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283Y1 - 모서리 보호구 - Google Patents

모서리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283Y1
KR200415283Y1 KR2020060003012U KR20060003012U KR200415283Y1 KR 200415283 Y1 KR200415283 Y1 KR 200415283Y1 KR 2020060003012 U KR2020060003012 U KR 2020060003012U KR 20060003012 U KR20060003012 U KR 20060003012U KR 200415283 Y1 KR200415283 Y1 KR 200415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corner protector
protector
protection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김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훈 filed Critical 김명훈
Priority to KR2020060003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2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2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47B95/043Protecting rims, buffers or the like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 책상, 가구 등의 모서리를 감싸는 모서리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모서리에 끼워지도록 요홈부가 형성된 모서리 보호부재를 고정부재 또는 내측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모서리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책의 하드 커버에 씌워지는 모서리 보호구의 경우, 그 모서리 보호부재의 내측 일측면 하단을 라운딩 처리함으로써 책표지를 덮었을 경우 책속지가 모서리 보호구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한 모서리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측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부재; 및 모서리를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의 요홈부에 끼운 후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모서리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아이들이 그 모서리에 찢기거나 찔려 안전 사고를 당할 염려를 불식시키고, 충격 완화부를 구비하여 외부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설령 아이들이 모서리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충격완화부의 작용에 의해 그 충격을 흡수하여 큰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책의 하드 커버에 씌워지는 모서리 보호구의 경우, 그 모서리 보호부재의 내측 일측면 하단을 라운딩 처리하여 책표지를 덮었을 경우 책속지가 모서리 보호구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특히 책 보관시 커버가 벌어지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라운딩, 모서리, 보호구, 충격완화

Description

모서리 보호구{A EDGE COVER}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책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책상 모서리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모서리 보호부재 102: 요홈부
110: 돌출부 112: 충격흡수공간
120a, 120b: 날개지지부 130: 라운딩 처리부
200: 고정부재 210: 접착지
212: 접착제 220a, 220b, 220c: 이탈지
230: 요입부 310a, 310b: 고정날개부
320: 요홈부 330: 돌출부
340: 요입부 410a, 410b, 410c: 고정날개부
420: 요홈부 430: 돌출부
610a, 610b, 610c: 날개지지부 630: 돌출부
640a, 640b, 640c: 고정부
본 고안은 책, 책상, 가구 등의 모서리를 감싸는 모서리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모서리에 끼워지도록 요홈부가 형성된 모서리 보호부재를 고정부재 또는 내측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모서리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책의 하드 커버에 씌워지는 모서리 보호구의 경우, 그 모서리 보호부재의 내측 일측면 하단을 라운딩 처리함으로써 책표지를 덮었을 경우 책속지가 모서리 보호구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한 모서리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및 어린이들이 많이 보는 동화책은 그 특성상 책표지가 두꺼운 하드 커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커버의 각 모서리 부분은 직각 구조로 되어 있어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다. 성장기에 있는 유아 내지 아이들 대부분은 집 또는 유치원 등에서 책을 읽으면서 공부를 하게 되는데, 책을 가지고 장난을 치거나 넘어지거나 혹은 어딘가 올라 가려다 발을 헛딛어서 들고 있던 책의 모서리나 바닥에 비스듬히 세워져 있는 책의 모서리에 턱이 나 이마 등을 심하게 찔려 찢겨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최근 한국소비자보호원의 보고에 의하면, 영유아의 보호자 중 50%가 책으로 인해 자녀가 다친 경험이 있다고 한다. 책의 종이날에 의해 베이는 등의 경우에는 상처가 경미할 수 있지만, 얼굴이 직접 책의 모서리에 닿아 찢겨지거나 찔리는 경우에는 예기치 못한 큰 상해를 당할 우려가 있고, 그 상처로 인해 생기는 흉터는 성형수술을 받아야 할 정도로 심각하여, 성장기의 아이들에게 심한 정신적인 고통을 줄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아이가 하나일 경우에는 부모가 한 아이에게 집중을 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아이가 둘 이상이 될 경우에는 흔히 부모님 없이 아이들끼리 집에서 책을 보면서 놀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함께 책을 보다가 싸워 책을 집어 던지거나 책으로 장난을 칠 경우, 책 모서리에 아이들의 신체 부위가 직접 부딪혀 찢기거나 찔리는 사고가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특히 높다.
