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691B1 -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 Google Patents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691B1
KR100896691B1 KR1020070070147A KR20070070147A KR100896691B1 KR 100896691 B1 KR100896691 B1 KR 100896691B1 KR 1020070070147 A KR1020070070147 A KR 1020070070147A KR 20070070147 A KR20070070147 A KR 20070070147A KR 100896691 B1 KR100896691 B1 KR 10089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de wall
wall portion
support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622A (ko
Inventor
정도영
Original Assignee
정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영 filed Critical 정도영
Priority to KR102007007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6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5Supplementary support fixed on the edge of a desk or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는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되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길다란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측벽부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개구부의 측벽부 내측 상부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로 구성되어 아동들이 충돌시에 다치지 않도록 책상, 가구, 교구재의 각진 모서리부를 연질합성수지로 덮는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연질 합성수지재, 책상, 모서리, 보호대, 삽입

Description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INSERTION TYPE EDGE PROTECTION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모서리 보호대 11:본체
12:개구부 13:측벽부
15:내측 커팅부 16:외측 커팅부
31:본체 32:측벽부
33:지지부재 33a:측벽부
34:개구부 35:내측 커팅부
36:외측 커팅부 37:양면접착테이프
40:모서리 보호대 41:본체
41a:다리부 41b:다리부
42:측벽부 43:지지부재
43a:측벽부 44:개구부
44a:내측 커팅부 45:외측 커팅부
본 발명은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동들이 충돌시에 다치지 않도록 책상, 가구, 교구재의 각진 모서리부를 라운드 되게 덮는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책상, 가구, 교구재들은 각각의 모서리부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어른들 뿐만 아니라, 아동들이 부딪치면 매우 아프고, 심할 경우에는 상처를 입는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 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동들이 충돌시에 다치지 않도록 책상, 가구 교구재의 각진 모서리부를 연질 합성수지재로 덮는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는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되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길다란 본체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측벽부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개구부의 측벽부 내측 상부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와, 상기 개구부의 측벽부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개구부의 측벽부 내측 커팅부에 대응되게 상기 개구부의 측벽부 외측에 삼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작은 외측 커팅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는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 내주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를 가지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길다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다리부 하부면에 상부면이 당접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측벽부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경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의 측벽부 내주면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측벽부 및 상기 본체의 측벽부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측벽부 내측 상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삼각형 형 상의 내측 커팅부와, 상기 본체의 측벽부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측벽부 내측 상부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의 측벽부 외측에 삼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작은 외측 커팅부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부분의 단면에 접착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된 양면테이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10)는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양측 하부에 측벽부(13)를 가지고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길다란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 개구부(12)와, 상기 개구부(12)의 측벽부(13)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개구부(12)의 측벽부(13) 내측 상부에 상기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15)와, 상기 개구부(12)의 측벽부(13)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개구부(12)의 측벽부(13) 내측 커팅부(15)에 대응되게 상기 개구부(12)의 측벽부(13) 외측에 삼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 성된 작은 외측 커팅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10)는 상기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개구부(12)의 측벽부(13) 내측 상부에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15)가 상기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개구부(12)의 측벽부(13) 내측 커팅부(15)에 대응되게 상기 개구부(12)의 측벽부(13) 외측에 작은 삼각형 형상의 외측 커팅부(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벽부(13)를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측벽부(13)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13)와 본체(11)에 의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12)내에 도시하지 않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모서리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13)를 놓으면 측벽부(13)의 내ㆍ외측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ㆍ외측 커팅부(15,16)에 의해 상기 측벽부(13)가 탄성력이 발생되므로,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측벽부(13)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를 좌우방향에서 파지하게 되어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상기 본체(11)의 개구부(12)의 내측 상부면에 양면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부착하여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모서리에 끼워 접착하여 사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되어 있고,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동들이 상기 본체(11)의 외주면에 부딪치거나 충돌하여도 다치거나 또는 상처를 입을 염려가 전혀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20)는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됨과 동시에, 양측 하부에 측벽부(21a)를 가지고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길다란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3)와,
상기 지지부재(23)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 내주면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 개구부(24)와,
상기 지지부재(23)의 측벽부(23a) 및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23)의 측벽부(23a) 내측 상부에 상기 지지부재(2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2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23)의 측벽부(23a) 내측 상부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25)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 외측 상부에 삼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작은 외측 커팅부(2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부분의 단면에 접착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재(23)의 내측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양면 접착테이프(27) 또는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다.
