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735B1 - Median Strip Structure Having Locking-type Emergency Exit - Google Patents

Median Strip Structure Having Locking-type Emergency Ex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735B1
KR100900735B1 KR1020070068040A KR20070068040A KR100900735B1 KR 100900735 B1 KR100900735 B1 KR 100900735B1 KR 1020070068040 A KR1020070068040 A KR 1020070068040A KR 20070068040 A KR20070068040 A KR 20070068040A KR 100900735 B1 KR100900735 B1 KR 100900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leeve
road
fastening
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0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4103A (en
Inventor
연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테크한상
연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테크한상, 연규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테크한상
Priority to KR102007006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735B1/en
Publication of KR2009000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1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7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이 도로 분리 구조물은 도로에 소정 깊이로 고정 매립된 힌지축 포스트와 이 힌지축 포스트를 매개로 힌지 개방 가능한 도어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조물은 상기 힌지축 포스트에 인접하게 도로 선상을 따라 소정 깊이로 고정되도록 직립 매립되고,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체결 로드를 갖는 개방형 지지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중공의 지주 포스트와; 상기 지주 포스트의 소정 높이에서 수평으로 고정 연장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슬리브 내의 체결 로드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 슬롯을 가지고, 체결시 슬리브 내로 하강하고 체결 해제시 슬리브 외부로 상승하도록 상기 지주 포스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서 내부 이동되는 로크 부재와; 도로면에 접하도록 상기 지주 포스트 하부에 고정된 롤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68040

도로 분리 구조물, 힌지축 포스트, 도어 구조물, 로크 부재, 체결 로드, 슬리브, 롤러 부재, 리프트 기구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separating structure having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the road separating structure includes a hinge shaft post fixedly embedded in a roa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 door structure hingeable through the hinge shaft post, The door structure includes an open support sleeve upright embedded to be fix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a road line adjacent to the hinge shaft post and having an internal fastening rod penetrating in a radial direction; A plurality of hollow post posts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leeves; A guide rail fixedly extending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ost post; A lock member having a fastening slot releasably fastened to a fastening rod in said sleeve, said lock member being moved internally between said post and said sleeve to descend into the sleeve upon fastening and rise out of the sleeve upon fasten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ller member fixed to the lower post post to contact the road surface.

Figure R1020070068040

Road Separation Structure, Hinge Shaft Post, Door Structure, Lock Member, Fastening Rod, Sleeve, Roller Member, Lift Mechanism

Description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Median Strip Structure Having Locking-type Emergency Exit}Median Strip Structure Having Locking-type Emergency Exit

본 발명은 고속도로 등의 도로의 중앙선 또는 갓길변에 설치하는 도로 분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시 자동차 도로의 중앙선 또는 갓길변상에 해제가능하게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어느 일방의 차선에서 재해나 사고 등에 의해 교통 불통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용이하게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그러한 재난 상태에서 반대편 차선 또는 갓길을 이용하여 구조 또는 회차 등을 행할 수 있도록 도어식으로 개방 가능한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separation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the center line or shoulder of a road such as a highway, and more specifically, when installed, it is stably fixed to a center line or shoulder of an automobile road so as to be releasable. Or roads having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by doors so that the vehicle can be rescued or returned by using the opposite lane or shoulder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case of a traffic jam due to an accident or the like. To a separat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등과 같은 자동차 도로의 중앙선 또는 갓길변에는 각 진행 방향의 차량이 중앙선 또는 갓길변을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선 또는 갓길변의 위치에 상하행 차선 또는 갓길변을 구획하는 중앙 분리 구조물 또는 갓길변 가이드 구조물이 마련되며, 이러한 구조물은 철근 콘크리트 블록을 배열하거나, 철제 프레임 구조물을 도로상에 고정되게 매립 설치하거나, 이들을 조합 배치한 구조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t the center line or shoulder side of an automobile road such as a highway, a central separation structure or shoulder side that divides the up and down lanes or shoulders at the position of the center line or shoulder to prevent the vehicle in each traveling direction from invading the center line or shoulder. A guide structure is provided, and such a structure is mainly used to arrange reinforced concrete blocks, to install a steel frame structure to be fixed on a road, or to combine th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앙 분리대의 소정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of the cen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중앙 분리대는 철제 프레임 구조물(1)과 콘크리트 블록(5)을 조합 배치한 구성으로, 철제 프레임 구조물(1)은 일정 간격으로 도로상에 고정적으로 매립된 지지 포스트(3)와, 이 지지 포스트의 일정 높이에서 쌍을 이루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상태에서 볼트(4)와 너트를 이용하여 지지 포스트(3)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2)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블록(5)은 필요한 설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블록만큼 설치가 가능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en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steel frame structure 1 and the concrete block 5, and the steel frame structure 1 is a support post fixedly embedded on the road at regular intervals ( 3) and guide rails 2, which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pairs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upport posts, and are fixed to the support posts 3 using bolts 4 and nuts in the state, and concrete Block 5 can be installed by an appropriate number of blocks according to the required installation length.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 조합은 긴급 상황 발생시 구호 작업을 위해 또는 도로 불통시 불통 상태의 차량을 반대편 차선으로 회차시키기 위한 비상 개방 구조물로서도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상 상황 발생시 콘크리트 블록을 위치 이동시켜 차량의 진출입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concrete block combination may also be used as an emergency opening structure for a rescue opera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or for returning a vehicle in a state of failure when the road is broken to the opposite lane, and thus, when the emergency occurs, Enables entry and exit.

그러나, 이러한 중앙 분리대에 형성된 비상 개방 구조는 부피가 큰 경량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설치와 이동시의 작업에 무리가 있으며, 설치된 콘크리트 블록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므로, 진행중인 차량이 콘크리트 블록에 충돌시 콘크리트 블록이 반대 차선으로 밀려나서 추가의 교통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formed in such a central separator is made of bulky, lightweight concrete blocks,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move them, and the installed concrete blocks exist in an unfixed state, so that the vehicle in progress is a concrete block.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concrete block may be pushed to the opposite lane, causing additional traffic accidents.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종래 기술의 문헌에 개시된 '비상 회차 장치가 구비된 중앙 분리대'가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remedy this problem, a 'central separator with an emergency return device' disclosed in the above prior art document has been proposed.

