265357A (ja) ディスクアレイ装置
CN103176753A (zh) 存储设备及其数据管理方法
US20160196064A1 (en) Storag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system
JP5678923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入出力制御装置、入出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2217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background operations using rotational position sorting
CN115840540B (zh) Raid阵列扩容方法、装置、设备、raid卡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