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868B1 - 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 Google Patents

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868B1
KR100896868B1 KR1020077005823A KR20077005823A KR100896868B1 KR 100896868 B1 KR100896868 B1 KR 100896868B1 KR 1020077005823 A KR1020077005823 A KR 1020077005823A KR 20077005823 A KR20077005823 A KR 20077005823A KR 100896868 B1 KR100896868 B1 KR 10089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zone
fire
elevat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59097A (en
Inventor
시로 히키타
키요지 카와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868B1/en
Publication of KR2007005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0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8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Abstract

단시간에 많은 인원수의 피난을 가능하게 한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를 제공한다. Provide an evacuation operation device in case of fire of a group management elevator that enables evacuation of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short time.

서비스해야 할 층계를 복수의 서비스 존으로 분할하고, 현관층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을 취역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을 때,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는 것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에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불가라고 판단하여 가장 가까운 층 정지 후의 운전을 정지하고, 또한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지 않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1B)과, 피난 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한 엘리베이터에 대해 화재가 발생한 층계에 따라 구출층을 설정하는 구출층 설정 수단(1C)과, 해당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이 되는 현관층과 구출층과의 사이를 왕복시키는 것에 의해 빌딩 재관자의 피난 지원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1D)을 구비한다. The stairs to be service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rvice zones, and a plurality of elevators are commissioned to each service zone from the entrance floor, and when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each step detects a fire, each elevator is stopped at the nearest floor. In the case of a fire, the elevator serving the zone including the fire generating floor is determined to be evacuation operation impossible, and the operation after the closest floor stop is stopped, and the elevator serving the zone not containing the fire generating floor is determined. The evacuation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ation means 1B which judges that evacuation operation is possible, the rescue floor setting means 1C which sets a rescue floor according to the stairs which a fire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elevator which judged that evacuation operation is possible, By making round trip between entrance door layer and rescue floor to become Evacuation operation command means 1D which performs evacuation support of a building visitor is provided.

Description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본 발명은 고층 빌딩에 있어서의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피난을 실시할 수 있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vacuation driving apparatus for a group managed elevator that can efficiently evacuate using an elevator in the event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일반적으로 빌딩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각 엘리베이터는 가장 가까운 층으로 주행한 후, 이후의 운전을 정지하는 일이 많다. 이것은 주로 엘리베이터에 의한 2차 재해의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통상의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은 화재가 일어났을 경우에, 이미 올라 타 있는 승객을 신속하게 피난시키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피난층으로 직행하여 착상시키는 동시에, 승객이 갇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 열림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고, 이 후 화재시의 엘리베이터의 사용을 금지하여 2차 재해를 막고 있다. In general, in the event of a fire in a building, each elevator travels to the nearest floor and then stops further operation. This is mainly because the purpose of the prevention of secondary disasters caused by elevators. In other words, the fire control operation of a normal elevator causes the door to be opened in order to prevent the passengers from being trapped, while going straight to the evacuation floor of the elevator in order to evacuate passengers who have already climbed up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after which the use of an elevator in the case of a fire is prohibited to prevent secondary disasters.

또한, 통상 엘리베이터와는 별도로 화재 발생시에 소방 대원 등이 이용하는 특수 구조의 비상 엘리베이터도 존재한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emergency elevator of a special structure that is used by firefighters and the like in the event of a fire separately from the normal elevator.

그러나, 최근의 빌딩에서는 방화 구획 외의 기술이 향상하고, 화재 발생층이나 그 위 근방층을 제외한 층계에서는 영향을 받는 일이 적고, 엘리베이터도 통상 운전을 계속해도 지장이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However, in recent buildings, technologies other than the fire protection section are improved, and the floors except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the adjacent floors are less affected, and the elevator is also configured to have no problem even if it continues to operate normally.

이것을 고려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고층 빌딩에서의 화재시에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zone)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화재 관제 운전(가장 가까운 층으로 주행하여 정지)을 실시시키고, 이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각 존에 차례로 화재 관제 운전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화재에 영향이 적은 층에서 통상의 운전을 계속하는 시간을 연장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As an elevator driving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a fire control operation (traveling to the nearest floor and stopping) is performed to an elevator group serving a zone including a fire generating layer, Priority is set below to fire control operation to each zone one by one. Thereby, the time to continue normal operation in the floor which has little influence on a fire is extend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또, 예를 들면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화재 발생층을 피해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층으로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Moreover,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ion means provided in each stairway, it is made to guide | induce to the floor which can evacuate a fire generating layer safely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2).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5-895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8954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 5-14784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147849

그러나, 전자의 종래 기술에서는 안전한 층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도 통상 운전을 실시하는 시간을 약간 연장하고 있을 뿐, 통상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서 적극적으로 이용 또는 제공하는 구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동일하게, 후자의 종래 기술에서도 화재 발생층에 따라 피난층을 변경하고 있을 뿐, 통상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서 적극적으로 이용 또는 제공하는 구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However, in the former prior art, the time for performing normal operation is also slightly extended even for an elevator serving a safe floor, and there is no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evator is actively used or provided as an evacuation means. Similarly, the latter conventional technique only changes the evacuation floor according to the fire generation floor, and generally does not constitut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evator is actively used or provided as an evacuation mea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빌딩의 방화 구획 외의 기술 향상 등으로 화재 발생층이나 그 위 근방층을 제외한 층계에서는 영향을 받는 일이 적은 점에 주목하여, 화재 발생층의 위치에 따라 안전한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 하여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인원수의 피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stairs other than the fire generating layer or the upper floor above the fire generating layer are less affected by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outside the fire protection section of the building. It is to provide an evacuation operation device in case of fire of a group-managed elevator which can enable evacuation of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short time by actively providing a safe elevator as an evacuation means depending on the location.

