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457B1 -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 Google Patents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7457B1 KR100667457B1 KR1020067002536A KR20067002536A KR100667457B1 KR 100667457 B1 KR100667457 B1 KR 100667457B1 KR 1020067002536 A KR1020067002536 A KR 1020067002536A KR 20067002536 A KR20067002536 A KR 20067002536A KR 100667457 B1 KR100667457 B1 KR 1006674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or
- elevator
- personal authentication
- fire
- evacu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칸을 구출 운전시킴으로써, 건물내의 잔류자를 피난층까지 구출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장치로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각 개인이 가진 각 개인 인증 정보가 등록된 개인 인증 발신 수단과, 각 엘리베이터홀에 설치된 개인 인증 수신 수단과, 개인 인증 발신 수단으로부터 개인 인증 수신 수단에 송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칸을 호출하여 행선층의 엘리베이터칸 호 등록을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행선층의 엘리베이터칸 호 등록 정보로부터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를 산출하는 층상마다 잔류자 인원수 계측 수단, 산출된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를 검출하는 층상마다 잔류자 인원수 검출 수단, 및 검출된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에 근거하여 화재 발생시의 피난 유도 지시를 행하는 피난 유도 지시 수단, 구출 운전을 행하는 구출 운전 수단을 포함한다. As a fire control apparatus of an elevator which rescues a residual car in a building to an evacuation floor by carrying out rescue operation at the time of a fire, the personal authentication sending means which registered each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each individual using an elevator registered, and each elevator hall And a control device for calling a car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authentication sending means to the personal authentication receiving means to register the car call on the destination floor. Residual headcount measurement means for each flo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idual heads for each floor from the car call registration information, Residual headcount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number of remaining headcounts for each floor, and the residuals for each floor detected Evacuation instruction at the time of fire occurrence based on the number of people I includes a rescue operation means for inducing instruction means, the rescue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정밀도가 높은 층상(階床, F1oor)마다의 잔류자 인원수의 파악이나 잔류자의 특성 파악을 행하고, 최적의 피난 운전을 선택하거나, 잔류자에게 확실한 피난 유도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the number of residual peop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uals are determined for each floor with high precision, the optimal evacuation operation is selected, or a certain evacuation is induced to the residuals. It relates to a fire control device of an elevator to perform.
종래부터, 화재 발생시에 건물내의 잔류자를 구출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장치는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6,000,505호에는 화재시에 층 사이에서 빌딩 입주자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엘리베이터ㆍ시스템을 갖는 다층계 빌딩이 개시되어 있고, 이 엘리베이터ㆍ시스템은 긴급시 피난 대역내의 선정한 층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을 제어하고, 빌딩 입주자를 지정한 피난 지원층에 피난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재시에 긴급 탈출 퇴피(退避) 수단으로서 작동 가능한 것이다. Conventionally, the fire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rescues the residue in a building at the time of a fire occurrence is known. For example, US Pat. No. 6,000,505 discloses a multi-storey building having an elevator system that is used to move building occupants between floors during a fire, which is selected between floors selected in an emergency evacuation zone. It is possible to operate as an emergency escape evacuation means in the event of a fire including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ar in the car and evacuates the building occupant to the designated evacuation support floor.
또, 일본 특개평 9-48565호 공보에는 거주 공간에 있어서 감시 대상 장소에 있는 사람을 특정하고, 피난 인원수나 있을 장소를 산정하고, 방재ㆍ피난 유도 관리를 행하는 거주 공간 감시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9-48565 discloses a living spac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that identifies a person at a place to be monitored in a living space, calculates the number of evacuated persons and the place to be, and performs disaster prevention and evacuation guidance management. .
또, 국제 출원 번호 PCT/JP03/05977호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 홀(hall)까지 화재가 미치는 시간을 예측하고, 구출 운전 순위를 결정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Moreover, according to international application number PCT / JP03 / 05977, the elevator fire control system which estimates the time which a fire takes to elevator hall at the time of a fire, and determines rescue operation order is proposed.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가진 개인 인증 정보를 활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의 파악이 곤란하고, 정확한 잔류자 인원수의 파악에 의한 확실한 피난 운전이나 잔류자의 특성 파악(약자)에 의한 우선 피난 운전을 실행하거나, 또는 개개의 잔류자에게 피난 유도 사인(sign)의 제공 등이 행해지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elevator fire control device does not utilize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elevator us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number of remaining persons for each floor with high accuracy, and it is surely evacuated operation by grasping the exact number of residual persons. However, it is a fact that priority evacuation operation is not performed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uals (abbreviation), or providing an evacuation induction sign to individual residual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층상마다의 정확한 잔류자 인원수의 파악에 의한 확실한 피난 운전이나 잔류자의 특성 파악(약자)에 의한 우선 피난 운전을 실행하거나, 또는 개개의 잔류자에 대해 피난 유도 사인 등을 알릴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a fire occurs, the evacu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a sure evacuation operation by grasping the exact number of remaining persons per floor, or by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uals (abbreviation), 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fire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informing evacuation guidance signs and the like for individual residues.
특허 문헌 1 : 미국 특허 제 6,000,505호Patent Document 1: US Patent No. 6,000,505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 9-48565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48565
특허 문헌 3 : 국제 출원 번호 PCT/JP03/05977호 Patent Document 3: International Application No. PCT / JP03 / 05977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작동하면, 엘리베이터칸을 구출 운전시킴으로써 건물내의 잔류자를 피난층까지 구출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각 개인이 가진 각 개인 인증 정보가 등록된 개인 인증 발신 수단과, 각 엘리베이터홀에 설치된 개인 인증 수신 수단과, 상기 개인 인증 발신 수단으로부터 개인 인증 수신 수단에 송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칸을 호출(呼寄)하여 행선층의 엘리베이터칸 호(呼, call) 등록을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행선층의 엘리베이터칸 호 등록 정보로부터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를 산출하는 층상마다 잔류자 인원수 계측 수단, 산출된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를 검출하는 층상마다 잔류자 인원수 검출 수단, 및 검출된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에 근거하여 구출 운전을 행하는 구출 운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e control apparatus for an elevator that rescues a residual car in a building by evacuating and operating a car when the fire detector installed in the building operates, wherein each individu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using the elevator is registered. The car is called on the destination floor by calling the car based on the authentication sending means, the personal authentication receiving means provided in each elevator hall, and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authentication sending means to the personal authentication receiving means. and a control device which registers, and the control device calculates the residual number of people for each floor and calculates the remaining number of people for each flo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maining people for each floor from the car call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floor. Residual person number detection means for each layer to be detected, and residuals for each layer detected And rescue operation means for performing rescue operation based on the raw water.
또,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각 개인이 가진 거주방 번호, 거주층, 각 개인의 특성 정보 등이 등록된 개인 인증 발신 수단과, 각 엘리베이터홀에 설치된 개인 인증 수신 수단과, 개인 인증 발신 수단으로부터 개인 인증 수신 수단에 송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칸을 호출하여 행선층의 엘리베이터칸 호 등록을 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행선층의 엘리베이터칸 호 등록 정보로부터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를 산출하는 동시에 잔류자의 개인 특성을 파악하는 층상마다 잔류자 인원수 계측 수단, 산출된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와 파악된 잔류자의 개인 특성을 검출하는 층상마다 잔류 인원수 검출 수단, 검출된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에 근거하여 구출 운전을 행하는 구출 운전 수단, 및 파악된 잔류자의 개인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발생시의 피난 유도 지시를 행하는 피난 유도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ersonal authentication sending means in which a residence number, a living floo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person, etc., of each individual using an elevator are registered, personal authentication receiving means provided in each elevator hall, and personal authentication sending means. A control device is provided for calling a car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ersonal authentication receiving means to register the car call on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number of remaining persons per floor from the car call registration information on the destination floor. Residual head count measurement means for each floor which calculates and grasp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uals, Residual head count detection means for each floor which detects the calculated number of residuals for each floor and the identifi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siduals for each detected floor Rescue driving means which performs rescue driving based on the number of people and personal information of identified residual Basis will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evacuation guidance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evacuation guidance instructions in case of fire.
도 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전제로 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1 to 19 are diagrams showing a fire control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도 2는 건물의 종단면도.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building.