최근들어, 상기와 같이 책 모서리 등에 기인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일부 출판사에서는 하드 커버 자체를 둥글게 라운딩 처리하여 보급하려고 하나, 현실적으로 제작 단가 상승에 따른 비용 부담의 가중으로 단지 일부 출판사만이 현재 라운딩 처리하여 보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책과 아울러 각 가정에 비치된 책상 등의 각진 모서리에도 아이들이 넘어지면서 부딪혀 마찬가지로 얼굴이 찢겨지거나 찔리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 현재 시중에는 책상 모서리용 보호대가 시판되고 있으나, 그 부피가 매우 크고 각이 고정되어 있어 그 고정각이 부착 부위와 조금만 달라도 쉽게 벌어져 떨 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부피가 너무 커서 아이들이 손으로 잡아 당길 경우, 그 보호대 자체가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되어, 너무나 쉽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기존 물품의 디자인을 훼손시킨다. 따라서, 기존의 보호대의 경우, 못이나 기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가구 등에 못질을 하여 고정시켜야 했는데, 상대적으로 비싼 가구에 보호대 부착을 위하여 쉽게 못질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너무 부피가 커서 걸리적 거리지 않으면서도 책 또는 책상 등 가구에 강하게 밀착되어 부착가능하며, 특히 못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떨어지지 않는 밀착력이 우수한 모서리 보호대를 개발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책 또는 가구 등의 모서리를 감싸서 고정시킴으로써 모서리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아이들이 그 모서리에 찢기거나 찔려 안전 사고를 당할 염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모서리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모서리 보호부재의 요홈부 내측면에 충격완화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설령 아이들이 모서리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충격완화부의 작용에 의해 그 충격을 흡수하여 큰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책의 하드 커버에 씌워지는 모서리 보호구의 경우, 그 모서 리 보호부재의 내측 일측면 하단을 라운딩 처리하여 책표지를 덮었을 경우, 책속지가 모서리 보호구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특히 책 보관시 커버가 벌어지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의 목적은 모서리 보호부재를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얇은 고정부재로 씌워 고정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는 바, 모서리 보호구 전체의 밀착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 자체가 쉽게 이탈되지 않아, 특히 유아 또는 아이들이 쉽게 고정부재를 떼어낼 수 없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측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부재; 및 모서리를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의 요홈부에 끼운 후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의 일측면 하단은 내측으로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 내부에는 소정의 충격 흡수 공간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는 양측에 날개지지부를 구비하여, 모서리 보호부재가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내 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를 고정시키는 접착지와 상기 접착지의 접착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분할된 3개의 이탈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지의 중간부는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의 돌출부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도록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길이를 갖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구에 있어서,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양측 고정날개부와,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 사이에 구비되고 그 내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충격 완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완화부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있고, 상기 요홈부를 모서리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를 접착시켜 고정시킨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구에 있어서,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3개의 고정날개부와, 상기 3개의 고정날개부가 상호 연결되는 중심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충격 완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부를 모서리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3개의 고정날개부를 접착시켜 고정시킨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부재와 그 보호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구에 있어서, 3군데의 날개지지부와, 상기 3군데의 날개지지부가 상호 연결되는 중심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충격 완화부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부재, 및 모서리를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의 요홈부에 끼운 후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고,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모서리 보호구가 장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물품의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책 또는 책상 등을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모서리의 일부가 외측으로 뾰족하거나 날카롭게 노출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물품에 본 고안의 모서리 보호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대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책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는 내측에 요홈부(102)가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부재(100) 및 모서리를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100)의 요홈부(102)에 끼운 후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100)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10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직접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탄성에 의해 충격을 흡수한다. 모서리 보호부재(100)의 요홈부(102)는 책의 하드커버에 모서리 보호부재(100)를 끼울 경우, 도2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에 하드커버의 직각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100)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0)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 내부에는 소정의 충격 흡수 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책의 하드커버가 끼워질 경우에도 하드커버의 각 모서리가 충격 흡수 공간(112)내에 위치하게 되고, 그 결과 하드커버의 각 모서리가 상기 돌출부(110)의 상측벽에 직접 접하지 않게 되어, 추후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1(a) 및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 보호부재(100)는 부재번호 130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 일측면 모서리가 내측으로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 이는 모서리 보호부재(100)를 하드 커버에 씌워 고정시킨 경우에도, 책속지(10)가 모서리 보호구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라운딩 처리가 되지 않으면, 책표지를 덮을 경우 책속지가 모서리 보호구에 직접 걸리게 되어, 특히 책 보관시 책표지가 벌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도2(a)는 모서리 보호부재의 일측면에 라운딩 처리가 되어 있어, 책속지가 모서리 보호부재에 직접 걸리지 않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서리 보호부재(100)는 도1(a) 및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날개지지부(120a, 120b)를 구비한다. 