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090B1 -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 Google Patents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090B1
KR100900090B1 KR1020070069131A KR20070069131A KR100900090B1 KR 100900090 B1 KR100900090 B1 KR 100900090B1 KR 1020070069131 A KR1020070069131 A KR 1020070069131A KR 20070069131 A KR20070069131 A KR 20070069131A KR 100900090 B1 KR100900090 B1 KR 10090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ld
curvature
axis
radius
progres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803A (ko
Inventor
최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옵티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옵티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옵티칼
Priority to KR102007006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0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Abstract

본 발명은 근용부, 누진부, 원용부 및 근용부와 누진부 양측의 주변부가 형성된 오목 유리 몰드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볼록 유리 몰드에 있어서, 상기 오목 유리 몰드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Y축 곡률반경이 X축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오목 유리 몰드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Y축 곡률반경이 X축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 누진 다초점 렌즈의 주변부에서 비점수차 등으로 인해 형성되는 난시에 의한 어지러운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누진, 다초점, 렌즈, 주변부, 비점수차, 난시, 보정, 유리몰드.

Description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Convex Glass Mold For Progressive Addition Lens}
도 1은 일반적인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오목 유리 몰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오목 유리 몰드의 X축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오목 유리 몰드의 A축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오목 유리 몰드의 Ym축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오목 유리 몰드의 B축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볼록 유리 몰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볼록 유리 몰드의 A'축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볼록 유리 몰드의 B'축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주변부의 어지러움 현상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참고사진이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 : 오목 유리 몰드 2 : 볼록 유리 몰드
3 : 브라켓 4 : 모노말
12 : 근용부 13 : 원용부
14 : 누진부 15 : 주변부
120 : 대응 근용부 130 : 대응 원용부
150 : 주변부 200 : 좌측 주변부
300 : 우측 주변부 R1 ~ R4 : 곡률반경
본 발명은 누진 다초점 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볼록 유리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 유리 몰드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Y축 곡률반경이 X축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 누진 다초점 렌즈의 주변부에서 비점수차 등으로 인해 형성되는 난시에 의한 어지러운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누진 다초점 렌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방식으로 제조된 오목 유리 몰드(1)와 일정한 곡률을 갖는 볼록 유리 몰드(2)를 브라켓(3)에 장착하여 오목유리 몰드(1)와 볼록 유리 몰드(2)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d)을 형성한 후, 누진 다초점 렌즈의 재료인 모노말(50)을 주입하고 소정 시간동안 냉각 및 응고 제조된다.
도 2는 오목 유리 몰드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오목 유리 몰드의 X축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오목 유리 몰드의 A축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오목 유리 몰드의 Ym축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오목 유리 몰드의 B축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진 다초점 렌즈는 근거리를 보기 위한 근용부 (12 : near vision viewing portion)와 중간거리를 보기 위한 누진부(14 : intermediate vision viewing portion)와 원거리를 보기 위한 원용부(13 : far vision viewing portion)가 존재한다. 여기서, 중간거리는 것은 대략적으로 50cm 에서 2m 의 거리를 가리키며, 이보다 먼 거리를 원거리, 이보다 가까운 거리를 부르는 경우가 많다.
누진다초점렌즈에는 상기한 영역들 사이의 명료한 경계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정의가 확정되어 있지 않아도 실질적으로 안경을 착용함에 있어서 불편함은 없다. 그러나, 렌즈의 설계나 제조, 검사, 또는 안경테에 렌즈를 넣을 때에는 렌즈상에 기준이 되는 점들이 필요하게 된다. 이런 점들 중에서, 현재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는, 원거리영역에 형성된 원용도수측정포인트(F ; far vision power measuring position ; 먼거리를 응시할 경우에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기 위한 위치)와, 근거리영역에 형성된 근용도수측정포인트(N ; near vision power measuring position ; 근거리를 응시할 경우에 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기 이한 위치)와, 중거 리영역에 형성되어 안경착용자가 정면을 응시할 때 시선이 통과되며 도수가 없는 무도수포인트(E)가 존재한다.
오목 유리 몰드(1)에는 제1곡률반경(R1)을 가지는 원용부(13), 제2곡률반경(R2)을 가지는 근거리영역(12) 및 원거리영역(13)과 근거리영역(12) 사이에 마련된 누진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근거리영역(12)은 중심포인트를 지나는 X 축상의 하방에 종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곡률반경(R1)은 상기 제2곡률반경(R2)보다 크다.
