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169B1 -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칼라강판 - Google Patents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칼라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169B1
KR100897169B1 KR1020070058919A KR20070058919A KR100897169B1 KR 100897169 B1 KR100897169 B1 KR 100897169B1 KR 1020070058919 A KR1020070058919 A KR 1020070058919A KR 20070058919 A KR20070058919 A KR 20070058919A KR 100897169 B1 KR100897169 B1 KR 100897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coat
layer
magnetic force
coating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0317A (ko
Inventor
안형일
윤희숙
Original Assignee
동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8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169B1/ko
Priority to PCT/KR2008/000675 priority patent/WO2008153261A1/en
Publication of KR2008011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6/00Coat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3C2/00 - C23C24/00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연속도장공정에 사용되는 기본판(10) 위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알카리 탈지 후에 크로메이트 피막처리 공정을 거쳐 크롬 도장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크롬 도장층(20) 상에 하도 도료를 도장하여 하도 도장층(30)을 형성한 다음; 상기 하도 도장층(30) 상에 자력에 의해 편향성을 나타내는 철분이 포함된 상도 도료를 도장한 다음, 자력을 가하여 상기 상도 도료에 무늬 패턴을 형성한 후, 210 ~ 250℃로 가열 건조하여 상도 피막층(40)을 형성하는,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강판에 관한 것이며, 종래 칼라강판의 제조방법에 비해 입체감이 살아 있고 화려한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늬 패턴을 손쉽게 바꾸며 다양한 곳, 즉 건축용 내, 외장재, 방화문용 등의 칼라강판에 포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강판{process using magnetic force for manufacturing colored-steelsheet and manufactured colored-steelsheet}
도1은 종래 칼라 인쇄강판의 단면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칼라강판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조된 칼라강판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상도 피막층을 형성하는 롤 코터 및 자석롤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자석롤 통과 전후의 상도 피막층을 나타내는 그림,
도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자석롤 통과 전후의 상도 피막층을 나타내는 그림,
도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자석롤 통과 전후의 상도 피막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기본판 20 : 크롬 도장층
30 : 하도 도장층 40 : 상도 피막층
50 : 클리어층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강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력에 따라 패턴을 나타내는 상도 도료를 코팅한 후 자력을 가하여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형성시키는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프린트 강판의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지판(1) 위에 크롬 도장층(2), 하도 도장층(3) 및 베이스 도장층(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자연건조 타입의 인쇄잉크를 이용하여 잉크1도 인쇄층(5), 잉크2도 인쇄층(6) 및 잉크3도 인쇄층(7)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는 클리어층(8)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제조방법은 인쇄기라는 별도의 인쇄설비을 이용하여야 하며, 도장횟수가 많고 잉크와 베이스 도장층(4)과의 부착성이 좋지 않아 내후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잉크가 아닌 도료를 사용하므로써, 잉크를 사용하는 인쇄강판에 비해 내식성과 내구성을 일층 향상시키고 공정을 줄이며 인쇄강판에서 느낄 수 없는 다양한 무늬를 갖는 표면성과 질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전사로울을 사용하여 무늬를 전사 피복하는 칼라강판의 제조방법이 등록특허 제10-0535910호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0-0535910호로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칼라강판의 제조방법을 더욱 개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감이 살아 있는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강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연속도장공정에 사용되는 기본판(10) 위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알카리 탈지후에 크로메이트 피막처리 공정을 거쳐 크롬 도장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크롬 도장층(20) 상에 하도 도료를 도장하여 하도 도장층(30)을 형성한 다음; 상기 하도 도장층(30) 상에 자력에 의한 편향성을 나타내는 철분이 포함된 상도 도료를 도장한 다음, 자력을 가하여 상기 상도 도료에 무늬 패턴을 형성한 후, 210 ~ 250℃로 가열 건조하여 상도 피막층(4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도 도료에 자력을 가할 때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롤에 자석으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자석롤을 사용한다.
상기 상도 도료는 선형 폴리에스터 수지 30~35 중량%, 멜라민 수지 7~10 중량%, 카르보닐 철(carbonyl iron)계 안료 5~7 중량%, 실리카계 안료 2~3 중량%, 첨가제 3~5 중량%,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25 ~30 중량%, 에스테르계 용제 10 ~ 15 중량%로 구성되는 도료를 사용한다.