본 발명에 관한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는 서비스해야 할 층계를 복수의 서비스 존으로 분할하고, 현관층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을 서비스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빌딩의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을 때,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불가라고 판단하여 가장 가까운 층 정지 후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지 않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하는 피난 운전 가부(可否) 판정 수단과,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에 의해 피난 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한 엘리베이터에 대해 화재가 발생한 층계에 따라 구출층을 설정하는 구출층 설정 수단과, 해당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이 되는 현관층과 구출층과의 사이를 왕복시키는 것에 의해 빌딩 재관자의 피난 지원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The fire evacuation driving device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stairs to be serviced into a plurality of service zones, and has a plurality of elevators serving each service zone from the entrance floor, and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each step of the building. Causes each elevator to stop on the nearest floor when it detects a fire, and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determined that evacuation operation is impossible for the elevator serving the zone including the fire generating floor. The elevator which stops the operation after stopping, and serves the zone which does not contain a fire generating floor, and evacuation operation availability determination means judged as evacuation operation possible, and evacuation operation acceptance determination means judged as evacuation operation possible. Depending on the stairs that caused the fire to the elevator Is provided with a evacuation operation command means for performing the evacuation support of building jaegwan by the reciprocating between the rescue floor setting means, the entrance layer and the rescue floor to the evacuation floor the elevator is to set chulcheung.

또,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transit)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이다. Further, the rescue floor setting means sets a rescue floor in a transit floor between the zone and one zone below the zone located above the zone including the fire generating layer, and includes the fire generating layer. For the zone located below, the rescue layer is set in the transition layer between the zone and the zone above one zone.

또,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인 경우, 해당 트랜짓층을 공유하는 존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evacuation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ing means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s in the zones sharing the transit floor when the fire generation floor is the transit floor between the zones.

또,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의 아래쪽 근방층인 경우, 해당 트랜짓층의 위쪽 근방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이다. The rescue layer setting means sets the rescue layer in the upper vicinity of the transit layer when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the lower vicinity of the transition layer between the zones.

또, 본 발명에 관한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는 서비스해야 할 층계를 복수의 서비스 존으로 분할하고, 현관층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을 서비스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빌딩의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을 때,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도록 함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킨 후,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의 각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화재 발생층 위치에 따라 자기가 서비스하는 존의 위쪽 트랜짓층 또는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과,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또한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비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과, 각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이 되는 현관층과 구출층의 사이를 왕복시키는 것으로 빌딩 재관자의 피난 지원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fire evacuation driving device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stairs to be serviced into a plurality of service zones, and has a plurality of elevators to service each service zone from the entrance floor, and is installed on each of the stairs of the building. When the fire detector detects a fire, the elevators are stopped at the nearest floor. In the event of a fire, each elevator in the zone including the fire generating floor is stopped after each elevator is stopped at the nearest floor. The 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rescue layer in the upper or lower transit floor of the zone serviced by the fire generating floor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the zone located above the zone including the fire generating layer. Set up a rescue layer on the transition layer between the zone and one of the zones below, and also include the fire generating layer. For zones located below the zone, non-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rescue floor in the transit floor between the zone and one zone above, between the entrance floor and the rescue floor where each elevator becomes an evacuation floor. It is equipped with the evacuation operation command means which performs evacuation support of a building inspector by making a round trip.

또,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인 경우에는 최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최상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이 아닌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이 그 층을 포함하는 존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는 해당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해당 존의 위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그 외는 해당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이다. The 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sets the rescue floor of the elevator serving the top zone when the fire generating floor is the top zone to the lower transit floor of the top zone, and when the fire generating floor is not the top zone. If the fire-generating floor is located above the zone containing the floor, the rescue floor of the elevator serving the zone is set to the upper transit floor of the zone, and the other floor is rescued to the lower transit floor of the zone. To set the floor.

또,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는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하는 것이다. The 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excludes the transition layer from the selection candidate for the rescue floor when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a transit layer between zones or a layer immediately below it.

또,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이의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되었을 때, 그 외에 서비스 가능한 트랜짓층이 존재하는 경우는 그 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이다.Further, the 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a transit layer between zones or a layer immediately below it, when the transit layer is excluded from the candidate for selection of the rescue layer, and when there is another serviceable transit layer. Is to set the rescue layer on the floo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 빌딩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화재 발생층의 위치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 하여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빌딩 재관자는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병용하여 피난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시간에 많은 인원수의 피난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event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an elevator is actively provided as an evacuation mean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generating floor, whereby a building occupant evacuates by using a staircase and an elevator together. It is possible to do it and has effect that can evacuate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short time.

또,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함으로써, 빌딩 재관자의 계단 이동 거리를 공평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각 엘리베이터는 피난층과 구출층에만 정지하게 되므로 사이클(cycle) 시간을 앞당길 수 있고, 단시간에 많은 인원수의 피난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for a zone located above the zone including the fire generating layer, a rescue layer is set in the transition layer between the zone and one zone below, and for a zone located below the zone including the fire generating layer. By setting the rescue floor in the transit floor between the zone and one zone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the step movement distance of the building inspector even, and also because each elevator stops only on the evacuation floor and the rescue floor.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dvance and evacuate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short time.

또,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인 경우, 해당 트랜짓층을 공유하는 존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안전한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피난이 실시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In the case where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a transit layer between zone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n the zone sharing the transit layer is stopped, so that the evacu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safe elevator.

또,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의 아래쪽 근방층인 경우, 해당 트랜짓층의 위쪽 근방층에 구출층을 설정함으로써, 각 엘리베이터는 안전한 층과의 왕복 운전에 의해 구출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when the fire-generating floor is the lower floor near the transit floor between zones, by setting the rescue floor in the upper floor near the transit floor, each elevator can perform rescue activities by reciprocating operation with the safe floor. Has the effect.

또,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인 경우에는 최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최상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동시에,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이 아닌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이 그 층을 포함하는 존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는 해당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해당 존의 위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그 이외는 해당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함으로써, 화재에 의해 가장 위험도가 높은 존의 재관자가 승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수가 증가하고, 신속하게 피난이 실시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If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the highest zone, the rescue layer of the elevator serving the top zone is set to the lower transit layer of the top zone, and if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not the top zone,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the floor. In the case of located above the zone including the above, by setting the rescue floor of the elevator serving the zone to the upper transit floor of the zone, otherwise setting the rescue floor to the lower transit floor of the zone, The number of elevators that can be boarded by reinspectors in the zone with the highest risk due to the fire increases, which has the effect that evacuation can be carried out quickly.