도 3은 도 2의 III-HI 선단면을 절단하여 나타낸 횡단면도.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 section III-HI of Figure 2;
도 4는 전기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ircuit.
도 5는 피난자수 테이블(33a)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5 shows the contents of the evacuation table 33a.
도 6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 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riving curve of an elevator.
도 7은 구출 응답 시간 테이블(33b)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Fig. 7 shows the contents of the rescue response time table 33b.
도 8은 엘리베이터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c)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8 shows the contents of a fire detector operation table 33c related to an elevator.
도 9는 거실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d)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9 shows the contents of a fire detector operation table 33d related to a living room.
도 10은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의 엘리베이터홀 Eh의 온도 상승을 나타내는 설명도.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elevator hall Eh when a fire occurs.
도 11은 피난 시간 테이블(33e)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11 shows the contents of an evacuation time table 33e.
도 12는 구출 운전순서 테이블(33f)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of the rescue operation procedure table 33f.
도 13은 잔류자 테이블(33g)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Fig. 13 shows the contents of the residual table 33g.
도 14는 기계실 및 승강로의 화재 감지기 동작 검출 프로그램의 흐름도. 14 is a flowchart of a fire detector motion detection program in a machine room and a hoistway;
도 15는 엘리베이터홀의 화재 감지기 동작 검출 프로그램의 흐름도. 15 is a flowchart of a smoke detector motion detection program of an elevator hall;
도 16은 거실의 화재 감지기 동작 검출 프로그램의 흐름도. 16 is a flowchart of a fire detector motion detection program in a living room.
도 17은 피난 시간 연산 프로그램 및 구출 운전순서 결정 프로그램의 흐름도. 17 is a flowchart of an evacuation time calculating program and a rescue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program.
도 18은 구출 대상층 판정 프로그램 및 구출 운전 지령 프로그램의 흐름도. 18 is a flowchart of a rescue target floor determination program and a rescue operation command program;
도 19는 잔류자수 연산 프로그램의 흐름도. 19 is a flowchart of a residual number calculation program.
도 20은 도 1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전제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에 더욱 개량을 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an elevator fi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mprovement of the fire control system of the premised elevator shown in FIGS.
도 21은 도 1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전제로 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에 더욱 개량을 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Fig.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fire control apparatus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우선 전제로 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인 도 1 내지 도 19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9 which are attached drawings for the fire control system of an elevator which is assumed as a premise.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 in each drawing, and the duplica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or abbreviate | omitted.
그 전제로 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은 국제 출원 번호 PCT/JP03/05977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잔류자수를 각 층의 재적자 명부에 미리 등록된 재적자수로부터 연산하는 것으로 하고, 또 구출 운전의 순번을 피난 시간이 짧은 구출 대상층으로부터 차례로 행하도록 한 것이다. The fire control system of the premise elevator is described in International Application No. PCT / JP03 / 05977, and the number of remaining persons is calculated from the number of registered person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list of registered persons on each floor. It is to be performed in order from the rescue target layer with short evacuation time.
도 1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 엘리베이터칸(2)은 권상기 (卷上機)(1)에 의하여 승강 구동되고, 엘리베이터칸 문(3)에 의하여 출입구가 개폐된다. 또, 화재가 발생하여 구출 운전으로 전환된 것을 승객(8)에 알리는 엘리베이터칸용 구출 운전 표시 수단 CA가 설치되어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ystem, the
건물의 피난층 F1은 화재 대책이 특별히 이루어진 층이고, 화재시에 엘리베이터칸(2)이 구출 대상층과의 사이를 왕복하여 건물내의 잔류자를 구출하는데 사용된다. 거실 Rm 부분에는 화재 감지기 Fd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홀 Eh에는 화재 감지기 Fde, 온도 검출기 TD 및 승강장용 구출 운전 표시 수단 HA가 장착되어 있다. 이 승강장용 구출 운전 표시 수단 HA는 그 층이 구출 대상층으로서 판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고 엘리베이터홀 Eh의 잔류자 Mrs에 알린다. The evacuation floor F1 of the building is a floor in which fire measures have been specially taken, and the
화재 감지기 동작 검출 수단(11)은 화재 감지기 Fd, Fde가 동작한 것을 검출하면 유의(有意) 신호를 발생한다. 피난 시간 연산 수단(12)은 화재 감지기 동작 검출 수단(11)의 유의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검출기 TD에 의하여 검출된 엘리베이터홀 Eh의 현재 온도 TEp로부터 한계 온도 TEmx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즉 피난 시간 Te를 연산한다. 구출 응답 시간 연산 수단(13)은 도 6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운전 곡선에 근거하여 피난층 F1에서부터 구출 대상층으로 엘리베이터칸(2)이 승강하여 호개(戶開)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 즉 구출 응답 시간 Trs를 연산한다. The fire detector operation detecting means 11 generates a significant signal when detecting that the fire detectors Fd and Fde have been operated. The evacuation
구출 대상층 판정 수단(14)은 피난 시간 연산 수단(12)에 의한 각 층의 피난 시간 Te와 구출 응답 시간 연산 수단(13)에 의한 그 층까지의 구출 응답 시간 Trs를 비교하고, 피난 시간 Te가 구출 응답 시간 Trs 이상인 경우에 구출 대상층으로 판정한다. 구출 운전순서 결정 수단(15)은 피난 시간 Te가 짧은 층에서부터 차례로 구출 운전을 행하는 피난 시간순 방식에 따라서 결정한다. 구출 운전 수단(16)은 구출 대상층 판정 수단(14)에 의하여 판정된 구출 대상층에 대하여 구출 운전순서 결정 수단(15)에 의하여 판정된 순번으로 구출 운전을 행한다. The rescue target floor determination means 14 compares the evacuation time Te of each floor by the evacuation
도 2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의 종단면도로, 피난층을 1층 F1로 하고, 2층 2F에서부터 5층 5F로 이루어진다.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building using an elevator fire control system, wherein the evacuation floor is one floor F1, and the second floor is 2F to 5F.
여기서, 말미의 숫자를 제외한 부분의 부호가 도 1과 동일하게 되는 것은 도 1과 동일하고, 말미의 숫자는 다른 장소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HA1은 피난층 F1에 장착된 승강장용 구출 운전 표시 수단을 나타내고, Fd1은 2층 F2의 거실 Rm 부분에 장착된 화재 감지기를 나타낸다. 이하, 총칭하는 경우는 말미의 숫자를 생략한다. Here, the sign of the part except the end number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and the end number indicates that it is mounted in another place. For example, HA1 represents the rescue operation display means for the landing mounted on the evacuation floor F1, and Fd1 represents the fire detector mounted on the living room Rm portion of the second floor F2. Hereinafter, in the case of a generic term, the end number is abbreviate | omitted.
도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은 균형추(7)와 함께 승강로 F6내에 수납되고, 기계실 F7에 설치된 권상기(1)에 의하여 승강 구동된다. 위치 스위치(9(1) ~ 9(5))는 각 층 F1 ~ F5에 장착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칸(2)이 도착하면 작동한다. 총칭하는 경우는 위치 스위치(9)로 한다. 엘리베이터칸(2)이 도착하면 엘리베이터칸 문(3)이 개폐되고, 엘리베이터칸 문(3)이 닫히면 스위치(5)가 작동한다. 2F F2 ~ 5층 F5의 각 엘리베이터홀 Eh2 ~ Eh5에는 방화호(fire door) FP1 ~ FP4가 장착되어 있어서 필요시에 폐쇄된다. 각 기기는 기계실 F7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에 접속되어 있다. In FIG. 2, the
도 3은 도 2의 III-III 선단면에 있어서 4층 F4의 평면을 나타낸다. FIG. 3 shows the plane of the fourth layer F4 in the section III-III of FIG. 2.
동일하게 말미의 숫자를 제외한 부호가 도 1과 동일한 부분은 도 1과 동일하고, 말미의 숫자는 4층 F4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Similarly, the same parts as those in Fig. 1 except for the end numerals are the same as Fig. 1, and the end numerals indicate that they are mounted on the fourth floor F4.
