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886B1 -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886B1
KR100900886B1 KR1020090012831A KR20090012831A KR100900886B1 KR 100900886 B1 KR100900886 B1 KR 100900886B1 KR 1020090012831 A KR1020090012831 A KR 1020090012831A KR 20090012831 A KR20090012831 A KR 20090012831A KR 100900886 B1 KR100900886 B1 KR 10090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aluminum formwork
fixtu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내문
양근영
Original Assignee
양내문
양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9822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008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양내문, 양근영 filed Critical 양내문
Priority to KR102009001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5/02155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장비가 큰 단열재 고정구의 선단에 드릴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열재 고정구가 직접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한번의 작업으로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고정 작업이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이 되게 함에 그 목적이 있고, 걸림지지부 위에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동공구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의 상하단의 회전비의 차이로 인한 비틀림 파괴를 방지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을 단열재 삽입부(63)의 하단부와, 그리고 걸림지지부(65)와 일정한 높이(h)에 걸쳐 일체로 형성하되 단열재 삽입부(63)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걸림지지부(65)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위를 향하여 원추형상이 되도록 구성하고, 알루미늄 거푸집(70)에 고정되는 나선부(66)와, 그리고 알루미늄 거푸집(70)을 천공하는 드릴부(68)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본 발명은 세장비가 큰 단열재 고정구의 선단에 드릴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단열재 고정구가 직접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한번의 작업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그 고정 작업이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을 걸림지지부와 일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단열재 고정구의 상ㆍ하단의 회전비의 차이로 인하여 단열재 고정구가 비틀림 파괴가 방지되는 유용한 발명이 다.
알루미늄 거푸집용 고정장치, 고정캡, 단열재 고정구, 전동공구 삽입부, 단열재 삽입부,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 걸림지지부, 나선부, 드릴부, 알루미늄 거푸집

Description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Apparatus fixing an insulating material to aluminium form}
본 발명은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고정못에 의하여 단열재를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목재 거푸집과는 달리 알루미늄 거푸집은 그 경도가 커서 고정못에 의하여 단열재를 고정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경도가 큰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의 고정이 가능하면서 전동공구에 의하여 고정 작업이 효율적인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동공구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단열재 고정구 상단부와, 그리고 알루미늄 거푸집을 파고 들어가는 것을 저항하는 하단부사이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고자한 것이다.
알루미늄 거푸집은 목재에 비하여 그 강도가 훨씬 크기 때문에 목재에 비하여 경량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초고층건물축조에 유용하다. 이에 대하여 목재는 반복사용은 차치하더라도 두께가 두껍고 그만큼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고층건물축 조에 기피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는 전동공구에 의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에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어서 고층건물의 축조에 유용하다.
단열재를 고정하는 종래기술로는 본원 출원인이 제안한 도1에 도시된 등록특허 제 10-0859100호가 있다.
도1에 의하면 단열재 고정장치(10)는 크게 고정캡(20)과, 그리고 고정볼트 부재(30)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고정캡(20)은 상ㆍ하부 원판(21)(22)와, 그 사이의 보강편(23)과, 돌출관(24) 및 돌출관(24)내부에 지지돌기(25)와, 그리고 고정돌기(26)으로 구성되어있다.
고정볼트 부재(30)는 머리부(33)와, 간격유지편(32)과, 나사부(31)로 구성되어있다.
상기의 고정볼트 부재(30)가 알루미늄 거푸집(11)에 고정되는 과정과, 그 과정으로 인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정볼트 부재(30)가 알루미늄 거푸집(11)에 고정되기 위해서 먼저 알루미늄 거푸집(11)에 별도의 드릴(또는 전동공구)에 의하여 천공홀을 천공하여야한다. 그 런 다음 상기 천공홀에 고정볼트 부재(30)의 나선부(31)를 접면시킨 상태에서 머리부(33)에 삽입된 전동공구에 의하여 고정볼트 부재(30)를 회전시켜 나선부(31)를 알루미늄 거푸집(11)에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고정볼트 부재(30)의 나선부(31)가 알루미늄 거푸집(11)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2번의 작업이 필요하다. 하나의 작업은 알루미늄 거푸집(11)에 미리 별도의 드릴에 의하여 천공홀을 천공하는 작업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볼트 부재(30)의 나선부(31)를 상기 천공홀에 전동공구에 의하여 고정하는 작업이다.