상기 중앙 분리대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도로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철재 기둥으로 형성되어, 도로의 중심을 구분하고, 소정부 에 각 진행 방향의 차량이 진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개통부가 형성된 중앙 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리대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도어-가이드 레일과, 상기 도어-가이드 레일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도어-철재 기둥이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개통부를 형성하는 일측 중앙 분리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도어-철재 기둥의 하단에 상기 차로에 접하여 상기 도어-철재 기둥이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부가 마련되는 회동 도어를 구비한다.The center separator is formed of a pair of guide rails and steel pillars that support the guide rail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road surface, to distinguish the center of the road, and to change a moving direction of a vehicle in each traveling direction on a predetermined portion. In the central separator formed with an opening for the purpose, a door guide rail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center separator, and a door-steel column for supporting the door guide rail to a predetermined height are provided, and the opening part is provided at one side. And a rotat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central separator to be formed, and a wheel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door-steel pillar in contact with the lane to move the door-steel pillar to be movable.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중앙 분리대는 비상시 개방되는 회동부가 도로상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의 경우 중앙 분리대 자체가 쉽게 넘어져서 안전상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center portion of the prior art is not a fixed state on the road when the emergency opening is op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erious problem in safety may occur because the center portion itself falls easily in case of a vehicle crash.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시 자동차 도로의 중앙선 또는 갓길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어느 일방의 차선에서 재해나 사고 등에 의해 교통 불통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용이하게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그러한 재난 상태에서 반대편 차선 또는 갓길변을 이용하여 구조 또는 회차 등을 행할 수 있도록 도어식으로 개방 가능한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y fixed to the center line or shoulder side of the automobile road when installed, the state of traffic failure due to disaster or accident in either lane Whe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ad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unlocked and door-openable to perform rescue or turn using the opposite lane or shoulder road in such a disast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에 소정 깊이로 고정 매립된 힌지축 포스트와 이 힌지축 포스트를 매개로 힌지 개방 가능한 도어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구조물은 상기 힌지축 포스트에 인접하게 도로 선상을 따라 소정 깊이로 고정되도록 직립 매립되고,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체결 로드를 갖는 개방형 지지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중공의 지주 포스트와; 상기 지주 포스트의 소정 높이에서 수평으로 고정 연장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슬리브 내의 체결 로드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 슬롯을 가지고, 체결시 슬리브 내로 하강하고 체결 해제시 슬리브 외부로 상승하도록 상기 지주 포스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서 내부 이동되는 로크 부재와; 도로면에 접하도록 상기 지주 포스트 하부에 고정된 롤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크 부재는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지주 포스트를 관통하는 체결구와 상기 슬리브 내의 체결 로드가 이동되는 대향하는 대략 'L' 형의 체결 슬롯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 본체와, 원통형 본체 내부에 일부가 그립부로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하부만이 개방된 루프를 이루는 절곡형 로커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로커 로드의 루프 개방부의 양단은 상기 슬리브 내의 체결 로드와 체결시 그 체결 로드에 걸어 체결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로크 부재는 슬롯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베이스면이 마주하는 한 쌍의 평면상 'ㅗ' 형의 세로 빔과, 이 세로 빔 쌍의 하부측을 둘러싸는 원통부와, 그 일부가 그립부로서 상부로 돌출되고 그 하부만이 개방된 루프를 이루도록, 상기 마주하는 'ㅗ' 형의 세로 빔 쌍의 대각선 방향의 각 직교부를 따라 상기 원통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하는 절곡형 로커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ㅗ' 형의 세로 빔 쌍의 상부와 상기 원통부 바로 하부의 세로 빔 쌍에는 각각 지주 포스트를 관통하는 체결구와 상기 슬리브 내의 체결 로드가 이동되는 원주 방향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nge shaft post fixedly embedded in a roa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 door structure hingeable through the hinge shaft post, wherein the door structure is adjacent to the hinge shaft post. An open support sleeve which is embedded upright to be fix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road line and has an internal fastening rod penetrating in a radial direction; A plurality of hollow post posts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leeves; A guide rail fixedly extending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ost post; A lock member having a fastening slot releasably fastened to a fastening rod in said sleeve, said lock member being moved internally between said post and said sleeve to descend into the sleeve upon fastening and rise out of the sleeve upon fastening; It provides a road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ller member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st post to contact the road surface.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the lock member comprises a hollow cylindrical body having fasteners penetrating through the post posts and opposing approximately 'L' shaped fastening slots in which the fastening rods in the sleeve are moved, respectively; It has a bent rocker ro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which is fixed to protrude upwards as a part of the grip and forms an open loop only in the lower part, and both ends of the loop opening of the rocker rod are engaged with the fastening rod in the sleev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be fastened to
In another embodiment, the lock member comprises a pair of planar 'ㅗ' shaped beams facing each base surface with slots therebetween, a cylindrical portion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longitudinal beams; A bent rocker rod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cylindrical portion along each orthogonal portion of the diagonal 'beam' of the opposing 'ㅗ' shaped beam pair so that a portion protrudes upwards as a grip and only the bottom thereof is an open loop. Wherein the '상부' type of vertical beam pair and the vertical beam pair immediately below the cylindrica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er penetrating the post post and the circumferential slot for moving the fastening rod in the sleeve is formed, respectively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크 부재의 체결 해제시 로크 부재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 상단측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견인 롤러와, 상기 지주 포스트 상단측에 고정된 고정 롤러와, 상기 견인 롤러와 상기 고정 롤러에 연결되어 로크 부재를 상승 견인하는 견인 와이어와, 이 견인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견인 와이어를 당기고 풀어주는 회전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lift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ock member upon release of the lock member; The lift mechanism includes at least one traction roll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 member, a fixed roll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post, a traction wire connected to the traction roller and the fixed roller to lift and pull the lock member; One end of the traction wire is connec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lever for pulling and releasing the traction wire by rot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 포스트 사이에 연결되어 지주 포스트 사이의 간격을 신축 가능하게 조정하는 장력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ension adjusting means connected between the post posts to elastical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ost post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력 조절 수단은 인접하는 지주 포스트에 각각 연결된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사부와 이 나사부 사이를 연결하는 턴 버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nsion adjus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eaded portion of opposite spiral direction connected to adjacent strut posts and a turn buckle connecting between the threaded portions.

삭제delet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로드는 수직 배열된 복수 개의 체결 로드이며, 이 체결 로드가 체결되는 체결 슬롯은 상기 'L' 형태 중 수평 통로 부분이 상기 체결 로드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수직 배열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rods are a plurality of fastening rods arranged vertically, the fastening slots to which the fastening rods are fastened to form a plurality of vertically arranged so that the horizontal passage portion of the '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rods It features.

