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393B1 -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 Google Patents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393B1
KR100902393B1 KR1020080029187A KR20080029187A KR100902393B1 KR 100902393 B1 KR100902393 B1 KR 100902393B1 KR 1020080029187 A KR1020080029187 A KR 1020080029187A KR 20080029187 A KR20080029187 A KR 20080029187A KR 100902393 B1 KR100902393 B1 KR 100902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lock
center
widt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길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083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curvature of the tyr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special properties of the tread pattern
    • B60C2011/0334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3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5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6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heavy dut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것으로,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종그루부와, 상기 종그루브와 교차하는 다수의 횡그루부에 의해 구획되는 블록들이 러그 패턴을 이루며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횡그루브는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이를 지나는 수평선과 경사각을 이루며 외측 솔더부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측의 폭보다 상기 솔더부측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 타이어의 접지면에서 발생하는 타이어의 숄더부의 편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트레드, 패턴, 러그, 횡그루브

Description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HEAVY DUTY PENUMATIC RADIAL TIRE OF DIRCTIONAL RUG PATTEN}
본 발명은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주행중 타이어의 숄더부에 발생하는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의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는 실생활에서 중요한 교통수단으로써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그 기능 및 성능의 최적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타이어는 자동차와 노면이 닿는 부분으로써 운전자의 안정성 및 승차감을 좌우하게 됨에 따라 더욱 요구되고 있다.
상기 타이어가 노면과 닿는 트레드의 패턴은 그 형상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타이어의 이상마모를 최소화하고, 자동차의 승차감 및 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도 6은 종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트패턴은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HG)와,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트레드의 센터 부위에 형성된 센터 종그루브(CS) 및 트레드의 숄더부위에 형성된 숄더 종그루브(SG)에 의해 구획된 트레드부의 센터부위에 형성된 센터블록(CB)과, 트레드부의 숄더부위에 형성된 숄더 블록(SB)과, 센터 블록(CB)과 숄더 블록(SB) 사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미들 블록(M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센터 블록(CB)은 타이어 주행방향 중심선(C)상에 위치한 블록을 말하며, 횡그루브(HG)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고, 횡그루부(HG)에 의해 구획되는 블록들(CB, MB, SB)도 횡그루브(GM)을 따라 지그 재그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중하중용 레디얼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사용초기 또는 중기에 타이어의 숄더부가 센터부 대비 빠른 마모가 이루어져 타이어의 수명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러그 패턴을 구획하는 횡그루브가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하여, 타이어의 접지면에서 발생하는 타이어의 숄더부의 편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종그루부와, 종그루브와 교차하는 다수의 횡그루부에 의해 구획되는 블록들이 러그 패턴을 이루며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횡그루브는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이를 지나는 수평선과 경사각을 이루며 외측 솔더부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측의 폭보다 솔더부측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횡그루브의 곡률 반경은 85mm 내지 97mm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종그루브는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센터 블록과, 센터 블록의 양측에 미들 블록을 구획하는 제1 종그루브; 및 미들 블록과, 미들 블록의 외측에 숄더 블록을 구획하는 제2 종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의 폭 중심을 지나는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제2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타이어의 트레드폭의 0.29 내지 0.36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제1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제2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거리의 0.35 내지 0.5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들 블록 및 숄더 블록에 형성되는 횡그루브의 폭은 18mm 내지 24mm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블록 및 숄더 블록에 형성되는 횡그루브의 깊이는 20mm 내지 22mm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블록에 위치하는 횡그루브 깊이는 미들 블록에 위치하는 횡그루브 깊이 의 0.15 내지 0.21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종그루브의 폭은 미들 블록에 형성되는 횡그루브 폭의 0.25 내지 0.35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1 종그루브의 깊이는 미들 블록에 형성되는 횡그루브 깊이의 0.47 내지 0.56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종그루브의 폭은 미들 블록에 형성되는 횡그루브 폭의 0.15 내지 0.26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종그루브의 깊이는 미들 블록에 위치하는 횡그루브 깊이의 0.17 내지 0.28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블록의 수직 중심선을 따라 센터 종그루브가 더 형성되고, 센터 종그루브의 폭은 센터 블록의 폭의 0.04 내지 0.08의 범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센터 종그루브의 깊이는 미들 블록에 위치한 횡그루브의 깊이의 0.08 내지 0.12의 범위 이내에 형성될 수 있다.