고정볼트 부재(30)의 선단에는 알루미늄 거푸집(11)을 파고 들어갈 수 있는 칼날부가 없기 때문에 직접 알루미늄 거푸집(11)을 파고 들어갈 수가 없다. 단한번의 작업으로 고정볼트 부재(30)를 알루미늄 거푸집(11)에 고정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반드시 별도의 드릴에 의한 천공과, 그리고 전동공구에 의하여 고정볼트 부재(30)를 알루미늄 거푸집(11)에 고정하는 2번의 작업공정이 있어야하므로 고정작업이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초고층건물을 축조함에 있어서 알루미늄 거푸집(11)의 수요가 대량 필요하므로 작업공정이 하나 더 추가됨에 따라 그 추가되는 비용부담은 엄청나다. 바로 여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또한 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볼트 부재(30)는 단열재를 고정시키면서 고정캡(20)을 삽입하는 구조이므로 고정볼트 부재(30)의 길이가 단열재의 두께와 고정캡(20)의 삽입 길이만큼 길어지게 된다. 그렇다고 그 직경이 크게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고정볼트 부재(30)의 직경을 크게 하면 거푸집 탈형 후 단열재에는 고정볼트 부재(30)의 직경만한 구멍이 뚫리기 때문에 단열효과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단열효과를 위해 그 구멍을 일일이 메워야한다. 그 후속작업은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드는 작업이므로 작업이 비효율적인 문제도 뒤따르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볼트 부재(30)는 그 직경을 작게 하면서 그 길이는 길어야하기 때문에 직경에 비하여 그 길이가 길다.
고정볼트 부재(30)의 단면적과 고정볼트 부재(30)의 최소회전반경과의 비를 세장비라 한다. 고정볼트 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세장비가 클수록 좌굴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좌굴은 고정볼트 부재(3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가로방향으로 발생된다.
그런데 도1의 종래 단열재 고정볼트 부재(30)는 알루미늄 거푸집(11)에 미리 천공홀을 천공한 후 천공홀에 고정볼트 부재(30)의 나선부(31)를 접면시킨 상태에서 머리부(33)에 삽입된 전동공구에 의하여 고정볼트 부재(30)를 회전시켜 나선부(31)를 알루미늄 거푸집(11)에 고정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정볼트 부재(30)의 길이방향에 대한 가압이 거의 되지 않은 상태이고 고정볼트 부재(30)의 상단과 하단 나선부(31)는 회전속도의 차이도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고정볼트 부재(30)의 나선부(31)에 대응되는 알루미늄 거푸집(11)에 미리 천공홀을 뚫어놓지 않았다면 나선부(31)가 알루미늄 거푸집(11)을 뚫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만약 고정볼트 부재(30)의 나선부(31)에 칼날부를 형성하여 칼날부가 직접 알루미늄 거푸집(11)을 천공한다고 가정하더라도 여기에도 문제점이 있다.
즉 고정볼트 부재(30)는 세장비가 크고 여기에다 고정볼트 부재(30)를 가압한 상태에서 칼날부가 알루미늄 거푸집(11)을 파고들어가도록 하여야하기 때문에 가압으로 인하여 고정볼트 부재(30)의 중앙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약간의 좌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나선부(31)의 칼날부는 경도가 큰 알루미늄 거푸집(11)을 강제로 파고들어가기 때문에 그 회전속도가 저항을 받게 되어 고정볼트 부재(30)의 상단과 하단의 회전속도의 차이가 발생된다. 은 회전속도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고정볼트 부재(30)의 상ㆍ하단의 회전속도의 차이로 인하여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세장비가 큰 고정볼트 부재(30)의 전동공구에 의한 고속회전으로 인한 비틀림 현상을 해결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본원 출원인은 알루미늄 거푸집(11)에 고정볼트 부재(30)를 고정하기위해서는 2번의 작업이 필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도1에서와 같이 미리 알루미늄 거푸집(11)에 천공홀을 미리 뚫을 수밖에 없었던 것 이다.
