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689A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689A
KR20020084689A KR1020020022042A KR20020022042A KR20020084689A KR 20020084689 A KR20020084689 A KR 20020084689A KR 1020020022042 A KR1020020022042 A KR 1020020022042A KR 20020022042 A KR20020022042 A KR 20020022042A KR 20020084689 A KR20020084689 A KR 20020084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se
rotating member
hinge devic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825B1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825B1/ko
Priority to PCT/KR2002/000811 priority patent/WO2002091604A2/en
Priority to AU2002251591A priority patent/AU2002251591A1/en
Publication of KR2002008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무선전화기는 제1 유닛, 제2 유닛, 카메라를 갖는 제3 유닛을 구비한다. 힌지장치가 제1 유닛에 대하여 대체로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제2 유닛과 제3 유닛 각각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힌지장치는 케이스, 제1 회전부재, 직선이동부재, 탄성부재, 제2 회전부재, 받침부재를 구비한다. 케이스는 상기 축선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이며 구멍이 마련된 멈춤벽을 갖는다. 제1 회전부재는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제2 유닛과 연결된다. 직선이동부재는 제1 회전부재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축선을 따라 상기 케이스 내에서 직선이동한다. 탄성부재는 직선이동부재를 제1 회전부재 쪽으로 가압한다. 제2 회전부재는 케이스에 대하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제2 회전부재는 케이스의 멈춤벽 쪽으로 가압되어 멈춤벽과 접한다. 제2 회전부재는 제3 유닛과 연결된다. 받침부재는 제2 회전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된다.

Description

힌지장치 {HINGE DEVICE}
본 발명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유닛을 중심으로 다른 하나의 유닛을 회전시키면서 사용하는 장치-예를 들면, 두 케이스 유닛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에서 상기 유닛들을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의 폴더형 무선전화기와 같은 휴대장치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폴더형 무선전화기는 키패드는 한쪽 케이스 유닛에, 액정디스플레이는 다른 쪽 케이스 유닛에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키패드나 액정디스플레이가 안쪽에 가도록 접어두고, 사용할때에는 펼쳐서 사용한다. 이 두 유닛 사이를 연결해주고 원활하게 펼치고 접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힌지장치이다.
한편, 무선전화기는 그것이 실현하는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차세대 규격의 무선전화기에서 이러한 특징은 두드러진다. 예를 들면, IMT2000과 같은 차세대 규격의 무선전화기에서는 화상통화를 위하여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기기는 다양한 기능이 요구된다. 그 다양한 기능은 각종 유닛들이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의 힌지장치는 대개 두 개의 유닛 사이를 연결해주고, 그 사이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힌지장치로는 각종 장치들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유기적으로 연결해주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유닛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주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유닛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해주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측에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힌지축을 마련하여 어느 하나의 유닛(예를 들면, 무선전화기의 어느 하나의 케이스 유닛)에 대하여 다른 두 개의 유닛(예를 들면, 무선전화기의 다른 하나의 케이스 유닛과 카메라유닛)이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케이스 유닛과 카메라 장치가 연결된 폴더형 무선전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1B는 도1A에서 폴더형 무선전화기의 연결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단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B의 힌지장치의 단면도로서 케이스를 단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B의 힌지장치의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B의 힌지장치의 회전마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도1B의 힌지장치의 받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도1B의 힌지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1B의 힌지장치의 캠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도1B의 힌지장치의 캠종동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도1B의 고정 캡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1A의 폴더형 무선전화기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도10의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12는 도10의 힌지장치의 사시도로서 일부 부재를 절단하여 내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도면
도13은 도10의 힌지장치의 조립 전의 회전마찰부재와 받침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4의 (a), (b), (c)는 도10의 힌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15는 도10의 힌지장치의 캠과 캠종동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의 단면도
도17은 도16의 힌지장치에 사용되는 웨이브 와셔의 사시도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유닛, 제2 유닛, 제3 유닛이 구비된 장치에서,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제2 유닛과 제3 유닛 각각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상기 3개의 유닛을 서로 연결해 주기 위한 힌지장치로서,