삭제delet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리브 내에는 그리스로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leeve is filled with grea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 포스트의 하부 둘레에는 이물질 침투 방지를 위한 하부 캡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periphery of the holding pos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ap is provided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일 실시예에서,상기 하부 캡은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중공의 원통부와 이 원통부 상부의 원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llow cylindrical portion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and a cone portion above the cylindrical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주 포스트의 상부에는 이물질 침투 방지를 위한 상부 캡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ing pos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ap is provided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penetr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 하부의 전체 지지 포스트 및 롤러 부재 부분을 커버하도록 도로상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장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cover member extending along the guide rail on the roadway to cover the entire support post and roller member portion below the horizontal guide rail.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설치시 자동차 도로의 중앙선 또는 갓길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어느 일방의 차선에서 재해나 사고 등에 의해 교통 불통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용이하게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그러한 재난 상태에서 반대편 차선 또는 갓길변을 이용하여 구조 또는 회차 등을 행할 수 있도록 도어식으로 개방 가능한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y fixed to the center line or the shoulder of the automobile road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when one of the lanes is in a state of traffic discomfort due to a disaster or an accident, such a disaster is easily released and such a disaster Provided is a road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by a door so as to perform a rescue or a turn using the opposite lane or shoulder side in a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도로 분리 구조물'은 도로 중앙선에 설치되는 중앙 분리대를 비롯하여, 갓길변에 설치되는 가이드 구조물 등 도로를 구획하거나,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로상의 분리/가이드 구조물 전체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refers to the entire separation / guide structure on the road that divides the road or prevents the vehicle from being separated, including a central separator installed on the road centerline, a guide structu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houlder.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의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도로 분리 구조물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도로 분리 구조물 중 로크 부재와 관련 요소의 설치 상태를 잘 보여주고 있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n emergency opening structure having a 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of Figure 2, Figure 4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ock member and related elements in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of 2.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비상 개방 구조를 구비한 도로 분리 구조물은 도로(P)에 소정 깊이로 고정 매립된 힌지축 포스트(10)와 이 힌지축 포스트(10)를 매개로 힌지 개방 가능한 도어 구조물(1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n emergency opening structure having a 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nge shaft post 10 and the hinge shaft post 10 which is fix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road (P) A hinged openable door structure 100.

상기 힌지축 포스트(10)는 도로면 아래에 깊숙히 매설된 슬리브 내에 삽입되고, 내부와 그 주변을 통상 콘트리트로 굳게 고정하고 있으며, 포스트 내부를 이중의 파이프로 구성하고 외부 파이프를 상기 도어 구조물(100)의 일단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도어 구조물(10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 포스트(10)를 기준으로 도어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hinge shaft post 10 is inserted into a sleeve deeply buried below the road surface, and secures the inside and the surroundings with a conventional concrete firmly, and the inside of the post is composed of a double pipe and the outer pipe is the door structure 100. By connecting to one end of the door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ure 3,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based on the hinge shaft post (10).

상기 도어 구조물(100)은 도로 지하에 매설되는 복수의 지지 슬리브(110)와, 이 지지 슬리브(110)에 대응하여 수직 배열된 복수의 지주 포스트(120)와, 이 지주 포스트(120)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130)과, 상기 지지 슬리브(110)와 상기 지주 포스트(120) 사이에서 내부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140)와, 상기 지주 포스트(120)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 부재(150)를 포함한다.The door structur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sleeves 110 embedded in the basement of the road, a plurality of support posts 120 vertically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leeves 110, and the support posts 120. A guide member 130 horizontally installed, a lock member 140 which is movable internally between the support sleeve 110 and the support post 120, and a roller member 150 installed below the support post 120. It includes.

상기 지지 슬리브(11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체로서, 상기 힌지축 포스트(10)에 인접하게 도로 선상을 따라 소정 깊이로 고정되도록 직립 매립된다.The support sleeve 110 is a hollow cylindrical body with an open top, and is buried upright to be fix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road line adjacent to the hinge shaft post 10.

상기 지지 슬리브(110)에는 후술하는 로크 부재(140)의 슬롯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내부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 로드(115)를 구비한다.The support sleeve 11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rod 115 that penetrates through the inside in a radial direction so as to be fitted into a slot of the lock member 1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매립 슬리브(110) 내에는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침투되기 쉽고, 또한 침투된 빗물 등이 동절기에 결빙됨으로써 로크 부재와의 체결 또는 체결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면서 로크 부재의 체결 관련 동작시 윤활 특성도 제공하도록 슬리브(110) 내에 그리스(113) 등으로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foreign material or rainwater easily penetrates into the buried sleeve 110, and the rainwater, which has penetrated, freezes in winter, it may occur that the locking member is not fastened or released with the lock member. It is desirable to fill the sleeve 110 with grease 113 or the like to provide lubr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engagement related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이와 같은 맥락으로, 상기 지주 포스트(120)의 하부 둘레에는 이물질 침투 방지를 위한 하부 캡(170a)이 구비된다.In this context,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ost 120 is provided with a lower cap 170a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캡(170a)은 상기 매립 슬리브(110)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구멍(171)을 갖는 중공의 원통부(173)와 이 원통부 상부의 원추부(17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lower cap 170a has a hollow cylindrical portion 173 having a hole 171 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ried sleeve 110 and a cone portion 17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110. It consists of.

또한, 이와 유사하게 상기 지주 포스트(120)의 상부에는 이물질 침투 방지를 위한 상부 캡(170b)이 구비된다.In addition, similarly, the upper cap 170b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ost post 120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상기 지주 포스트(120)는 상기 슬리브(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지주 포스트(120) 사이에는 서로를 지지하는 가로 빔이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t post 120 is formed of a hollow cylindrical body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eeve 110, and the post posts 120 are preferably connected to horizontal beams supporting each other.

상기 복수의 지주 포스트(120)에는 그 소정 높이에서 수평으로 병렬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130)이 구비되며, 이들 가이드 레일(130)은 볼트와 같은 체결구(131)에 의해 지주 포스트(120)에 고정된다.The plurality of post posts 120 are provided with guide rails 130 extending horizontally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se guide rails 130 are connected to the post posts 120 by fasteners 131 such as bolts. It is fixed.

상기 체결구(131)는 지주 포스트에 고정시 후술하는 로크 부재(140)의 슬롯(141)을 관통하도록 고정되며, 이는 상기 슬리브(110) 내의 체결 로드(115)에서 분리되어 상승된 상태의 로크 부재(14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상태에서 도어 구조물(100)이 도 3에서와 같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fastener 131 is fixed to penetrate the slot 141 of the lock member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fixed to the holding post,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rod 115 in the sleeve 110 in a raised state By allowing the member 140 to be mounted, the door structure 100 can be opened as shown in FIG. 3 in this stat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축 포스트(10)와 지주 포스트(120) 사이는 물론, 지주 포스트(120) 사이에는 지주 포스트 사이의 간격을 신축 가능하게 조정하는 장력 조절 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In one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adjusting means 160 for elasticall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olding post 120 between the hinge shaft post 10 and the holding post 120, as well as between the holding post 120. (See FIG. 3).