고정볼트 부재(30)의 좌굴과 비틀림은 그 중간부에서 가장 크게 일어난다. 좌굴과 비틀림으로 인하여 고정볼트 부재(30)가 휘어지거나 심하게 되면 중간부가 비틀림 파괴가 일어나기도 한다. 비틀림 파괴에 이르게 되면 고정볼트 부재(30)는 그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초고층건물의 축조에 있어서는 전동공구에 의하여 고정볼트 부재(30)의 고정 작업이 단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세장비가 큰 단열재 고정구의 선단에 드릴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단열재 고정구가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한번의 작업으로 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단열재 고정구의 상ㆍ하단의 회전비의 차이로 인한 비틀림 파괴를 방지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단열재 고정구가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한번의 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특히, 초고층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 그 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 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전동공구 삽입부(62)와, 단열재 삽입부(63)와, 걸림지지부(65)와, 그리고 나선부(66)로 형성된 단열재 고정구에 단열재(80)가 삽입되고 상기 전동공구 삽입부(62)에 상부원판(52)과, 하부원판(53)과, 돌출관(55)이 형성된 고정캡(50)이 삽입되는 알루미늄 거푸집용 고정장치(40)에 있어서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을 단열재 삽입부(63)의 하단부와, 그리고 걸림지지부(65)와 일정한 높이(h)에 걸쳐 일체로 형성하되 단열재 삽입부(63)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걸림지지부(65)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위를 향하여 원추형상이 되도록 구성하고, 알루미늄 거푸집(70)에 고정되는 나선부(66)와, 그리고 알루미늄 거푸집(70)을 천공하는 드릴부(68)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여기에다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에 보강 돌조(64a)를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한 구성이다.
그뿐 아니라 상부원판(52)과, 하부원판(53)과, 그리고 돌출관(55)이 형성된 고정캡(50)을 전동공구 삽입부(62)에 삽입한 구성이다.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은 걸림지지부(65)와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면서 그 직경은 걸림지지부(65)의 직경보다 약간 작으며, h높이인 단열재 삽입부(63)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의 형상은 걸림지지부(65)의 시점에서 높이 h인 단열재 삽입부(63)의 종점까지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그 경사면을 따라 형성된 보강살(64)은 원추형상을 이루고 있다.
단열재 고정구(60)는 단면직경에 비하여 그 길이가 훨씬 긴 것이 특징이다. 즉 세장비가 큰 것이 특징이다. 세장비가 클수록 좌굴이 상대적으로 커진다. 여기에다 단열재 고정구(60)는 전동공구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경도가 큰 알루미늄 거푸집(70)을 직접 천공하는 구조이다. 알루미늄 거푸집(70)은 경도가 크기 때문에 드릴부(68)의 회전을 저항하게 된다. 즉 단열재 고정구(60)의 상단 전동공구 삽입부(62)는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데 반하여 드릴부(68)는 경도가 큰 알루미늄 거푸집(70)의 경도로 인한 회전저항을 받게 되므로 단열재 고정구(60)의 상하단의 회전속도가 약간 다르게 된다. 이와 같이 단열재 고정구(60)의 상하단의 회전속도의 차이로 인하여 단열재 고정구(60) 중간부위에는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단열재 고정구(60)는 단면직경에 비하여 그 길이가 훨씬 길기 때문에 세장비가 크고 또 단열재 고정구(60)를 가압한 상태에서 압축력을 가하면서 전동공구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경도가 큰 알루미늄 거푸집(70)을 뚫고 들어가기 때문에 단열재 고정구(60)의 상단은 전동공구에 의하여 고속회전이 인가된 상태이고 동시에 단열재 고정구(60)의 하단 드릴부(68)는 알루미늄 거푸집(70)의 큰 경도가 그 회전을 저항하고 있으므로 단열재 고정구(60)의 상단과 하단은 회전비의 차이가 있게 된다. 상하단의 회전비의 차이로 인하여 단열재 고정구(60)에는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다 단열재 고정구(60)의 직경은 대략 6mm내외, 그 전체 길이[전동공구 삽입부(62)에서 드릴부(68)까지의 길이]는 32mm정도이다. 직경에 비하여 그 길이가 크기 때문에 세장비가 커서 미세한 좌굴이 그 중간부에서 가장 크게 일어난다. 이와 함께 단열재 고정구(60)는 가압된 상태에서 드릴부(68)가 알루미늄 거푸집(70)을 천공하기 때문에 그 상ㆍ하단의 회전비의 차이로 인하여 단열재 고정구(60)의 중간부에서 비틀림 현상까지 겹치게 된다.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은 이러한 단열재 고정구(60)의 중간부에서 발생하는 비틀림 파괴를 방지하는 구성이다.