횡그루브는 타이어의 폭 중심을 지나는 수직 중심선을 따라 좌, 우측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 따라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는 횡그루브의 간격은 센터 블록의 폭의 1.1 내지 1.6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따르면,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러그 패턴을 구획하는 횡그루브가 방향성을 갖 도록 형성하여, 타이어의 접지면에서 발생하는 타이어의 숄더부의 편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하중용 공기압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중하중용 공기압 레디얼 타이어는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횡그루브(HG)와, 횡그루브(HG) 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종그루브(VG)에 의해 구획되는 블록(B)들이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특히, 횡그루브(HG)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타이어의 폭 중심들을 지나는 수직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교번하여 형성되고,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이를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과 경사각을 이루며 외측 숄더부를 향해 라운드지게 방향성을 가지며 형성된다.
여기서, 횡그루브(HG)의 곡률 반경(R)은 85mm 내지 95mm 범위 이내에서 결정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횡그루브(HG)의 곡률 반경(R)이 85mm 미만이면 트레드의 이상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횡그루브(HG)의 곡률 반경이 96mm 이상이면 타이어의 직진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횡그루브(HG)는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측에서의 폭보다 솔더부측에서의 폭이 더 커지도록,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대되며 형성된다. 따라서,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부에서의 돌끼임을 방지함과 아울러 센터 블록(CB) 에지부의 강성을 확보하여, 블록 유동 억제 및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종그루브(VG)는 타이어의 폭 중심부에 센터 블록(CB)을 구획하도록 수직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양측에 설정 폭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제1 종그루브(MG), 및 미들 블록(MB)의 외측에 숄더 블록(SB)을 구획하도록 각 제1 종그루브(MG)로부터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종그루브(SG)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종그루브(MG)는 센터 블록(CB)과 미들 블록(MB)이 구획하고, 제2 종그루브(SG)는 미들 블록(MB)과 숄더 블록(SB)을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센터 블록(CB)에는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CL)을 따라 센터 종그루브(CG)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잘라서 본 횡그루브(HG)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횡그루브(HG)는 대략 V자 홈 단면 형상을 갖는, 수직 중심선(CL)으로부터 트레드 단부를 향해 폭이 점차 확대되면서 라운드지게 방향성 가지며 연장 형성되어 센터 블록(CB), 미들 블록(MB), 및 숄더 블록(SB)을 각 각 구획하도록 한다.
이때, 미들 블록(MB) 및 숄더 블록(SB)을 구획하는 횡그루브(HG2, HG3) 부분의 최대 폭(B1)은 18mm 내지 24mm 범위 이내이고, 깊이는 20mm 내지 22mm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횡그루브(HG2, HG3)의 폭(B1)이 18mm미만이면 타이어의 직진 성능이 저하되고, 24mm를 초과하면 타이어의 내마모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횡그루브(HG2, HG3)의 깊이(H1)가 20mm미만이면 타이어의 내마모 성능이 저하되고, 22mm를 초과하면 블록 유동에 따른 내마모 성능이 저하됨과 아울러 과도한 중량 증가로 인하여 타이어의 생산 단가를 증가시키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CL)으로부터 제2 종그루브(SG)의 중심선까지의 거리(L2)는 트레드 폭(TW)의 0.29 내지 0.36 범위 이내이고, 수직 중심선(CL)으로부터 제1 종그루브(MG)의 중심선까지의 거리(L1)는 제2 종그루브(SG)의 중심선까지의 거리(L2)의 0.35 내지 0.5 범위 이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트레드 폭(TW)은 타이어의 접지 전폭을 의미하며, 타이어 수직 중심선(CL)으로부터 타이어 숄더 라인까지의 거리는 트레드 폭(TW)의 1/2이 된다.