상기 상도 피막층(40) 상에는 광택을 주고 피막층을 보호하도록 클리어 도료 를 도장하여 클리어층(5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칼라강판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연속도장공정에 사용되는 용융아연도금강판, 아연-55% 알루미늄도금강판(수퍼갈륨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스테인레스강판 등의 기본판(10)을 사용하여, 상기 기본판(1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알카리 탈지제로 세정하고 그 위에 크로메이트 피막처리를 하여 크롬 도장층(20)을 형성한다. 상기 크로메이트 피막처리에 의한 크롬 도장층(20)의 형성은 공지의 방법에 의한다.
다음에, 상기 크롬 도장층(20) 상에 하도 도료를 도장하여 3~7㎛ 두께의 하도 도장층(30)을 형성한다. 상기 하도 도료는 강판과의 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며 후술하는 상도 도료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도료를 사용해야 하는데, 선형 폴리에스터 수지 20~30 중량%, 멜라민 수지 3~5 중량%, 에폭시 수지 3~5 중량%, 공지의 안료 15~20 중량%, 분산제와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 2~4 중량%,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35 ~40 중량%, 에스테르계 용제 8 ~ 10 중량%로 구성되는 도료를 사용한다.
다음에, 상기 하도 도장층(30)을 폴리에스터 수지의 통상 건조 온도범위보다 10~20℃ 높은 온도범위인 200 ~ 220℃ 에서 가열 건조하여 피복한 후, 자력에 의해 편향성을 나타내는 카르보닐 철계 안료가 포함된 상도 도료를 도장한 다음, 자력을 가하여 상기 상도 도료에 무늬 패턴을 형성한 후, 210 ~ 250℃로 가열 건조하여 10~20㎛ 두께의 상도 피막층(40)을 형성하여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칼라강판을 제조한다.
상기 상도 도료는 가공성 및 선영성이 우수한 도료를 사용해야 하는데, 선형 폴리에스터 수지 30~35 중량%, 멜라민 수지 7~10 중량%, 카르보닐 철(carbonyl iron)계 안료 5~7 중량%, 실리카계 안료 2~3 중량%, 분산제와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 3~5 중량%,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25 ~30 중량%, 에스테르계 용제 10 ~ 15 중량%로 구성되는 도료를 사용한다. 상기 카르보닐 철계 중의 철분 함량은 카르보닐 철계 중량의 3 ~ 50%인 것이 바람직한데, 무늬의 형태 및 도장두께 등에 따라 조정된다.
상기 210 ~ 250℃의 온도범위는 상기 상도 도료의 수지 또는 무늬를 나타내기 위한 수지의 건조조건 온도범위인데, 이 온도범위의 하한치(210℃)는 건조효율의 하한치이고, 그 상한치(250℃)를 초과하면 상도 도료의 과도한 건조로 인해 도막층에 균열이 발생하고 밀착성이 저하하는 결함이 생기기 쉽다.