구멍이 마련된 멈춤벽을 가지며 상기 제1 유닛과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1 회전부재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케이스 내에서 직선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직선이동부재를 상기 제1 회전부재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케이스의 멈춤벽 쪽으로 가압되어 멈춤벽과 접하며 상기 멈춤벽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중앙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중앙샤프트는
상기 멈춤벽에 걸리는 머리와,
상기 머리로부터 상기 회전축선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멈춤벽의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2회전부재, 상기 받침부재, 상기 탄성부재, 상기 직선이동부재를 지나, 상기 제1 회전부재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2 회전부재와는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부재와는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을 구비한다. 또한, 중앙 샤프트의 상기 기둥의 선단에는 확대된 외경과 앞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가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부재에는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구멍 내에 마련되며 구멍의 내벽으로부터 회전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의 확대된 외경보다 작은 구멍이 마련된 결합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벽은 대체로 원뿔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버팀 테두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받침판이 변형되어 상기 버팀테두리가 상기 케이스의 멈춤벽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굴곡진 웨이브 와셔가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직선이동부재 중 하나에는 캠이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캠과 상호작용하는 캠종동부가 마련된다. 상기 캠은 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인 두 개의 산과 상기 산 사이에 위치하는 골을 구비하며, 상기 산과 골 사이는 연결되어 캠면을 형성하고, 상기 캠종동부는 캠면을 따라 이동하며 축선을 중심으로 직경방향으로 위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유닛, 제2 유닛, 제3 유닛이 구비된 장치에서,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제2 유닛과 제3 유닛 각각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상기 3개의 유닛을 서로 연결해 주기위한 힌지장치로서,
멈춤벽을 가지며 상기 제1 유닛과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케이스의 멈춤벽 쪽으로 가압되어 멈춤벽과 접하며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를 상기 멈춤벽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멈춤벽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2 멈춤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멈춤벽은 제1 회전부재와 접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회전부재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유닛, 제2 유닛, 제3 유닛이 구비된 장치에서,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제1 유닛과 제3 유닛 각각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해주며, 상기 3개의 유닛을 연결해 주기 위한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과 결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3 유닛과 결합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제3 유닛을 갖는 무선전화기로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과, 상기 제3 유닛을 연결하는 상기 기재의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화기가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용 무선 전화기(10)는 제1 케이스 유닛(11)과 제2 케이스 유닛(12)을 구비한다. 제1 케이스 유닛(11) 내에는 스피커와 액정 디스플레이가 내장된다. 통상 제2 케이스 유닛(12) 내에는 키패드와, 마이크, 무선신호 처리회로 등이 내장된다. 제1 케이스 유닛(11)에는 카메라유닛(1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메라(13)는 이들 두 유닛의 회전축 상에 위치한다. 이들 제1 케이스 유닛(11)과 제2 케이스 유닛(12), 카메라 사이는 힌지장치(14)가 연결해준다.
계속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제1 케이스 유닛(11)의 일측 연장부에는 힌지장치(14)의 장착구멍이 마련된다. 장착구멍에 힌지장치(14)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 장착구멍은 후술하는 힌지장치의 케이스(24)의 형상과 맞추어서 형성되므로 힌지장치(14)가 제1 케이스 유닛(1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 고정된다. 제2 케이스 유닛(12)에도 설치구멍이 마련된다. 이는 힌지장치(14)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설치구멍은 힌지장치(14)의 케이스(24) 보다 약간 크게 만든다. 힌지장치(10)를 케이스 유닛(11,12)과 카메라(13)에 조립할 때, 제2 케이스 유닛(12)의이 설치구멍을 통하여 힌지장치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2 케이스 유닛(12)의 설치구멍을 통하여 힌지장치(14)를 끼워 제1 케이스 유닛(11)에 고정한 후, 힌지장치(14)가 외부에 나타나지 않도록 설치구멍에 고정캡(15)을 끼운다. 고정캡(15)의 힌지장치(14)의 제1 힌지부에 있는 제1 힌지 샤프트(16)와 고정되며, 제2 케이스 유닛에도 고정된다. 결국, 제1 힌지 샤프트(16)는 제2 케이스 유닛(12)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렌즈(13d)가 구비된 카메라(13)는 힌지장치(14)의 제2 힌지부에 있는 제2 힌지 샤프트(20a)에 고정된다. 카메라(13)는 방향을 쉽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13a)를 구비한다. 조절노브(13a)는 제2 힌지 샤프트에 고정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14)는 케이스(24)와, 상기 케이스(24)에 수용되는 회전마찰부재(20)와 마찰받침부재(22), 탄성부재(30)와, 캠종동부재(26)와 캠부재(28)를 구비한다. 회전마찰부재(20)와 받침부재(22)는 제2 힌지부를 형성하고, 캠종동부재(26)와 캠부재(28)는 제1 힌지부를 형성한다.