도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홀 Eh4의 양측에는 비상 계단 ST가 설치되어 있고, 비상 계단 이용 피난자 Ms3이 피난하게 되어 있다. In FIG. 3, emergency stairs ST are provided in both sides of elevator hall Eh4, and emergency stairs use refugee Ms3 evacuates.
도 4는 화재 관제 시스템의 전기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 circuit of a fire control system.
CPU(31)의 버스 라인(bus line)에는 ROM(32)이 접속되어 있다. 이 ROM(32)에는 기계실 F7, 승강로 F6 및 엘리베이터홀 Eh에 장착된 화재 감지기 Fde1, Fde2 및 Fde3 ~ Fde5(이하, 엘리베이터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로서 총칭하는 경우는 Fde로 함)가 동작한 것을 검출하는 프로그램, 거실 Rm에 장착된 화재 감지기 Fd가 동작한 것을 검출하는 프로그램, 피난 시간 Te를 연산하는 프로그램, 구출 운전의 순번을 결정하는 프로그램, 구출 대상층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 구출 운전을 지령하는 프로그램, 및 잔류자 Mrs의 수를 연산하는 프로그램이 각각 기록되어 있다. The
RAM(33)에는 각 층의 피난자수 테이블(33a), 피난층 F1부터 각 층으로 엘리베이터에서 구출로 향하는 경우의 시간이 기록된 구출 응답 시간 테이블(33b), 엘리베이터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 Fde의 동작 정황이 기록되는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c), 거실 Rm에 장착된 화재 감지기 Fd의 동작 정황이 기록되는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d), 엘리베이터홀 Eh에 화재가 미치기까지의 시간이 기록된 피난 시간 테이블(33e), 피난 시간이 짧은 순서로 구출 운전의 순번이 기록되는 구출 운전순서 테이블(33f), 각 층에서 구출을 기다리고 있는 잔류자의 수가 기록되는 잔류자수 테이블(33g), 및 일시적인 데이터가 기록되는 메모리로 이루어진다. The
입력 회로(34)는 화재 감지기 Fde, Fd, 온도 검출기 TD, 도어 스위치(5), 저울 장치(6),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로부터는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 및 기동 정지의 신호가 입력된다. The
출력 회로(35)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 엘리베이터칸용 구출 운전 표시 수단 CA, 각 층에 장착된 승강장용 구출 운전 표시 수단 HA, 및 엘리베이터홀 Eh를 구획하는 방화호 FP에 접속되어 있다. The
또한, CPU(31), ROM(32), RAM(33), 입력 회로(34) 및 출력 회로(35) 및 엘리베이터 운전 회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에 조성되어 있다. 또, RAM(33)에 기입되는 데이터는 각 기기로부터의 동작 신호의 외에 인위 조작에 의해서도 기입된다. The
도 5는 피난자수 테이블(33a)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에 나타낸 건물에 대하여 예시한 것이다. 층 FL(j)는 층명이 기록된 메모리 번지이다. 동일하게, 재적자수 Mn(j)는 각 층의 재적자 명부에 미리 등록된 재적자의 수가 기록된 메모리 번지이다. 비상 계단 이용 피난자수 Ms(j)는 재적자 중에서 비상 계단 ST를 이용하여 피난한다고 예측되는 인원수가 기록된 메모리 번지이다. 엘리베이터 이용 피난자수 Me(j)는 재적자 중에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피난한다고 예측되는 인원수가 기록된 메모리 번지이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of the evacuation table 33a and is exemplified for the building shown in FIG. The layer FL (j) is a memory address where the layer name is recorded. Similarly, the number of enrollees Mn (j) is a memory address in which the number of enrollees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enrollee list of each floor is recorded. The number of evacuation using emergency stairs Ms (j) is a memory address in which the number of persons predicted to evacuate using the emergency stairs ST among the registered persons is recorded. The number of evacuated passengers using elevator Me (j) is a memory address in which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expected to evacuate using the elevator among the registered persons is recorded.
따라서, j = 1 일 때, 층 FL(j)는 층 FL1로 되고, 그 번지에는 2층 2F가 기록되어 있다. 동일하게, 재적자수 Mn1에는 2층 2F의 재적자수 = 300 인이 기록되어 있다. 비상 계단 이용 피난자수 Ms1에는 2층 2F의 비상 계단 이용 피난자수 = 290 인이 기록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이용 피난자수 Me1에는 2층 2F의 엘리베이터 이용 피난자수 = 10 인이 기록되어 있다. Therefore, when j = 1, the layer FL (j) becomes the layer FL1, and 2F 2F is recorded in the address. Similarly, in the number of registered persons Mn1, the number of registered persons of the second floor 2F = 300 persons is recorded. 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Count Ms1 records the number of 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refugees = 290 on the 2nd floor. The number of elevator evacuees = 10 persons is recorded in 2F of elevators on the second floor.
또한, 층 FL(j)는 층명이 기록된 메모리 번지이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그 번지에 기록된 층명을 나타내기도 한다. 즉, j = 1 일 때의 층 FL1은 2층 2F를 의미한다. 재적자수 Mn(j), 비상 계단 이용 피난자수 Ms(j) 및 엘리베이터 이용 피난자수 Me(j)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각 번지에 기록된 내용을 나타내기도 한다. In addition, the layer FL (j) is a memory address in which the layer name is recorded, b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ayer name written in the address is also shown. That is, the layer FL1 when j = 1 means two layers 2F. The content recorded at each address may also be described for the number of registered persons Mn (j), the number of evacuated persons using emergency stairs Ms (j), and the number of evacuated persons using elevators (j).
도 6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곡선을 나타내고, 엘리베이터칸(2)이 구출로 향하는데 필요로 하는 구출 응답 시간 Trs는 가속 시간 Ta와, 정격 속도 Tm에서 승강하는 시간 Tm과, 감속 시간 Tr과, 호개 시간 Tdo와 구출 대상층에서 피난자가 엘리베이터칸(2)에 타는 승차 시간 Tgo와 호폐(戶閉) 시간 Tdc의 합계 시간으로 이루어진다. Fig. 6 shows the operating curve of the elevator, and the rescue response time Trs required for the
호개폐 시간 Toc는 일정하고 승차 인원수를 엘리베이터칸(2)의 정원으로 하면 승차 시간 Tgo도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구출 응답 시간 Trs는 피난층 F1로부터의 거리 Ds가 정해지면 연산할 수 있다. The door open / close time Toc is constant, and the ride time Tgo is also constant when the number of occupants is the capacity of the
도 7은 구출 응답 시간 테이블(33b)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정격 속도가 90m/min이고, 정원이 11 명인 엘리베이터에서, 도 2에 나타낸 건물의 피난층 F1에서부터 각 층으로 구출로 향하는데 필요한 구출 응답 시간 Trs를 예시한 것이다. Fig. 7 shows a specific example of the rescue response time table 33b, and in an elevator having a rated speed of 90 m / min and an eleven seats, the rescue necessary for heading to rescue from the evacuation floor F1 of the building shown in Fig. 2 to each floor. The response time Trs is illustrated.
여기서, k = 1 인 경우, 층 FL1에는 2층 2F가 기록되고, 피난층 F1로부터의 거리 Ds1에는 3m가 기록되고, 가속 시간 Ta에는 1.5 초, 정격 속도 시간 Tm1에는 0.5 초, 가속 시간에는 1.5 초, 문개폐 시간 Toc에는 4 초, 승차 시간 Tgo에는 11 명이 승차함으로써 9 초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구출 응답 시간 Trs는 각 시간을 합계하여 19.5 초로 된다. 이하, 동일하다. Here, when k = 1, the second floor 2F is recorded in the floor FL1, 3 m is recorded in the distance Ds1 from the evacuation floor F1, 1.5 seconds in the acceleration time Ta, 0.5 seconds in the rated speed time Tm1, 1.5 in the acceleration time Second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ime Toc recorded 4 seconds, and the riding time Tgo recorded 11 seconds by 11 people. Therefore, the rescue response time Trs is 19.5 seconds in total.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또한, k = 1 인 경우의 층 FL1과 도 5의 j = 1 인 경우의 층 FL1은 각각 다른 메모리 번지를 나타낸다. 상세하게 k = 1 은 (C+1) 번지를 의미하고, j = 1 은 (B+1) 번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k = 1 인 층 FL1과 j = 1 인 층 FL1은 각각 다른 번지에 기록되고, 동일 번지가 중복되어서 사용되는 일은 없다. 이하 동일하다. Further, the layer FL1 in the case of k = 1 and the layer FL1 in the case of j = 1 in FIG. 5 each represent different memory addresses. In detail, k = 1 means (C + 1) address, and j = 1 means (B + 1) address. Therefore, the layer FL1 having k = 1 and the layer FL1 having j = 1 are recorded at different addresses, and the same addresses are not used in duplicate. It is the same below.