또,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는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함으로써, 안전한 피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when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a transit layer between the zones or the layer immediately below it, the evacuation layer can be removed from the selection candidates for the rescue layer, thereby enabling safe evacuation operation.

또,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되었을 때, 그 외에 서비스 가능한 트랜짓층이 존재하는 경우는 그 층에 구출층을 설정함으로써, 운전 가능한 모든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피난 운전이 행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If the fire-generating layer is a transit layer between zones or a layer below it, when the transit layer is excluded from the selection candidate for the rescue layer, and if there is another serviceable transit layer, the rescue layer is placed on the layer. By setting it, it has the effect that an evacuation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ll the elevators which can be op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의 기능별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example of each function of an evacuation driving apparatus in a fire of a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utline of the operation of the evacuation driving apparatus in the event of fire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rescue floor setting operation in a fire evacuation driving apparatus of a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rescue floor setting operation in the fire evacuation driving device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의 기능별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each function of the evacuation driving apparatus in case of fire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차트.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utline of the operation of the evacuation driving apparatus in the event of fire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rescue floor setting operation in the fire evacuation driving apparatus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Fig. 8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rescue floor setting operation in the fire evacuation driving apparatus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피난 계획안 작성 장치1 evacuation plan making device

1A 통신 수단1A communication means

1B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1B evacuation driving permission judgment means

1C 구출층 설정 수단1C rescue floor setting means

1D 피난 운전 지령 수단1D evacuation driving command means

1E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1E 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1F 비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1F non-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2 방재 관리 장치2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devices

3 화재 감지기3 fire detector

4 비상 방송 장치4 emergency broadcast device

5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5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것을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invention in detail, this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attached drawing.

실시예 1Example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의 기능별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 피난 계획안을 작성하고, 지령을 실시하는 피난 계획안 작성 장치, 2는 빌딩 전체의 방재 기기를 관리 통괄하는 방재 관리 장치, 3은 각 층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 4는 동일하게 각 층에 설치된 비상 방송 장치이며, 비상시에 피난 유도에 관한 아나운스 등을 실시한다. 또, 5는 엘리베이터 그룹을 관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이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ire escape apparatus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Example 1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example of the whole structural function by the function of the evacuation operation apparatus at the time of fire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Example 1 of this invention. In FIG. 1, 1 is an evacuation plan preparation device which creates an elevator evacuation plan, and gives instructions, 2 is a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device which manages and integrates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of the whole building, 3 is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each floor, 4 is the same It is an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installed in each floor, and announces about evacuation guidance in case of emergency. 5 is an elevator group management apparatus which manages and controls an elevator group.

또, 도 1의 피난 계획안 작성 장치(1)에는 이하의 1A ~ 1D의 각 수단이 포함되어 있고, 이것들 1A ~ 1D의 각 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1A는 각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5) 등과의 정보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 수단, 1B는 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가부를 판단하는 피난 운전 가부 판정 수단, 1C는 화재 발생층 위치에 따라 피난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의 구출층을 설정하는 구출층 설정 수단, 1D는 각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5)에 대해 피난 운전 지령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이다. Moreover, the evacuation plan preparation device 1 of FIG. 1 includes the following means of each of 1A-1D, and each of these means of 1A-1D is comprised by the software on a microcomputer. 1A is a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with each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5, etc., 1B is an evacuation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an elevator serving each zone, and 1C is an evacu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generation floor. Rescue floor setting means for setting a rescue floor in the case of driving, 1D is an evacuation operation command means for giving an evacuation operation command to each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도 2 ~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utline of the oper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scue layer setting oper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의 화재 감지기(3)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후 화재 발생이 확정하면, 도 2에 있어서의 단계 S100에서 화재 발생의 확정 정보가 도 1의 방재 관리 장치(2)로부터 피난 계획안 작성 장치(1)에 입력된다. 이 후 단계 S101에서 각 엘리베이터는 화재 관제 운전으로 불리는 운전으로 이행한다. 이 화재 관제 운전은 주행중의 엘리베이터가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하고, 문을 열어서 승객을 하차시키는 것이다. First, when a fire occurrence is confirmed after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3 of FIG. 1,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occurrence is prepared from the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apparatus 2 of FIG. 1 in step S100 in FIG. 2. To the device 1. Thereafter, in step S101, each elevator shifts to an operation called fire control operation. In this fire control operation, the elevator on the run stops on the nearest floor, open the door and get off the passenger.

이 후, 단계 S102에서 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 피난 운 전 가부 판정 수단(1B)에 의해 피난 운전의 실시 가부를 판단한다. After that, in step S102, evacuation operation permission determination means 1B determines whether or not evacuation operation is performed for the elevator group serving each zone.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화재 발생층(11)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서는 안전하기 때문에 피난 운전 불가로 판정되고 운전을 정지시키고, 단계 S106으로 진행한다. 또 서비스하는 층계에 화재 발생층(11)을 포함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서는 피난 운전 가능으로 판정하고, 단계 S103으로 진행한다. In this case, since it is basically safe for the elevator group serving the fire generating layer 11, it is determined that evacuation operation is impossible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106.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that evacuation operation is possible for the elevator group which does not include the fire generating layer 11 in the service stairs,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103.

다음에 단계 S103에서는 상기 단계 S102에서 피난 운전 가능으로 판정된 각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구출층을 설정한다. 이하도 3, 도 4를 이용하여 이 구출층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in step S103, a rescue floor is set according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for each elevator group determined to be evacuation operation possible in step S102. Hereinafter, the setting of this rescue layer is demonstrated using FIG. 3, FIG.

도 3은 저층 존ㆍ중층 존ㆍ고층 존인 3 개의 존을 각각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가 취역하는 빌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고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3의 우측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고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고,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3의 중앙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중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고,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3의 좌측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저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또한, 현관층은 화재 발생시에는 피난층(10)이 된다. 3 shows an example of a building in which an elevator serving three zones, which are a low-rise zone, a middle-zone zone, and a high-rise zone, is commissioned. That is, the elevator in the high-rise zone (the elevator on the right side of FIG. 3) serves each floor of the entrance floor and the high-rise zone, and the elevator in the middle-tier zone (the elevator in the center of FIG. 3) serves each floor of the entrance floor and the middle floor zone. For example, the elevator of the lower floor zone (the elevator on the left side of FIG. 3) serves as an example of serving each floor of the entrance floor and the lower floor zone. In addition, the entrance layer becomes the evacuation layer 10 at the time of a fire.