도3의 (a)는 케이스(24) 본체의 측면도이고, (b)는 덮개(24a)의 측면도이며, (c)는 케이스 본체의 정면도로서 개방된 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케이스(24)는 대체로 사각형으로서, 네 모서리는 모따기한 형태의 길다란 통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4)의 3면은 편평한 벽(24b)으로 이루어진다. 편평한 벽(24b)은 무선전화기의 제1 케이스 유닛(11)에 끼워 넣어 조립하였을 때, 회전방지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되는 받침부재(22)와 캠부재(28)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도 한다. 케이스(24)의 다른 한 면은 개방되어 있다. 이 개방된 쪽으로 각종 부재들이 삽입되어 조립된다. 케이스(24)는 덮개(24a)를 구비한다. 각종 부재를 케이스(24) 내에 삽입한 후 이 덮개(24a)를 덮어 고정한다.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덮개(24a)는 스냅 피트와 같은 고정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케이스 본체에 결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케이스(24)의 양단부에는 축 구멍(34a,34b)이 형성된 단부벽(36a,36b)이 있다. 케이스(24)는 금속(예를 들면, 황동판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와는 달리, 플라스틱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4의 (a)는 회전마찰부재(20)의 좌측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며, (c)는 우측면도이다. 도1, 도2, 도4를 참조하면, 회전마찰부재(20)는 원판(20a)을 구비한다. 원판(20a)의 한쪽에는 사각 기둥형상의 힌지샤프트(20b)가 돌출 연장되어 있다. 이 힌지샤프트(20b)는 케이스(24)의 축 구멍(34a)을 지나 연장된다. 원판(20a)의 다른 쪽으로는 마찰돌기(20c)가 2개 돌출되어 있다. 마찰돌기(20c)는 대체로 반구형의 돌기로서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중앙에는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기둥(20d)이 마련된다. 이 원기둥(20d)은 후술하는 받침부재(22)의 중앙 구멍(22a)에 끼워진다. 이 회전마찰부재(20)는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5의 (a)는 받침부재(22)의 측면도이고, (b)는 받침부재(22)의 종단면도이다. 도1, 도2, 도5를 참조하면, 받침부재(22)는 케이스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모따기가 이루어진 대체로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중앙에는 중앙 구멍(22a)이 마련되어 있다. 받침부재(22)는 금속 판재 또는 플라스틱 수지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2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는 압축코일 스프링인데, 받침부재(22)를 회전마찰부재(20) 쪽으로 민다. 마찰돌기(20c)와 받침부재(22) 사이에는 마찰력이 생긴다. 이 때, 카메라(13)의 노브(13a)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카메라(13)가 회전한다. 정지 상태에서는 마찰돌기(20c)와 받침부재(2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어느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카메라(13)가 움직이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도6의 (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22')의 측면도이고, (b)는 받침부재(22')의 종단면도이다. 도6의 받침부재(22')는 마찰돌기(20c)가 삽입되는 홈(22b')이 마련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5의 받침부재와 구성이 동일하다. 이러한 받침부재(22')를 사용하면 마찰 돌기가 어느 위치에서는 홈(22b')에 끼워진다. 따라서, 카메라(13)는 그 위치에서는 다른 위치보다 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7의 (a)는 캠부재(28)의 정면도이며, (b)는 캠부재(28)의 측면도이다. 도1, 도2, 도7을 참조하면, 도2를 참조하면, 캠부재(28)는 상기 케이스(24)의 내부에서 중심축선을 따라 직선운동은 가능하되 회전은 안되도록 끼워진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의 형상과 맞도록 평면 벽(28a)을 구비한다. 캠종동부재(26)와 대향하는 면에는 캠이 마련된다. 캠(64)은 캠종동부재를 향하는 쪽에 마련된 캠면(66)을 구비한다. 캠(64)은 회전축선(99)을 중심으로 대칭인 마주보는 2개의 정상부(peak, 산)(68,69)와 상기 정상부(68,69)에 의해 분리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마주보는 골짜기부(70,71)를 갖는다. 캠면(66)은 상기 정상부(68,69)와골짜기부(70,71) 및 이들을 연결하는 스무스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캠부재(28)는 회전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보스(7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부재(28)에는 회전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구멍(77)이 마련된다. 이 관통구멍(77)에는 캠종동부재(26)에 형성된 중앙 안내막대(55)가 끼워져 상대운동이 안내된다. 캠부재(28)가 케이스(24)내에서 조립되었을 때, 캠면은 캠종동부재(26)의 날개(56)를 향한다.
도8의 (a)는 회전운동하는 캠종동부재(26)의 측면도이며, (b)는 정면도이다. 도1B, 도2, 도8을 참조하면, 캠종동부재(26)는 원판형의 지지체(52)와 상기 지지체(52)의 중앙부로부터 회전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힌지 샤프트(16)를 갖는다. 힌지 샤프트(16)는 대체로 사각형이다.
힌지 샤프트(16)가 형성된 쪽과 반대쪽에는 중앙 안내막대(55)가 돌출되어 연장된다. 중앙안내막대(55) 옆에는 2개의 캠종동 날개(56)가 마련된다. 캠종동 날개(56)는 중앙 안내막대(55)와 함께 회전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중앙 안내막대(55)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된다. 2개의 캠종동 날개(56)는 힌지장치(14)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2개의 날개(56)는 캠종동부(cam follower)를 형성한다. 캠종동부라 함은 전술한 캠과 상호작용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캠종동날개(56)의 끝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줄어들며, 끝단은 둥글게 처리된다. 물론 캠종동부의 구성은 날개(56)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안내막대와는 분리된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캠종동부재(26)는 케이스(24)의 개방된 쪽을 통하여 삽입된다. 케이스(24)내에서 캠종동부재(26)는 회전축선(9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종동부재(26)의 힌지 샤프트(16)는 케이스(24)의 축 구멍(34b)을 통하여 돌출된다.
