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360A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360A
KR20070006360A KR1020050061636A KR20050061636A KR20070006360A KR 20070006360 A KR20070006360 A KR 20070006360A KR 1020050061636 A KR1020050061636 A KR 1020050061636A KR 20050061636 A KR20050061636 A KR 20050061636A KR 20070006360 A KR20070006360 A KR 20070006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ns
rack
camera lens
len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512B1 (ko
Inventor
김재식
김홍배
배창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512B1/ko
Priority to CN2006101017537A priority patent/CN1892398B/zh
Priority to US11/483,485 priority patent/US7738786B2/en
Publication of KR20070006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렌즈 하우징; 및 상기 렌즈 하우징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직선 이동하는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렌즈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렌즈 하우징을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렌즈 하우징을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면서도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손상, 파손을 방지하고, 렌즈 하우징에 의한 단말기 디자인의 제약을 해소하게 되었다.
단말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 회전, 구동 플레이트, 나사 홈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을 개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단말기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하우징이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동 플레이트와 랙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200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01 : 렌즈 하우징
202 : 구동 플레이트 221 : 가이드 돌기
203 : 랙(rack) 231 : 나사 홈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렌즈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 단문 메시지 전송으로부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아울러, 온라인을 통한 휴대용 단말기로의 게임, 동영상 파일 전송, 모바일 뱅킹, 주문형 비디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 이동통신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 것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사용자들의 욕구가 다양해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업화가 가능해진 환경에 기인한 것이다.
한편, 정보통신 기술이 집적화 되면서,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통신 기기로써 뿐만 아니라 점차 촬영기기, 저장 매체와 같은 복합 기기로서의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 기능들 중에서도,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점차 단말기의 필수 구성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고정형과 회전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고정형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단말기의 하우징 일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촬영할 때마다 카메라 렌즈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단말기의 지향방향을 전환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회전형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말기를 움직이지 않더라도 다양한 방향으로 렌즈 하우징을 회전시켜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손상, 파손의 위험이 있다. 더욱이, 회전형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단말기의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단말기 디자인의 다양화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손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단말기 디자인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렌즈 하우징; 및
상기 렌즈 하우징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직선 이동하는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 도 3에 도시됨)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된 폴더형 단말기이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일면에 설치된 숫자/문자 입력 키패드(111a), 기능성 키패드(111b) 및 송화부(113)를 구비하고, 그 상단부에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115)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그 일면에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21a)가 설치되어 상기 키패드(111a, 111b)들과 대면하게 된다.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21a)의 일측에는 수화부(123)가 설치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단부에는 센터 힌지 암(125)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의 지지를 받아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타면에는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121b)와 간단한 기능 키(111c)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능 키(111c)들은 음악 파일 등의 검색, 재생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들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 가능하게 된 것이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된 상태에서는 상기 키패드(111a, 111b)들과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121a)는 폐쇄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 설치를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노출용 창(127a, 127b)들과 가이드 홀(1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출용 창(127a, 127b)들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의 렌즈 하우징(201)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외면 방향 또는 내면 방향으로의 촬영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의 설치 위치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면 그 측면에도 노출용 창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의 구성 및 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제2 하우징(10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렌즈 하우징(201)과, 상기 렌즈 하우징(20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플레이트(202), 랙(rack)(2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201)은 외주면 상에 노출용 개구(211)가 형성되고 카메라 렌즈(미도시)를 내장하게 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일측 단부면에는 상기 랙(203)을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홀(미도시)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면에는 회전 지지축(213)이 연장된다. 상기 랙(203)은 그의 일단부에 형성된 조립 돌기(233;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 돌기(233)가 상기 조립홀과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랙(203)과 상기 렌즈 하우징(201)은 상호 회전 구속된다. 상기 랙(203)은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일측 단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 지지축(213)과 함에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랙(203)은 그 외주면에 나사홈(23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구동 플레이트(202)와 함께 상기 렌즈 하우징(20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202)는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조절 놉(knob)(229; 도 2에 도시됨)이 상기 가이드 홀(129)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절 놉(229)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 플레이트(202)를 직선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202) 상에는 가이드 돌기(221)가 제공되어 상기 나사홈(231)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202)가 직선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221)와 나사홈(231)이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랙(203)이 회전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절 놉(229)을 직선이동시키면 상기 랙(203)이 회전하면서 상기 렌즈 하우징(201)도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렌즈 하우징(201)이 상기 단말기(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상기 렌즈 하우징(20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플레이트(202)가 직선이동하면 상기 랙(203)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 플레이트(202)의 이동 범위에서 상기 랙(203)은 180도 이상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201)은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 형성된 노출용 창(127a, 127b)들을 통해 선택적으로 촬영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회전 범위는 상기 랙(20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231)이 형성된 범위 또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202)의 이동 범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된다. 