비틀림 파괴는 단열재 고정구(6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45°각도로 파괴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비틀림 방지 보강살(64)의 형상은 45°각도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보강형상이다.
또한 45°각도로 일어나는 비틀림 파괴는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에 의하여 방지된다. 그러나 회전속도가 커질수록 비틀림으로 인한 파괴도 그만큼 크게 일어나게 되므로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 돌조(64a)를 형성함으로써 비틀림 파괴방지를 더한층 강화시키게 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거푸집(70)에 고정되는 나선부(66)와, 그리고 알루미늄 거푸집(70)을 천공하는 드릴부(68)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므로 단한번의 단열재 고정구(60) 회전작업에 의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이 가능하여 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세장비가 큰 단열재 고정구의 선단에 드릴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단열재 고정구가 직접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한번의 작업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그 고정 작업이 효율적이면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을 걸림지지부와 일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단열재 고정구의 상ㆍ하단의 회전비의 차이로 인하여 단열재 고정구가 비틀림 파괴가 방지된다.
또한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 돌조(64a)를 형성한 구성이므로 45°각도로 일어나는 비틀림 파괴방지를 더한층 강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거푸집(70)에 고정되는 나선부(66)와, 그리고 알루미늄 거푸집(70)을 천공하는 드릴부(68)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므로 단한번의 단열재 고정구(60) 회전작업에 의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이 가능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60)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2b도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3은 도2a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고정장치에 의하여 단열재 및 알루미늄 거푸집을 결합ㆍ고정되도록 하기위한 준비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준비상태에서 단열재 고정구가 알루미늄 거푸집를 천공하고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c는 도 5b의 단열재 고정구에 단열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고정장치가 단열재 및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ㆍ결합된 상태에서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된 단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60)를 단열재(80)와 알루미늄 거푸집(70)에 고정ㆍ결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5a~도 5c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40)는 단열재 고정구(60)와 고정캡(50)으로 이루어지면서 알루미늄 거푸집(70)과 단열재(80)를 고정ㆍ결합하고 있다.
알루미늄 거푸집(70)과 단열재(80)를 고정ㆍ결합되는 위치는 단열재 고정구(60)를 중심으로 그 아래에는 알루미늄 거푸집(70)이, 그 위에는 단열재(80)가 위치되어있다.
단열재 고정구(60)와 고정캡(50)에 의하여 알루미늄 거푸집(70) 및 단열재(80)가 고정ㆍ결합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과정은 단열재 고정구(60)를 알루미늄 거푸집(70)에 고정하는 과정이다.
단열재 고정구(60)의 전동공구 삽입부(62)에 전동공구를 삽입한 후 단열재 고정구(60)의 드릴부(68)를 알루미늄 거푸집(70)에 가압ㆍ접면시킨 상태에서 전동공구를 고속ㆍ회전시키게 되면 드릴부(68)가 알루미늄 거푸집(70)을 천공되고 이어서 나선부(66)가 알루미늄 거푸집(70)의 천공홀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도 6참 조) 단열재 고정구(60)의 걸림지지부(65)와 알루미늄 거푸집(70)이 서로 접면된 상태이다. 걸림지지부(65)는 단열재 고정구(60)의 고속회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스토퍼역할을 겸하고 있다.