도1B, 도2를 참조하면, 탄성부재(30)는 받침부재(22)를 회전축부재(20)쪽으로, 캠부재(28)를 상기 캠종동부재(26) 쪽으로 민다.
도1B, 도2를 참조하면, 힌지장치 조립 시에는 먼저 케이스(24)의 개방된 쪽을 통하여 회전마찰부재(20)와 캠종동부재(26)를 넣는다. 이 때, 각각의 힌지 샤프트(20b,16)는 축 구멍(34a,34b)을 통하여 돌출되게 한다. 그 뒤, 받침부재(22)와 캠부재(28)를 넣어 각각 회전마찰부재(20)와 캠종동부재(26)가 마주보도록 위치시킨다. 최종적으로 탄성부재(30)를 최대한 압축하여 넣은 후 받침부재(22)와 캠부재(28) 사이에 놓는다. 그러면, 탄성부재(30)의 복원력이 받침부재(22)를 회전마찰부재(20) 쪽으로, 캠부재(28)를 상기 캠종동부재(26) 쪽으로 밀게 된다. 각 부품들을 넣은 후 덮개(24a)로 덮어 조립을 완료한다.
도9의 (a)는 고정캡(15)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캡(15)은 머리(15a)와 몸통(15b)을 구비한다. 머리(15a)에서 연장된 몸통(15b)은 원기둥의 양옆을 평면으로 깎아낸 형태이다. 이 평면(15c)에 의해 고정캡(15)이 제2 케이스 유닛(12) 내에서 고정된다. 도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 케이스 유닛(12)의 설치 구멍은 상기 고정캡의 몸통 및 머리에 맞는 형상으로 뚫려 있다. 몸통(15b)의 단부에는 결합구멍(15d)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결합구멍(15d)에는 힌지 샤프트(16)가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캠종동부재(26), 고정캡(15), 제2 케이스 유닛(12)은 모두 결합되어하나의 몸체처럼 회전할 수 있다.
캠부재, 캠종동부재, 고정캡은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금속재료를 분말야금, 단조 또는 다이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도1B, 도2를 참조하여 도2의 힌지장치(14)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1B는 제1 케이스 유닛(11)과 제2 케이스 유닛(12) 사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펼쳐진 상태에서는 캠종동부재(26)의 종동날개(56)는 캠부재(28)의 골짜기부(70,71)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는 사용 상태이다.
펼쳐진 상태에서 통화하면서 화상을 보내기 위해 카메라(13)를 작동시킨다. 카메라(13)의 방향이 맞지 않을 때에는 회전노브(13a)를 돌려준다. 그러면, 회전마찰부재(20)가 회전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브(13a) 정지시키면, 돌기(20c)와 받침부재(22) 사이 및 회전마찰부재와 케이스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펼쳐진 상태에서 제2 케이스 유닛(12)을 접으면, 캠종동부재(26)의 종동날개(56)는 캠면(66)을 따라서 정상부(68,69)를 향하게 된다. 이 때, 캠부재(28)는 뒤로 밀리고 스프링이 압축된다. 종동날개(56)가 정상부(68,69)를 지나면,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종동날개(56)가 캠면의 타고 내려가면서 저절로 닫히게 된다. 최종적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캠면의 경사부에 종동날개(56)가 위치한다.
이러한 제1 힌지부의 캠 및 캠종동부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제266516호, 한국특허출원공개 제1998-72158호, 미국특허 제6,085,387에 기재된 캠부재 및 캠종동부재에 있는 캠과 캠종동부의 구성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특허 또는 특허출원의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 삼는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제2 힌지부에 회전축부재(20)와 받침부재(22)가 마련되고, 다른 한쪽의 제1 힌지부에 캠부재(28)와 캠종동부재(26)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양쪽 모두 회전축부재와 받침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만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 양쪽 모두 캠부재와 캠종동부재를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110)는 양측에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한 힌지샤프트를 갖는다. 힌지장치(110)는 회전부재(120)와, 직선이동부재(150)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180)와, 중앙 샤프트(170), 회전마찰부재(220)와 마찰받침부재(230)를 구비한다. 회전부재(120)와 직선이동부재(150)와 코일 스프링(180), 회전마찰부재(220)와 정지마찰받침(230)은 상기 케이스(190) 내부에 수용되며, 중앙 샤프트(17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계속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케이스(190)는 길다란 대체로 4각형의 통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90)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힌지장치(110)의 회전축선(100)이 된다. 케이스(190)는 일단부에 형성되는 단부벽(192)과, 단부벽(192)으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측벽(198)을 구비한다. 단부벽(192)있는 쪽의 반대편은 개방되어 있다. 회전축선(100)이 통과하는 단부벽(192)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이 마련된다(도5 참조). 