여기서 도 3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층 존에 포함되는 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Here,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 the case where a fire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the layer contained in a middle layer zone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도 3의 예에서는 우선 화재 발생층(11)을 포함하는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단계 S102의 판정에서 운전 정지로 판정된다.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2)으로서 설정한다. 또 하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중층/하층 존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3)으로서 설정한다. In the example of FIG. 3, first, the elevator of the middle floor zone containing the fire generating layer 11 is determined to be operation stop by the determination of step S102. For elevators in the upper zone, the transit layer in the upper and middle zones is set as the rescue layer 12. In addition, about the elevator of a lower floor zone, the transit floor of a middle floor / lower floor zone is set as the rescue floor 13.

이것에 의해, 상층 존 재관자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인 구출층(12)까지 계단으로 이동하고, 이 후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승차하여 피난층(10)인 현관층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 중층 존 재관자는 중층/하층 존의 트랜짓층인 구출층(13)까지 계단으로 이동하고, 이 후 하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승차하고, 피난층(10)인 현관층까지 이동한다. 또한, 하층 존 재관자는 계단으로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upper zone relocation officer can move to the rescue floor 12, which is the transit floor of the upper / middle floor zone, and then move to the entrance floor of the evacuation floor 10 by getting on the elevator in the upper zone. In addition, the middle-floor residing person moves up the stairs to the rescue floor 13, which is the transit floor of the middle / low floor zone, and then boards the elevator in the lower-floor zone and moves to the entrance floor, which is the evacuation floor 10. In addition, lower floor residents evacuate by stairs.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 화재 발생층(11)보다 위쪽 존에 대해서는 자기 존과 자기 존보다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2)으로서 설정한다. 또 화재 발생층(11)보다 아래쪽 존에 대해서는 자기 존과 자기 존보다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3)으로서 설정한다. In this way, the transition layer between the magnetic zone and the zone below the magnetic zone is basically set as the rescue layer 12 for the zone above the fire generating layer 11. In the zone below the fire generating layer 11, the transition layer between the magnetic zone and the zone above the magnetic zone is set as the rescue layer 13.

일반적인 인간의 심리로서, 화재와 같은 재해 발생시에 빌딩의 재관자는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을 실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트랜짓층을 설정하면, 최하층을 제외한 모든 재관자는 자기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까지 계단으로 이동하면 엘리베이터에 승차할 수 있고, 각 존 재관자의 계단 이동 거리는 거의 공평하고, 특정층의 사람만이 장거리를 계단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또 전원이 계단만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훨씬 신속하게 피난을 완료할 수 있다. As a general human psychology,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the building's inspector moves downward. Therefore, if the transit floor is set as described above, all residing persons except the lowest floor can get on the elevator if they move up the stairs to the lower transit floor of their zone,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staircase of each zone residing person is almost equal, Only a long distance need not be moved up the stairs. In addition, evacuation can be completed much faster than if the power supply only moves up the stairs.

다음에, 트랜짓층 또는 트랜짓층의 아래쪽 근방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구출층 설정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Next, the rescue floor setting in the case of a fire occurring in the transit layer or the lower vicinity of the transit lay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a)는 중층/하층 존의 트랜짓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경우, 중층/하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자기의 서비스하는 층에 화재가 발생했으므로, 단계 S102의 판정에서 모두 피난 운전 불가로 판정되고 운전을 정지 한다. 따라서 중층/하층 존의 재관자는 계단으로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또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12)이 설정되고, 이 구출층(12)으로부터 상층 존의 재관자는 엘리베이터로 피난을 실시할 수 있다. Fig. 4A shows an example where a fire occurs in the transit layer in the middle / lower layer zone. In such a case, the elevators in the middle floor / lower floor zones have a fire on their service floor, and therefore all of the judgments in step S102 determine that evacuation operation is impossible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Therefore, reinvestigators in the middle and lower zones will evacuate by stairs. In the elevator of the upper zone, as described above, the rescue layer 12 is set in the transit layer of the upper / middle layer zone, and the re-inspector of the upper zone from the rescue layer 12 can evacuate to the elevator.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현관층과 같이 각 엘리베이터가 공통으로 서비스하는 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는 단계 S102에서 모든 엘리베이터는 운전 정지로 판정되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when a fire breaks out on the floors to which each elevator serves in common, such as the entrance floor, all the elevators are judged to be in operation stop in step S102.

또, 도 4(b)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의 바로 아래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경우,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자기가 서비스하는 층에 화재가 발생했으므로, 단계 S102의 판정에서 피난 운전 불가로 판정되고 운전을 정지한다. 4 (b) shows an example in the case where a fire occurs in the lower layer of the transit layer of the upper / middle layer zone. In such a case, the elevator in the middle floor zone has a fire on the floor serviced by the self, and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evacuation operation is impossible in the determination of step S102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또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단계 S102에서 피난 운전 가능으로 판정된다. 그러나 바로 아래층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의 진전에 따라서는 트랜짓층에도 불이 번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안전상의 여유를 고려하여, 상층 존용의 구출층(12)을 트랜짓층보다 위쪽의 층으로 시프트한다. 이 시프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다음의 방법이 생각된다. The elevator in the upper floor zone is determined to be evacuable in step S102. However, if a fire occurs immediately below, the fire may also spread on the transit floor,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the fir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safety margin, the rescue layer 12 for the upper zone zone is shifted to a layer above the transition layer. As this shift method, the following method is considered, for example.

화재 발생층(11)이 트랜짓층 -1 층인 경우 구출층을 트랜짓층 +2 층으로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이 트랜짓층 -2 층인 경우 구출층을 트랜짓층 +1 층으로 설정한다. When the fire generating layer 11 is a transit layer-1 layer, the rescue layer is set to a transit layer +2 layer, and when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a transit layer -2 layer, the rescue layer is set to a transit layer +1 layer.

