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390B1 -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390B1
KR100900390B1 KR1020070095607A KR20070095607A KR100900390B1 KR 100900390 B1 KR100900390 B1 KR 100900390B1 KR 1020070095607 A KR1020070095607 A KR 1020070095607A KR 20070095607 A KR20070095607 A KR 20070095607A KR 100900390 B1 KR100900390 B1 KR 100900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fusion
belt
guid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366A (ko
Inventor
백남일
Original Assignee
백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지숙 filed Critical 백지숙
Priority to KR102007009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3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의 버클을 결합시키는 웨빙의 끝단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고 결합 부분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웨빙의 단부를 용이하게 결합시켜 버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웨빙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고, 웨빙 단부가 들뜨지 않도록 하며 실을 사용하지 않아 벨트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1)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플레이트(2)와, 상기한 베이스(1)의 후방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봉(3)과, 상기한 가이드봉(3)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초음파융착기(S)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부(4)와, 상기한 승강부(4)와 플레이트(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간헐 승강하면서 접힌 웨빙(W)을 가압하여 초음파 융착하도록 형성된 융착부(5)와, 상기한 가이드봉(3)과 승강부(4)의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부(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벨트, 벨트융착장치, 웨빙융착장치

Description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WELDING DEVICE OF WEBBING FOR BELT}
본 발명은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의 버클을 결합시키는 웨빙의 끝단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고 결합 부분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쥬얼용으로 사용되는 웨빙벨트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등으로 제작된 버클을 나일론등으로 제작되어 있는 웨빙에 결합시켜 제작하게 된다.
상기한 벨트는 일정 길이로 절단 형성되어 있는 나일론등으로 제작된 웨빙과, 상기한 웨빙의 일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웨빙을 끼워서 고정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 버클로 웨빙벨트가 이루어져 있다.
즉, 웨빙의 일단에는 버클을 결합시키고 상기한 버클에 웨빙의 타단을 끼워 고정시키면서 벨트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버클과 웨빙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웨빙을 접은 후 그 사이에 버클을 끼우고, 상기한 웨빙의 단부를 고정시키게 되는 바, 이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B)의 삽입공을 통해 웨빙(W)의 단부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웨빙(W)을 접고 상기한 웨빙(W)의 단부를 실(50)로 바느질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웨빙(W)을 접어서 실(50)로 바느질하여 고정할 때에는 여러줄로 바느질하여 견고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실(50)도 비교적 굵고 강한 재질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웨빙(W)의 결합부분이 ??어져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버클을 고정시키기 위해 웨빙을 접어서 버클을 끼우고 이를 실로 바느질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의 끝부분(E)이 벌어지면서 외관이 저하됨과 아울러 실이 마모되면 보푸라기가 발생되어 외관이 지저분하게 되고 실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웨빙의 단부에 정확하게 바느질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웨빙의 끝부분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실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마모되어 보푸라기가 발생되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웨빙은 비교적 견고한 재질이기 때문에 이를 바느질하여 실로 고정하는 작업이 어렵고 바느질의 땀을 균일하게 하기 어려워 벨트의 전체적인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벨트 웨빙의 단부를 용이하게 결합시켜 버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웨빙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고, 웨빙 단부가 들뜨지 않도록 하며 실을 사용하지 않아 벨트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플레이트와, 상기한 베이스의 후방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봉과, 상기한 가이드봉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초음파융착기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부와, 상기한 승강부와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간헐 승강하면서 웨빙을 가압하여 초음파 융착하도록 형성된 융착부와, 상기한 가이드봉과 승강부의 사이에는 승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웨빙을 접어서 버클을 끼운 후 상하부융착부재의 사이에 웨빙의 접힌 부분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면 초음파 융착에 의해 웨빙이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벨트의 외관 향상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벨트 