상기 장력 조절 수단(160)은 연결 후크(161a, 161b)를 매개로 인접하는 지주 포스트(120)에 각각 연결된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사부(163a, 163b)와 이 나사부 사이를 연결하는 턴 버클(165)을 구비하며, 동절기 또는 하절기 등의 온도 변화가 큰 기간에 턴버클(165)을 조이고 풀어주는 것에 의해 양 포스트(120) 사이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The tension adjusting means 160 is a screw buckle 163a, 163b having opposite spiral direct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adjacent post posts 120 through connection hooks 161a, 161b, and a turn buckle 165 connecting between the threads. ), The tension between the two posts 120 can be adjusted by tightening and releasing the turnbuckles 165 during periods of large temperature changes such as winter or summer.

상기 지주 포스트(120) 하부에 설치되는 롤러 부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구조물(100)이 힌지축 이동으로 도어식으로 개방시 도로(P) 면과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켜 용이하게 개폐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주 포스트(120)를 감싸는 원통형 본체(151)와, 이 본체에서 대향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 레그(152)와, 연장 레그 하부에 고정된 롤러(153)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the roller member 150 installed below the post post 120 reduces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surface of the road P when the door structure 100 is opened in a door type by moving the hinge shaft. In the configuration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the cylindrical body 151 surrounding the post post 120, the extension leg 152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body and the roller 153 fixed to the lower extension leg Equipped.

이상의 요소들을 조립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로 분리 구조물이 얻어지는데, 도로면에 고정된 지주 포스트(120) 및 롤러 부재(150)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어, 그 노출된 부분에는 분리 구조물에 인접하게 주행하는 각종 차량의 주행 후 음압에 의해 주변의 이물이나 먼지, 또는 쓰레기가 퇴적될 수 있으므로, 미관상, 청소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When the above elements are assembled, a road separation structure as shown in Figs. 2 and 3 is obtained, and the post post 120 and the roller member 150 fixed to the road surface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xposure is performed. Since the foreign material, dust, or garbage around the vehicle may be deposited by the sound pressure after driving of the various vehicles running adjacent to the separation structure, there may be aesthetical and cleaning problems.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도로 분리 구조물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130) 하부의 전체 지주 포스트(120) 및 롤러 부재(150) 부분을 커버하도록 도로(P)상에서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연장하는 커버 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o cover the entire post post 120 and the roller member 150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130 ( 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190 extending along the guide rail 130 on P).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분리 구조물 중 도어 구조물(100)이 힌지축 포스트(10)를 매개로 힌지식으로 도어 개폐되기 위해서는, 도어 구조물 폐 쇄시 도어 구조물을 도로(P) 내에 강력하게 고정시키고, 도어 구조물 개방시에는 도로(P) 내에 고정되었던 상태가 해제되는 그러한 로크 부재가 필요하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door structure 100 of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in order to hing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hrough the hinge shaft post 10, the door structure is closed in the road (P) when the door structure is closed There is a need for such a lock member that is firmly fixed and in which the state that was fixed in the roadway P is released when the door structure is opened.

도 5는 도 4의 로크 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로크 부재가 체결되지 않은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로크 부재가 체결되어 잠궈진 로킹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ck member of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of FIG. 4 is not fastened, and FIG. 7 is locked by being locked by the lock member of FIG. 4.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locked state.

상기 로크 부재(1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10)에 체결시 슬리브(110) 내로 하강하고 체결 해제시 슬리브(110) 외부로 상승하도록 상기 지주 포스트(120)와 상기 슬리브(110) 사이에서 내부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주 포스트(120)와 매립 슬리브(110)를 상호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잠금 기구이다.5 and 6, the lock member 140 is lowered into the sleeve 110 when fastened to the sleeve 110 and rises out of the sleeve 110 when released. It is a locking mechanism for interlocking or releasing the post post 120 and the buried sleeve 110 by moving internally between the sleeve (110).

상기 로크 부재(140)는 크게 상부 및 하부 체결 슬롯(141, 142)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 본체(143)와, 이 원통형 본체(143) 내부에 일부가 그립부(145a)로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그립부(145a)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하는 연장부(145b, 145c)의 하부만이 개방된 루프를 이루는 절곡형 로커 로드(145)로 구성된다.The lock member 140 is largely fixed with a hollow cylindrical body 143 having upper and lower fastening slots 141 and 142, and a part of the lock member 140 protrudes upwards as a grip 145a. Only the lower portions of the extending portions 145b and 145c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grip portion 145a are constituted by the bent rocker rod 145 forming an open loop.

상기 체결 슬롯(141, 142)은 원통형 본체(143)의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슬롯(141)은 수직 통로(141a, 141b)와 수평 통로(141a', 141b')가 연결된 슬롯이며, 이 상부 슬롯(141)은 원통형 본체의 둘레에서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슬롯 쌍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각 대향 슬롯을 정면에서 관찰시 대략 'L' 형의 슬롯 형태를 이룬다.The fastening slots 141 and 142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ylindrical body 143, respectively, and the upper slot 141 is a slot to which the vertical passages 141a and 141b and the horizontal passages 141a 'and 141b' are connected. The upper slot 141 is formed of a pair of slots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cylindrical body, and forms an approximately 'L' shaped slot when observing each opposing slot from the front.

또한, 하부 슬롯(142)은 상부 슬롯(141)과는 상하 대칭인 형태로, 역시 수직 통로(142a, 142b)와 수평 통로(142a', 142b')가 연결된 대략 '역-L' 형의 절곡 슬롯이며, 이 상부 슬롯(141)은 원통형 본체의 둘레에서 서로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슬롯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lot 142 is vertically symmetrical with the upper slot 141, and is also approximately 'inverse-L' bent to connect the vertical passage (142a, 142b) and the horizontal passage (142a ', 142b') The upper slot 141 is formed of a pair of slots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cylindrical body.