일반적으로 제1곡률반경(R1)은 115mm ∼ 135mm(바람직하게는 약 127mm)의 범위이고, 제2곡률반경(R2)은 75mm ∼ 100mm(바람직하게는 약 85mm) 의 범위 내에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근용부(12), 원용부(13) 및 누진부(14)는 X축과 Y축의 각 곡률반경이 일정하나 주변부(15)의 X축과 Y축의 각 곡률반경은 상이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즉,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주변부(15)는 X축의 곡률반경은 제1곡률반경(R1)과 동일하나, Y축의 곡률반경은 제3곡률반경(R3)의 값을 가지며, 제3곡률반경(R3)은 약 83 ~ 90mm 정도의 값을 갖게 된다.
즉, 주변부(15)는 X축과 Y축의 곡률반경이 상이한 2개의 곡률을 갖고 그로 인해 난시의 도수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원거리나 중거리를 보다가 시선을 주변부(15)로 돌리면 난시 현상에 의해 어지러움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주변부(15)의 어지러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시도가 제안된 바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누진 다초점 렌즈의 주변부의 난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목 유리 몰드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Y축 곡률반경이 X축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 누진 다초점 렌즈의 주변부에서 비점수차 등으로 인해 형성되는 난시에 의한 어지러운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근용부, 누진부, 원용부 및 근용부와 누진부 양측의 주변부가 형성된 오목 유리 몰드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볼록 유리 몰드에 있어서, 상기 오목 유리 몰드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Y축 곡률반경이 X축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오목 유리 몰드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X축 곡률반경은 120 ~ 130mm이고, Y축 곡률반경은 100 ~ 1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록 유리 몰드에서 상기 오목 유리 몰드의 근용부, 누진부 및 원용부에 대응되는 부분은 X축과 Y축의 곡률이 상기 오목 유리 몰드의 원용부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볼록 유리 몰드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볼록 유리 몰드의 A'축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볼록 유리 몰드의 B'축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용부(12)에 대응되는 부분(120 : 이하 "대응 근용부"라 함)과 원용부(13)에 대응되는 부분(130 : 이하 "대응 원용부"라 함)은 X축과 Y축의 곡률반경이 오목 유리 몰드(1)의 원용부(13)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1개의 곡률반경(R1)을 갖고 있으나, 대응 근용부(120)와 대응 원용부(1530)의 양측 주변부(150)는 2개의 다른 곡률값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부(150)의 X축은 나머지 부분(120, 130)들과 동일한 제1곡률반경(R1)을 갖도록 형성되나 Y축은 제1곡률반경(R1)보다 작은 제4곡률반경(R4)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4곡률반경(R4)는 100 ~ 11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실험 결과 제4곡률반경(R4)이 102mm일 때 보상 효과가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4곡률반경(R4)이 100mm이하이면 현실적으로 제조상의 어려움이 있고, 제4 곡률반경(R4)이115mm 이상이면 곡률 보상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는 도 10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누진 다초점 렌지를 제조하기 위해 오목 유리 몰드(1)와 볼록 유리 몰드(2)가 브라켓(3)에 장착되고 모노말(4)이 주입된 조립체를 도7의 B'방향을 따라 절단한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유리 몰드(2)는 주변부(15)의 Y축 곡률반경(R3)이 83 ~ 90mm 정도로 작으므로 주변부(15)에 해당하는 모노말(4)이 두꺼워지게 되고 2개의 곡률값이 형성되어 비점수차로 인한 난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볼록 유리 몰드(3)는 주변부(150)의 Y축 곡률반경(R4)를 100 ~ 115mm(바람직하게는 102mm)가 되도록 하여 주변부(150)에 근접한 모노말(4)이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모노말(4)의 볼록면의 곡률값을 오목면의 곡률값으로 보상하여 비점수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난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볼록 유리 몰드(3)의 주변부(150)의 Y축 곡률반경(R4)이 115mm 이상이 되면 곡률 보상 효과가 거의 없어지게 되어 좋지 않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주변부의 어지러움 현상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참고사진이다.
도 11에서 좌측 주변부(200)는 종래 방식으로 제조된 것이고 우측 주변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볼록 유리 몰드를 적용하여 제조된 것이다. 도 11의 참고사진은 제4곡률반경으로 102mm를 적용한 경우이다.
실제 오목 유리 몰드(1)와 일정한 곡률을 갖는 통상의 볼록 유리 몰드(2)를사용하여 제작된 누진 다초점 렌즈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좌측 주변부(200)의 도수를 확인한 결과 난시 +200X30축으로 나타나 원용부의 무도수가 형성된 부분으로 보다가 좌측 주변부(200)로 시선을 돌릴 경우 난시가 심하게 형성된 부분으로 보게 됨으로써 어지러운 현상을 느낌을 알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볼록 유리 몰드가 적용된 우측 주변부(300)의 도수를 측정한 결과 난시 +100X30축을 형성하게 되어 어지러운 현상이 전반적으로 감소되며, 사물의 형상이 일그러짐이 거의 없이 보다 뚜렷하게 보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오목 유리 몰드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Y축 곡률반경이 X축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종래 누진 다초점 렌즈의 주변부에서 비점수차 등으로 인해 형성되는 난시에 의한 어지러운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 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3)