도 8은 엘리베이터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의 동작 정황이 기록된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c)의 내용을 나타내고, 도 2에 나타낸 건물에 대하여 예시한 것이다. Fig. 8 shows the contents of the fire detector operation table 33c in which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re detector related to the elevator is recorded, and is illustrated for the building shown in Fig. 2.
g = 1 인 경우, 메모리 번지 Fde1에는 화재 감지기 Fde1이 기록되고, 메모리 번지 FL1에는 화재 감지기 Fde1이 장착된 층인 기계실 F7이 기록되고, 메모리 번지 FNe1에는 동작 정황을 나타내는 「오프(OFF)」가 기록되어 있다. g = 2 는 승강로 F6의 화재 감지기 Fde2의 동작 정황이 기록되어 있다. g = 3 내지 g = 6 에서는 엘리베이터홀 Eh의 화재 감지기 Fde3 ~ Fde6의 동작 정황이 기록되어 있다. 이하 동일하다. When g = 1, the fire detector Fde1 is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Fde1, the machine room F7, which is the floor on which the fire detector Fde1 is mounted, is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F1, and the "OFF"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us is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FNe1. It is. g = 2 record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fire detector Fde2 on hoistway F6. In g = 3 to g = 6,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fire detectors Fde3 to Fde6 of the elevator hall Eh are recorded. It is the same below.
도 9는 거실 Rm에 관련된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d)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에 나타낸 건물에 대하여 예시한 것이다. FIG. 9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of the fire detector operation table 33d related to the living room Rm, which is an example of the building shown in FIG. 2.
m = 1 인 경우, 메모리 번지 F에는 화재 감지기 Fd1이 기록되고, 그 화재 감지기 Fd1이 장착된 층이 기록된 메모리 번지 FL1에는 2층 F2가 기록되고, 화재 감지기 Fd1의 동작 정황이 기록된 메모리 번지 FN1에는 「오프」가 기록되어 있다. When m = 1, the memory address F records the fire detector Fd1, the memory address FL1 on which the floor on which the fire detector Fd1 is mounted is recorded on the memory address FL1, and the memory address wher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re detector Fd1 is recorded. "Off" is recorded in FN1.
이하 동일하게, m = 22 인 메모리 번지 Fd22에 기록된 화재 감지기 Fd22는 메모리 번지 FL22의 기재로부터 4층 4F에 설치되고, 그 동작 상황은 메모리 번지 FN22 에 「온(ON)」으로 기록되고, 동작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m = 23 인 경우도 동일하고, 화재 감지기 Fd23은 동작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Similarly, the fire detector Fd22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Fd22 with m = 22 is installed in the 4th floor 4F from the description of the memory address FL22, and the operation state is recorded as "ON" in the memory address FN22, and it operates. It is shown.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of m = 23, indicating that the fire detector Fd23 has operated.
도 10은 화재가 발생하고 나서의 시간 경과에 의한 엘리베이터홀 Eh의 온도 상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elevator hall Eh with the passage of time after a fire has occurred.
즉, 엘리베이터홀 Eh의 실온은 온도 검출기 TD에 의하여 검출된다. 구출 운전을 행하는데 허용되는 실온의 최고 온도를 한계 온도 TEmx로 하면, 그 실온이 현재 실온 TEp로부터 한계 온도 TEmx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피난 시간 Te로 된다. 피난 시간 Te는 시간 경과와 함께 감소한다고는 할 수 없다. 현실에서는 스프린클러(sprinkler)가 작동하여 소화 활동이 이루어지므로, 현재 실온 TEp는 저하하는 일도 상정된다. 저하했을 경우는 피난 시간 Te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피난 시간 Te는 엘리베이터홀 Eh의 실온을 온도 검출기 TD에 의하여 상시 검출하여 연산할 필요가 있다. That is, the room temperature of elevator hall Eh is detected by the temperature detector TD. If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room temperature allowed for the rescue operation is set to the limit temperature TEmx, the time until the room temperature reaches the limit temperature TEmx from the current room temperature TEp is the evacuation time Te. The evacuation time Te does not necessarily decrease with time. In reality, since the sprinkler is activated and digestion is performed, the current room temperature TEp is also expected to decrease. When it falls, the evacuation time Te becomes long. For this reason, evacuation time Te needs to always calculate and calculate the room temperature of elevator hall Eh with the temperature detector TD.
도 11은 피난 시간 테이블(33e)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에 나타낸 건물에 대하여 예시한 것이다. FIG. 1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of the evacuation time table 33e, which is an example of the building shown in FIG.
i = 1 인 경우, 메모리 번지 FL1에는 2층 F2가 기록되고, 메모리 번지 TEp1에는 온도 검출기 TD1로부터 독취된 엘리베이터홀 Eh1의 현재 실온 TEp = 24℃ 가 기록되고, 메모리 번지 Te1에는 피난 시간 Te = 90 분이 기록된다. 이하, 동일하다. If i = 1, the second floor F2 is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FL1, the current room temperature TEp = 24 deg. C of the elevator hall Eh1 read out from the temperature detector TD1 is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TEp1, and the evacuation time Te = 90 in the memory address Te1. Minutes are recorded.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도 12는 구출 운전순서 테이블(33f)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1에 나타낸 피난 시간 테이블(33e)에 기록된 피난 시간 Te가 짧은 층에서부터 순번으로 배열한 것이다.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of the rescue operation procedure table 33f, in which the evacuation time Te recorded in the evacuation time table 33e shown in FIG. 11 is arranged sequentially from the shortest layer.
p = 1 인 경우는 피난 시간 테이블(33e)의 i = 4 인 각 값이 기록된다. 즉, 도 12에 있어서 메모리 번지 FL1에는 4층 F4, 메모리 번지 Te1에는 10 분이 기록된다. 이하, 동일하다. When p = 1, each value of i = 4 in the evacuation time table 33e is recorded. That is, in FIG. 12, four layers F4 are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FL1 and 10 minutes are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Te1.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또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p = 1 인 경우의 메모리 번지 FL1과 도 11의 i = 1 인 경우의 메모리 번지 FL1은 각각 다른 메모리 번지이다. 상술하면 p = 1 은 (U+1) 번지를 의미하고, i = 1 은 (A+1) 번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각각 다른 번지이고, 동일 번지가 중복하여 사용되는 일은 없다. 메모리 번지 Te1에 대해서도 동일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address FL1 when p = 1 and the memory address FL1 when i = 1 in FIG. 11 are different memory addresses. In detail, p = 1 means (U + 1) address, and i = 1 means (A + 1) address. Therefore, they are different addresses, and the same address is not used repeatedly. The same applies to the memory address Te1.
도 13은 잔류자수 테이블(33g)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의 피난자수 테이블(33a)에 기록된 엘리베이터 이용 피난자수 Me를 초기치로 하고, 그때까지에 엘리베이터의 구출 운전으로 구출된 피난자수를 상기 초기치로부터 뺀 인원수를 각 층마다 연산하여 잔류자수 Mrs로서 기록한 것이다. 따라서, 구출 운전에 의하여 구출되기까지는 엘리베이터 이용 피난자수 Me와 잔류자수 Mrs는 동일 값으로 된다.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of the residual number table 33g, wherein the number of evacuated persons using the elevator recorded in the number of evacuated persons table 33a in FIG. The number of people subtracted from the initial value is calculated for each floor and recorded as the residual number Mrs. Therefore, the number of evacuated passengers using the elevator and the number of remaining Mrs until the rescue is performed by the rescue operation are the same.