이 관통구멍(190a)을 통과하여 후술하는 중앙 샤프트(170)가 케이스(190) 안으로 삽입된다. 4개의 측벽(198)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는 모따기되어 있다. 4개의 편평한 측벽은 휴대 전화기의 케이스 유닛에 끼워 넣어 조립하였을 때, 키 역할을 하여 케이스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되는 직선이동부재(15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도 한다. 케이스(190)는 플라스틱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금속판재를 드로잉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회전부재(120)는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샤프트를 형성하는 원판형 기부(121)와 힌지 샤프트(122)와, 힌지 샤프트(122)의 반대쪽으로 돌출한 두 캠종동돌기(140)를 구비한다. 사각 기둥형태인 힌지 샤프트(122)는 네 개의 측벽(125)을 구비한다. 회전부재(120)는 힌지 샤프트 쪽으로부터 내부로 파여진 홈(127)이 마련되며, 이 홈(127)으로 연결되고 회전축선(100)을 따라 형성되며 결합관통구멍(129)이 마련된다. 도12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홈(127) 안에는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하는 원뿔대형상의 통을 이루는 결합부(128)를 구비한다. 결합부(128)는 홈(127)의 바닥(또는 관통구멍(129)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다. 결합부(128)는 그 내경이 홈 바닥부에는 관통구멍(129)과 비슷하나 끝 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28)를 형성하는 벽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틈새에 의해 갈래 벽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갈래 벽으로 나누는 것은 중앙 샤프트를 쉽게 끼울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11과 도12를 참조하면, 동일한 형태인 두 캠종동돌기(140)는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캠종동돌기(140)의 정상부(144)가 주로 후술하는 캠면과 접한다. 회전부재(120)에 마련된 관통구멍(129)은 원형의 구멍으로서,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중앙샤프트(170)가 끼워져 회전부재(120)의 회전운동이 안내된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직선이동부재(150)는 측벽(152), 회전부재(1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캠(160), 캠(160)의 반대편에 형성된 원통형의 보스(169)를 구비한다. 직선이동부재(150)에는 회전축선(100)을 따라 캠(160)으로부터 보스(169)를 관통하는 관통구멍(151)이 마련된다. 관통구멍(151)에는 후술하는 중앙 샤프트(170)가 끼워지며 직선이동부재(150)의 직선운동이 안내된다. 4각 기둥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된 측벽(152)은 만나는 모서리가 모따기 되어 있다. 케이스(190)에 끼웠을 때, 측벽(152)은 케이스(190) 내부에 맞게 끼워지며, 케이스(190)의 측벽과의 작용으로 회전축선(100)을 따라 직선운동은 가능하되 회전운동은 안 된다.
도11,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캠(160)은 회전부재(120)를 향하는 쪽에 마련된 캠면(162)을 구비한다. 캠(160)에는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대칭인 마주보는 두 개의 정상부(산)(164a, 164b)와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대칭인 마주보는 두 개의 오목 홈의 골(166a, 166b)이 마련된다. 상기 정상부(164a)와 골(166b, 166a) 사이에는 각각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165)과 가파른 경사면(651)이 마련된다. 또한, 정상부(164a)와 골(166b) 사이에는 가파른 경사면(641)이 마련된다. 정상부(164b)와 골(166a) 사이에도 대체로 완만한 경사면(642)이 마련된다.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중앙 샤프트(170)는 케이스 외부에서 힌지 샤프트의 역할을 하는 머리(179), 머리와 연결되는 기둥을 구비한다. 기둥은 큰 직경부(171)와, 큰 직경부(171)에 연결되며 길게 연장된 중간직경부(173)와, 그 끝에 달린 작은 직경부(175)를 구비한다. 큰 직경부(171)에는 두개의 평면부(172)가 회전축선(100)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 마련된다. 원기둥 형태의 중간직경부(173)의 외경을 회전부재(120)의 관통구멍(129) 및 직선이동부재(150)의 관통구멍(151)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slidably) 끼워지는 크기이다. 작은 직경부(175)의 끝에는 걸림부(751)가 구비된다. 작은 직경부(175)의 외경은 회전부재(120)의 결합부(128)의 최선단 쪽의 구멍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다. 걸림부(751)의 최대 외경은 작은 직경부(175)보다 크며, 결합부(128)의 최선단의 구멍의 직경보다 크며, 결합부(128) 최선단의 외경보다도 다소 큰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751)의 원뿔대형으로서 선단은 끝으로 가면서 모아지도록 테이퍼 처리되어 있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회전마찰부재(220)는 원판형으로서 한쪽 면은 케이스(190)의 단부벽(192) 내면에 접한다. 다른 쪽 면에는 축대칭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반구형의 돌기(222)를 구비한다(도12 참조). 중앙에는 구멍(224)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24)은 중앙샤프트(170)의 큰 직경부(171)에 맞추어 각각 마주보는 원호부(224a)와 직선부(224b)를 구비한다. 따라서, 구멍(224)에 큰 직경부(171)가 꼭 맞게 끼워져 회전마찰부재(220)는 중앙샤프트(170)와 함께 회전한다.