즉, 개구부의 내측 상부면에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가 제 1실시예와 다른점은 제 1실시예에서는 본체의 개구부인 부착부가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책상, 가구, 교구재 등의 모서리에 양면접착테이프나 접착제로 접착한 경우, 연질 합성수지재가 온도에 의한 신축이 커서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모서리에서 모서리보호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질 합성수지재로 된 지지부재(23)를 연질합성수지 본체(21)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압출 성형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20)는 상기 지지부재(23)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24)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23)의 측벽부(23a) 내측 상부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25)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 외측에 삼각형 형상의 외측 커팅부(26)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재(23)의 측벽부(23a) 및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를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측벽부(21a)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3)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에 의해 상기 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개 구부(24)내에 도시하지 않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모서리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23)의 측벽부(23a) 및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를 놓으면 상기 지지부재(23)의 상부 코너에 각각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25)와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 외측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작은 외측 커팅부(26)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3)의 측벽부(23a)와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가 탄성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지지부재(23)의 측벽부(23a)와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3)의 측벽부(23a)와 상기 본체(21)의 측벽부(21a)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를 감싸서 파지하게 되어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재(23)의 내측 하부면에 양면 접착테이프(27)가 접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모서리부를 상기 개구부(24)내에 끼우면,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모서리에 양면접착테이프(27)가 접착되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20)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모서리 부분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또한, 양면접착테이프(27) 또는 접착제가 경질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부재(23)의 내측 하부면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부착부의 신축을 방지하여 상기 양면접착테이프(27) 또는 접착제가 상기 지지부재(23)로부터 이탈될 염려도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30)는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 되게 형성되며 양측에 측벽부(32)를 가지고 상부 내주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만곡되게 각각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31a)를 가지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길다란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다리부(31a)에 상부면이 당접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경질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부재(33)와, 상기 지지부재(33)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 내주면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 개구부(34)와, 상기 지지부재(33)의 측벽부(33a) 및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33)의 측벽부(33a) 내측 상부에 상기 지지부재(3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35)와,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33)의 측벽부(33a) 내측 상부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35)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 외측에 삼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작은 외측 커팅부(36)와, 도시하지 않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부분의 단면에 접착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재(33)의 내측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된 양면접착테이프(27) 또는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31)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31)의 다리부(31a)와 상기 지지부재(33)의 상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31b,31c)는 큰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30)는 상기 지지부재(33)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34)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33)의 측벽부(33a) 내측 상부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35)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 외측에 삼각형 형상의 외측 커팅부(36)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재(33)의 측벽부(33a) 및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를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측벽부(32)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3)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에 의해 상기 본체(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34)내에 도시하지 않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모서리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3)의 측벽부(33a) 및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를 놓으면 상기 지지부재(33)의 상부 코너에 각각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35)와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 외측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작은 외측 커팅부(36)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3)의 다리부(33a)와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가 탄성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지지부재(33)의 다리부(33a)와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려고 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3)의 다리부(33a)와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를 상하 또는 좌우방향에서 파지하게 되어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재(33)의 내측 하부면에 양면접착테이프(37)가 접착되어 있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모서리부를 상기 개구부(34)내에 끼우면,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부분의 단면에 양면접착테이프(37)가 접착되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30)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부분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31)의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본체(31)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성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31)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1a)와 상기 지지부재(33)의 상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31b,31c)에 의해 탄성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아동들이 상기 본체(31)의 외주면에 부딪치거나 충돌하여도 다치거나 또는 상처를 입을 염려가 전혀 없다.
또한 상기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지지부재(33)가 본체(3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재(33)가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이 적으므로, 상기 양면접착테이프(37)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상기 지지부재(33)로부터 이탈될 염려도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40)는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되며, 양측에 측벽부(42)를 가지고, 상부 내주면으로부터 하부 및 옆을 향해 수직되게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41a)(41b)를 가지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길다란 본체(41)와, 상 기 본체(41)의 다리부(41a)(41b)에 상부면이 당접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벽부(43a)가 형성된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부재(43)와, 상기 지지부재(43)의 내측과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 내측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 개구부(44)와, 상기 지지부재(43)의 측벽부(43a) 및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43)의 측벽부(43a) 내측 상부에 상기 지지부재(43)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44a)와,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가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43)의 