  1. 근용부, 누진부, 원용부 및 근용부와 누진부 양측의 주변부가 형성된 오목 유리 몰드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볼록 유리 몰드에 있어서,
    상기 오목 유리 몰드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Y축 곡률반경이 X축 곡률반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유리 몰드의 주변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X축 곡률반경은 120 ~ 130mm이고, Y축 곡률반경은 100 ~ 1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유리 몰드의 근용부, 누진부 및 원용부에 대응되는 부분은 X축과 Y축의 곡률이 상기 오목 유리 몰드의 원용부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KR1020070069131A 2007-07-10 2007-07-10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KR10090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31A KR100900090B1 (ko) 2007-07-10 2007-07-10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31A KR100900090B1 (ko) 2007-07-10 2007-07-10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03A KR20090005803A (ko) 2009-01-14
KR100900090B1 true KR100900090B1 (ko) 2009-05-28

Family

ID=4048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131A KR100900090B1 (ko) 2007-07-10 2007-07-10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0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475A (ja) * 1990-04-25 1995-09-26 Essilor Internatl (Cie Gen Opt) 眼科用漸進形レンズの製造を容易にする方法及び相応する眼科用漸進型レンズ
KR0186066B1 (ko) * 1994-08-16 1999-05-15 이병기 누진다초점 렌즈와 이의 모울드
KR20020060445A (ko) * 2001-01-11 2002-07-18 문재오 성형몰드 및 그 성형몰드에 의하여 성형된 누진다초점렌즈제조용 유리몰드
KR20050006171A (ko) * 2003-02-19 2005-01-1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누진 굴절력 렌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475A (ja) * 1990-04-25 1995-09-26 Essilor Internatl (Cie Gen Opt) 眼科用漸進形レンズの製造を容易にする方法及び相応する眼科用漸進型レンズ
KR0186066B1 (ko) * 1994-08-16 1999-05-15 이병기 누진다초점 렌즈와 이의 모울드
KR20020060445A (ko) * 2001-01-11 2002-07-18 문재오 성형몰드 및 그 성형몰드에 의하여 성형된 누진다초점렌즈제조용 유리몰드
KR20050006171A (ko) * 2003-02-19 2005-01-1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누진 굴절력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03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159B1 (ko) 안경 렌즈의 설계 방법,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0940699B1 (ko) 누진 굴절력 렌즈
US7070274B2 (en) Spectacle lens
US20050099596A1 (en)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JP4164550B2 (ja) 累進屈折力眼鏡レンズ
JP2008058576A (ja) 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US6412948B2 (en) Progressive power multifocal lens
US7445333B2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JP6483147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
US5550600A (en) Ophthalmic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KR100900090B1 (ko)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JP2012185449A (ja) 累進屈折力レンズ
JPH06118353A (ja) 多焦点レンズ
JP2008249828A (ja)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JP2006276321A (ja) 水中眼鏡及び水中眼鏡用レンズ
JP5040889B2 (ja) 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KR101545611B1 (ko) 광학 굴절을 방지하는 무도수 렌즈 제조방법
JP3582527B1 (ja) 累進屈折力レンズ及び製造方法
JP2000227579A (ja) 内面累進屈折力レンズ
JP2001318344A (ja) 累進多焦点レンズ
JP2006527383A (ja) 近用単焦点複合レンズの為の成形モールド
JP2006267163A (ja) 眼鏡レンズ
JP2008257272A (ja) 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KR100470380B1 (ko) 누진 다초점 렌즈
KR20040069095A (ko) 누진 다초점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