제작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로서, 베이스(1)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플레이트(2)와, 상기한 베이스(1)의 후방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봉(3)과, 상기한 가이드봉(3)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초음파융착기(미 도시)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부(4)와, 상기한 승강부(4)와 플레이트(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간헐 승강하면서 웨빙(W)의 접힌 부분을 가압하여 초음파 융착하도록 형성된 융착부(5)와, 상기한 가 이드봉(3)과 승강부(4)의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부(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조절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승강부(4)는 도3a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버(6)와, 상기한 외부커버(6)의 내부에 브라켓(7)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8)와, 상기한 실린더(8)의 로드(9)에 연결되어 로드(9)의 동작에 따라 승강함과 아울러 초음파융착기(S)가 장착된 하우징(10)과, 상기한 하우징(10)의 승강 시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가이드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가이드수단은 브라켓(7)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브라켓(11)과, 상기한 가이드브라켓(11)에 나사 결합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외부 커버(6)의 하부로 길게 돌출된 가이드볼트(12)와, 상기한 가이드볼트(12)가 관통하도록 초음파융착기(S)의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공(13)과, 상기한 하우징(1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가이드볼트(12) 하단에 결합된 스톱너트(14)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높이조절수단은 도2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3)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다단 형성된 랙(15)과, 상기한 가이드봉(3)이 관통하도록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커버(6)에 결합되며 일측단이 개방되어 있는 랙하우징(17)과, 상기한 랙하우징(17)의 개방된 부분을 간헐적으로 조이면서 랙하우징(17)(승강부 외부커버)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록킹 수단과, 상기한 랙(15)에 치합되어 수직 방향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랙하우징(17)에 설치된 핸들(18) 및 여기에 결합된 워엄기어(19)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구동기어(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록킹 수단은 랙하우징(17)의 개방된 부분에서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 아암부(21)와, 상기한 아암부(2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아암부(21)의 나사공(22)에 각각 왼나사 및 오른나사로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아암부(21)의 벌어짐과 좁혀짐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록킹 볼트(23) 및 여기에 결합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록킹레버(2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승강부(4)에는 전압조절, 작동시간 조절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융착부(5)는 도2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에 내장되어 있는 초음파융착부(S)에 연결되어 초음파가 인가되어 웨빙(W)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부융착부재(25)와, 상기한 상부융착부재(25)에 대응되도록 플레이트(2)에 고정부(26)로 설치되어 웨빙(W)의 하면을 가압하는 하부융착부재(27)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상하부 융착부재(25, 27)가 웨빙(W)의 접힌 부분 상하부를 가압하게 되면 초음파의 인가 시간 및 출력등에 의해 가압된 부분이 융착되어 웨빙(W)이 서로 견고하게 달라 붙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하부 융착부재(27)의 상면에는 웨빙(W)의 다수 부분이 뚫리면서 웨빙(W)이 서로 융착되어 달라붙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다수의 돌기(28)가 일정 높이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웨빙(W)의 융착전에 미리 승강부(4)의 하강 높이를 세팅하기 위하여, 먼저 록킹 레버(24)를 회전시켜서 랙하우징(17)이 가이드봉(3)을 타고 승강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핸 들(18)을 회전시키면서 승강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핸들(18)을 회전시키게 되면 여기에 결합된 워엄기어(19)가 회전하면서 이와 치합된 구동기어(2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한 구동기어(20)와 치합되어 있는 랙(15)을 타고 승강부(4)가 승강 운동을 하게 되는 바, 상기한 핸들(18)의 회전을 조절하면서 승강부(4)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승강부(4)의 높이가 조절되면 다시 승강부(4)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8)를 작동시키면서 초음파융착부(S)에 연결된 상부 융착부재(25)가 하향되는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스톱너트(14)를 회전시켜서 초음파융착부 하우징(1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여 과도한 하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팅이 완료되면 웨빙(W)에 버클(B)을 끼운 후 웨빙(W)을 접어서 융착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있는 웨빙(W)을 작업자가 끝단을 접어 도1과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융착부재(27)의 상면에 접힌 부분의 끝단이 놓여지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하부융착부재(27)에 접힌 웨빙(W)이 위치되면 승강부(4)의 실린더(8)를 작동시켜서 초음파융착기(S) 및 상부융착부재(25)를 하강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웨빙(W)의 접힌 부분이 상하부 융착부재(52, 27)의 사이에서 일정 압력 및 시간으로 가압되고 초음파가 인가된다.
