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285B1 -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285B1
KR100900285B1 KR1020020072869A KR20020072869A KR100900285B1 KR 100900285 B1 KR100900285 B1 KR 100900285B1 KR 1020020072869 A KR1020020072869 A KR 1020020072869A KR 20020072869 A KR20020072869 A KR 20020072869A KR 100900285 B1 KR100900285 B1 KR 100900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amera
hinge arm
center
side hinge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722A (ko
Inventor
남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2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단 좌/우측에 제 1, 2사이드 힌지아암이 돌출된 서브폴더와, 상기 제 1, 2사이드 힌지아암 사이에 축설되도록 상단의 중앙부 좌/우측에 제 1, 2센터 힌지아암이 돌설된 메인폴더와, 상기 제 1, 2센터 힌지아암의 중앙부에 회전되도록 축설된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1사이드 힌지아암과 제 1센터 힌지아암의 내경은 축방향으로 양단을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일측면의 중심부에서 제 1 사이드 힌지아암과 제 1 센터 힌지아암을 관통되게 돌설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의 돌출단에 중심부가 소형볼트로 체결되며 제 1 사이드 힌지아암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판형 조절판과, 상기 축봉이 중심부로 관통되며 제 1 사이드 힌지아암과 제 1 센터 힌지아암에 내삽되어 조절판과 일면이 대접되는 환상원판형의 압력판 및 상기 압력판과 디지털 카메라 사이에 위치하여 압력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조절판과 압력판의 대접면에 형성되어 조절판의 정확한 회전이동을 제어하는 조절판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를 제공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회전조작을 용이하도록 하며 동시에 그 회전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Rotation device of digital camera of dual folder type mobile phone}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3 : 디지털 카메라 131 : 축봉
140 : 조절판 143, 153 : 기어부
150 : 압력판 170 : 탄성부재
본 발명은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써, 특히 단말기의 힌지결합부에 카메라 회전장치를 구비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회전조작을 용이하도록 하며 동시에 그 회전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근래의 단말기는 무선전화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이고 인터넷접속도 가능하게 되었고 화상통화나 화상정보의 전송도 가능하게 되어있다.
이와같은 화상정보 전송이 가능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형적으로 바타입(BAR-TYPE), 플립 타입(FLIP-TYPE), 폴더 타입(FOLDER-TYPE) 등의 형태로 분류된다.
상기 열거한 단말기중에 일반적으로 화상정보 통신이 가능한 폴더타입 화상 단말기는 도 1,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메인 폴더와(1), 서브폴더(2)와, 상기 메인 폴더(1)와 서브 폴더(2)를 기계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장치(3)와, 상기 힌지장치(3)에 설치된 디지털카메라(4)로 구성되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4)는 힌지장치(3)의 중심부에 고정 및 일정각도내에서 회동되게 축설되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4)는 연성회로기판(5)에 의하여 영상처리장치(미도시)가 구비된 메인 폴더의 인쇄회로기판(6)과 연결되었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압축하는 비디오 코덱부(미도시)와, 상기 비디오 코덱부를 거쳐 변환된 신호를 무선 전송부를 통하영 전송할 수 있는 기전대역 신호 처리부(미도시)로 형성 되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4)가 구비된 일반적인 화상 단말기는 디지털 카메라(4)를 통하여 사용자의 얼굴 화상이 상대측으로 전송됨과 동시에 상대측의 얼굴 화상이 자신의 단말기 화면 즉, 액정표시화면(7)에 출력되었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카메라(4)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힌지장치(3)의 가운데에 고정 및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그 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디지털 카메라(4)를 힌지장치(3)에 고정되게 설치한 경우는 다양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단말기본체 전체를 움직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4)를 힌지장치(3)의 중앙부에 회동되게 축설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디지털 카메라(4)를 자신으로 손으로 접촉하여 회전작동하여야 하므로, 카메라(4)의 렌즈(8)가 쉽게 더럽혀지고 또한, 조작하는 손에 렌즈(8)가 가려져서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특히 단말기의 힌지장치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디지털 카메라를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회전조절하는 별도의 회전장치를 구비하여 멀티조작하므로써, 카메라 회동조작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카메라의 회전량을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 좌/우측에 제 1, 2사이드 힌지아암이 돌출된 서브폴더와, 