따라서, 수직 중심선(CL)으로부터 제2 종그루브(SG)의 중심선까지의 거리(L2)가 트레드 폭(TW)의 0.29 미만이면 미들 블록(MB)의 폭이 너무 좁아지고, 상대적으로 숄더 블록(SB)의 폭이 넓어져 편마모에는 유리하나 발열에 의한 세파레이션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 중심선(CL)으로부터 제2 종그루브(SG)의 중심선까지의 거리가 트레드 폭(TW)의 0.36을 초과하면, 미들 블록(MB)의 폭은 커지나 상대적으로 숄더 블록(SB)의 폭이 적어져 타이어의 편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수직 중심선(CL)으로부터 제1 종그루브(MG)의 중심선까지의 거리(L1)는 상기한 제2 종그루브(SG)의 중심선까지의 거리(L2)의 0.35 미만이면 센터 블록(CB)의 폭이 적어져 조기 마모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수직 중심선(CL)으로부터 제1 종그루브(MG)의 중심선까지의 거리(L1)는 제2 종그루브(SG)의 중심선까지의 거리(L2)의 0.5를 초과하면 미들 블록(MB)의 강성이 저하되어 숄더부의 편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1 종그루브(MG)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종그루브(MG)의 폭(B2)은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2) 폭(D1)의 0.25 내지 0.35 범위 이내로 이루어지고, 제1 종그루브(MG)의 깊이(H2)는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2) 깊이(H1)의 0.47 내지 0.56 범위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종그루브(MG)의 폭(B2)이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2) 폭(B1)의 0.25 미만이면 횡 방향 슬립에 대한 저항이 약화되며, 제1 종그루브(MG)의 폭(B2)이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2) 폭(B1)의 0.35를 초과하면 미들 블록(MB)의 폭이 적어져 편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종그루브(MG)의 깊이(H2)가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2) 깊이(H1)의 0.47 미만이면 제2 종그루브(SG)의 깊이가 너무 얕아 횡방향 슬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제1 종그루브(MG)의 깊이(H2)가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2) 깊이(H1)의 0.56을 초과하면 후술하는 제2 종그루브(SG)의 깊이보다 더 깊어 미들 블록(MB)의 강성이 저하되어 결국 편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2 종그루브(SG)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종그루브(SG)의 폭(B3)은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2) 폭(B1)의 0.15 내지 0.26 범위 이내이고, 제2 종그루브(SG)의 깊이(H3)가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2) 깊이(H1)의 0.17 내지 0.28 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종그루브(SG)의 폭(B3)이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폭의 0.15 미만이면 횡방향 슬립에 대한 저항이 약화되고, 제2 종그루브(SG)의 폭(B3)이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2) 폭(b1)의 0.26을 초과하면 숄더 블록(SB)의 폭이 적어져 편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2 종그루브(SG)의 깊이(H3)가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 깊이(H1)의 0.17 미만이면 센터 블록(C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의 깊이가 너무 얕게 되어 횡방향의 슬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제2 종그루브(SG)의 깊이(H3)가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 깊이(H1)의 0.28을 초과하면 센터 블록(C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의 깊이가 너무 깊어져 숄더 블록(SB)의 강성이 저하되어 숄더 블록(SB)의 편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CL) 상에 위치한 센터 종그루브(CG)의 폭이 센터 블록(CB)의 폭의 0.04 내지 0.08의 범위 이내로 형성 되는 바람직하며,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CL) 상에 센터 종그루브(CG)의 깊이는 미들 블록(MB)에 위치한 횡그루브(HG2)의 깊이(H1)의 0.08 내지 0.12 범위 이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터 종그루브(CG)의 폭이 센터 블록(CB)의 폭의 0.04 미만이면 횡 방향 슬립에 대한 저항이 약화되며, 주행 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한 센터 종그루브(CG)의 폭이 센터 블록(CB)의 폭의 0.08을 초과하면 숄더 블록(SB)의 폭이 적어져 편마모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센터 종그루브(CG)의 깊이가 미들 블록(MB)에 위치한 횡그루브(HG2)의 깊이(H1)의 0.08 미만이면 타이어의 직진 성능이 저하되며, 센터 종그루브(CG)의 깊이는 미들 블록(MB)에 위치한 횡그루브(HG)의 깊이(H1)의 0.12를 초과하면 제2 종그루브(SG)의 깊이(H3)가 너무 깊어져 센터 블록(CB)의 강성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숄더부 편마모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서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며 형성되는 횡그루브(HG) 사이의 간격(T)은 센터 블록(CB)의 폭의 1.1 내지 1.6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의 Ⅴ-V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센터 블록(C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1) 깊이(H4)는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2) 