상기 상부 슬롯(141)과 하부 슬롯(142)에는 각각 지주 포스트(120)를 관통하는 체결구(131)와 상기 슬리브(110) 내의 체결 로드(115)가 끼워지며, 상기와 같은 슬롯의 형태는 로크 부재(140)를 상하 이동 및/또는 회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가 체결 상태 또는 체결 해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upper slot 141 and the lower slot 142 are fitted with a fastener 131 penetrating the post post 120 and the fastening rod 115 in the sleeve 110, respectively, the shape of the slot as described above By moving the lock member 140 up and down and / or rotationally, the lock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 a locked state or a released state.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부재 및 체결 로드(115) 간의 보다 강력한 체결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지주 포스트(120)와 매립 슬리브(110)에는 이중 잠금 구성으로서, 각각 복수개의 체결구(131) 및 체결 로드(115)를 수직 배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슬롯(141) 및 하부 슬롯(142)에도 각각 복수의 수평 통로(141a', 141a"; 142a',142a")를 수직 배열로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in order to ensure a more powerful fastening effect between the lock member and the fastening rod 115, the holding post 120 and the buried sleeve 110 as a double locking configuration,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astening The sphere 131 and the fastening rod 115 are disposed vertically, and correspondingly, a plurality of horizontal passages 141a ', 141a "; 142a', 142a" are also provided in the upper slot 141 and the lower slot 142, respectively. It can be installed additionally in a vertical arrangement.

상기 로커 로드(145)의 연장부(145b, 145c)의 하부 양단(145b', 145c')은 상기 슬리브(110) 내의 체결 로드(115)와 체결시 그 체결 로드(115)에 걸어 체결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Lower both ends 145b 'and 145c' of the extension portions 145b and 145c of the rocker rod 14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engaged with the fastening rod 115 when fastened with the fastening rod 115 in the sleeve 110. It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러한 구성의 로크 부재(140)에 의해 도로 지상의 지주 포스트(120)와 도로 지하의 매립 슬리브(110) 사이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로크 부재(14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140 for fixing or releasing between the holding post 120 on the road ground and the buried sleeve 110 in the basement of the road by the lock member 1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6의 좌측 도면은 로크 부재(140)가 개방(체결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140 is opened (unfastened).

즉, 그립부(145a)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로크 부재(140)가 지주 포스트(120) 내에서 상승되어 있고 로크 부재(140)의 상부 슬릿(141)의 수직 통로 내에 체결구(131)가 삽입되어 있고, 하부 슬릿(142)에는 슬리브(110) 내의 체결 로드(115)가 삽입되지 않은 로크 부재(140)의 잠금 해제(미체결) 상태를 나타낸다.That is, the lock member 140 is raised in the holding post 120 so that the grip part 145a protrudes outward, and the fastener 131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passage of the upper slit 141 of the lock member 140. In addition, the lower slit 142 shows an unlocked (unfastened) state of the lock member 140 in which the fastening rod 115 in the sleeve 110 is not inserted.

도 6의 우측 도면은 좌측 도면의 상태에서 로크 부재(14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승된 상태의 로크 부재(140)의 상부 슬롯(141)의 수평 통로(141a') 내에 지주 포스트(120)에 고정된 체결구(131)가 안착되기 때문에, 소정 하중의 로크 부재(140)를 지주 포스트(120)에 거치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구조물(100)을 힌지식으로 개방할 수 있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140 is rotated clockwise in the state of the left view, and the horizontal passage 141a 'of the upper slot 141 of the lock member 140 in the raised state. Since the fastener 131 fixed to the post post 120 is seated therein, the lock member 140 of a predetermined load is mounted on the post post 120, and as shown in FIG. The door structure 100 may be hingedly opened.

도 7의 좌측 도면은 로크 부재(140)가 지주 포스트(120) 내에서 하강 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하부 체결 슬롯(142)의 수평 통로(142a') 내에 도로 지하의 슬리브(110) 내의 체결 로드(115)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로커 로드(145)의 하부의 양 단부(145b', 145c')는 체결 로드(115)의 하부에 서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걸려 있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가 고정 상태(체결 상태 또는 잠금 상태)가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구조물(100)이 도로상에 고정 폐쇄된 상태가 된다.The left view of FIG. 7 shows that the lock member 140 is rotated clockwise after being lowered in the holding post 120, so that the lock member 140 is rotated in the sleeve 110 of the basement road in the horizontal passage 142a ′ of the lower fastening slot 142. The fastening rod 115 is in a fitted state, and at this time, both ends 145b 'and 145c'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cker rod 145 are hung in the zigzag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fastening rod 115. The state becomes a fixed state (fastened state or locked state), and as shown in FIG. 2, the door structure 100 is fixedly closed on the road.

도 7의 우측 도면은 상기의 상태에서 로크 부재(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 로드(115)가 체결 슬롯(142)의 수직 통로(142a)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로, 이 상태는 로크 부재(140)의 체결 상태가 일단 해제되었고 로크 부재(140)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완전히 고정 해제될 수 있는 그러한 상태이다.7 is a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14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above state so that the fastening rod 115 is positioned in the vertical passage 142a of the fastening slot 142. It is such a state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member 140 is once released and can be completely unlocked by raising the lock member 140.

이때, 상기 로커 로드(145)의 하부의 양 단부(145b', 145c')는 체결 로드(115)의 하부에 서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걸려 있는 상태로부터 벗어나 있으며, 로크 부재(140)의 상승시 체결 로드(115)에 의해 그 상승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both ends (145b ', 145c')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cker rod 145 is deviated from the hanging state in the zigzag direc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rod 115, the fastening rod when the lock member 140 is raised The rise is not hindered by 115.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로크 부재(140)와는 다른 구성의 실시예의 로크 부재(240)를 도 9 내지 12에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king member 240 of the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lock member 140 as described above in Figures 9 to 12.

도 9는 도 4와 유사한 도면으로, 다른 실시예의 로크 부재를 채용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로크 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로크 부재가 체결되지 않은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로크 부재가 체결되어 잠궈진 로킹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FIG. 9 is a view similar to FIG. 4, in which the main par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employing the lock member of another embodiment,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ck member of FIG. 9, and FIG. 11 is a view in which the lock member of FIG. 9 is not fastened. 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a locked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of FIG. 9 is locked.

상기 로크 부재(240)는 슬롯(244)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베이스면(243a', 243b')이 마주하고 그 베이스면(243a', 243b')에 수직 돌출부(243a", 243b")가 형성된 한 쌍의 평면상 'ㅗ' 형의 세로 빔(243a, 243b)과, 이 세로 빔 쌍의 하부측을 둘러싸는 원통부(243c)와, 그 일부가 그립부(245a)로서 상부로 돌출되고 그립부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하는 연장부(245b, 245c)는 그 단부가 개방된 루프를 이루도록, 상기 마주하는 'ㅗ' 형의 세로 빔 쌍(243a, 243b)의 대각선 방향의 각 직교부를 따라 상기 원통부(243c)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하는 절곡형 로커 로드(245)를 구비한다.The lock member 240 has its base surfaces 243a 'and 243b' facing each other with a slot 244 therebetween, and vertical protrusions 243a "and 243b" with their base surfaces 243a 'and 243b'. A pair of planar 'ㅗ' shaped longitudinal beams 243a and 243b, a cylindrical portion 243c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longitudinal beam pair, and a portion thereof protrude upward as the grip portion 245a and the grip portion Extension portions 245b and 245c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are arranged along the respective orthogonal portions in the diagonal directions of the opposing 'ㅗ' shaped longitudinal beam pairs 243a and 243b so that their ends form an open loop. And a bent rocker rod 245 extending downward through 243c.