즉, 안전 파라미터로서 X(층)을 설정하고, 화재가 트랜짓층 -1 층 ~ 트랜짓 층 -X 층에 발생했을 경우에, 구출층을 화재 발생층 +X+1 층으로 설정한다. 상기예는 X=2 로 했을 경우이다. 이 X의 값은 빌딩 구조에 따라 적절히 설정해도 된다.That is, X (layer) is set as a safety parameter, and when a fire occurs in the transit layer -1 floor-the transit layer -X layer, a rescue layer is set to the fire generation layer + X + 1 layer. The example is a case where X = 2. You may set this value of X suitably according to a building structure.

이상과 같이 하여 단계 S103에서 구출층이 설정되면, 단계 S104으로 진행되고,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피난이 실시되게 된다. If the rescue floor is set in step S103 as described above, the flow proceeds to step S104, where evacuation using an elevator is performed.

피난 운전 가능한 엘리베이터는 설정된 구출층(12, 13)과 피난층(10)(통상 현관층)과의 왕복 운전을 실시하고, 재관자의 피난 구조에 임한다. 또, 각 층에 설치된 비상 방송 장치(4)로부터 재관자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피난의 유효ㆍ무효 및 어느 층으로부터 엘리베이터에 승차 가능한가의 안내 유도가 실시된다. The elevator that can be evacuated can perform a reciprocating operation between the set rescue floors 12 and 13 and the evacuation floor 10 (normally the entrance floor), and work on the evacuation structure of the inspector. In addition, guidance from the emergency broadcast apparatus 4 provided in each floor is effective and invalidation of elevator evacuation and guidance guidance of which floor the elevator can be boarded from.

상기 단계 S104의 피난 운전은 단계 S105에서 종료로 판정될 때까지 실시된다. 이 종료 판정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가 생각된다. The evacuation operation of step S104 is performed until it is determined to end in step S105. As this termination determination condition, the following is considered, for example.

(i) 방재원, 소방대 등 인간의 판단에 의해 운전 종료로 판정하고, 운전 종료로 입력되었을 경우.(i) When it is judged to be the end of driving by human judgment such as disaster prevention worker, fire brigade, and is input by the end of driving.

(ii) 화재의 진전 또는 소화 활동의 침수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운전의 안전이 위협되었을 경우.(ii) Safety of elevator operation is threatened by the progress of fire or flooding of fire fighting activities.

(iii) 구출층에서의 승차가 없어지고 피난 완료로 판정되었을 경우. (iii) When boarding on rescue floor is lost and evacuation is determined.

상기 (i)는 메뉴얼 입력, (ii), (iii)는 승강차 센서 등 엘리베이터 관련 설비의 센서에 의해 자동 판정 가능하다. 또한, 종료 판정은 상기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I) is a manual input, (ii), (iii)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y a sensor of an elevator-related facility such as a lift sensor. In addition, the termination determin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예를 들면, 어떤 조건에서 안전 확보가 곤란하게 되었을 경우, 및 피난이 완료했다고 판정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을 종료해도 된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may be terminated when safety is difficult under certain conditions, and when a condition that determines that evacuation is completed is satisfied.

이상 단계 S102 ~ S104는 각 존을 담당하는 엘리베이터 그룹마다 실시되는 것이다. The above steps S102 to S104 are performed for each elevator group in charge of each zone.

실시예 2Example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의 기능별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1에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여 차이점만 설명한다. 1E는 화재 발생층 위치에 따라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가 피난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의 구출층을 설정하는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 1F는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지 않는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가 피난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의 구출층을 설정하는 비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이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ire escape apparatus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in Example 2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each function of the evacuation driving apparatus in case of fire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sinc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in FIG. 1,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nd only a difference is demonstrated. 1E is a 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for setting a rescue floor when an elevator serving a zone including a fire generating floor performs an evacu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fire generating floor, and 1F is a zone that does not include a fire generating floor. It is a non-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which sets a rescue floor in the case of an elevator to service.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도 6 ~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동작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구출층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utline of the opera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scue layer setting opera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5의 화재 감지기(3)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후 화재 발생이 확정되면, 도 6에 있어서의 단계 S200에서 화재 발생의 확정 정보가 도 5의 방재 관리 장치(2)로부터 피난 계획안 작성 장치(1)에 입력된다. 이 후 단계 S201에서 각 엘리 베이터는 화재 관제 운전으로 불리는 운전으로 이행한다. 이 화재 관제 운전은 주행중의 엘리베이터가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하고, 문을 열어서 승객을 하차시키는 것이다. First, when a fire occurrence is confirmed after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3 of FIG. 5,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of the fire occurrence is generated from the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apparatus 2 of FIG. 5 at step S200 in FIG. 6. To the device 1. After that, in step S201, each elevator shifts to an operation called fire control operation. In this fire control operation, the elevator on the run stops on the nearest floor, open the door and get off the passenger.

이 후, 단계 S202에서 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 그룹에 대해 구출층 설정의 가부를 판단한다. 이 실시예 2에서는 후술하는 단계 S203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각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지만,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그 외에 서비스 가능한 트랜짓층이 있는 경우에는 그 층에 구출층을 설정하지만, 그 외에 트랜짓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존의 구출층 설정 불가로 판정하고, 단계 S206으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한다.Thereafter, in step S2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scue floor is set for the elevator group serving each zone. In the second embodiment, as described later in step S203, a rescue layer is basically set in the transit layer of each zone, but there is a case where a fire occurs in the transit layer or the layer immediately below it. In that case, if there is a transit floor which can be serviced elsewhere, the rescue floor is set on the floor, but when there is no transit floor,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cue floor of the zone is impossible,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206 to determine the elevator floor. Stop operation.

또한, 피난층(통상 현관층)과 같이 각 엘리베이터가 공통으로 승객을 하차 시켜야 할 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는 단계 S202에서 모든 엘리베이터는 운전 불가로 판정하고, 단계 S206으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정지한다. In addition, in the event that a fire occurs on the floor where each elevator has to get off passengers in common, such as the evacuation floor (normal entrance floor), all the elevators are determined to be inoperable in step S202, and the operation proceeds to step S206. Stop.