즉, h = 1 인 경우, 층을 나타내는 메모리 번지 FL1에는 2층 F2가 기록되고, 메모리 번지 Me1에는 피난자수 테이블(33a)로부터 전기(轉記)된 엘리베이터 이용 피난자수 = 10 인이 기록되고, 메모리 번지 Mrs1에는 잔류자수 = 10 인이 기록된다. 이하, 동일하다. That is, when h = 1, the second floor F2 is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FL1 indicating the floor, and the elevator use evacuator number = 10 persons, which is electricized from the evacuation table 33a, is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Me1. In memory address Mrs1, the number of residues = 10 is recorded.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또한, h = 3 에서는 메모리 번지 Me3에 300 명으로 기록되고, 메모리 번지 Mrs3에 260 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40 명이 엘리베이터에 의하여 이미 구출된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at h = 3, 300 persons are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Me3 and 260 persons are recorded in the memory address Mrs3. That means 40 people have already been rescued by the elevator.
다음에, 도 14 내지 도 19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동작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게 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fire control system of the elevator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4 to 19. This operation is repe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도 14는 기계실 F7 및 승강로 F6에 장착된 화재 감지기 Fde1 및 Fde2의 동작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이다. 14 is a program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ors Fde1 and Fde2 mounted in the machine room F7 and the hoistway F6.
순서 S11에서, 기계실 F7의 화재 감지기 Fde1이 동작했는지 조사한다. 동작했을 경우는 순서 S12에서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c)의 동작 정황을 나타내는 메모리 번지 FNe1(이하, 동작 정황 FNe1로 함)을 「온」으로 설정한다. 순서 S13에서, 엘리베이터칸(2)을 피난층 F1에 귀착시키도록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에 지령한다. 순서 S14에서, 엘리베이터칸(2)이 피난층 F1에 귀착하고, 호개한 후 호폐하여 대기 상태로 되는 것을 기다리고, 순서 S15에서 운전 모드 DM을 운전 휴지(休止)로 설정한다. 순서 S16에서, 엘리베이터칸용 및 승강장용 구출 운전 표시 수단 CA 및 HA에「운전 휴지」의 안내 표시를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구출 운전은 행해지지 않는다. In step S11, it is checked whether the fire detector Fde1 in the machine room F7 has been operated. In operation, in step S12, the memory address FNe1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ration status FNe1)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ire detector operation table 33c is set to "on". In step S13, the
순서 S11에서, 기계실 F7의 화재 감지기 Fde1이 동작하지 않았던 경우는 순서 S17로 이행하여 승강로 F6의 화재 감지기 Fde2가 동작했는지 조사한다. 동작했을 경우는 동작 정황 FNe2를 「온」으로 설정하고, 순서 S13로 이행하여 이하 상기대로 처리된다. If the fire detector Fde1 in the machine room F7 did not operate in step S11, the flow advances to step S17 to check whether the fire detector Fde2 of the hoistway F6 has operated. In operation, the operation context FNe2 is set to " on ",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13 to be processed as described above.
순서 S17에서, 승강로 F6의 화재 감지기 Fde2가 동작하지 않았던 경우는 도 15에 나타내는 처리로 이행한다. In step S17, when the fire detector Fde2 of the hoistway F6 does not operate, it transfers to the process shown in FIG.
도 15는 엘리베이터홀 Eh에 장착된 화재 감지기 Fde3 ~ Fde6의 동작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이다. 15 is a program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ors Fde3 to Fde6 mounted in the elevator hall Eh.
순서 S21에서 g = 3 으로 설정하고, 순서 S22에서 2층 F2의 화재 감지기 Fde3이 동작했는지 조사한다. 동작했을 경우는 순서 S23에서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c)의 동작 정황 FNe3을 「온」으로 설정한다. 순서 S24에서, 층 FL3 = 2층 F2의 엘리베이터홀 Eh2의 방화호 FP1에 대하여 폐쇄 지령을 발한다. 순서 S25에서, 운전 모드 DM이 아직 구출 운전 지령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순서 S26에서 구출 운전 지령으로 설정하여 순서 S27에서 피난층 F1에 엘리베이터칸(2)을 귀착시키도록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에 지령한다. 순서 S28에서 구출 운전 표시 수단 CA 및 HA에 「구출 운전」의 안내 표시를 한다. 순서 S25에서, 이미 구출 운전 지령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순서 S28로 이행하여 상기 표시를 하여 순서 S30로 이행한다. Set g = 3 in step S21 and check whether the fire detector Fde3 of the second floor F2 has been operated in step S22.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 operating situation FNe3 of the fire detector operation table 33c is set to "on" in step S23. In step S24, the closing instruction is issued to the fire protection FP1 of the elevator hall Eh2 of the floor FL3 = 2nd floor F2. If the operation mode DM has not yet been the rescue operation command in step S25, the
순서 S22에서, 화재 감지기 Fde3이 동작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순서 S29로 이행하고,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c)의 동작 정황 Ne3을 「오프」로 설정하여 순서 S30로 이행한다. If the fire detector Fde3 does not operate in step S22, the flow advances to step S29, and the operation state Ne3 of the fire detector operation table 33c is set to "off", and the flow advances to step S30.
순서 S30 및 순서 S31을 통하여 엘리베이터홀 Eh에 장착된 마지막 화재 감지기 Fde(g)까지 처리를 하여 도 16에 도시된 처리로 이행한다. Through the steps S30 and S31, the processing up to the last fire detector Fde (g) attached to the elevator hall Eh is performed, and the process shifts to the processing shown in FIG.
도 16는 거실 Rm에 장착된 화재 감지기 Fd(m)의 동작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이다. 16 is a program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or Fd (m) mounted in the living room Rm.
순서 S41에서 m = 1 로 설정한다. 여기서, 변수 m은 도 9에 나타내는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d)에 관한 것을 나타낸다. 순서 S42 및 순서 S43에서, 화재 감지기 Fd1이 동작했는지 조사한다. 동작했을 경우는 순서 S44에서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d)의 동작 정황 FN1을 「온」으로 설정한다. 순서 S45에서, 운전 모드 DM가 아직 구출 운전 지령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순서 S46에서 구출 운전 지령으로 설정하고, 순서 S47에서 피난층 F1에 엘리베이터칸(2)을 귀착시키도록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에 지령한다. 순서 S48에서 구출 운전 표시 수단 CA 및 HA에 「구출 운전」의 안내 표시를 한다. 순서 S45에서, 이미 구출 운전 지령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순서 S48로 이행하여 상기 표시를 하여 순서 S30로 이행한다. Set m = 1 in step S41. Here, the variable m shows the thing regarding the fire detector operation table 33d shown in FIG. In step S42 and step S43, it is checked whether the fire detector Fd1 has been operated.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 operating status FN1 of the fire detector operation table 33d is set to "on" in step S44. If the operation mode DM has not yet been a rescue operation command in step S45, the
순서 S43에서 화재 감지기 Fd1이 동작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순서 S49로 이행하고, 화재 감지기 동작 테이블(33d)의 동작 정황 FN3을 「오프」로 설정하여 순서 S50로 이행한다. If the fire detector Fd1 does not operate in step S43, the flow advances to step S49, and the operation state FN3 of the fire detector operation table 33d is set to "off", and the flow advances to step S50.
순서 S50 및 순서 S51을 통하여 엘리베이터홀 Eh에 장착된 마지막 화재 감지기 Fd(m)까지 처리를 하여 도 17에 나타내는 처리로 이행한다. Through the steps S50 and S51, the processing up to the last fire detector Fd (m) attached to the elevator hall Eh is performed, and the process shifts to the processing shown in FIG.
도 17은 피난 시간 Te를 연산하고 구출 운전순서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이다. 17 is a program for calculating the evacuation time Te and determining the rescue operation sequence.
순서 S61에서, 운전 모드 DM은 구출 운전 지령으로 되어 있는지 조사한다. In step S61, the operation mode DM checks whether it is a rescue operation command.
구출 운전 지령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순서 S72로 이행하고 운전 모드 DM을 평상 운전 지령으로 설정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If it is not the rescue operation command, the flow advances to step S72 and the operation mode DM is set to the normal operation command to complete the processing.