알루미늄 거푸집(70)위로 나온 단열재 고정구(60)에 단열재(80)를 위치시킨 후 눌러주게 되면 단열재 고정구(60)에 단열재(80)가 가볍게 삽입되게 된다. (도 5c 참조)
도 5c와 같이 단열재(80)가 단열재 고정구(6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5c와 같이 단열재(80)위로 고정캡(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단열재 고정구(60)가 솟아나와 있다.
단열재(80)위로 솟아나온 단열재 고정구(60)에 고정캡(50)을 삽입한다. 삽입된 고정캡(50)은 도5에서와 같이 돌출관(55)이 단열재(80)에 파고 들어가 있는 정도이고 고정돌기(56)는 단열재(80)에 가볍게 누르면서 침입되어있는 상태이다.
특히 단열재 고정구(60)의 전동공구 삽입부(62)에 전동공구를 삽입하여 드릴부(68)를 알루미늄 거푸집(70)에 가압시키면서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드릴부(68)의 회전속도가 알루미늄 거푸집(70)의 저항으로 인하여 전동공구 삽입부(62)의 회전속도보다 약간 느리게 된다. 전동공구 삽입부(62)와 드릴부(68)의 회전속도차이로 인하여 단열재 고정구(60)에 비틀림 현상이 생기더라도 중앙부의 걸림지지부(65)와 일체로 형성된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에 의하여 비틀림 파괴가 방지되게 된다.
또한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 돌조(64a)를 형성한 구성이므로 45°각도로 일어나는 비틀림 파괴방지를 더한층 강화시키게 된다.
슬래브콘크리트(90)가 경화된 후에는 알루미늄 거푸집(70)을 탈형하게 된다.
이때 알루미늄 거푸집(70)에 고정된 단열재 고정구(60)도 함께 탈형된다. 그렇지만 슬래브콘크리트(90)에 앵카된 고정캡(50)은 그대로 슬래브콘크리트(90)속에 남게 된다.
[도1] 종래기술의 단열재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a]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의 사시도
[도 2b]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3] 도 2a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의 단면도
[도4]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5a]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고정장치에 의하여 단열재 및 알루미늄 거푸집을 결합ㆍ고정되도록 하기위한 준비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5b] 도5a의 준비상태에서 단열재 고정구가 알루미늄 거푸집를 천공하고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5c] 도5b의 단열재 고정구에 단열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6] 본 발명의 알루미늄 거푸집용 고정장치가 단열재 및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ㆍ결합된 상태에서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된 단면사시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40; 알루미늄 거푸집용 고정장치
50; 고정캡
52; 상부원판, 53; 하부원판, 54; 보강편, 55; 돌출관, 55a; 리브, 56; 고정 돌기
60; 단열재 고정구
62; 전동공구 삽입부, 63; 단열재 삽입부, 64;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 64a; 보강 돌조, 65; 걸림지지부, 66; 나선부, 68; 드릴부
70; 알루미늄 거푸집
80; 단열재
90; 슬래브콘크리트

Claims (3)

  1. 전동공구 삽입부(62)와, 단열재 삽입부(63)와, 걸림지지부(65)와, 그리고 나선부(66)로 형성된 단열재 고정구에 단열재(80)가 삽입되고 상기 전동공구 삽입부(62)에 상부원판(52)과, 하부원판(53)과, 돌출관(55)이 형성된 고정캡(50)이 삽입되는 알루미늄 거푸집용 고정장치(40)에 있어서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을 단열재 삽입부(63)의 하단부와, 그리고 걸림지지부(65)와 일정한 높이(h)에 걸쳐 일체로 형성하되 단열재 삽입부(63)와는 동일한 직경이 되게 형성하면서 걸림지지부(65)와는 그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위로 향하여 원추형상이 되도록 구성하고, 걸림지지부(65)의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거푸집(70)에 고정되는 나선부(66)와, 그리고 알루미늄 거푸집(70)을 천공하는 드릴부(68)가 연이어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비틀림 방지 원추형 보강살(64)에 보강 돌조(64a)를 원주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원판(52)과, 하부원판(53)과, 그리고 돌출관(55)이 형성된 고정캡(50)을 전동공구 삽입부(62)에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KR1020090012831A 2009-02-17 2009-02-17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KR10090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831A KR100900886B1 (ko) 2009-02-17 2009-02-17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831A KR100900886B1 (ko) 2009-02-17 2009-02-17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886B1 true KR100900886B1 (ko) 2009-06-04

Family