상기 제 1, 2사이드 힌지아암 사이에 축설되도록 상단의 중앙부 좌/우측에 제 1, 2센터 힌지아암이 돌설된 메인폴더와, 상기 제 1, 2센터 힌지아암의 중앙부에 회전되도록 축설된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1사이드 힌지아암과 제 1센터 힌지아암의 내경은 축방향으로 양단을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일측면의 중심부에서 제 1 사이드 힌지아암과 제 1 센터 힌지아암을 관통되게 돌설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의 돌출단에 중심부가 소형볼트로 체결되며 제 1 사이드 힌지아암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판형 조절판과, 상기 축봉이 중심부로 관통되며 제 1 사이드 힌지아암과 제 1 센터 힌지아암에 내삽되어 조절판과 일면이 대접되는 환상원판형의 압력판 및 상기 압력판과 디지털 카메라 사이에 위치하여 압력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조절판과 압력판의 대접면에 형성되어 조절판의 정확한 회전이동을 제어하는 조절판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3, 4,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 3, 4,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단 좌/우측에 제 1, 2사이드 힌지아암(101,102)이 돌출된 서브폴더(100)와, 상기 제 1, 2사이드 힌지아암(101,102) 사이에 축설되도록 상단의 중앙부 좌/우측에 제 1, 2센터 힌지 아암(111,112)이 돌설된 메인폴더(110)와, 상기 제 1, 2센터 힌지아암(111,112)의 중앙부에 회전되도록 축설된 디지털 카메라(130)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130)의 일측면으로 일단의 센터 힌지아암(111,112) 및 일단의 사이드 힌지아암(101,102)사이에 축설된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A)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2사이드 힌지아암(101,102) 및 제 1, 2센터 힌지아암(111,112)과 디지털 카메라(130)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 1, 2사이드 힌지아암(101,102)과 제 1, 2센터 힌지아암(111,112)의 내부는 빈공간이다.
그리고 상기 일측 사이드 힌지아암(101)(이후, 제 1 사이드 힌지아암이라 칭함)과 일측 센터 힌지아암(111)(이후, 제 1 센터 힌지아암이라 칭함)은 축방향으로 양단을 개방되게 형성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A)는 바와같이 디지털 카메라(130)의 일측면의 중심부에서 제 1 사이드 힌지아암(101)과 제 1 센터 힌지아암(111)를 관통되게 돌설되는 축봉(131)과, 상기 축봉(131)의 돌출단에 중심부가 소형볼트(160)로 체결되며 제 1 사이드 힌지아암(101)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판형 조절판(140)과, 상기 축봉(131)이 중심부로 관통되며 제 1 사이드 힌지아암(101)과 제 1 센터 힌지아암(111)에 내삽되어 조절판(140)과 일면이 대접되는 환상원판형의 압력판(150) 및 상기 압력판(150)과 디지털 카메라(130) 사이에 위치하여 압력판(1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70)와, 상기 조절판(140)과 압력판(150)의 대접면에 형성되어 조절판(140)의 정확한 회전이동을 제어하는 조절판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축봉(131)의 돌출단의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나사공(132)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판(140)의 중심부에 결합공(141)과 상기 결합공(141)의 외주연부에 볼트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자리홈(142)을 형성하여, 볼트(160)에 의하여 체결한다.
상기 압력판(150)은 외주연부에 가이드 돌기(152a,152b)를 돌설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152a,152b)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103a, 103b)을 소정의 길이로 제 1 사이드 힌지아암(101)의 내경에 축방향으로 형성하여, 압력판(150)의 회전이동을 방지하고 제 1 사이드 힌지아암(101)의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왕복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판 회전제어수단은 조절판(140)과 압력판(150)의 대접면에는 각각의 원주방향으로 기어부(143,153)를 형성하여 상호교합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4,5를 통하여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조립은 서브폴더(100)의 제 1 , 2사이드 힌지아암(101,102) 사이에 메인폴더(110)의 제 1, 2 센터 힌지아암(111,112)을 그리고 상기 제 1, 2센터 힌지아암(111,112) 사이에 디지털 카메라(130)를 동일 축선상으로 삽입 설치하고, 제 1사이드 힌지아암(101)과 제 1 센터 힌지아암(111)에 축방향으로 탄성부재(170)인 코일 스프링 및 압력판(15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70)의 내경 및 압력판(150)의 축공(151)으로 축봉(131)이 관통된다.
또한, 상기 압력판(150)의 돌기(152a,152b)는 제 1 사이드 힌지아암(101)의 내경에 형성한 가이드 홈(103a,103b)에 삽입된다.
그리고 축봉(131)의 돌출단에 조절판(140)의 중심부를 위치하고, 축봉(131)의 나사공(132)과 조절판(140)의 결합공(141) 및 자리홈(142)을 통하여 볼트(160)로써 축봉(131)에 조절판(140)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조절판(140)의 기어부(143)와 압력판(150)의 기어부(153)는 상호 교합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압력판(150)은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하여 조절판(140)에 일정한 압력으로 대면된다.
이와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조절판(140)을 일정량 회전하면, 동시에 조절판(140)과 축봉(131)으로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130)가 동일하게 회전된다.