또 상기 이외의 케이스에서 구출층을 설정 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If the rescue layer can be set in a case other than the abov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03.

다음에 단계 S203에서는 상기 단계 S202에서 피난 운전 가능으로 판정된 각 엘리베이베터 그룹에 대해,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구출층을 설정한다. 이하 도 7, 도 8을 이용하여 그 구출층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in step S203, the rescue floor is set according to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for each elevator group determined to be evacuation operation possible in step S202. Hereinafter, the setting of the rescue lay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은 저층 존ㆍ중층 존ㆍ고층 존의 3 개의 존을 각각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가 취역하는 빌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고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7의 우측 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고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고,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7의 중앙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중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고,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도 7의 좌측의 엘리베이터)는 현관층과 저층 존의 각 층을 서비스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또한, 현관층은 화재 발생시에는 피난층(10)으로 된다. 7 shows an example of a building in which an elevator serving three zones, a low-rise zone, a middle-zone zone, and a high-rise zone, is commissioned. That is, the elevator in the high-rise zone (the elevator on the right side in FIG. 7) serves each floor of the entrance floor and the high-rise zone, and the elevator in the middle-tier zone (center elevator in FIG. 7) services each floor in the entrance floor and the middle-tier zone. The case where the elevator in the lower floor zone (the elevator on the left side in FIG. 7) serves each floor of the entrance floor and the lower floor zone is taken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entrance layer becomes the evacuation layer 10 at the time of a fire.

우선, 도 7(a)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층 존내에서 약간 아래쪽의 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1은 화재 발생층이다. First,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7A, a case where a fire occurs in a floor slightly lower in the middle floor zo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11 is a fire generating layer.

도 7(a)의 예에서는 화재 발생에서 가장 위험하다고 간주되는 것은 중층 존의 각 층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중층 존 재관자의 피난을 우선해야 한다. 그 때문에,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13)을 설정한다. 또 중층 존보다 아래에 있는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해당 존의 위쪽에 있는 트랜짓층으로 설정한다. 그 결과,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동일하게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13)을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중층 존 재관자은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까지 계단으로 이동한 후,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의 양쪽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피난층(현관층)까지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7A, it is each floor of the middle zone that is considered the most dangerous in the occurrence of a fire. Therefore, in this case, the evacuation of middle-class residing officers should be prioritized. Therefore, the rescue layer 13 is set in the transit layer of a middle / low-rise zone about the elevator of a middle layer zone. Also, the elevators in the lower floor below the middle floor zone are set to the transit floor above the zone. As a result, the rescue layer 13 is set in the transit floor of a middle / low floor zone similarly to the elevator of a middle floor zone. As a result, the middle-floor resident can move up the stairs to the transit floor of the middle / low floor zone, and then quickly move to the evacuation floor (the entrance floor) using both the elevator in the middle-floor zone and the elevator in the low-floor zone. have.

또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해당 존의 아래쪽에 있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2)으로서 설정한다. 상층 존 재관자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까지 계단으로 이동하고, 이 후,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에서 피난층(현관층)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저층 존 재관자는 계단으로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In addition, about the elevator of an upper zone, the transit layer of the upper layer / middle layer below the said zone is set as rescue layer 12. As shown in FIG. The upper zone residing person may move up the stairs to the transit floor of the upper / middle floor zone and then move from the elevator of the upper zone to the evacuation floor (the entrance floor). In addition, low-rise residing officers will evacuate by stairs.

다음에, 도 7(b)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중층 존의 약간 위쪽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이며, 11은 화재 발생층이다. 이 경우, 불이 번지는 것을 고려하면 중층 존보다 상층 존의 쪽이 위험성은 높다고 판단된다. 그 때문에 중층 존보다 상층 존 재관자의 피난을 우선하여,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12)을 설정한다. 한편,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도 7(a)의 경우와 동일하게, 각각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과 중층/저층 존 트랜짓층에 구출층(12, 13)을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층 존 재관자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까지 계단으로 이동한 후,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의 양쪽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피난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중층 존 재관자는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로 피난을 실시하고, 저층 존 재관자는 계단으로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Next, Fig. 7 (b)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is example, a fire occurs slightly above the middle zone, and 11 is a fire generating layer. In this case, when the fire spreads, the risk of the upper zone is higher than that of the middle zone. For this reason, the evacuation of the upper-zone zone supervisors is given priority over the middle-zone zone, and the rescue layer 12 is set in the transit floor of the upper / middle-zone zone for the elevator of the middle-zone zone.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elevator of the upper zone and the elevator of the lower zone, rescue layers 12 and 13 are set in the transit layer of the upper and middle zones and the middle / low layer zone transit layers, respectively, as in the case of FIG. . As a result, the upper-floor resident can move to the transit floor of the upper / middle-floor zone on the stairs, and then evacuate quickly using both the elevator in the upper-zone zone and the elevator in the middle-floor zone. In addition, the middle floor residing officer evacuates by the elevator of the lower floor zone, and the low floor residing officer evacuates by the stairs.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 화재 발생층(11)을 포함하는 존에 대해서는 화재 발생층 위치에 따라 구출층을 상하 트랜짓층의 어느 하나에 구출층(12, 13)을 설정한다. 또 화재 발생층(11)보다 위쪽 존에 대해서는 자기 존과 자기 존보다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2)으로서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11)보다 아래쪽 존에 대해서는 자기 존과 자기 존보다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을 구출층(13)으로서 설정한다. In this way, in the zone including the fire generating layer 11, the rescue layers 12 and 13 are set in one of the upper and lower transit layer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ire generating layer. In addition, a transition layer between the magnetic zone and the zone below the magnetic zone is set as the rescue layer 12 for the zone above the fire generating layer 11, and the magnetic zone and the magnetic zone for the zone below the fire generating layer 11. The transition layer with the zone above the zone is set as the rescue layer 13.

이와 같이 하면, 화재에 의해서 가장 피난을 우선해야 할 존의 재관자가 보다 많은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피난을 실시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inspector of the zone who should give priority to evacuation by fire can evacuate using more elevators.