상기 상도 피막층(40)의 두께가 20㎛ 이상이 되면. 무늬형성이 불균일하고 밀착성이 저하하며 부풀음 현상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4는 상기 상도 피막층을 형성하는 3 롤 코터(3 roll coater) 및 자석롤을 나타낸다. 3 롤 코터는 도시한 바와 같이 도료 공급용기인 도장팬(L)에서 상도 도료를 픽업하는 픽업 롤(P)과, 코일 스트립(S)을 이송시키는 백업 롤(B)과, 상기 픽업 롤(P)과 백업 롤(B)사이에 개재되는 어플리케이션 롤(A)로 이루어진다. 롤 코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롤(A)이 제거된 2 롤 코터(2 roll coater) 또는 커튼 플로우 롤(curtain flow coater)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상도 도료가 도장된 후에는 마르지 않은 상태(Wet 상태)로 자석 롤(M)을 통과하면서 무늬 패턴을 형성한 후, 210 ~ 250℃ (바람직하게는 220 ~ 232 ℃)로 30~ 60초간 가열 건조하면 입체감이 있는 살아 있는 무늬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자석 롤(M)은 비자성체(테프론 등)로 이루어진 롤에 자석으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자석 롤(M)에 형성된 무늬에 따라 상기 상도 도료에 포함된 철분에 자력이 가해져 철의 편향성에 의해 무늬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도 피막층(40) 상에는 광택을 주고 피막층을 보호하도록 5~15㎛ 두께로 클리어 도료를 도장하여 가열 건조하여 클리어층(5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클리어 도료는 선형 폴리에스터 수지 40~45 중량%, 멜라민 수지 7~8 중량%, 분산제와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 1~2 중량%,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40 ~45 중량%, 에스테르계 용제 6 ~ 10 중량%, 에테르계 용제 5 ~10 중량%로 구성되는 도료를 사용하는데, 더욱 광택을 내는 등 필요에 따라 실리카계 안료 2~3 중량% 또는 아크릴 안료 1~2 중량%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클리어층(50)이 형성된 칼라강판은 내후성, 내식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한층 업그레이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칼라강판의 특성시험결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1]
통상의 용융도금방법으로 제조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여 표면에 부착 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알카리 탈지 후에 크로메이트 피막처리공정을 거치고, 하도 도료를 5㎛ 두께로 도장한 후, 210℃에서 가열건조하여 하도 도장층을 피복한 다음 카르보닐 철계 안료가 포함된 상도 도료를 도포한 후 마르지 않은 상태로 자석롤(5mm 두께의 영구자석)을 통과시켜 자기장(자력)에 따른 무늬를 형성한 후 230℃로 가열건조하여 18㎛로 상도 피막층을 형성하여 도2에 도시한 적층구조의 칼라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도 도료와 상도 도료는 상기 조성범위의 중간치로 된 도료를 사용하였다. 도5의 (a)는 상도 도료를 도포한 후 자석롤을 통과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며, 도5의 (b)는 자석롤을 통과한 후에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실시예 2]
통상의 용융도금방법으로 제조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여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알카리 탈지 후에 크로메이트 피막처리공정을 거치고, 하도 도료를 5㎛ 두께로 도장한 후, 카르보닐 철계 안료가 포함된 상도 도료를 도포한 후 마르지 않은 상태로 자석롤(10mm 두께의 영구자석)을 통과시켜 자기장(자력)에 따른 무늬를 형성한 후 230℃로 가열건조하여 18㎛로 상도 피막층을 형성하여 도2에 도시한 적층구조의 칼라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도 도료와 상도 도료는 상기 조성범위의 중간치로 된 도료를 사용하였다. 도6의 (a)는 상도 도료를 도포한 후 자석롤을 통과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며, 도6의 (b)는 자석롤을 통과한 후에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실시예 3]
통상의 용융도금방법으로 제조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여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알카리 탈지 후에 크로메이트 피막처리공정을 거치고, 하도 도료를 5㎛ 두께로 도장한 후, 카르보닐 철계 안료가 포함된 상도 도료를 도포한 후 마르지 않은 상태로 자석롤(롤의 폭방향으로 무늬가 형성된 10mm 두께의 영구자석)을 통과시켜 자기장(자력)에 따른 무늬를 형성한 후 230℃로 가열건조하여 18㎛로 상도 피막층을 형성하여 도2에 도시한 적층구조의 칼라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도 도료와 상도 도료는 상기 조성범위의 중간치로 된 도료를 사용하였다. 도7의 (a)는 상도 도료를 도포한 후 자석롤을 통과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며, 도7의 (b)는 자석롤을 통과한 후에 무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실시예 4]
통상의 용융도금방법으로 제조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여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알카리 탈지 후에 크로메이트 피막처리공정을 거치고, 하도 도료를 5㎛ 두께로 도장한 후, 카르보닐 철계 안료가 포함된 상도 도료를 도포한 후 마르지 않은 상태로 자석롤(10mm 두께의 영구자석)을 통과시켜 자기장(자력)에 따른 무늬를 형성한 후 230℃로 가열건조하여 18㎛로 상도 피막층을 형성한 다음, 클리어 도료를 5㎛ 두께로 도장한 후 가열 경화시켜 도3에 도시한 적층구조의 칼라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도 도료와 상도 도료 및 클리어 도료는 상기 조성범위의 중간치로 된 도료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5]