마찰 및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받침부재(230)는 받침판(232)을 구비한다. 받침판(232)은 대체로 4각형으로 모서리를 모따기하여 케이스(190)의 단면과 대체로 일치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케이스(190) 내에서는 회전이 제한된다. 받침판(232)에는 중앙 샤프트(170)의 큰 직경부(17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정도의 관통구멍(233)이 마련된다. 받침판(232)에는 상기 돌기(222)가 닿게 된다. 받침판(232)으로부터는 아래쪽으로 버팀 테두리(support rim)(234)가 연장된다. 도13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버팀 테두리(234)의 높이(h1)는 회전마찰부재(220)의 전체 높이(h2)보다 낮다. 따라서, 도13과 같이 탄성부재(180)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버팀 테두리(234)가 케이스(190)의 단부 멈춤벽(192)에 닿지 않는다. 그러나, 도12에서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받침판(232)의 외곽부에 스프링(180)의 힘이 가해지며 받침판(232)이 변형되어 버팀 테두리(234)가 케이스(190)의 단부벽(192)에 닿게 된다. 조립되어 있을 때에는 버팀 테두리(234)가 케이스(190)의 단부벽(192)에 항상 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부재(120) 및 직선이동부재(150)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180)의 변위가 달라지더라도, 회전마찰부재(220)에는 받침판(232)의 변형에 의한 힘만 가해진다. 이로써, 회전마찰부재(2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력은 항상 일정한 정도의 크기가 된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조립 시에는 중앙 샤프트(170)가 케이스(190)의 단부벽(192) 중앙의 관통구멍을 통해 걸림부(751)가 케이스(190) 안으로 삽입되도록 끼워진다. 중앙 샤프트(170)의 머리(179)는 케이스(190)의 단부벽(192)에 걸려외부에 위치한다. 이 머리(179)는 힌지 샤프트로 기능하는데, 추후 카메라와 결합된다(도1B 참조). 먼저, 회전 마찰부재(220)를 케이스(190)내로 삽입하는데, 중앙 구멍(224)이 중앙 샤프트(170)의 큰 직경부(171)에 맞게 끼운다. 그 다음에 받침부재(230)를 삽입한다. 이어서, 코일 스프링(180)을 케이스(190) 내부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유지된다. 그 다음, 직선이동부재(150)는 보스(169)가 케이스(190)의 단부벽(192)을 향하도록 케이스(190) 내부에 삽입되고 보스(169)가 코일 스프링(180)에 들어가면서 스프링(180)과 접하게 된다. 이때, 직선이동부재(150)의 관통구멍(151)으로 중앙 샤프트(170)가 통과한다. 마지막으로 회전부재(20)가 케이스(190) 내에 들어가고 중앙 샤프트(170)에 결합된다. 이 때 캠종동돌기(140)가 케이스(190) 안쪽을 향하도록 삽입되어 직선이동부재(150)와 접한다. 회전부재(120)를 끼울 때, 회전부재(120)의 관통구멍(129)으로는 중앙 샤프트(170)의 선단부가 통과한다. 중앙 샤프트(170) 끝의 걸림부(751)는 회전부재(120)의 원뿔대 형상의 결합부(128) 안쪽을 지나가서 결국 결합부(128)의 끝부분에 걸린다. 이러한 결합은 중앙 샤프트(170)의 선단 걸림부(751)가 결합부(128)의 안쪽을 통과할 때, 결합부(128)가 약간 벌어졌다가 걸림부(751)가 지나가면 복원되면서 이루어진다. 결국, 회전부재(120)는 중앙 샤프트(17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120)를 중앙 샤프트(170) 쪽으로 또는 중앙 샤프트(170)를 회전부재(120) 쪽으로 강하게 밀어 넣음으로써 힌지장치(11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조립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80)은 압축되어 직선이동부재(150)를 회전부재(120) 쪽으로 또받침부재(230)를 회전마찰부재(220) 쪽으로 민다.
도10의 힌지장치는 도2에 도시한 힌지장치와 유사하게 제1 케이스 유닛, 제2 케이스 유닛, 카메라를 연결한다. 케이스(190)는 제2 케이스 유닛에 끼워져 결합된다. 회전부재(120)의 힌지 샤프트(122)는 제1 케이스와 결합된다. 대체로 사각형인 중앙 샤프트(170)의 머리(179)는 카메라에 결합된다.