깊이(H1)의 0.15 내지 0.21 범위 이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센터 블록(C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1)의 깊이(H5)가 미들 블 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1) 깊이(H1)의 0.15 미만이면 수직 중심선(CL)을 중심으로 위상 차를 가지며 서로 대칭구조를 갖는 센터부의 직진 성능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센터 블록(C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1)의 깊이(H5)가 미들 블록(MB)에 위치하는 횡그루브(HG) 깊이(H1)의 0.21을 초과하면 제2 종그루브(SG)의 깊이(H3)가 너무 깊어져 센터 블록(CB)의 강성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숄더부의 편마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하중용 공기압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드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잘라서 본 횡그루브(HG)이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1 종그루브(MG)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2 종그루브(SG)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V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B: 블록
B1: 미들 블록에 형성된 횡그루브의 폭
B2: 제1 종그루브의 폭
B3: 제2 종그루브의 폭
B5: 센터 블록에 형성된 횡그루브의 폭
CB: 센터 블록
CG: 센터 종그루브
HG: 횡그루브
HG1: 센터 블록에 형성된 횡그루브
HG2: 미들 블록에 형성된 횡그루브
HG3: 숄더 블록에 형성된 횡그루브
MB: 미들 블록
MG: 미들 종그루브
SB: 숄더 블록
SG: 숄더 종그루브
VG: 종그루브

Claims (16)

  1.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종그루부와, 상기 종그루브와 교차하는 다수의 횡그루부에 의해 구획되는 블록들이 러그 패턴을 이루며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종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센터 블록과, 상기 센터 블록의 양측에 미들 블록을 구획하는 제1 종그루브; 및
    상기 미들 블록과, 상기 미들 블록의 외측에 숄더 블록을 구획하는 제2 종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횡그루브는,
    상기 센터 블록, 상기 미들 블록, 및 상기 숄더 블록에서 연속되게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이를 지나는 수평선과 경사각을 이루며 외측 솔더부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 중심측의 폭보다 상기 솔더부측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센터 블록에 위치하는 상기 횡그루브의 깊이가
    상기 미들 블록 및 상기 숄더 블록에 형성되는 상기 각 횡그루부의 깊이보다 더 얇게 형성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2. 제1항에서
    상기 횡그루브의 곡률 반경은 85mm 내지 97mm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타이어의 폭 중심을 지나는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제2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폭의 0.29 내지 0.36 범위 이내 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5. 제4항에서
    상기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제1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상기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제2 종그루브의 중심선까지의 거리의 0.35 내지 0.5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6. 제5항에서,
    상기 미들 블록 및 상기 숄더 블록에 형성되는 상기 횡그루브의 폭은 18mm 내지 24mm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7. 제6항에서,
    상기 미들 블록 및 상기 숄더 블록에 형성되는 상기 횡그루브의 깊이는 20mm 내지 22mm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8. 제7항에서,
    상기 센터 블록에 위치하는 상기 횡그루브 깊이는 상기 미들 블록에 위치하는 횡그루브 깊이의 0.15 내지 0.21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종그루브의 폭은 상기 미들 블록에 형성되는 상기 횡그루브 폭의 0.25 내지 0.35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10. 제9항에서,
    상기 1 종그루브의 깊이는 상기 미들 블록에 형성되는 횡그루브 깊이의 0.47 내지 0.56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11. 제8항에서,
    상기 제2 종그루브의 폭은 상기 미들 블록에 형성되는 횡그루브 폭의 0.15 내지 0.26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종그루브의 깊이는 상기 미들 블록에 위치하는 횡그루브 깊이의 0.17 내지 0.28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13. 제9항에서,
    상기 센터 블록의 수직 중심선을 따라 센터 종그루브가 더 형성되고,
    상기 센터 종그루브의 폭은 상기 센터 블록의 폭의 0.04 내지 0.08의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14. 제13항에서,
    상기 센터 종그루브의 깊이는 상기 미들 블록에 위치한 상기 횡그루브의 깊이의 0.08 내지 0.12의 범위 이내에 형성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15. 제9항에서
    상기 횡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폭 중심을 지나는 수직 중심선을 따라 좌, 우측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교번하여 형성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16. 제15항에서,