통상의 용융도금방법으로 제조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여 표면에 부착 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알카리 탈지 후에 크로메이트 피막처리공정을 거치고, 하도 도료를 5㎛ 두께로 도장한 후, 카르보닐 철계 안료가 포함된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터 수지로 제조된 상도 도료를 도포한 후 마르지 않은 상태로 자석롤(10mm 두께의 영구자석)을 통과시켜 자기장(자력)에 따른 무늬를 형성한 후 230℃로 가열건조하여 15㎛로 상도 피막층을 형성한 다음, 클리어 도료를 5㎛ 두께로 도장한 후 가열 경화시켜 도3에 도시한 적층구조의 칼라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도 도료와 상도 도료 및 클리어 도료는 상기 조성범위의 중간치로 된 도료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로 제조된 칼라강판을 사용하여, 연필경도, 밀착성 및 가공성, 내식성, 내후성, 내약품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에 사용된 대표적인 수지는 선형성 고내후성 폴리에스터 수지(실시예 1~4)와 고가공성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터 수지(실시예 5)를 채택하였다.
상기 연필경도는 Mitsubishi Uni Pencil 2kg 으로 수동 테스트(Test)한 결과이다.
상기 밀착성 및 가공성은 25℃에서 T-Bending 절곡시험후 크랙(crack) 발생 여부를 측정한 것이며, 가공후 비등수와 비등수후 가공을 100℃에서 1시간 실시하여 박리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상기 내식성은 5% NaCl로 5시간 방치 시험후 평면 NO Blister 등의 도막 이상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상기 내후성은 촉진내후성시험기(WOM)를 사용하여 1500시간 시험후 광택 및 색차를 확인한 것이다.
상기 내약품성은 5% HCl과 5% NaOH에 24시간 방치후 도막이상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표 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경도 연필경도 2H 2H 3H H H
밀착성 가공후 비등수 박리 박리 박리 박리 박리없음
비등수후 가공 박리 박리 박리 박리 박리없음
가공성 25도 0T 박리없음 박리없음 미세박리 박리없음 No Crack
90도 1T 15min No Crack No Crack No Crack No Crack No Crack
내식성 평면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단면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내후성 색차(CR300) ΔE 0.4 ΔE 0.4 ΔE 0.4 ΔE 0.2 ΔE 1.2
내약품성 내산성 6시간후 박리 6시간후 박리 6시간후 박리 양호 양호
내알카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본 발명에 의한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강판에 의하면, 종래 칼라강판의 제조방법에 비해 입체감이 살아 있고 화려한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무늬 패턴을 손쉽게 바꾸며 다양한 곳, 즉 건축용 내, 외장재, 방화문용 등의 칼라강판에 포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통상의 연속도장공정에 사용되는 기본판(10) 위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알카리 탈지후에 크로메이트 피막처리 공정을 거쳐 크롬 도장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크롬 도장층(20) 상에 하도 도료를 도장하여 하도 도장층(30)을 형성한 다음,
    상기 하도 도장층(30) 상에 자력에 의한 편향성을 나타내는 카르보닐 철이 포함된 상도 도료를 도장한 다음, 자력을 가하여 상기 상도 도료에 무늬 패턴을 형성한 후, 210 ~ 250℃로 가열 건조하여 상도 피막층(40)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상도 도료에 자력을 가할 때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롤에 자석으로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자석롤(M)을 사용하고,
    상기 상도 도료는 선형 폴리에스터 수지 30~35 중량%, 멜라민 수지 7~10 중량%, 카르보닐 철(carbonyl iron)계 안료 5~7 중량%, 실리카계 안료 2~3 중량%, 첨가제 3~5 중량%,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25 ~30 중량%, 에스테르계 용제 10 ~ 15 중량%로 구성되는 도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도 피막층(40) 상에는 광택을 주고 피막층을 보호하도록 클리어 도료를 도장하여 클리어층(5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070058919A 2007-06-15 2007-06-15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칼라강판 KR100897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919A KR100897169B1 (ko) 2007-06-15 2007-06-15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칼라강판
PCT/KR2008/000675 WO2008153261A1 (en) 2007-06-15 2008-02-04 Process using magnetic force for manufacturing colored-steelsheet and manufactured colored-steel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919A KR100897169B1 (ko) 2007-06-15 2007-06-15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칼라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317A KR20080110317A (ko) 2008-12-18