상하부 융착부재(25, 27)의 사이에 위치된 웨빙(W)에 초음파가 인가되면 접힌 웨빙(W)이 서로 달라붙게 되는 바, 특히 하부 융착부재(27)의 상면에 형성된 돌 기(28)에 의해 접힌 웨빙(2)이 서로 뚫리면서 융착되어 보다 견고하게 융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웨빙(2)이 융착되면 상부융착부재(25)는 실린더(8)의 작동에 의해 상향하게 되고, 작업자는 버클(B)이 결합된 웨빙(W)을 취출함과 아울러 다음 웨빙에 버클을 끼우고 웨빙을 접어서 융착 작업을 연속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힌 웨빙(W)의 융착 상태는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W)의 접힌 부분 끝단이 정확하게 융착되기 때문에 들뜨지 않게 되고, 돌기(28)에 의해 접힌 부분의 웨빙(W)이 뚫리면서 상하부의 웨빙이 보다 견고하게 융착됨으로써, 벨트의 외관이 깔끔하게 됨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실로 결합하는 것에 비해 결합 강도도 보다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웨빙 융착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a는 도2에서 승강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3b는 도3a에서 상부융착부재가 하강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도2에서 A-A 선 단면도,
도5는 도4에서 가이드봉의 랙과 구동기어 및 워엄기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6은 도1에서 하부융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7a는 도1에서 상하부 융착부재에 의한 벨트의 융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하부융착부재에 벨트를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7b는 도7a에서 상부융착부재의 압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8은 일반적인 벨트의 일측면에 버클을 결합시키기 위한 융착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2: 플레이트
3: 가이드봉 4: 승강부
5: 융착부 6: 외부커버
7: 브라켓 8: 실린더
9: 로드 10: 하우징
11: 가이드브라켓 12: 가이드볼트
13: 가이드공 14: 스톱너트
15: 랙 16: 관통공
17: 랙하우징 18: 핸들
19: 워엄기어 20: 구동기어
21: 아암부 22: 나사공
23: 록킹볼트 24: 록킹레버
25: 상부융착부재 26: 고정부
27: 하부융착부재 28: 돌기
W: 웨빙 S: 초음파융착기
B: 버클

Claims (7)

  1. (삭제)
  2. (정정) 베이스의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플레이트와, 상기한 베이스의 후방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봉과, 상기한 가이드봉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커버의 내부에 브라켓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어 로드의 동작에 따라 승강하고 초음파융착기가 장착된 하우징 및 상기한 하우징의 승강 시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가이드수단이 설치된 승강부와, 상기한 승강부와 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간헐 승강하면서 웨빙의 접힌 부분을 가압하여 초음파 융착하도록 형성된 융착부와, 상기한 가이드봉과 승강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수단은 브라켓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한 가이드브라켓에 나사 결합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외부 커버의 하부로 길게 돌출된 가이드볼트와, 상기한 가이드볼트가 관통하도록 초음파융착기의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한 하우징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가이드볼트 하단에 결합된 스톱너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높이조절수단은 가이드봉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다단 형성된 랙과, 상기한 가이드봉이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커버에 결합되며 일측단이 개방되어 있는 랙하우징과, 상기한 랙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간헐적으로 조이면서 랙하우징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록킹 수단과, 상기한 랙에 치합되어 수직 방향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랙하우징에 설치된 핸들 및 여기에 결합된 워엄기어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구동기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록킹 수단은 랙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에서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 아암부와, 상기한 아암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아암부의 나사공에 각각 왼나사 및 오른나사로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아암부의 벌어짐과 좁혀짐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록킹 볼트 및 여기에 결합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록킹레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6. (삭제)