    상기 타이어의 수직 중심선 따라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는 횡그루브의 간격은 상기 센터 블록의 폭의 1.1 내지 1.6 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러그 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20080029187A 2008-03-28 2008-03-28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KR100902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187A KR100902393B1 (ko) 2008-03-28 2008-03-28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187A KR100902393B1 (ko) 2008-03-28 2008-03-28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393B1 true KR100902393B1 (ko) 2009-06-11

Family

ID=4098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187A KR100902393B1 (ko) 2008-03-28 2008-03-28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3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953A (zh) * 2012-11-22 2013-02-13 安徽佳通轮胎有限公司 单导向v型花纹的全天候四季轮胎
KR101419613B1 (ko) * 2012-12-26 2014-07-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블록이 개선된 공기입 타이어
US20150298506A1 (en) * 2012-11-30 2015-10-22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US20150321518A1 (en) * 2012-11-30 2015-11-12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311A (ja) * 1992-12-03 1994-06-21 Sumitomo Rubber Ind Ltd 方向性トレッド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
JP2000225812A (ja) 1999-02-05 2000-08-1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3054224A (ja) * 2001-08-10 2003-02-26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KR100785499B1 (ko) 2006-08-11 2007-12-1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311A (ja) * 1992-12-03 1994-06-21 Sumitomo Rubber Ind Ltd 方向性トレッド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
JP2000225812A (ja) 1999-02-05 2000-08-1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3054224A (ja) * 2001-08-10 2003-02-26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KR100785499B1 (ko) 2006-08-11 2007-12-1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2953A (zh) * 2012-11-22 2013-02-13 安徽佳通轮胎有限公司 单导向v型花纹的全天候四季轮胎
US20150298506A1 (en) * 2012-11-30 2015-10-22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US20150321518A1 (en) * 2012-11-30 2015-11-12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US9802444B2 (en) * 2012-11-30 2017-10-31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US10245889B2 (en) * 2012-11-30 2019-04-02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having lug grooves forming a direction tread pattern
KR101419613B1 (ko) * 2012-12-26 2014-07-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블록이 개선된 공기입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0561B2 (ja) 重荷重用タイヤ
JP6258785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9764600B2 (en) Pneumatic tire for vehicle
US9469159B2 (en) Pneumatic tire
JP2017144763A (ja) 空気入りタイヤ
CN1931616B (zh) 用于轮胎胎面的抗不规则磨损装置
CA2969742C (en) Pneumatic tire
EP2937230B1 (en) Pneumatic tire
KR100902393B1 (ko) 방향성 러그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JP2012020702A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10094641A1 (en) Tire with lamelle in bridge
JP5698622B2 (ja) タイヤ
JP201412191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21916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027585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JP2019111931A (ja) 空気入りタイヤ
RU2614401C2 (ru) Толстый протектор для строительной техники
JP200821363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7186783B2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
US8739848B2 (en) Pneumatic tire
CN109843606B (zh) 充气轮胎
CN108290458B (zh) 重型货车冬季轮胎的胎面
KR100826767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패턴구조
JP6411948B2 (ja) タイヤ
JP7377091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