KR100897169B1 true KR100897169B1 (ko) 2009-05-14

Family

ID=4012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919A KR100897169B1 (ko) 2007-06-15 2007-06-15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칼라강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97169B1 (ko)
WO (1) WO20081532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838B1 (ko) 2022-07-14 2022-11-25 김태영 폭 조절 기능을 구비한 착색 스테인리스 스틸의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KR102472560B1 (ko) 2022-05-23 2022-11-29 김태영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착색 스테인리스 스틸의 제조 방법
KR102527978B1 (ko) 2022-07-14 2023-05-02 김태영 왕복 스트로크의 제어 기능을 구비한 착색 스테인리스 스틸용 수평 도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19B1 (ko) * 2009-04-03 2011-09-28 동부제철 주식회사 전자기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제조된 칼라강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520A (ja) * 1996-03-13 1997-09-22 Nisshin Steel Co Ltd 模様付き塗装金属板又は金属帯の製造方法
KR20060084170A (ko) * 2005-01-19 2006-07-24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지붕재용 칼라도장강판
KR20070025223A (ko) * 2005-09-01 2007-03-08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자기세정 가전용 칼라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8520A (ja) * 1996-03-13 1997-09-22 Nisshin Steel Co Ltd 模様付き塗装金属板又は金属帯の製造方法
KR20060084170A (ko) * 2005-01-19 2006-07-24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지붕재용 칼라도장강판
KR20070025223A (ko) * 2005-09-01 2007-03-08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자기세정 가전용 칼라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560B1 (ko) 2022-05-23 2022-11-29 김태영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착색 스테인리스 스틸의 제조 방법
KR102470838B1 (ko) 2022-07-14 2022-11-25 김태영 폭 조절 기능을 구비한 착색 스테인리스 스틸의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KR102527978B1 (ko) 2022-07-14 2023-05-02 김태영 왕복 스트로크의 제어 기능을 구비한 착색 스테인리스 스틸용 수평 도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317A (ko) 2008-12-18
WO2008153261A1 (en)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511B2 (en) Color steel sheet with embossed patterns on one side thereof
CN103289551B (zh) 一种木纹转印水性漆和铝合金木纹转印型材及其制造方法
KR100362247B1 (ko) 그라비아 전사도장강판의 제조방법
KR100897169B1 (ko) 자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칼라강판
KR101622853B1 (ko)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0688B1 (ko) 마그네슘 합금강판을 소재로 한 에어컨 실외기용 pcm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pcm 도장강판
KR101062441B1 (ko)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칼라강판
KR101586979B1 (ko)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229208B1 (ko) 그라비아전사프린트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2192B1 (ko) 편면 엠보스 칼라강판
KR101386202B1 (ko) 입체적인 도트무늬의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87128B1 (ko)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프리코트 금속판 및 그 제조 방법
JP4851904B2 (ja) フッ素樹脂塗装鋼板
CN210553437U (zh) 无指纹变色钢板
KR102130531B1 (ko) Cgl 공정을 이용한 착색 도금강판 제조방법
KR101059464B1 (ko) 메탈릭도장층이 형성된 장식재
CN113415050A (zh) 一种3d夜光彩钢板及其制备方法
KR100535910B1 (ko) 다양한 무늬를 나타내는 칼라강판용 도료 및 이 도료를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JP2009274379A (ja) プレコート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1068A (ko) 클리어 도료를 이용한 입체 무늬를 갖는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9891B1 (ko) 불소프린트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CN203141932U (zh) Pet覆膜板
CN216659172U (zh) 一种多印刷图案层的印刷pcm复合板
KR101067719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제조된 칼라강판
KR101275819B1 (ko) 강판 프린팅용 열경화성 잉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제조방법 및 그 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