구출 운전 지령으로 되고 하지도 경우는 순서 S62에서 i = 1 로 설정한다. 여기서, 변수 i는 도 11에 나타내는 피난 시간 테이블(33e)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층 FL1 = 2층 2F로 된다. 순서 S63에서, 층 FL1 = 2층 2F의 엘리베이터홀 Eh2의 현재 실온 TEp를 온도 검출기 TD1로부터 독취하고, 피난 시간 테이블(33e)의 현재 실온 TEP1에 기록한다. 순서 S64에서, 실온 TEp에 대한 피난 시간 Te를 도 10에 기초하여 연산하고 피난 시간 테이블(33e)의 피난 시간 Te1에 기록한다. 순서 S65 및 순서 S66을 통하여 변수 i가 마지막으로 될 때까지 상기 처리를 반복하여 피난 시간 테이블(33e)를 완성시킨 후 순서 S67로 이행한다. If it is a rescue operation command and not, set i = 1 in step S62. Here, the variable i relates to the evacuation time table 33e shown in Fig. 11, so that the layer FL1 = 2F 2F. In step S63, the current room temperature TEp of the elevator hall Eh2 of the layer FL1 = 2F 2F is read out from the temperature detector TD1, and recorded in the current room temperature TEP1 of the evacuation time table 33e. In step S64, the evacuation time Te for the room temperature TEp is calculated based on Fig. 10 and recorded in the evacuation time Te1 of the evacuation time table 33e.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variable i becomes the last through steps S65 and S66 to complete the evacuation time table 33e, and then the procedure goes to step S67.
순서 S67부터 순서 S71은 피난 시간 테이블(33e)에 기초하여 구출 운전의 순번을 결정하는 처리이다. From step S67, step S71 is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order of the rescue operation based on the evacuation time table 33e.
구출 운전은 고층을 우선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순서 S67부터 순서 S70의 처리에 의하여 저층에서부터 고층의 순번으로 배열된 피난 시간 테이블(33e)로부터, 고층에서로부터 저층의 순번으로 배열을 바꾸어서 구출 운전순서 테이블(33f)을 작성한다. 또한, 순서 S71에서, 구출 운전순서 테이블(33f)에 대하여 피난 시간 Te(p)가 최단의 층 FL(p)를 최선, 즉 p = 1 인 메모리 번지에 기록하고, 이하 증대하는 순서로 층 FL(p)를 배열 바꿈을 하여 구출 운전순서 테이블(33f)을 완성한 후, 도 18에 도시된 처리로 이행한다. 여기서, 순서 S71의 배치 바꿈의 처리는 주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생략한다. Rescue operation shall give priority to high floor. Here, the rescue operation procedure table 33f is created by changing the arrangement from the high floor to the low floor from the evacuation time table 33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lower floor to the higher floor by the processing of steps S67 to S70. In the step S71, the evacuation operation Te table 33f records the shortest layer FL (p) at the best, i.e., p = 1, with respect to the rescue operation procedure table 33f. After arranging (p) to complete the rescue operation procedure table 33f, the process shifts to the process shown in FIG. Here, since the processing of the batch change in step S71 is well known, the details are omitted.
도 18은 구출 대상층의 판정과, 소정의 순번으로 구출 운전을 지령하는 프로그램이다. 18 is a program for determining the rescue target floor and for the rescue operation in a predetermined order.
순서 S81에서, 엘리베이터칸(2)이 전대(全臺) 피난층 F1에 귀착하여 호폐 대기 상태인지 조사한다. 호폐 대기 상태인 상태가 아닌 경우는 도 19에 도시된 처리 로 이행한다. 호폐 대기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는 순서 S82에서 구출 운전 가능한 엘리베이터칸의 대수(臺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로부터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칸 대수 Nav에 기입한다. 순서 S83에서 변수 p = 1 로 설정한다. 순서 S84에서, 구출 운전순서 테이블(33f)로부터 피난 시간 Te1 = 10 분을 독취한다. 순서 S85에서 층 FL1의 구출 응답 시간 Trs(k)를 독취한다. 즉, 변수 p는 도 12에 나타내는 구출 운전순서 테이블(33f)에 관계한 것이므로, 층 FL1 = 4층 4F로 된다. 따라서, 구출 응답 시간 Trs(k)는 도 7에 있어서 4층 4F의 구출 응답 시간 Trs(4) = 29.5 초로 된다. 순서 S86에서, 피난 시간 Te1 = 10 분과 구출 응답 시간 Trs(4) = 29.5 초가 비교된다. 피난 시간 Te1 = 10 분인 쪽이 길기 때문에 순서 S89로 이행하여 층 FL1의 잔류자수 Mrs(h)를 독취한다. 여기서도 동일하게 층 FL1 = 4층 4F 이므로, 도 13에 있어서 잔류자수 Mrs4 = 260 인으로 된다. 따라서, 순서 S90에서부터 순서 S91로 이행하여 잔류자수 Mrs4 = 260 인을 구출하기 위해 필요한 엘리베이터칸 대수 Ncar을 산출한다. 즉, 엘리베이터칸(2)의 정원을 Cap = 11 인으로 하면, 필요한 엘리베이터칸 대수 Ncar = (잔류자수 Mrs4 = 260 인)/(엘리베이터칸 정원 Cap = 11 인) = 23.6 대로 된다. 소수점 이하를 올려서 필요한 엘리베이터칸 대수 Ncar = 24 대로 된다. 필요한 엘리베이터칸 대수 Ncar는 운전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대수 Nav = 4대 이상이므로, 순서 S93로 이행하여 운전 가능한 전대수 Nav의 엘리베이터칸(2)에 대하여 층 FL1 = 4층 4F에 구출 운전 지령을 발하여 도 19의 프로그램으로 이행한다. 상기 구출 운전 지령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엘리베이터칸(2)을 4층 4F까지 운전한다. In step S81, it is checked whether the
순서 S92에서, 잔류자수 Mrs(h)가 감소하여 운전 가능한 전대수 Nav의 엘리베이터칸(2)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순서 S94로 이행하여 필요한 엘리베이터칸 대수 Ncar을 층 FL(p)에 향하여 구출 지령을 내린다. 순서 S95에서, 잔대수(Nav-Ncar)를 새롭게 운전 가능한 엘리베이터칸 대수 Nav로 하여 설정한다. 순서 S96에서, 마지막 순번의 층 FL(p)까지 구출 운전이 이루어졌을 경우는 도 19에 나타내는 프로그램으로 이행한다. 마지막 순번이 아닌 경우는 순서 S97을 통해 순서 S84로 이행하고 다음 순번의 층 FL(p)의 피난 시간 Te(p)를 독취하고, 이하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In step S92, when the residual number Mrs (h) decreases and does not require the
순서 S86에서, 현재 실온 TEp가 상승하여 피난 시간 Te(p)가 짧아지고, 구출 응답 시간 Trs(k)를 하회한 경우는 순서 S87로 이행하여 그 층 FL(p)의 방화호 FP의 폐쇄를 지령한다. 순서 S88에서, 층 FL(p)의 승강장용 구출 운전 표시 수단 HA에 「구출 운전 불능」을 표시하고 순서 S96로 이행한다. 마지막 순번의 층 FL(p)까지 구출 운전이 이루어졌을 경우는 도 19에 나타내는 프로그램으로 이행한다. In step S86, when the current room temperature TEp rises and the evacuation time Te (p) becomes short, and it is less than rescue response time Trs (k), it transfers to step S87 and closes the fire protection FP of the layer FL (p). Command. In step S88, "rescue operation impossibility" is displayed on the rescue operation display means HA for landings in the floor FL (p),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96. When the rescue operation is made to the last floor FL (p), the program proceeds to the program shown in FIG.
도 19는 각 층의 잔류자수를 연산하는 프로그램이다. 구출 운전에 의하여 잔류 인원수가 변동하므로, 그 변동에 대응하여 잔류자수를 수정하는 것이다. 19 is a progra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residuals in each layer. Since the number of remaining persons changes by the rescue operation, the number of remaining persons is corrected in response to the change.
