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645A - 모서리안전쿠션 - Google Patents
모서리안전쿠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4645A KR20180064645A KR1020160164756A KR20160164756A KR20180064645A KR 20180064645 A KR20180064645 A KR 20180064645A KR 1020160164756 A KR1020160164756 A KR 1020160164756A KR 20160164756 A KR20160164756 A KR 20160164756A KR 20180064645 A KR20180064645 A KR 201800646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surface
- safety cushion
- edge
- corn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서리 안전쿠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제1 접촉면과, 상기 제1 접촉면과 서로 사이각을 이루도록 위치하는 제2 접촉면과,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내측면; 및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을 연결하는 외측면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물체의 모서리각이 직각인 모서리뿐만 아니라 모서리각이 예각 및 둔각인 모서리를 커버하여 모서리를 이루는 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아울러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모서리 안전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생활하는 주거 공간이나 사무실에는 가구 및 사무 기기 등이 구비된다. 가구나 사무 기기 등에는 면과 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있다. 주거 공간이나 사무실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부주의로 가구나 사무 기기 등의 모서리에 부딪히게 될 경우 그 충돌로 인하여 사람이 상처를 입게 된다. 특히 어린 아이의 경우 종종 식탁이나 책상 모서리에 부딪혀 상처를 입게 된다.
이와 같이 모서리에 의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모서리를 커버하는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모서리를 커버하는 기구의 일예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0961호에 "안전 모서리 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3215호에 "모서리 보호대 및 그에 결합되는 캡"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안전 모서리 보호대는 직각을 이루는 내측변과, 그 내측변과 이어지는 외측변을 포함하며, 그 내측변과 외측변 사이에 다수 개의 탄성작동공들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안전 모서리 보호대는, 내측변(면)이 각(직각)을 이루는 하나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모서리각이 직각인 모서리를 감싸면서 부착된 경우 모서리 보호대에 변형 응력이 작용하지 않아 모서리 보호대가 잘 부착되어 있지만 모서리각이 예각이나 둔각인 모서리를 감싸면서 부착된 경우 모서리 보호대에 변형 응력이 작용하여 쉽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모서리 보호대 및 그에 결합되는 캡"에 개시된 모서리 보호대는 직각을 이루며, 경질 재질로 형성된 내측변; 상기 내측변과 이어지며, 연질 재질로 형성된 외측변; 상기 내측변과 외측변 사이에 구비되는 원기둥 및 반원 기둥 형상의 돌기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서리 보호대는, 내측변(면)이 각(직각)을 이루며 경질 재질로 형성된 하나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모서리각이 직각인 모서리를 감싸면서 부착된 경우 모서리 보호대에 변형 응력이 작용하지 않아 견고하게 잘 부착되어 있지만 모서리각이 예각이나 둔각인 모서리를 감싸면서 부착된 경우 모서리 보호대에 변형 응력이 작용하여 내측변이 모서리를 이루는 면들로부터 쉽게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모서리각이 직각인 모서리뿐만 아니라 모서리각이 예각 및 둔각인 모서리를 커버하고 그 모서리를 이루는 면들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모서리 안전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작이 쉬운 모서리 안전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접촉면과, 상기 제1 접촉면과 서로 사이각을 이루도록 위치하는 제2 접촉면과,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내측면; 및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을 연결하는 외측면을 포함하는 모서리 안전쿠션이 제공된다.
상기 내측면의 연결면에 설정된 두께와 길이를 갖는 탄성 리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리브는 복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면의 연결면은 오목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면의 연결면은 복수 개의 평면이 연결된 다각통 형상으로, 그 다각 통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에 접착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이 물체의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물체에 부착되면 사람이 물체의 모서리에 부딪히지 않고 모서리 안전쿠션에 부딪히게 되므로 상기 모서리 안전쿠션이 충격을 흡수하게 될 뿐만 아니라 모서리 안전쿠션의 연결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사람에게 충격이 작게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면에 탄성 리브가 구비된 경우 그 탄성 리브(들)가 휘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충격 흡수 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본 고안은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에 연결면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므로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각을 작아지게 하거나 커지게 할 때 모서리 안전쿠션에 변형 응력이 최소화되거나 변형 응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모서리각이 직각인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에 제1,2 접촉면이 각각 부착된 경우는 물론 모서리각이 예각이나 둔각인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에 제1,2 접촉면이 각각 부착된 경우에도 모서리 안전쿠션에 변형 응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최소화되어 제1,2 접촉면이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 형상이 간단하게 되므로 모서리 안전쿠션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 제작이 간단하고 아울러 제작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면에 탄성 리브가 구비되므로 모서리 안전쿠션을 모서리에 부착시킬 때 모서리 끝이 탄성 리브에 접촉되도록 부착시키면 되므로 모서리 안전쿠션을 모서리에 부착하기가 쉽다.