상기 'ㅗ' 형의 세로 빔 쌍(243a, 243b)의 상부와 상기 원통부(243c) 바로 하부의 세로 빔 쌍에는 각각 지주 포스트를 관통하는 체결구(131)와 상기 슬리 브(110) 내의 체결 로드(115)가 이동되는 상부 및 하부의 원주 방향 슬롯(241, 242)이 형성된다.Fastening in the sleeve 110 and the fastener 131 penetrating the post posts to the upper vertical beam pair (243a, 243b) of the 'ㅗ' type and the vertical beam pair immediately below the cylindrical portion (243c), respectively. Upper and lower circumferential slots 241 and 242 to which the rod 115 is moved are formed.

상기 상부 슬롯(241)과 하부 슬롯(242)에는 각각 지주 포스트(120)를 관통하는 체결구(131)와 상기 슬리브(110) 내의 체결 로드(115)가 끼워지며, 상기와 같은 슬롯의 형태는 로크 부재(240)를 상하 이동 및/또는 회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로크 부재가 체결 상태 또는 체결 해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upper slot 241 and the lower slot 242 are fitted with a fastener 131 penetrating the post post 120 and the fastening rod 115 in the sleeve 110, respectively, the shape of the slot as described above By moving the lock member 240 up and down and / or rotationally, the lock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 a locked state or a released state.

이러한 구성의 로크 부재(240)에 의해 도로 지상의 지주 포스트(120)와 도로 지하의 매립 슬리브(110) 사이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로크 부재(24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lock member 240 for fixing or releasing between the holding post 120 on the road ground and the buried sleeve 110 in the basement of the road by the lock member 2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11의 좌측 도면은 로크 부재(240)가 개방(체결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다.The left view of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240 is opened (unfastened).

즉, 그립부(245a)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로크 부재(240)가 지주 포스트(120) 내에서 상승되어 있고 로크 부재(240)의 수직 슬릿(244) 내에 체결구(131)가 삽입되어 있고, 슬리브(110) 내의 체결 로드(115)는 삽입되지 않은 로크 부재(240)의 잠금 해제(미체결) 상태를 나타낸다.That is, the lock member 240 is raised in the holding post 120 so that the grip portion 245a protrudes outward, and the fastener 131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slit 244 of the lock member 240, and the sleeve The fastening rod 115 in 110 represents an unlocked (unfastened) state of the lock member 240 that is not inserted.

도 11의 우측 도면은 좌측 도면의 상태에서 로크 부재(24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승된 상태의 로크 부재(240)의 상부 원주 방향 슬롯(241) 내에 지주 포스트(120)에 고정된 체결구(131)가 안착되기 때문에, 소정 하중의 로크 부재(240)를 지주 포스트(120)에 거치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구조물(100)을 힌지식으로 개방할 수 있다.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240 is rotated clockwise in the state of the left view, and the post post 120 in the upper circumferential slot 241 of the lock member 240 in the raised state. Since the fastener 131 fixed to the) is seated, the lock member 240 of a predetermined load is mounted on the holding post 120, and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 the door structure 100 is mounted. ) Can be hingedly opened.

도 12의 좌측 도면은 로크 부재(240)가 지주 포스트(120) 내에서 하강 후 시 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원주 방향 슬롯(242) 내에 도로 지하의 슬리브(110) 내의 체결 로드(115)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며, 이 상태가 고정 상태(체결 상태 또는 잠금 상태)가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구조물(100)이 도로상에 고정 폐쇄된 상태가 된다.The left view of FIG. 12 shows that the lock member 24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fter descending in the post post 120 so that the fastening rod 115 in the sleeve 110 in the basement of the road in the circumferential slot 242 is rotated. It shows the fitted state, and this state becomes a fixed state (fastened state or locked state), and as shown in FIG. 2, the door structure 100 is fixedly closed on the road.

도 12의 우측 도면은 상기의 상태에서 로크 부재(2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 로드(115)가 하부의 원주 방향 슬롯(242)으로부터 수직 슬롯(244)으로 이동되도록 한 상태로, 이 상태는 로크 부재(240)의 체결 상태가 일단 해제되었고 로크 부재(240)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완전히 고정 해제될 수 있는 그러한 상태이다.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24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above state so that the fastening rod 115 is moved from the lower circumferential slot 242 to the vertical slot 244. This state is such a state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lock member 240 is once released and can be completely unlocked by raising the lock member 240.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2가지 실시예의 로크 부재(140, 240)의 상승 및 하강 동작과 관련하여, 그러한 승하강 동작을 매개하는 리프트 기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ft mechanism 180 that mediates such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s in relation to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s of the lock members 140 and 240 of the above-described two embodiments. have.

도 13은 도로 분리 구조물 중에서 로크 부재가 체결 해제를 위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로크 부재의 승하강을 위한 리프트 기구(180)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ck member is lifted to release the lock among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s, and illustrates an example of installing a lift mechanism 18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ock member.

상기 리프트 기구(180)는 상기 로크 부재(140 또는 240) 상단측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견인 롤러(182a, 182b)와, 상기 지주 포스트(120) 상단측에 고정된 고정 롤러(183)와, 일단이 지주 포스트(120) 상단 고정점(181)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견인 롤러(182a)-고정 롤러(183)-견인 롤러(182b)에 차례로 연결되어 로크 부재(140 또는 240))를 승하강 견인하는 견인 와이어(185)와, 이 견인 와이어(185)의 타단이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견인 와이어(185)를 당기고 풀어주는 회전 레버(186)를 구비한다.The lift mechanism 180 includes at least one traction rollers 182a and 182b fixed to an upper end side of the lock member 140 or 240, a fixed roller 183 fixed to an upper end side of the post post 120,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traction roller 182a-fixing roller 183-towing roller 182b in order to secure the lock member 140 or 240 with one end fixed to the upper fixing point 181 of the post post 120. A traction wire 185 for pulling down and the other end of the traction wire 18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clude a rotation lever 186 for pulling and releasing the traction wire 185 by rotation.

상기 지주 포스트(120) 상단에는 가이드 롤러(184)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고정 롤러(183)를 매개로 상기 견인 롤러(182a, 182b)를 경유한 견인 와이어(185)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guide roller 184 is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post post 120 to stably guide the traction wire 185 via the traction rollers 182a and 182b through the fixing roller 183. It is desirable to.