이 날개지지부(120a, 120b)는 모서리 보호부재(100)가 하드커버의 각 모서리에 씌워져 고정될 경우, 하드커버의 모서리를 지지하 는 역할을 하게 되어, 모서리 보호부재(100)가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날개지지부(120a, 120b)로 하여금 하드커버의 모서리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모서리 보호부재(100)가 좌우로 이격 내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도2(a) 및 도2(b)는 날개지지부(120a, 120b)에 의해 모서리 보호부재(100)가 하드커버(20)의 각 모서리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200)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 접착제(212)가 도포되어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100)를 고정시키는 접착지(210)와 상기 접착지(210)의 접착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분할된 3개의 이탈지(220a, 220b, 220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부재(200)를 이용하여 모서리 보호부재(100)를 감싸 고정시킴에 있어서, 먼저 고정부재(200)의 중간 이탈지(220b)를 벗긴 다음 그 접착면이 모서리 보호부재의 돌출부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감싸고, 그 다음 양측 이탈지(220a, 220c)를 순차적으로 벗기면서 고정부재(200)의 양단부를 부착면측으로 밀면서 부착한다. 이는 부착 과정 중에 손이 고정부재(200)의 접착면에 닿아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고정부재를 부착하면, 고정부재(200)를 이용하여 모서리 보호부재(1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0)의 접착지(210) 중간부는 부재번호 23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의 돌출부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도록 내측으로 요입된다. 이는 접착지(210)의 양단부 너비를 보다 넓게 하여 접착력을 배가시킴과 동시에, 접착지(210)의 중간부 너비를 모서리 보호부재(100)의 돌출부(110) 외측면 너비와 정확하게 대응하도록 하여 중간부위의 접착지가 돌출부 외측으로 노출되어 미관을 손상시키고 나아가 아이들이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는 부위를 제공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
도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30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충격 흡수가 우수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모서리 보호구(300)는 내측면에 접착제(312)가 도포되어 있는 양측 고정날개부(310a, 310b)와,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310a, 310b)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 완화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격완화부는 그 내측면에 요홈부(320)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측면에 돌출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충격완화부의 요홈부(320)에 각 모서리가 끼워지고,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330)는 각 모서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3(a) 및 도3(b)에서 부재번호 34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완화부는 내측으로 요입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310a, 310b)에 각각 이탈지가 부착되어 있어 도포된 접착제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모서리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양측 고정날개부(310a, 310b)에 부착된 이탈지를 제거하고, 모서리 보호구의 요홈부(320)를 모서리부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310a, 310b)를 접어 도포된 접착제(312)에 의해 모서리 보호구를 고정시킨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
도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a)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책상 모서리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구(400)는 내측면에 접착제(412)가 도포되어 있는 3개의 고정날개부(410a, 410b, 410c)와 상기 3개의 고정날개부(410a, 410b, 410c)가 상호 연결되는 중심부에 구비되는 충격 완화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격 완화부는 그 내측면에 요홈부(420)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측면에 돌출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충격완화부의 요홈부(420)에 각 모서리가 끼워지고,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430)는 각 모서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3개의 고정날개부(410a, 410b, 410c)에는 이탈지가 부착되어 있어 도포된 접착제(412)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모서리에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3개의 고정날개부(410a, 410b, 410c)에 부착된 이탈지를 제거하고, 모서리 보호구의 요홈부(420)를 모서리부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상기 3개의 고정날개부(410a, 410b, 410c)가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각각 대응하는 면에 접착되어 모서리 보호구를 고정시킨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
도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a)는 모서리 보호부재의 사시도이고, 도5(b)는 모서리 보호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를 책상 모서리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5(a) 및 도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보호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부재(610)와 그 보호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6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610)는 책상 등의 모서리에 끼워져 수직면에 각각 접하도록 지지되는 날개지지부(610a, 610b, 610c)와, 상기 날개지지부가 상호 연결되는 중심부에 구비된 충격 완화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상기 날개지지부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충격 완화부는 그 내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측면에 돌출부(630)가 형성된다. 상기 충격 완화부의 요홈부에 각 모서리가 끼워지고,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630)는 각 모서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630) 내부에는 소정의 충격흡수공간이 형성된다.