순서 S101에서 변수 h = 1 로 설정한다. 순서 S102에서, 엘리베이터칸(2)의 호기(號機) 번호를 나타내는 변수 nc = 1 로 설정한다. 순서 S103에서 1 호기의 엘리베이터칸(2)이 층 FL(h), 즉 층 FL1에 정지하고 있는지 조사한다. 변수 h는 도 13에 나타내는 잔류자수 테이블(33g)에 관한 것이므로 층 FL1 = 2층 2F로 된다. In step S101, the variable h = 1 is set. In step S102, the variable nc = 1 representing the expiratory number of the
순서 S103과 순서 S104는 엘리베이터칸(2)의 적재 하중 Wc를 저울 장치(6)로 재는 타이밍을 검출하는 처리이다. 즉, 순서 S103에서 엘리베이터칸(2)이 2층 2F에 정지하고 있는지 체크하고, 순서 S104에서 문(3)이 닫히고 피난층 F1에 향하여 기동하기 직전인지 체크한다. 상기 양(兩)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는 순서 S107로 이행한다. 상기 양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는 순서 S105에서, 저울 장치(6)의 출력을 독취하여 적재 하중 Wc를 산출한다. 이 적재 하중 Wc를 승객(8)의 1 인당의 체중 = 65kg 으로 나누어서 승차 인원수 Men을 산출한다. 순서 S106에서, (잔류자수 Mrs1 - 승차 인원수 Men)를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새로운 잔류자수로 하여 잔류자수 Mrs1에 기입한다. 이 기록에 의하여 잔류자수 Mrs1은 수정된 것으로 된다. 순서 S107 및 순서 S108에서, 다음의 호기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마지막 호기까지 처리하였다면, 순서 S109와 순서 S110에서 h = 2, 즉 층 FL2 = 3층 F3 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순서 S109에서, 마지막 층까지 처리했다면 종료한다. 이상으로, 구출 운전의 일순의 처리를 종료한다.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도 14의 순서 S11로부터 처리가 재개되어서 화재 상황의 변화에 대응한 구출 운전이 행해진다. Step S103 and step S104 are processes for detecting the timing of measuring the loading load Wc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전제로 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홀 Eh에 화연이 미칠 때까지의 피난 시간 Te를 각 층마다 예측 연산하고, 이 피난 시간 Te가 피난층 F1로부터 엘리베이터칸(2)을 새롭게 구출 응답시키는데 필요한 구출 응답 시간 Trs보다 긴 층은 구출 대상층으로 판정하고, 짧은 층은 비구출 대상층으로 판정하고, 구출 대상층에 대하여 잔류자를 구출하도록 하였으므로, 화재가 엘리베이터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e control system of the elevator as described above, the evacuation time Te until the smoke reaches the elevator hall Eh is predicted and calculated for each floor, and the evacuation time Te is determined from the evacuation floor F1 to the
또, 구출 운전의 순번을 피난 시간 Te가 짧은 구출 대상층으로부터 차례로 구출 운전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긴급을 필요로 하는 층부터 우선하여 잔류자를 구출할 수 있고, 화재의 실상에 맞는 구출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rescue operation is sequentially executed from the rescue target floor having a short time of evacuation, the rescue operation can be rescued first from the floor in need of an emergency, and the rescue operation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condition of the fire. .
또, 각 층의 재적자 명부에 미리 등록된 재적자수로부터 비상 계단 이용의 피난자수를 예측하여 뺀 인원수를 엘리베이터 이용의 피난자수 Me로 하고, 그때까지 엘리베이터의 구출 운전으로 구출된 인원수를 상기 피난자수 Me로부터 뺀 인원수를 잔류자수 Mrs로 하였으므로, 외래자가 적은 사무소 빌딩인 경우는 잔류자수 Mrs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잔류자 Mrs가 없게 된 층에는 엘리베이터칸(2)는 운전되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인 구출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people who subtracted the number of people evacuated by emergency stairs from the number of registered people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list of registered people on each floor is the number of evacuated persons using elevators. Since the number of people subtracted from Me was assumed to be the residual number of Mrs, in the case of an office building with few foreigners, the remaining number of Mrs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the
또, 선택된 구출 대상층에 향하여 전(全) 호기의 엘리베이터칸(2)을 피난층 F1로부터 일제히 기동시켜서 전 호기의 엘리베이터칸(2)이 거의 동시에 구출 대상층에 도착하도록 하였으므로, 피난 행동이 패닉(panic)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또, 구출 대상층의 잔류자 Mrs를 피난층 F1까지 수송하는데 필요한 대수의 엘리베이터칸(2)을 할당하여 피난층 F1로부터 일제히 기동시켜서 구출 운전하고, 잔여의 엘리베이터칸(2)은 다음의 순번 이후의 구출 대상층의 잔류자 Mrs를 피난층 F1까지 수송하는데 필요한 대수의 엘리베이터칸(2)을 차례로 할당하여 각각 피난층 F1로부터 일제히 기동시켜서 구출 운전하도록 하므로, 하나의 구출 대상층에 대하여 잉여의 엘리베이터칸(2)을 할당할 수 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구출 운전에 있어서의 수송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잔류자수를 단시간에 구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또, 엘리베이터홀에 승강장용 구출 운전 표시 수단 HA를 설치하여 구출 운전의 정황을 표시하도록 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홀 Eh의 잔류자 Mrs는 엘리베이터가 구출 응답하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scue operation display means HA for the landing hall is installed in the elevator hall to display the situation of the rescue operation, the residual Mrs of the elevator hall Eh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elevator responds to the rescue.
또, 엘리베이터칸(2)내에도 구출 운전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칸용 구출 운전 표시 수단 CA를 설치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칸(2)내의 승객(8)에 긴급 사태의 발생을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rescue operation display means CA for cage | basket | car which shows rescue operation is provided also in the cage | basket |
또, 각 층의 엘리베이터홀 Eh에 방화호 FP를 설치하고, 비구출 대상층으로 판정된 층의 엘리베이터홀 Eh를 방화호 FP로 구획하도록 하였으므로, 엘리베이터홀 Eh와 거실 Rm을 차단하여 화재의 확대를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잔류자 Mrs가 엘리베이터홀 Eh에 집중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e protection FP was installed in the elevator hall Eh of each floor, and the elevator hall Eh of the floor determined as the non-rescue target floor was partitioned by the fire protection FP. Therefore, the elevator hall Eh and the living room Rm are blocked to prevent the expansion of the fir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idual Mrs from concentrating on the elevator hall Eh.
또한, 상기의 전제예에서는 건물을 5층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물에 맞추어서 각 데이터 테이블(33a ~ 33g)에 상당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작성함으로써 각종 건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기재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premise example, although the building had five floors, i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applicable to various buildings by creating a data table corresponding to each data table 33a to 33g in accordance with a building. This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ubstrate.