제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모서리 안전쿠션을 구성하는 제1 접촉면과 외측면이 만나는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탄성 리브가 복수 개 구비된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연결면이 다각통 형상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가 모서리각이 예각인 모서리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가 모서리각이 둔각인 모서리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모서리 안전쿠션을 구성하는 제1 접촉면과 외측면이 만나는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탄성 리브가 복수 개 구비된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연결면이 다각통 형상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가 모서리각이 예각인 모서리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가 모서리각이 둔각인 모서리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1 실시예는 설정된 길이와 단면적을 갖는 몸체로서, 내측면(IF)과, 외측면(OF), 양측면(SS)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면(IF)은 제1 접촉면(10)과, 상기 제1 접촉면(10)과 사이각을 이루도록 위치하는 제2 접촉면(20)과, 상기 제1 접촉면(10)과 제2 접촉면(20)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접촉면(10)과 상기 제2 접촉면(20)을 연결하는 연결면(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면(10)과 제2 접촉면(20)은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1)(2)에 각각 접촉된다. 상기 제1,2 접촉면(10)(20)은 각각 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2 접촉면(10)(20)은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면(30)은 상기 제1 접촉면(10)의 내측변(11)과 상기 제2 접촉면(20)의 내측변(21)을 연결한다. 상기 내측면(IF)의 연결면(30)은 오목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 곡면은 일부분이 절개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면(30)는 복수 개의 평면이 연결된 다각통 형상으로 그 다각 통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OF)은 상기 제1 접촉면(10)의 외측변(12)과 상기 제2 접촉면(20)의 외측변(22)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면(30)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외측면(OF) 부분은 일정 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촉면(10)과 상기 외측면(OF) 사이에 위치한 몸체 부분(A)은 상기 제1 접촉면(10)의 외측변(12)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촉면(10)과 외측면(OF)이 만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접촉면(10)과 외측면(OF)이 만나는 부분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각을 이루도록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면(20)과 상기 외측면(OF) 사이에 위치한 몸체 부분(B)은 상기 제2 접촉면(20)의 외측변(22)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촉면(20)과 외측면(OF)이 만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접촉면(20)과 외측면(OF)이 만나는 부분은 예각을 이루도록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면(10)과 제2 접촉면(20)에 각각 접착수단(T)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수단(T)은 양면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수단(T)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접착수단(T)은 상기 제1,2 접촉면(10)(20)에 각각 도포된 접착제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1 실시예는 탄성력을 갖는 연질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질 재질로 합성 수지인 연질 EVA(Ethyene Vinyl Acet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서리 안전쿠션은 투명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제2 실시예는 내측면(IF)과 외측면(OF)과, 양측면(SS)을 갖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IF)에 구비된 탄성 리브(2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IF)은 제1 접촉면(10)과, 상기 제1 접촉면(10)과 사이각을 이루도록 위치하는 제2 접촉면(20)과, 상기 제1 접촉면(10)과 제2 접촉면(20)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접촉면(10)과 상기 제2 접촉면(20)을 연결하는 연결면(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면(10)과 제2 접촉면(20)은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1)(2)에 각각 접촉된다. 상기 제1,2 접촉면(10)(20)은 각각 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2 접촉면(10)(20)은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면(30)은 상기 제1 접촉면(10)의 내측변(11)과 상기 제2 접촉면(20)의 내측변(21)을 연결한다.