즉, 상기 나사홈(231)이 상기 랙(203)의 외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180도 이상 형성되면 상기 렌즈 하우징(201)도 180도 이상 회전할 수 있으나, 상기 구동 플레이트(202)의 이동 범위가 제한되면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회전 범위를 180도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구동 플레이트(202)의 이동 범위가 충분히 확보되더라도, 상기 나사홈(231)이 형성된 범위가 180도 이내라면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회전 범위는 180도 이내로 제한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구동 플레이트를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렌즈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므로, 렌즈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렌즈 하우징을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렌즈 하우징을 단말기의 하우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면서도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손상,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렌즈 하우징이 단말기의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렌즈 하우징에 의한 단말기 디자인의 제약을 해소하게 되었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렌즈 하우징; 및
    상기 렌즈 하우징에 인접하게 제공된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렌즈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랙(rack)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 제공된 가이드 돌기; 및
    상기 랙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나사 홈에 맞물림에 따라 상기 구동 플레이트가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랙과 렌즈 하우징이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홈은 상기 랙의 외주면 원주 방향을 따라 180도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측 단부 면에 형성된 조립홀; 및
    상기 랙의 일단에 제공되어 상기 조립홀과 맞물리는 조립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립홀과 조립 돌기가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 하우징과 랙은 상호 간에 회전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은 단말기의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단말기 하우징 상에 형성된 노출용 창을 통해 화상을 촬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용 창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적어도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노출용 창을 통해 촬영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의 타측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전 지지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0050061636A 2005-07-08 2005-07-08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703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636A KR100703512B1 (ko) 2005-07-08 2005-07-08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N2006101017537A CN1892398B (zh) 2005-07-08 2006-07-07 用于便携式终端的照相机镜头组件
US11/483,485 US7738786B2 (en) 2005-07-08 2006-07-10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636A KR100703512B1 (ko) 2005-07-08 2005-07-08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360A true KR20070006360A (ko) 2007-01-11
KR100703512B1 KR100703512B1 (ko) 2007-04-03

Family

ID=3759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636A KR100703512B1 (ko) 2005-07-08 2005-07-08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38786B2 (ko)
KR (1) KR100703512B1 (ko)
CN (1) CN18923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8927B2 (en) * 2001-07-10 2013-10-01 Xatra Fund Mx, Llc Biometric registration for facilitating an RF transaction
KR100678200B1 (ko) * 2005-06-30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 장치
CN110062146B (zh) * 2019-05-24 2020-10-09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终端设备
CN112714237B (zh) * 2019-10-24 2023-03-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镜头调整方法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4175A (en) * 1979-07-18 1981-04-28 West Electric Company, Ltd. Focusing device in camera equipped with both standard and telephoto lenses
KR100584436B1 (ko) * 1999-09-28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100442598B1 (ko) * 2001-09-06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KR100449451B1 (ko) * 2001-12-08 2004-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JP2004120670A (ja) * 2002-09-30 2004-04-15 Hitachi Ltd 折畳み式携帯端末装置
KR100551426B1 (ko) * 2003-08-27 2006-02-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연동장치를 갖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100158A (ko) * 2004-04-13 2005-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도어의 개폐에 따라 카메라가 출입하는 이동 통신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09250A1 (en) 2007-01-11
US7738786B2 (en) 2010-06-15
CN1892398B (zh) 2010-09-22
CN1892398A (zh) 2007-01-10
KR100703512B1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4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526325B2 (en) Triple-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US8042231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P1805903B1 (en) Camera rotating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060600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7412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US7873396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5265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EP1528759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flip-u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484921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8425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50100524A (ko) 회전식 카메라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휴대폰
KR200414532Y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1264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100810370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09013112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107564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성 카메라 모듈
KR20070036904A (ko) 접철 가능한 자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90019170A (ko) 휴대용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