또한, 도 7(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재 발생층(11)을 포함하는 존의 엘리베이터를 상하 중 어느 한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할지에 대해서는 파라미터 로 하여 X(층)를 설정하고, 화재가 상부 트랜짓층 -2 층 ~ 트랜짓층 -X 층에 발생했을 경우에, 구출층을 상부 트랜짓층으로 설정한다. 이 X의 값은 빌딩 구조에 따라 적절히 설정해도 된다.As shown in Figs. 7A and 7B, X (floor) is set as a parameter as to whether the rescue floor is set to one of the transit floors of the elevator in the zone including the fire generating layer 11. When the fire has occurred in the upper transit layer -2 to the transit layer -X layer, the rescue layer is set as the upper transit layer. You may set this value of X suitably according to a building structure.

다음에, 트랜짓층 또는 트랜짓층의 바로 아래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구출층 설정에 대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Next, the rescue floor setting in the case of a fire occurring in the transit layer or immediately below the transit lay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a)는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11은 화재 발생층이다. 이와 같은 경우,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자기가 서비스하는 트랜짓층에 화재가 발생하고, 그 외에 구출층을 설정해야 할 트랜짓층이 없기 때문에, 단계 S202의 판정으로 구출층 설정 불가로 판정되고 운전을 정지한다. 따라서, 중층/저층 존의 재관자는 계단으로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Fig. 8A shows an example in the case where a fire occurs in the transition layer in the middle / low floor zone. 11 is a fire generating layer. In such a case, the elevator in the low-rise zone has a fire in the transit floor serviced by the self, and since there is no transit floor to which the rescue floor must be set,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cue floor cannot be set by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2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do. Therefore, reinvestigators in the middle / low floor zones will evacuate by stairs.

또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 설정이 불가이므로, 대신에 구출층(12)을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12)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인 구출층(12)으로부터 상층 존 재관자는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의 양쪽을 이용하여 피난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scue floor cannot be set in the transit floor of the middle / low floor zone, the elevator in the middle floor zone is configured to set the rescue floor 12 as the transit floor of the upper / middle floor zone instead. In the elevator of the upper zone, the rescue layer 12 is set in the transit layer of the upper / middle layer zone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upper zone residing officer can evacuate from the rescue floor 12 which is the transit floor of the upper / middle layer zone by using both the elevator of the upper zone and the elevator of the middle zone.

또, 도 8(b)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11은 화재 발생층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자기가 서비스하는 트랜짓층에 화재가 발생하고, 그 외에 구출층을 설정해야 할 트랜짓층이 없기 때문에, 단계 S202의 판정으로 구출층 설정 불가로 판정되고 운전을 정지 한다. 또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는 상층/중층 존의 트랜짓층에 구출층 설정이 불가이므로, 대신에 구출층(13)을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층/중층 존의 재관자는 계단으로 중층/저층 존의 트랜짓층까지 이동하고, 중층 존의 엘리베이터와 저층 존의 엘리베이터의 양쪽을 이용하여 피난을 실시하게 된다. 8 (b) shows an example in the case where a fire occurs in the transition layer in the upper / middle layer zone. 11 is a fire generating layer. In such a case, the elevator in the upper floor zone fires in the transit floor serviced by the self, and since there is no transit floor to which the rescue floor must be set,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cue floor cannot be set by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2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do. Moreover, since the rescue floor cannot be set in the transit floor of the upper / middle-zone zone, the elevator in the middle-middle zone is set instead to the rescue floor of the middle / low-rise zone. Therefore, the re-inspector in the upper / middle floor zone moves to the transit floor of the middle / low floor zone by stairs, and evacuates using both the elevator in the middle floor zone and the elevator in the lower floor zone.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피난층(현관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는 단계 S202에서 모든 엘리베이터는 운전 정지로 판정되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when a fire occurs in the evacuation floor (main entrance floor), all the elevators are determined to be in operation stop in step S202.

이상과 같이 하여, 단계 S203에서 구출층이 설정되면, 단계 S204으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피난이 실시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scue floor is set in step S203, the flow advances to step S204 to evacuate using the elevator.

피난 운전 가능한 엘리베이터는 설정된 구출층과 피난층(통상 현관층)과의 왕복 운전을 실시하고, 재관자의 피난 구조에 임한다. 또, 각 층에 설치된 비상 방송 장치(4)로부터 재관자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피난의 유효ㆍ무효 및 어느 층으로부터 엘리베이터에 승차 가능한가의 안내 유도가 실시된다. The elevator capable of evacuation operation performs a reciprocating operation between the set rescue floor and the evacuation floor (normally the entrance floor), and works on the evacuation structure of the inspector. In addition, guidance from the emergency broadcast apparatus 4 provided in each floor is effective and invalidation of elevator evacuation and guidance guidance of which floor the elevator can be boarded from.

상기 단계 S204의 피난 운전은 단계 S205에서 종료로 판정될 때까지 계속하여 실시된다. 이 종료 판정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가 생각된다. The evacuation operation of step S204 is continued until it is determined to end in step S205. As this termination determination condition, the following is considered, for example.

(i) 방재원, 소방대 등 인간의 판단에 의해 운전 종료로 판정하고, 운전 종료로 입력되었을 경우.(i) When it is judged to be the end of driving by human judgment such as disaster prevention worker, fire brigade, and is input by the end of driving.

(ii) 화재의 진전 또는 소화 활동의 침수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운전의 안전이 위협되었을 경우.(ii) Safety of elevator operation is threatened by the progress of fire or flooding of fire fighting activities.

(iii) 구출층에서의 승차가 없게 되고, 피난 완료로 판정되었을 경우.(iii) When there is no boarding at rescue floor and it is determined that evacuation is completed.

상기 (i)는 메뉴얼 입력, (ii), (iii)는 승강차 센서 등 엘리베이터 관련 설 비의 센서에 의해 자동 판정 가능하다. 또한, 종료 판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떠한 조건으로 안전 확보가 곤란하게 되었을 경우, 및 피난이 완료했다고 판정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면 운전을 종료한다. (I) is a manual input, (ii), (iii)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by the sensor of the elevator-related equipment, such as the elevator sensor. In addition, the termination determin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Operation is terminated when safety is difficult under certain conditions and when a condition that can be determined that evacuation is completed is satisfied.