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640)는 상기 날개지지부(610a, 610b, 610c)에 대응하는 3개의 고정부(640a, 640b, 640c)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재(640)의 일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600)의 날개지지부(610a, 610b, 610c)를 책상 등의 수직면(30)에 각각 접하도록 밀착시킨 다음, 상기 고정부재(640)의 고정부(640a, 640b, 640c)를 그 상측면에 씌워 접착함으로써 모서리 보호부재(600)를 모서리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날개지지부의 내측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1차적으로 접착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640)가 외측으로부터 덮어씌워 2차적으로 접착시킴으로써, 모서리 보호구의 접착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날개지지부(610a, 610b, 610c) 또는 고정부재(640)에는 이탈지가 부착되어 있어 도포된 접착제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모서리 보호구의 구성 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본 고안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모서리 보호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책 또는 가구 등의 모서리를 모서리 보호부재로 감싸 고정시킴으로써 모서리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아이들이 그 모서리에 찢기거나 찔려 안전 사고를 당할 염려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모서리 보호부재의 요홈부 내측면에 충격완화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설령 아이들이 모서리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충격완화부의 작용에 의해 그 충격을 흡수하여 큰 사고의 발생을 미연 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세째, 책의 하드 커버에 씌워지는 모서리 보호구의 경우, 그 모서리 보호부재의 내측 일측면 하단을 라운딩 처리하여 책표지를 덮었을 경우 책속지가 모서리 보호구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특히 책 보관시 커버가 벌어지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네째, 모서리 보호부재를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얇은 고정부재로 씌워 고정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는 바, 모서리 보호구 전체의 밀착력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 자체가 쉽게 이탈되지 않아, 특히 유아 또는 아이들이 쉽게 고정부재를 떼어낼 수 없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내측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부재; 및
    모서리를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의 요홈부에 끼운 후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의 일측면 하단은 내측으로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내부에는 소정의 충격 흡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는 양측에 날개지지부를 구비하여, 모서리 보호부재가 좌우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를 고정시키는 접착지와 상기 접착지의 접착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분할된 3개의 이탈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지의 중간부는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의 돌출부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도록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
  6. 소정의 길이를 갖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구에 있어서,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양측 고정날개부와,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 사이에 구비되고 그 내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충격 완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부를 모서리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양측 고정날개부를 접착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
  7.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구에 있어서,
    내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3개의 고정날개부와, 상기 3개의 고정날개부가 상호 연결되는 중심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측면 에 돌출부가 형성된 충격 완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부를 모서리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3개의 고정날개부를 접착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
  8.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부재와 그 보호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구에 있어서,
    3군데의 날개지지부와, 상기 3군데의 날개지지부가 상호 연결되는 중심부에 구비되고 그 내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충격 완화부로 이루어진 모서리 보호부재; 및
    모서리를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의 요홈부에 끼운 후 상기 모서리 보호부재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보호구.
KR2020060003012U 2006-02-02 2006-02-02 모서리 보호구 KR200415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012U KR200415283Y1 (ko) 2006-02-02 2006-02-02 모서리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012U KR200415283Y1 (ko) 2006-02-02 2006-02-02 모서리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283Y1 true KR200415283Y1 (ko) 2006-05-03

Family

ID=4176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012U KR200415283Y1 (ko) 2006-02-02 2006-02-02 모서리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2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89B1 (ko) 2017-01-02 2018-03-29 해피창 주식회사 창문틀 모서리 보호 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089B1 (ko) 2017-01-02 2018-03-29 해피창 주식회사 창문틀 모서리 보호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44236A (en) Protector-type cover for furniture corners
US4523745A (en) Protector for lazy-tong fence
WO2003059154A3 (en) Site guard for intravenous sites and other sensitive areas
US20090189045A1 (en) Edge Protector
US6708941B1 (en) Attachment of furniture safety cushion via elastomeric carrier loop
CN105050454A (zh) 用于可调节床的垫框附接系统
WO2001072174A3 (en) Protective guard for furniture leg
KR20150085470A (ko) 보호 마스크
AU2001247798B2 (en) Bed frame shields
US20080034499A1 (en) Protective pads for cribs and child safety devices
KR200415283Y1 (ko) 모서리 보호구
US20090211023A1 (en) Crib slat covers
US20060207482A1 (en) Activity pad for tables
US20080111043A1 (en) Padding protective arrangement for furniture
US20130331887A1 (en) Pacifier with protective shield
EP1827340B1 (en) Absorbent pad
CN205686836U (zh) 一种产品包装盒
US7441740B2 (en) Corner protector
WO2020116746A1 (ko) 가구 코너용 안전캡
KR101699403B1 (ko) 물티슈 포장용기용 접착 커버
US8356788B2 (en) Corner protector
KR200391973Y1 (ko) 책의 모서리에 의한 부상 방지용 보호대
CN215961493U (zh) 一种输液瓶的保护装置
JPS5829977Y2 (ja) 子供用整理ダンス
CN220778990U (zh) 一种舞蹈训练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