이제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1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2 케이스 유닛이 제1 케이스와 접하게 되어 휴대 전화기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힌지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14의 (a)이고 캠면(162) 상에서 캠종동돌기(140)의 위치는 도15에 도시한 위치 A이다. 이 상태는 캠종동돌기(140)가 캠면(162) 상에서 정상부(164a)와 골(166a) 사이의 경사면(651)에 위치한다. 이 위치(A)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힘(180)에 의해 캠부재(150)가 회전부재(120)를 밀게 된다. 이때, 힌지장치(110)의 코일 스프링(180)과 경사면(651)에 의해 회전부재(120)는 회전력을 받게 된다. 이 회전력은 제2 케이스 유닛이 제1 케이스 유닛과 밀착되도록 한다. 결국, 휴대 전화기는 접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펼치기 위해서 케이스 유닛 사이를 벌리면, 캠종동돌기(140)는 캠면(162)의 정상부(164a)에 도달한다. 이것이 도14의 (b) 상태이며, 캠종동돌기의 위치는 도15의 B위치이다. 계속 벌리면, 캠종동돌기(140)는 캠면(162)의 정상부(164a)를 지나게 된다. 캠종동돌기(140)가 캠면(162)의 정상부(164a)를 지나면, 코일 스프링(180)이 캠부재(150)를 회전부재(120)쪽으로 밀고 있으므로, 외력이 없이도 캠종동돌기(140)가 캠면(162)의 경사면(641)을 따라 하강하다 골(166b)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것이 도14의 (c) 상태이며, 캠종동돌기의 위치는 도15의 C위치로서, 제2 케이스 유닛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이다. 휴대 전화기가 펼친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은 상기 과정을 거꾸로 하는 것인데,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스프링(180)이 받침부재(230)의 가장자리를 눌러서 받침판(232)이 변형되며, 받침판(232)의 변형에 의해 회전마찰부재(220)가 강하게 눌려진다. 이 상태에서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질 때, 회전마찰부재(220)가 회전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가 열린 상태(또는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의 방향을 조정하려면 카메라에 연결된 노브에 어떤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여 회전시킨다. 노브를 회전하면 이와 결합된 힌지장치(110)의 중앙 샤프트(170)가 회전한다. 중앙 샤프트(170)의 회전에 의해 회전마찰부재(22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노브에 힘을 가하지 않아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거나, 의도하지 않은 작은 회전력이 가해질 때는 회전마찰부재(220)는 마찰력에 의해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도16 및 도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310)를 도시한다. 상기 힌지장치(310)는 회전마찰부재(312), 받침부재(314), 웨이브 와셔(316)의 구성을 제외하면 상기 도10 내지 도15에 도시한 힌지장치(110)와 구성이 동일하다. 회전마찰부재(312)는 원반 형태이다. 회전마찰부재(312)는 돌기가 없다는 점만을 제외하면 도10 내지 도15에 도시한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받침부재(314)는 도10 내지 도15에 도시한 실시예와 그 형태가 동일하다.다만, 받침판(318)이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변형되지는 않는다. 고리형의 웨이브 와셔(316)가 받침판(318)과 회전마찰부재(312) 사이에 끼워진다. 웨이브 와셔(316)는 도1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웨이브 와셔(316)는 받침판(318)과 회전마찰부재(312) 사이에 끼워질 때 눌려서 끼워진다. 따라서, 웨이브 와셔(316)는 회전마찰부재(312)와 접촉하면서 회전마찰부재(312)를 케이스(190)의 단부벽 쪽으로 밀게 된다. 도17에서는 하나의 웨이브 와셔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을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사용하면, 하나의 힌지장치로 3개의 부품(예를 들면, 2개의 케이스 유닛과 카메라) 사이를 각 부품들이 다른 부품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힌지장치에 양쪽의 서로 다른 특성의 힌지부재들을 배치하여 구성하면, 서로 다른 회전 특성이 요구되는 여러 유닛의 독특한 회전기능을 보장해준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제1 유닛, 제2 유닛, 제3 유닛이 구비된 장치에서,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제2 유닛과 제3 유닛 각각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상기 3개의 유닛을 서로 연결해 주기 위한 힌지장치로서,
    구멍이 마련된 멈춤벽을 가지며 상기 제1 유닛과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1 회전부재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케이스 내에서 직선이동하는 직선이동부재와,
    상기 직선이동부재를 상기 제1 회전부재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케이스의 멈춤벽 쪽으로 가압되어 멈춤벽과 접하며 상기 멈춤벽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샤프트는
    상기 멈춤벽에 걸리는 머리와,
    상기 머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멈춤벽의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축선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 상기 받침부재, 상기 탄성부재, 상기 직선이동부재를 지나, 상기 제1 회전부재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2 회전부재와는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회전부재와는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선단에는 확대된 외경을 갖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부재에는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구멍 내에 마련되며 구멍의 내벽으로부터 회전축선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의 확대된 외경보다 작은 구멍이 마련된 결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벽은 대체로 원뿔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연장되는 버팀 테두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받침판이 변형되어 상기 버팀테두리가 상기 케이스의 멈춤벽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 사이에는 원주방향으로 굴곡진 웨이브 와셔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재는 회전축선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향하여 받침부재와 접하도록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직선이동부재 중 하나에는 캠이 구비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캠과 상호작용하는 캠종동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인 두 개의 산과 상기 산 사이에 위치하는 골을 구비하며, 상기 산과 골 사이는 연결되어 캠면을 형성하고, 상기 캠종동부는 캠면을 따라 이동하며 축선을 중심으로 직경방향으로 위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1. 제1 유닛, 제2 유닛, 제3 유닛이 구비된 장치에서, 하나의 축선을 중심으로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제2 유닛과 제3 유닛 각각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상기 3개의 유닛을 서로 연결해 주기 위한 힌지장치로서,
    멈춤벽을 가지며 상기 제1 유닛과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케이스의 멈춤벽 쪽으로 가압되어 멈춤벽과 접하며 상기 제3 유닛과 연결되는 제2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를 상기 멈춤벽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멈춤벽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2 멈춤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멈춤벽은 제1 회전부재와 접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회전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3. 제1 유닛, 제2 유닛, 제3 유닛이 구비된 장치에서, 상기 제2 유닛에 대하여 제1 유닛과 제3 유닛 각각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해주며, 상기 3개의 유닛을 연결해 주기 위한 힌지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과 결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2 유닛과 결합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3 유닛과 결합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장치.