실시예 1Example 1
도 20 및 도 21은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전제로 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에 더욱 개량을 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0은 엘리베이터 이용시에 개인이 휴대하는 단말로부터 발신되는 개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활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1은 화재 발생시에 있어서 구출 운전 또는 개개의 잔류자에 대한 피난 유도 사인 등을 알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4층 건물의 집합 주택에 적용했을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피스 빌딩이나 복합 빌딩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20 and 21 show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elevator fi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mprovement of the fire control system of the elevator as shown in FIGS. 1 to 19 is further improved.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of receiving and utilizing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sent from a terminal carried by an individual when using an elevator. FIG. 21 shows a state of notifying a rescue operation or an evacuation guidance sign for an individual remaining person at the time of a fire. It is a block diagram.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llective house of a four-story buildin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 집합주택은 1층 (1F) ~ 4층 (4F)의 4층 건물 맨션에서 각 층에는 복수의 거주방(101 ~ 103, 201 ~ 203, 301 ~ 303, 401 ~ 403)이 있다. 이 집합 주택에 거주하는 각 거주자는 예를 들면 거주방 번호, 거주층, 소유자 개인의 특성 정보 (정상인 또는 신체장애자) 등의 개인 인증 정보를 등록한 휴대 가능한 개인 인증 발신 수단(17)을 갖고,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2)을 이용하여 집합 주택내를 상하로 이동한다. 이 개인 인증 발신 수단(17)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호 등록 및 엘리베이터 도착 후는 거주층의 엘리베이터칸 호 등록을 행한다. 또, 외부로부터의 방문자(손님)에 대해서는 개인 인증 정보가 미등록으로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현관 입구의 관리인실에서 소정의 접수 수속을 완료한 후, 미등록자 개인 인증 등록 수단(18)에서 1회 한정 유효의 개인 인증 정보를 등록한 휴대 가능한 개인 인증 발신 수단(17)이 주어진다. 개인 인증 정보를 등록한 휴대 가능한 개인 인증 발신 수단(17)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비접촉 태그 첨부 키, 비접촉 태그 첨부 카드, 비접촉 태그 첨부 휴대 전화 등이 고안된다. 또, 각 엘리베이터홀 Eh 또는 승강로에는 개인 인증 발신 수단(17)으로부터의 개인 인증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개인 인증 수신 수단(19)이 설치되어 있다. 개인 인증 수신 수단(19)이 수신한 신호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에 설치된 개인 인증 승강장 호 등록 및 개인 인증 엘리베이터칸 호 등록 요구 수단(20)에 전달되고, 개인 인증 정보로부터 행선층을 자 동 등록한다. 이 일련의 개인 인증 정보와 각 개인의 행선층 자동 등록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시의 각 개인의 행선층 정보와, 각 개인의 특성 정보(정상인 또는 신체장애자)를 관련하여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행선층 정보로부터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를 계측할 수 있다. 각 거주 방에는 각각 인터폰과 제휴한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호내(住戶內) 표시기(21)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1에 있어서, Fd는 화재 감지기, 11은 화재 감지기 동작 검출 수단, 12는 피난 시간 연산 수단, 13은 구출 응답 시간 연산 수단, 14는 구출 대상층 판정 수단, 15는 구출 운전 순위 결정 수단, 16은 구출 운전 수단이고,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전제로 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 이용된다. 22는 행선층 정보로부터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를 계측하는 층상마다 잔류자 인원수 계측 수단, 23은 개인 인증 잔류자 인원수 검출 수단이고, 개인 인증 발신 수단(17) 및 개인 인증 수신 수단(18)에 의한 개인 인증 정보와 각 개인의 행선층 자동 등록에 의해 엘리베이터 이용시의 각 개인의 행선층 정보와, 각 개인의 특성 정보(정상인 또는 신체장애자)를 관련하여 인식할 수 있으므로, 고정밀도로 층상마다의 잔류자 인원수의 파악과 잔류자의 특성 정보(정상인/신체장애자)의 파악을 실현할 수 있다. 24는 주호내 표시기ㆍ휴대 전화 표시 지령 수단이고, 예를 들면 신체장애자의 거주 방(401호실) 또는 신체장애자가 가진 휴대 전화에는 「화재 발생,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피난해 주세요.」 등의 메세지를 표시하고, 정상인의 거주방(402호실) 또는 정상인이 가진 휴대 전화에는 「화재 발생, 비상 계단을 사용하여 피난해 주세요.」 등의 메세지를 표시한다. 이로 인해, 구출해야 할 사람의 특성을 고려한 약자 우선의 엘리베이터 피난 운전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정상인에게도 유효한 피난 유도 사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multi-family house is a four-story mansion on the first floor (1F) and the fourth floor (4F), and each floor has a plurality of residences (101-103, 201-203, 301-303, 401-403). Each resident who resides in this collective house has a portable personal authentication sending means 17 which registers perso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for example, a resident's number, resident class, and owner's personal information (normal person or handicapped person), and the elevator The inside of a collective house is moved up and down using the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에서는 개인 인증 발신 수단(17)으로서 비접촉 태그 첨부 키, 비접촉 태그 첨부 카드, 비접촉 태그 첨부 휴대 전화 등을 이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개인 인증 수단으로서 지문 조합 장치, 카드 리더를 이용한 것으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ersonal authentication sending means 17 is described as using a contactless tagged key, a contactless tagged card, a contactless tagged mobile phone, etc. However, it is also easy to use a fingerprint combination device and a card reader as personal authentication means. I can do it.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에서는 각 거주방에 주호내 표시기(21)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으나, 예를 들면 전용 서버를 전화 회사에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제휴를 취하고, 각 개인의 휴대 전화에 통화 발보하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에서는 개인 인증 장치에 의한 잔류자 인원수, 개인 특성을 검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잔류자 인원수, 개인 특성을 검출하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각 개인에의 피난 유도 지시도 GPS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건물(빌딩)내 거주자의 이동을 적확하게 검출하고, 잔류자에게 위치를 고려한 피난 유도 지시를 출력하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In Example 1, an example of detecting the number of remaining person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by the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has been described. However, for example, the number of remaining person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an be easily detected by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bile terminal. I can do it. In addition, the evacuation guidance instruction to each individual can also be easily detected using a GPS portable terminal to accurate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occupants in the building and output the evacuation guidance instru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to the remaining person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설치된 건물에 있어서, 집합 주택 등에 설치된 주택용 엘리베이터에 적용하고, 화재 발생시의 피난 수단 및 피난 유도 수단으로서 넓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피스 빌딩에 적용하는 경우는 오피스 빌딩내에 근무하는 종업원에게는 미리 개인 인증 발신 수단을 부여하여 항상 휴대하게 한다. 또, 외부로부터의 출장자 또는 손님에게는 미등록자 개인 인증 등록 수단에서 1회 한정 유효의 개인 인증 정보를 등록한 개인 인증 발신 수단을 내방 때마다 발행하여 휴대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e control apparatus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levator for a house installed in a collective house or the like in a building provided with an elevator, and can be widely used as an evacuation means and an evacuation inducing means in the event of a fire. For example, when applied to an office building, employees who work in the office building are given a personal authentication sending means in advance so that they are always carri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spond to a business traveler or a guest from the outside by issuing and carrying a personal authentication sending means each time the visitor registers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one-time validity in the non-registered personal authentication registration mean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02536A KR100667457B1 (en) | 2006-02-06 | 2004-06-10 |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02536A KR100667457B1 (en) | 2006-02-06 | 2004-06-10 |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0676A KR20060060676A (en) | 2006-06-05 |
KR100667457B1 true KR100667457B1 (en) | 2007-01-10 |
Family
ID=3715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2536A KR100667457B1 (en) | 2006-02-06 | 2004-06-10 |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745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8005B1 (en) * | 2017-11-22 | 2018-03-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ystem for supporting evacuation strategy using occupant evacuation elevator, and method for the same |
KR102450846B1 (en) * | 2022-03-21 | 2022-10-06 | (주) 나라기술단 | Fire safety guidance system for apartment hous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197968B (en) * | 2023-11-01 | 2024-04-05 | 广州雅图新能源科技有限公司 | Emergency gu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rescue capsule in high-rise building |
-
2004
- 2004-06-10 KR KR1020067002536A patent/KR10066745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8005B1 (en) * | 2017-11-22 | 2018-03-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System for supporting evacuation strategy using occupant evacuation elevator, and method for the same |
KR102450846B1 (en) * | 2022-03-21 | 2022-10-06 | (주) 나라기술단 | Fire safety guidance system for apartment hous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0676A (en) | 2006-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75890B2 (en) | Elevator fire control equipment | |
JP4266010B2 (en) | Elevator fire control system | |
JP5452505B2 (en) | Elevator system | |
EP2610202B1 (en) | Monitor control device for elevator | |
MXPA03011688A (en) |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of building occupants and a method for modernisation of an existing building with said system. | |
JP4391226B2 (en) | Evacuatio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 |
CN114728758B (en) | Elevator control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 |
JP5088362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JP4575030B2 (en) | Elevator traffic demand prediction device and elevator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 |
JP2006193296A (en) | Fire emergency operation system of elevator | |
JP4995248B2 (en) | Elevator traffic demand prediction device | |
JP2003276964A (en) | Rescue operation device for elevator when fire occurs | |
KR100667457B1 (en) | Fire control system of elevator | |
WO2017098656A1 (en) | Elevator fire control device and elevator fire control method | |
CN102311028B (en) | Elevator control system | |
CN113993804B (en) | Building management system | |
CN108137270B (en) | Elevator system | |
JP2005206275A (en) | Crime preventing device for elevator | |
JP5955517B2 (en) | Elevator system,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 |
KR102084497B1 (en) | Elevator passenger emergency rescue apparatus | |
JP2020045240A (en) |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system using the same | |
JP2005335826A (en) | Anticrime device of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