이때, 상기 조절판(140)과 대면된 압력판(150)의 상호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절판(140)의 기어부(143)에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압력판(150)의 기어부(153)가 교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판(140)을 회동하면 상기 압력판(150)은 가이드 홈(103a,103b)에 삽입된 돌기(152a,152b)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일정거리를 이동된다.
즉, 조절판(140)의 회동에 따라 조절판(140)의 기어부(143)의 기어산(미도시)과 압력판(150)의 기어부(153)의 기어산(미도시)이 대면되면 상기 압력판(150)은 축방향을 디지털 카메라(130)쪽으로 기어산의 높이만큼 후진하고, 이후, 조절판(140)의 기어부(143)와 압력판(150)의 기어부(153)가 교합되면 상기 압력판(150)은 탄성부재(1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조절판(140)쪽으로 직선이동되어 조절판(140)에 압 착된다.
따라서, 조절판(140)은 일정량 회전한 상태에서 더 이상 회동하기 않으면 그 상태에서 압력판(150)의 기어부(153)와 상기 조절판(140)의 기어부(143)가 교합되여, 더 이상 조절판(140)이 회동되지않고 고정되며, 동시에 디지털 카메라(130)도 조절판(140)과 동일한 양으로 회전되어 그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판(140) 및 압력판(150)의 기어부(143,153)를 형성하는 다수의 치산(미도시)은 그 치산의 폭이 일정하므로, 상기 조절판(140)을 상기 치산의 폭만큼씩 이동하여 그 회전량을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의 힌지부에 회전되게 축설된 디지털 카메라를 기어부가 상호교합된 조절판과 압력판을 구비한 별도의 회전장치로 회전하므로써,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처럼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회전조작하여 상기 디지털 케메라의 렌즈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며, 디지털 카메라의 회전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단 좌/우측에 제 1, 2사이드 힌지아암이 돌출된 서브폴더와, 상기 제 1, 2사이드 힌지아암 사이에 축설되도록 상단의 중앙부 좌/우측에 제 1, 2센터 힌지아암이 돌설된 메인폴더와, 상기 제 1, 2센터 힌지아암의 중앙부에 회전되도록 축설된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 1사이드 힌지아암과 제 1센터 힌지아암의 내경은 축방향으로 양단을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일측면의 중심부에서 제 1 사이드 힌지아암과 제 1 센터 힌지아암을 관통되게 돌설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의 돌출단에 중심부가 소형볼트로 체결되며 제 1 사이드 힌지아암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판형 조절판과,
    상기 축봉이 중심부로 관통되며 제 1 사이드 힌지아암과 제 1 센터 힌지아암에 내삽되어 조절판과 일면이 대접되는 환상원판형의 압력판 및 상기 압력판과 디지털 카메라 사이에 위치하여 압력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조절판과 압력판의 대접면에 형성되어 조절판의 정확한 회전이동을 제어하는 조절판 회전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 회전제어수단은 조절판과 압력판의 대접면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돌설되어 상호 교합는 기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
KR1020020072869A 2002-11-21 2002-11-21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 KR100900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869A KR100900285B1 (ko) 2002-11-21 2002-11-21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869A KR100900285B1 (ko) 2002-11-21 2002-11-21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22A KR20040044722A (ko) 2004-05-31
KR100900285B1 true KR100900285B1 (ko) 2009-05-29

Family

ID=3734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869A KR100900285B1 (ko) 2002-11-21 2002-11-21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319B1 (ko) * 2003-05-29 2005-12-12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996A (ko) * 2000-12-30 2002-07-11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듀얼타입 힌지모듈
KR20020084689A (ko) * 2001-05-03 2002-11-09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996A (ko) * 2000-12-30 2002-07-11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듀얼타입 힌지모듈
KR20020084689A (ko) * 2001-05-03 2002-11-09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22A (ko)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636124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JP4343817B2 (ja) スライディング及び回転タイプ携帯端末機のスライディング及び回転ヒンジ装置
US7450172B2 (en) Bar-typ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rotary type hinge device thereof
US6980424B2 (en) Rotary type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2004533583A (ja) ヒンジ装置
EP1469656A2 (en) Mobile phone having a rotational camera lens housing
US7832058B2 (en) Swivel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593544B1 (ko) 자동 개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56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JP3828643B2 (ja) ヒンジ装置
US8082632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sub-housing stopper
KR100900285B1 (ko)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
EP1528759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flip-u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0636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30063726A (ko) 카메라 뷰파인더의 자동반전기능을 갖는 휴대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0137985Y1 (ko)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KR20032391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와 플래쉬 일체 구조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CN211606605U (zh) 无球罩摄像机
KR100830498B1 (ko) 카메라 일체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7105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9950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동장치
KR200253383Y1 (ko) 이동단말기용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