이상 단계 S201 ~ S206는 각 존을 담당하는 엘리베이터 그룹마다 실시되는 것이다. The above steps S201 to S206 are performed for each elevator group in charge of each zon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는 빌딩의 방화 구획 외의 기술의 향상 등으로 화재 발생층이나 그 위 근방층을 제외한 층계에서는 영향을 받는 일이 적은 것에 주목하여, 화재 발생층의 위치에 따라 안전한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서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인원수의 피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is noted that the fire evacuation driving device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affected by the fire generation floor or the stairs except the above floor due to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outside the fire protection section of the building. By actively providing a safe elevator as an evacua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generation floor, evacuation of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be enabled in a short time.

Claims (8)

서비스해야 할 층계를 복수의 서비스 존(zone)으로 분할하고, 현관층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을 서비스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가지고, 빌딩의 각 층계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발생을 감지했을 때,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도록 한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운전 장치에 있어서,The elevators to be service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rvice zones, and each elevator has a plurality of elevators serving each service zone. When the fire detectors installed in each of the building detect a fire, each elevator is separated. In the operating device of the group management elevator to stop on the nearest floor,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각 엘리베이터를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킨 후,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의 각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화재 발생층 위치에 따라 자기가 서비스하는 존의 위쪽 트랜짓(Transit)층 또는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In the event of a fire, after stopping each elevator to the nearest floor, for each elevator in the zone including the fire-generating floor, the upper or lower transit floor of the zone in which it serv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ire generating floor. 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for setting a rescue floor in the transit floor;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아래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고, 또한 화재 발생층을 포함하는 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존에 대해서는, 해당 존과 하나 위의 존과의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비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 및For zones located above the zone containing the fire-generating floor, a rescue layer is set in the transition layer between the zone and one zone below, and for zones located below the zone containing the fire-generating floor. Non-fire zone rescue layer setting means for setting a rescue layer in the transition layer between the zone and the zone above one; And 각 엘리베이터를 피난층이 되는 현관층과 상기 구출층 사이를 왕복시키는 것에 의해 빌딩 재관자(在館者)의 피난 지원을 실시하는 피난 운전 지령 수단을 구비하고,Evacuation operation command means for evacuating the building inspector by evacuating each elevator between the entrance floor serving as an evacuation floor and the rescue floor; 상기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인 경우에는, 최상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최상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설정하고, 화재 발생층이 최상 존이 아닌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이 그 층을 포함하는 존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존을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층을 해당 존의 위쪽 트랜짓층에 설정하고, 그 이외에는 해당 존의 아래쪽 트랜짓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The 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sets the rescue floor of the elevator serving the top zone to the lower transit floor of the top zone when the fire generation floor is the top zone, and fires when the fire generation floor is not the top zone. If the generating floor is located above the zone containing the floor, then the rescue floor of the elevator serving the zone is set to the upper transit floor of the zone, otherwise the rescue floor is set to the lower transit floor of the zon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in case of fire of a group management elevato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는, 그 트랜짓층을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The fire zone rescue floor setting means, when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a transit floor between zones or a layer immediately below it, excludes the transit floor as a candidate for selecting the rescue floor.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화재 존 구출층 설정 수단은, 화재 발생층이 존 사이의 트랜짓층 또는 그 바로 아래층인 경우에, 그 트랜짓층이 구출층의 선정 후보에서 제외된 때, 그 외에 서비스 가능한 트랜짓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층에 구출층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The fire zone rescue layer setting means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fire generating layer is a transit layer between zones or a layer directly below the zone, when the transit layer is excluded from the selection candidate of the rescue layer, and when there is a serviceable transit layer other than that. Th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in case of fire of a group management elevator, characterized by setting a rescue floor on the fl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7005823A 2007-03-13 2005-09-05 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KR1008968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5823A KR100896868B1 (en) 2007-03-13 2005-09-05 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5823A KR100896868B1 (en) 2007-03-13 2005-09-05 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097A KR20070059097A (en) 2007-06-11
KR100896868B1 true KR100896868B1 (en) 2009-05-12

Family

ID=3835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823A KR100896868B1 (en) 2007-03-13 2005-09-05 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8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855B1 (en) * 2021-04-16 2022-07-22 한국아이씨티 주식회사 Elevato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ing add on monitoring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72A (en) 1979-06-19 1981-01-14 Kajima Corp Sheltering rescuing apparatus for superrhigh rise building
JPS6413387A (en) * 1987-07-08 1989-01-18 Toshiba Corp Driving device at time of fire of group control elevator
JP2005187162A (en) * 2003-12-25 2005-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vacu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72A (en) 1979-06-19 1981-01-14 Kajima Corp Sheltering rescuing apparatus for superrhigh rise building
JPS6413387A (en) * 1987-07-08 1989-01-18 Toshiba Corp Driving device at time of fire of group control elevator
JP2005187162A (en) * 2003-12-25 2005-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vac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097A (en) 200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8662B2 (en)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fire of group management elevator
FI125122B (en) Elevator system
KR101245966B1 (en) Elevator system
EP2343262B1 (en) Elevator evacuation support system
US7621378B2 (en) System for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and method of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KR100968311B1 (en) Device for managing elevator in evacuation
KR101828005B1 (en) System for supporting evacuation strategy using occupant evacuation elevator, and method for the same
MXPA03011688A (e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of building occupants and a method for modernisation of an existing building with said system.
WO2007096969A1 (en) Evacuation assistance device for elevator
WO2007083364A1 (en) Evacuation assistance device for elevator
KR20130043673A (en) Monitor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5088362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5104630A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WO2011125164A1 (en) Elevator control device
KR20110020306A (en) Evacuation assistance system
JP2008156017A (en) Building with elevator
KR100896868B1 (en) Fire evacuation operation device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Kuligowski et al. Design of occupant egress systems for tall buildings
JP4842163B2 (en) Elevator evacuation system
JP2011148591A (en) Control device of elevator
JP5485671B2 (en) Elevator system
KR100467994B1 (en) Escape structure for the emergency
KR100667457B1 (en)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JP2011153019A (en) Control device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