  14.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제3 유닛을 갖는 무선전화기로서,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과, 상기 제3 유닛을 연결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화기.
KR10-2002-0022042A 2001-05-03 2002-04-22 힌지장치 KR100473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042A KR100473825B1 (ko) 2001-05-03 2002-04-22 힌지장치
PCT/KR2002/000811 WO2002091604A2 (en) 2001-05-03 2002-04-30 Hinge device
AU2002251591A AU2002251591A1 (en) 2001-05-03 2002-04-30 Hin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148 2001-05-03
KR20010024148 2001-05-03
KR10-2002-0022042A KR100473825B1 (ko) 2001-05-03 2002-04-22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89A true KR20020084689A (ko) 2002-11-09
KR100473825B1 KR100473825B1 (ko) 2005-03-08

Family

ID=2663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042A KR100473825B1 (ko) 2001-05-03 2002-04-22 힌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73825B1 (ko)
AU (1) AU2002251591A1 (ko)
WO (1) WO2002091604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853B1 (ko) * 2002-05-28 2004-10-08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KR100465226B1 (ko) * 2002-03-28 2005-0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492554B1 (ko) * 2002-11-29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19801B1 (ko) * 2002-09-13 200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회전 장치
KR100789228B1 (ko) * 2006-12-26 2008-01-02 정회관 도어의 힌지 장치
KR100900285B1 (ko) * 2002-11-21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6403A1 (en) * 2003-03-19 2004-10-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unit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95640B1 (ko) 2003-12-26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이중회전 개폐장치
KR20050066597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237144B1 (ko) 2010-09-07 2013-02-25 홍윤종 대칭 한가운데죔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2619B2 (ja) * 1997-06-16 2006-01-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KR100257330B1 (ko) * 1997-09-04 2000-05-15 유무성 휴대폰겸용디지탈스틸카메라의구조
JP2000192939A (ja) * 1998-12-24 2000-07-11 Nikko Ind Corp ヒンジ機構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226B1 (ko) * 2002-03-28 2005-0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451853B1 (ko) * 2002-05-28 2004-10-08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KR100619801B1 (ko) * 2002-09-13 200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회전 장치
KR100900285B1 (ko) * 2002-11-21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카메라 회전장치
KR100492554B1 (ko) * 2002-11-29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89228B1 (ko) * 2006-12-26 2008-01-02 정회관 도어의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3825B1 (ko) 2005-03-08
WO2002091604A2 (en) 2002-11-14
AU2002251591A1 (en) 2002-11-18
WO2002091604A3 (en) 2007-11-15
AU2002251591A8 (en)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709B1 (ko) 힌지장치
US20060112517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8006346B2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030068422A (ko) 개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자 기기
US20020160727A1 (en) Cover opening/close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0473825B1 (ko) 힌지장치
KR101690794B1 (ko)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KR2003001732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100335343B1 (ko) 힌지 장치
KR100774563B1 (ko) 휴대폰의 원터치 힌지모듈
KR100374969B1 (ko) 휴대폰 힌지장치
KR100692418B1 (ko)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KR100756914B1 (ko) 휴대폰 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4284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100352619B1 (ko) 폴더형 휴대폰의 덮개 펼침 장치
KR100339925B1 (ko) 휴대폰 덮개의 원터치 개폐용 힌지 조립체
JP3954162B2 (ja) ヒンジ機構
KR200353859Y1 (ko) 평행한 두 회전축을 구비하는 힌지장치
KR100468369B1 (ko) 힌지장치
KR100678627B1 (ko) 휴대 전화기용 180도 회전 힌지장치
WO2004045097A1 (en) Hinge device
KR100496592B1 (ko) 힌지장치
KR200258170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힌지 장치
KR20060045908A (ko) 프리스톱 힌지장치
KR20023554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