  7. (정정)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융착부는 승강부에 내장되어 있는 초음파융착부에 연결되어 초음파가 인가되어 웨빙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부융착부재와, 상기한 상부융착부재에 대응되도록 플레이트에 고정부로 설치되어 웨빙의 하면을 가압하는 하부융착부재와, 상기한 하부융착부재의 상면에 형성되어 웨빙의 다수 부분이 뚫리면서 웨빙이 서로 융착되어 달라붙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KR1020070095607A 2007-09-20 2007-09-20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KR100900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07A KR100900390B1 (ko) 2007-09-20 2007-09-20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07A KR100900390B1 (ko) 2007-09-20 2007-09-20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366A KR20090030366A (ko) 2009-03-25
KR100900390B1 true KR100900390B1 (ko) 2009-06-02

Family

ID=4069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607A KR100900390B1 (ko) 2007-09-20 2007-09-20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064B1 (ko) * 2021-11-30 2022-06-02 서한나 열풍용착기용 상부롤러 승강 구동장치
KR102411570B1 (ko) * 2021-12-16 2022-06-22 서한나 합성수지용 열풍용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2998B (zh) * 2012-11-29 2015-01-07 高能 扣带自动焊接机
KR102606093B1 (ko) * 2022-11-24 2023-11-27 엠엠아이티(주) 초음파 융착을 통한 부직포형 에어덕트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511A (ko) * 1994-01-12 1995-08-18 홍현희 수지계섬유 직조밴드의 초음파용착장치
KR200343855Y1 (ko) * 2003-12-05 2004-03-10 조국환 초음파 접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511A (ko) * 1994-01-12 1995-08-18 홍현희 수지계섬유 직조밴드의 초음파용착장치
KR200343855Y1 (ko) * 2003-12-05 2004-03-10 조국환 초음파 접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064B1 (ko) * 2021-11-30 2022-06-02 서한나 열풍용착기용 상부롤러 승강 구동장치
KR102411570B1 (ko) * 2021-12-16 2022-06-22 서한나 합성수지용 열풍용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366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90B1 (ko) 벨트의 웨빙 융착장치
JP5053047B2 (ja) 縫い目及び縫い目形成装置並びに縫い目の形成方法
TWI480441B (zh) Suture forming device and sewing machine
US9879367B2 (en)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needle threading device
JP2009285266A (ja) ミシン
WO2006090585A1 (ja) 帽子等筒状の被刺繍物用の刺繍枠
CN210314754U (zh) 一种缝纫机的压紧导向组件
DE19715558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Naht in einem Nähgut
JP3864110B2 (ja) ミシンの生地案内装置
KR200465074Y1 (ko) 체인스티치 재봉틀의 재봉면 주름방지 장치
JP3392712B2 (ja) 生地素材にシームを作るための方法と装置
CN211057394U (zh) 一种鞋帮包脚缝制装置
US5566631A (en) Shield for attachment to a presser foot
CN216074262U (zh) 压脚及缝纫机
CN214300657U (zh) 一种缝纫机压脚压力控制装置
CN216615063U (zh) 便于维修的包缝机
CN219137109U (zh) 一种布料压料装置
CN212152656U (zh) 一种直线缝纫机
CN219686712U (zh) 一种塑料编织布切缝一体制袋机
CN211972661U (zh) 一种动车空调滤芯用缝纫机的定位装置
CN216639832U (zh) 一种针织机用进线机构
JP4971004B2 (ja) ミシンのフレーム構造
CN214655656U (zh) 一种高效尼龙拉链缝合设备
CN212741739U (zh) 一种多层合布全自动双侧缝边装置
JP5408645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