상기 리프트 기구는 도면에서 각 2개의 로크 부재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그 갯수는 무관하며, 와이어(185)가 감기는 회전 레버(186) 내의 와이어 권취 스풀(도시 생략)의 배치에 따라 필요한 경우 증감 가능하다.Although the lift mechanism is shown in the figure as being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each of the two lock members, the number is irrelevant and the arrangement of the wire winding spool (not shown) in the rotary lever 186 to which the wire 185 is wound. If necessary, it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각 구성의 기능에 대응하는 변형된 형태의 등가의 구성 모두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equivalent configurations of modified form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onging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앙 분리대의 소정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of the center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의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n emergency opening structure having a 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도로 분리 구조물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road separating structure of FIG. 2.

도 4는 도 2의 도로 분리 구조물 중 로크 부재와 관련 요소의 설치 상태를 잘 보여주고 있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road separating structure of FIG.

도 5는 도 4의 로크 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ck member of FIG. 4.

도 6은 도 4의 로크 부재가 체결되지 않은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of FIG. 4 is not fastened.

도 7은 도 4의 로크 부재가 체결되어 잠궈진 로킹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a locked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of FIG. 4 is locked.

도 8은 도 4와 유사한 도면으로, 로크 부재 및 체결 로드의 이중 잠금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imilar to FIG. 4 showing a dual locking configuration of the lock member and the fastening rod. FIG.

도 9는 도 4와 유사한 도면으로, 다른 실시예의 로크 부재를 채용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FIG. 9 is a view similar to FIG. 4, illustratin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employing the lock member of another embodiment.

도 10은 도 9의 로크 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ock member of FIG. 9.

도 11은 도 9의 로크 부재가 체결되지 않은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of FIG. 9 is not fastened.

도 12는 도 9의 로크 부재가 체결되어 잠궈진 로킹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a locked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of FIG. 9 is locked.

도 13은 도로 분리 구조물 중에서 로크 부재가 체결 해제를 위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로크 부재의 승하강을 위한 리프트 기구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is lifted to release the lock in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and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lift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ock member.

Claims (12)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로서:As a road separation structure with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도로에 소정 깊이로 고정 매립된 힌지축 포스트와; 이 힌지축 포스트를 매개로 힌지 개방 가능한 도어 구조물을 포함하고, A hinge shaft post fixedly embedded in the road at a predetermined depth; It includes a door structure that can be hinged through the hinge shaft post, 상기 도어 구조물은: The door structure is: 상기 힌지축 포스트에 인접하게 도로 선상을 따라 소정 깊이로 고정되도록 직립 매립되고,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체결 로드를 갖는 개방형 지지 슬리브와; An open support sleeve which is embedded upright to be fix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a road line adjacent to the hinge shaft post, and has an internal fastening rod penetrating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슬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중공의 지주 포스트와; A plurality of hollow post posts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leeves; 상기 지주 포스트의 소정 높이에서 수평으로 고정 연장된 가이드 레일과; A guide rail fixedly extending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ost post; 상기 슬리브 내의 체결 로드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 슬롯을 가지고, 체결시 슬리브 내로 하강하고 체결 해제시 슬리브 외부로 상승하도록 상기 지주 포스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서 내부 이동되는 로크 부재와; A lock member having a fastening slot releasably fastened to a fastening rod in said sleeve, said lock member being moved internally between said post and said sleeve to descend into the sleeve upon fastening and rise out of the sleeve upon fastening; 도로면에 접하도록 상기 지주 포스트 하부에 고정된 롤러 부재를 포함하며,A roller member fixed to the bottom of the post to contact the road surface, 상기 로크 부재는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지주 포스트를 관통하는 체결구와 상기 슬리브 내의 체결 로드가 이동되는 대향하는 대략 'L' 형의 체결 슬롯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 본체와, 원통형 본체 내부에 일부가 그립부로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하부만이 개방된 루프를 이루는 절곡형 로커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로커 로드의 루프 개방부의 양단은 상기 슬리브 내의 체결 로드와 체결시 그 체결 로드에 걸어 체결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The lock member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body having fasteners penetrating the post post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opposite roughly 'L' shaped fastening slots to which the fastening rods in the sleeve are moved, and a part of the grip portion inside the cylindrical body. And a bent rocker rod which is fixed to protrude upward and forms an open loop only at the bottom thereof, wherein both ends of the loop opening of the rocker rod are opposite to each other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astening rod when fastened with the fastening rod in the sleeve. Road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bent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의 체결 해제시 로크 부재를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 기구는 상기 로크 부재 상단측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견인 롤러와, 상기 지주 포스트 상단측에 고정된 고정 롤러와, 상기 견인 롤러와 상기 고정 롤러에 연결되어 로크 부재를 상승 견인하는 견인 와이어와, 이 견인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견인 와이어를 당기고 풀어주는 회전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2.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ft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ock member upon release of the lock member; The lift mechanism includes at least one traction roll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lock member, a fixed roll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ost post, a traction wire connected to the traction roller and the fixed roller to lift and pull the lock member; One end of the traction wire is connected,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ry lever for pulling and releasing the traction wire by rot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포스트 사이에 연결되어 지주 포스트 사이의 간격을 신축 가능하게 조정하는 장력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3.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tension adjusting means connected between the post posts to elastically adjust the gap between the post pos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 수단은 인접하는 지주 포스트에 각각 연결된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사부와 이 나사부 사이를 연결하는 턴 버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4.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ension adjusting means includes a threaded portion having opposite spiral directions connected to adjacent strut posts and a turn buckle connected between the threaded portions.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로드는 수직 배열된 복수 개의 체결 로드이며, 이 체결 로드가 체결되는 체결 슬롯은 상기 'L' 형태 중 수평 통로 부분이 상기 체결 로드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수직 배열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rod is a plurality of fastening rods arranged vertically, the fastening slot to which the fastening rod is fastened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vertically arranged so that the horizontal passage portion of the '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rod A road separation structure having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로서:As a road separation structure with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도로에 소정 깊이로 고정 매립된 힌지축 포스트와; 이 힌지축 포스트를 매개로 힌지 개방 가능한 도어 구조물을 포함하고, A hinge shaft post fixedly embedded in the road at a predetermined depth; It includes a door structure that can be hinged through the hinge shaft post, 상기 도어 구조물은: The door structure is: 상기 힌지축 포스트에 인접하게 도로 선상을 따라 소정 깊이로 고정되도록 직립 매립되고,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체결 로드를 갖는 개방형 지지 슬리브와; An open support sleeve which is embedded upright to be fixed to a predetermined depth along a road line adjacent to the hinge shaft post, and has an internal fastening rod penetrating in a radial direction; 상기 슬리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중공의 지주 포스트와; A plurality of hollow post posts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leeves; 상기 지주 포스트의 소정 높이에서 수평으로 고정 연장된 가이드 레일과; A guide rail fixedly extending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ost post; 상기 슬리브 내의 체결 로드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 슬롯을 가지고, 체결시 슬리브 내로 하강하고 체결 해제시 슬리브 외부로 상승하도록 상기 지주 포스트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서 내부 이동되는 로크 부재와; A lock member having a fastening slot releasably fastened to a fastening rod in said sleeve, said lock member being moved internally between said post and said sleeve to descend into the sleeve upon fastening and rise out of the sleeve upon fastening; 도로면에 접하도록 상기 지주 포스트 하부에 고정된 롤러 부재를 포함하며,A roller member fixed to the bottom of the post to contact the road surface, 상기 로크 부재는 슬롯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베이스면이 마주하는 한 쌍의 평면상 'ㅗ' 형의 세로 빔과, 이 세로 빔 쌍의 하부측을 둘러싸는 원통부와, 그 일부가 그립부로서 상부로 돌출되고 그 하부만이 개방된 루프를 이루도록, 상기 마주하는 'ㅗ' 형의 세로 빔 쌍의 대각선 방향의 각 직교부를 따라 상기 원통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하는 절곡형 로커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ㅗ' 형의 세로 빔 쌍의 상부와 상기 원통부 바로 하부의 세로 빔 쌍에는 각각 지주 포스트를 관통하는 체결구와 상기 슬리브 내의 체결 로드가 이동되는 원주 방향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The lock member includes a pair of planar 'ㅗ' shaped beams facing each base surface with slots therebetween, a cylindrical portion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longitudinal beams, a portion of which is upper as a grip portion. And a bent rocker rod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cylindrical portion along each orthogonal portion of the diagonal 'beam'-shaped longitudinal beam pairs so as to form an open loop, the lower portion of which is open; A lockable emergency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art of the 'ㅗ' type vertical beam pair and the vertical beam pair immediately below the cylindrical portion are formed with fasteners penetrating the post posts and circumferential slots through which the fastening rods in the sleeve are moved. Road separation structure with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내에는 그리스로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The road separa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eeve is filled with gre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포스트의 하부 둘레에는 이물질 침투 방지를 위 한 하부 캡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wer cap is provide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st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캡은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중공의 원통부와 이 원통부 상부의 원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10. 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lower cap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portion fitt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and a cone portion above the cylindrica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포스트의 상부에는 이물질 침투 방지를 위한 상부 캡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The road sepa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cap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ost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 레일 하부의 전체 지지 포스트 및 롤러 부재 부분을 커버하도록 도로상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연장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식 비상 개방 구조를 갖는 도로 분리 구조물.3. The lockable emergency opening structure of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cover member extending along the guide rail on the roadway to cover the entire support post and roller member portion below the horizontal guide rail. Having road separation structure.
KR1020070068040A 2007-07-06 2007-07-06 Median Strip Structure Having Locking-type Emergency Exit KR1009007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040A KR100900735B1 (en) 2007-07-06 2007-07-06 Median Strip Structure Having Locking-type Emergency Ex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040A KR100900735B1 (en) 2007-07-06 2007-07-06 Median Strip Structure Having Locking-type Emergency Ex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03A KR20090004103A (en) 2009-01-12
KR100900735B1 true KR100900735B1 (en) 2009-06-05