ID=4098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831A KR100900886B1 (ko) 2009-02-17 2009-02-17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8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146B1 (ko) 2009-09-30 2011-01-14 황선출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036503B1 (ko) 2010-09-30 2011-05-24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59900Y1 (ko) 2010-05-18 2012-04-20 강원구 거푸집의 슬리브 고정구
KR101231045B1 (ko) 2011-01-13 2013-02-06 상명엔프라(주) 천정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101882206B1 (ko) 2018-03-21 2018-07-26 (주)에이비라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200002529U (ko) 2019-05-13 2020-11-23 박서연 건축물의 슬래브 단열재 고정구
KR20210000136U (ko) 2019-07-09 2021-01-19 박서연 슬래브의 단열재 고정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106U (ko) 1986-07-07 1988-01-23
KR100859100B1 (ko) 2007-12-31 2008-09-17 양내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106U (ko) 1986-07-07 1988-01-23
KR100859100B1 (ko) 2007-12-31 2008-09-17 양내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146B1 (ko) 2009-09-30 2011-01-14 황선출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59900Y1 (ko) 2010-05-18 2012-04-20 강원구 거푸집의 슬리브 고정구
KR101036503B1 (ko) 2010-09-30 2011-05-24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231045B1 (ko) 2011-01-13 2013-02-06 상명엔프라(주) 천정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101882206B1 (ko) 2018-03-21 2018-07-26 (주)에이비라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200002529U (ko) 2019-05-13 2020-11-23 박서연 건축물의 슬래브 단열재 고정구
KR20210000136U (ko) 2019-07-09 2021-01-19 박서연 슬래브의 단열재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886B1 (ko) 알루미늄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RU2435003C2 (ru) Крепежная система, состоящая из дюбеля и пластикового гвоздя,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изоляционных панелей
US6116836A (en) Connector for composite insulated wall and method for making the wall
US4789285A (en) Anchoring plug
KR101048899B1 (ko) 트위스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물 외장 조적벽돌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07063882A (ja) 拡張ボアホールに取り付けた高耐荷力アンカー構造
EP2096232A1 (en) Fastening device
KR101009478B1 (ko) 개선된 구조의 단열재 고정구
CN100467817C (zh) 用于在尤其由玻璃组成的平板中构成锚固的固定装置
EP2872708B1 (en) A unit fixing insulation to a wall
JP2020033698A (ja) あと施工アンカー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6016952A (ja) アンカーとその仮固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仮固定構造
WO2001044584A1 (fr) Ancrage de securite et trepan elargisseur de trous
KR20110008889A (ko) 외장재 고정용 앵커볼트 고정방법
KR101773004B1 (ko) 전단성능 보강형 후설치 콘크리트 앵커
JP3844487B1 (ja) 拡開アンカー
KR10092120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JP4352817B2 (ja) タイルの剥落防止工法
KR102310332B1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 장치 및 방법
EP3299529B1 (en) A cutter and method for making dents and fixing insulation
KR200290213Y1 (ko) 앵커볼트의 로킹장치
KR100516769B1 (ko) 강연선 케미칼앵카링 및 텐셔닝에 의한 슬래브 또는 보보강 공법
CN111502084A (zh) 一种组合钢板墙连接结构
JP5192724B2 (ja) せん断補強方法および充填材の充填方法
CN212478374U (zh) 可显著提高外墙外保温锚栓使用性能的装置及锚固固定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202

Effective date: 2011012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03

Effective date: 20110121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