다리부(43a) 내측 상부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44a)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 외측에 삼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작은 외측 커팅부(4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41)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41)의 다리부(41a)(41b)와 상기 지지부재(43)의 상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46a,46b,46c)에는 큰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40)는 상기 지지부재(43)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44)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43)의 측벽부(43a) 내측 상부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44a)에 대응되게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 외측에 삼각형 형상의 외측 커팅부(4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재(43)의 측벽부(43a) 및 상 기 본체(41)의 측벽부(42)를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측벽부(42)를 외측으로 벌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43)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에 의해 상기 본체(4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44)내에 도시하지 않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의 각진 모서리부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43)의 다리부(43a) 및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를 놓으면 상기 지지부재(43)의 상부 코너에 각각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내측 커팅부(44a)와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 외측에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작은 외측 커팅부(45)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43)의 다리부(43a)와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가 탄성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지지부재(43)의 측벽부(43a)와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가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려고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43)의 다리부(43a)와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를 좌우방향에서 파지하게 되어 도시하지 않은 책상, 가구 또는 교구재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41)의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본체(41)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41)의 내주면과 상기 본체(41)의 다리부(41a)와 상기 지지부재(43)의 상부면 및 상기 본체(4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옆으로 각각 뻗어서 상기 지지부재(43)의 양측 상부면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41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46a,46b,46c)에는 큰 탄성력이 있으므로, 아동들이 상기 본체(41)의 외주면에 부딪치거나 충돌하여도 다치거나 또는 상처를 입을 염려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4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50)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40)의 다른 점은 상기 본체(41)의 다리부(41a)가 수직으로 형성된 것이 내측으로 만곡 된 다리부(51a)가 형성된 것 외에는 동일하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에 의하면, 아동들이 충돌시에 다치지 않도록 책상, 가구 교구재의 각진 모서리부를 라운드되게 덮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가 연질의 합성 수지로 압출성형되어 있으므로, 탄성력이 있어서 아동들이 충돌해도 다칠 염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지지부재가 본체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 으므로 상기 지지부재가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이 적으므로 양면접착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보호대가 상기 책상이나 교구재로부터 이탈될 염려도 없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되며, 양측 하부에 측벽부를 가지고, 상부 내주면으로 부터 하부를 향해 만곡되게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31a)를 가지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길다란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다리부(31a) 하부면에 상부면이 당접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부재(33)와,
    상기 지지부재(33)의 내측과 상기 본체(31)의 측벽부(32) 내측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 개구부(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5.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되며, 양측 하부에 측벽부를 가지고, 상부 내주면으로 부터 하부 및 옆을 향해 수직되게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41a)(41b)를 가지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길다란 본체(41)와,
    상기 본체(41)의 다리부(41a)(41b)에 당접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부재(43)와,
    상기 지지부재(43)의 내측과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 내측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 개구부(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6. 외주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되게 형성되며, 양측 하부에 측벽부를 가지고, 상부 내주면으로 부터 하부를 향해 만곡되게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51a) 및 옆을 향해 수직되게 형성된 한쌍의 다리부(41b)를 가지며,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된 길다란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다리부(51a)(41b)에 당접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51)의 측벽부(42)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부재(43)와,
    상기 지지부재(43)의 내측과 상기 본체(41)의 측벽부(42) 내측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폭이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 개구부(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측벽부에는 탄성을 가지면서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측벽부 내측 상부에 내측 커팅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 상부면에는 양면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KR1020070070147A 2007-07-12 2007-07-12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KR100896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147A KR100896691B1 (ko) 2007-07-12 2007-07-12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147A KR100896691B1 (ko) 2007-07-12 2007-07-12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22A KR20090006622A (ko) 2009-01-15
KR100896691B1 true KR100896691B1 (ko) 2009-05-14

Family

ID=40487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147A KR100896691B1 (ko) 2007-07-12 2007-07-12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405B1 (ko) * 2014-08-14 2017-02-10 (주)키즈퍼니쳐 비고정 결합수단을 갖는 학습 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5552U (ko) * 1976-02-07 1977-08-11
JPH02113611U (ko) * 1989-02-27 1990-09-11
JPH05113120A (ja) * 1991-10-24 1993-05-07 Toyota Motor Corp 副室付き2サイクル内燃機関
KR200368871Y1 (ko) * 2004-08-31 2004-12-03 박귀종 모서리용 충격방지 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5552U (ko) * 1976-02-07 1977-08-11
JPH02113611U (ko) * 1989-02-27 1990-09-11
JPH05113120A (ja) * 1991-10-24 1993-05-07 Toyota Motor Corp 副室付き2サイクル内燃機関
KR200368871Y1 (ko) * 2004-08-31 2004-12-03 박귀종 모서리용 충격방지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22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143B2 (en) Rack protector
ATE249984T1 (de) Stossdämpfendes verpackungsmaterial
KR100896691B1 (ko) 삽입형 모서리 보호대
KR100863215B1 (ko) 모서리 보호대 및 그에 결합되는 캡
KR102175985B1 (ko) 가구용 코너안전캡
KR20080109426A (ko) 다각도 모서리용 보호대
KR101346665B1 (ko) 코너 모서리 보호대
US20100013208A1 (en) Stretchable book covering with reinforcing elements
US8356788B2 (en) Corner protector
US20050217205A1 (en) Corner protector
JP2013226235A (ja) 浴室構造
KR200460839Y1 (ko) 안전 모서리 보호대
KR200366356Y1 (ko) 가구 모서리 보호구
US20080203720A1 (en) Stretchable book covering with reinforcing elements
JP2690274B2 (ja) すのこ
JP6570240B2 (ja) キャビネット
KR200415283Y1 (ko) 모서리 보호구
KR200349733Y1 (ko) 야외용 도마
KR20170000764U (ko) 유연한 완충력을 제공하면서 완충시에 테두리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테이블 상판의 테두리면 보호테
KR200302753Y1 (ko) 상 보호테
KR200409980Y1 (ko) 매트리스
KR200370280Y1 (ko) 모서리 안전 보호대
KR200368358Y1 (ko) 충격흡수부재
KR20180064645A (ko) 모서리안전쿠션
KR200283282Y1 (ko) 모서리용 충격방지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