Family

ID=4048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040A KR100900735B1 (en) 2007-07-06 2007-07-06 Median Strip Structure Having Locking-type Emergency Ex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7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226B1 (en) * 2010-08-09 2011-01-26 맥이앤씨(주) Movable guardrail and median strip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950B1 (en) * 2011-08-19 2013-03-18 오경열 A Median Strip For Emergency U-Turn
KR101479715B1 (en) * 2011-12-30 2015-01-06 정웅선 a door apparatus of a median strip for U-turn
KR102181483B1 (en) * 2019-01-28 2020-11-23 (주)에스알디코리아 Movable type supporting device for a highway emergency return provided with locking mea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277Y1 (en) * 2002-11-08 2003-02-15 주식회사 백산기술단 A height extension structure of median strip
KR20030042173A (en) * 2001-11-21 2003-05-28 주식회사 하이테크한상 median strip comprised emergency U-turn area
KR200346241Y1 (en) * 2003-12-31 2004-03-30 재 술 나 Adjustable multipurpose wall structure easy for impact relief
KR200413409Y1 (en) * 2006-01-20 2006-04-06 (주) 경화엔지니어링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median strip guide rail in ro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173A (en) * 2001-11-21 2003-05-28 주식회사 하이테크한상 median strip comprised emergency U-turn area
KR200304277Y1 (en) * 2002-11-08 2003-02-15 주식회사 백산기술단 A height extension structure of median strip
KR200346241Y1 (en) * 2003-12-31 2004-03-30 재 술 나 Adjustable multipurpose wall structure easy for impact relief
KR200413409Y1 (en) * 2006-01-20 2006-04-06 (주) 경화엔지니어링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median strip guide rail in ro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226B1 (en) * 2010-08-09 2011-01-26 맥이앤씨(주) Movable guardrail and median strip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03A (en)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416B2 (en) Vehicle barrier deployment system
US8734046B2 (en) Vertically actuated vehicle barrier system
US20130189030A1 (en) Vertically actuated vehicle barrier system
US7329067B1 (en) Retractable road median
KR100900735B1 (en) Median Strip Structure Having Locking-type Emergency Exit
JP2005516845A (en) Energy absorption system
JP2007531837A (en) Net and mat
US20080131200A1 (en) Perimeter anti-ram system
PT1125028E (en) Cable gate
EP3596272B1 (en) Device for securing a road entry
KR100981743B1 (en) Vehicle retrun device of median strip for highway
KR101201216B1 (en) Extension footpath of road construction
KR101212009B1 (en) Lifting-Type Median Strip in Road for Quick Opening
US20160160459A1 (en) Arresting fence system
KR20070034036A (en) Lowering device of canvas door
JP3123682U (en) Telescopic vehicle entry barrier
KR101057721B1 (en) Separation type street light
KR20110004558U (en) Emergency gate for median strip
KR200244680Y1 (en) The height limit device for automobile
KR200252869Y1 (en) Median strip for a emergency of highway
JP3123682U7 (en)
JP6337034B2 (en) Gate guide
KR20230136333A (en) Fence with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JP4021989B2 (en) Open / close fence
JP2024004938A (en) Slide-type protective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