상기 내측면(IF)의 연결면(30)은 오목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 곡면은 일부분이 절개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면(OF)은 상기 제1 접촉면(10)의 외측변(12)과 상기 제2 접촉면(20)의 외측변(22)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면(30)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외측면(OF) 부분은 일정 반경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접촉면(10)과 상기 외측면(OF) 사이에 위치한 몸체 부분(A)은 상기 제1 접촉면(10)의 외측변(12)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촉면(10)과 외측면(OF)이 만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접촉면(10)과 외측면(OF)이 만나는 부분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각을 이루도록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면(20)과 상기 외측면(OF) 부분 사이에 위치한 몸체 부분(B)은 상기 제2 접촉면(20)의 외측변(22)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촉면(20)과 외측면(OF)이 만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접촉면(20)과 외측면(OF)이 만나는 부분은 예각을 이루도록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리브(2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IF)을 이루는 연결면(30)에 구비된다. 상기 탄성 리브(200)는 상기 연결면(30)에서 일정 길이(높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상기 탄성 리브(200)의 두께는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리브(200)는 상기 연결면(30)의 가운데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리브(200)의 끝은 상기 연결면(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모서리의 끝이 위치할 경우 그 모서리 끝부분이 접촉된다. 상기 모서리의 끝부분이 상기 탄성 리브(200)의 끝에 접촉될 때 그 모서리의 끝이 위치하는 최적의 위치이다. 상기 모서리 안전쿠션이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1)(2)에 접착될 때 그 모서리의 끝부분이 상기 탄성 리브(200)의 끝에 접촉되도록 접착된다. 상기 탄성 리브(200)는 외력이 가해질 때 휘어지면서 그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며, 또한 설치시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 리브(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리브(200)가 두 개일 경우 한 개의 탄성 리브(200)는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에 각각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리브(200)는 세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리브(200)가 세 개 이상일 경우 그 탄성 리브(200)들의 간격은 서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의 내측면(IF)을 이루는 연결면(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평면이 연결된 다각통 형상으로, 그 다각 통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리브(200)(들)는 다각통 형상을 이루는 면과 면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촉면(10)과 제2 접촉면(20)에 각각 접착수단(T)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수단(T)은 양면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수단(T)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접착수단(T)은 상기 제1,2 접촉면(10)(20)에 각각 도포된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모서리 안전쿠션, 즉 몸체(100)와 탄성 리브(200)는 탄성력을 갖는 연질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질 재질로 합성 수지인 연질 EVA(Ethyene Vinyl Acet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와 탄성 리브(200)는 투명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식탁의 모서리는 두 개의 면(1)(2)이 만나서 이루어지며, 그 두 개의 면(1)(2)사이의 각을 모서리각이라 한다. 책상이나 식탁 등의 모서리를 이하에서 물체의 모서리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은 제1 접촉면(10)과 제2 접촉면(20)이 물체의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1)(2)에 각각 접착수단(T)에 의해 부착된다. 이때, 물체의 모서리의 끝은 연결면(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물체의 모서리에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이 부착된 상태에서 사람, 특히 어린 아이가 물체에 부딪히게 될 경우 물체의 모서리에 부딪히지 않고 모서리를 커버한 모서리 안전쿠션에 부딪히게 된다. 상기 모서리 안전쿠션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모서리 안전쿠션이 충격을 흡수하게 될 뿐만 아니라 모서리 안전쿠션의 연결면(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이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어린 아이에게 충격이 작게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면(30)에 탄성 리브(200)가 구비된 경우 그 탄성 리브(200)(들)가 휘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충격 흡수 효과가 더 커지게 된다.
본 고안은 제1 접촉면(10)과 제2 접촉면(20) 사이에 연결면(30)에 의해 공간(S)이 형성되므로 제1 접촉면(10)과 제2 접촉면(20) 사이의 사이각을 작아지게 하거나 커지게 할 때 모서리 안전쿠션에 변형 응력이 최소화되거나 변형 응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모서리각이 직각인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1)(2)에 제1,2 접촉면(10)(20)이 각각 부착된 경우는 물론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각이 예각이나 둔각인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1)(2)에 제1,2 접촉면(10)(20)이 각각 부착된 경우에도 모서리 안전쿠션에 변형 응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최소화되어 제1,2 접촉면(10)(20)이 물체의 모서리를 이루는 두 개의 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붙어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탄성작동공 또는 원통형 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게 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모서리 안전쿠션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 형상이 간단하여 모서리 안전쿠션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 제작이 간단하고 아울러 제작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연결면(30)에 탄성 리브(200)가 구비되므로 모서리 안전쿠션을 물체의 모서리에 부착시킬 때 모서리 끝이 탄성 리브(200)에 접촉되도록 부착시키면 되므로 모서리 안전쿠션을 물체의 모서리에 부착하기가 쉽다.
또한, 본 고안은 연질 EVA로 이루어지므로 무독성이어서 인체에 무해하다. 아울러, 재질의 경도 조절이 쉽다. 본 고안이 투명한 연질 EVA로 이루어진 경우 미관이 좋다.
위에서, 본 고안의 모서리 안전쿠션이 식탁이나 책상의 모서리에 부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모서리 안전쿠션은 모서리가 구비된 물체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10; 제1 접촉면 20; 제2 접촉면
30; 연결면 IF; 내측면
OF; 외측면 100; 몸체
200; 탄성 리브 T; 접착수단
30; 연결면 IF; 내측면
OF; 외측면 100; 몸체
200; 탄성 리브 T; 접착수단
Claims (5)
- 제1 접촉면과, 상기 제1 접촉면과 서로 사이각을 이루도록 위치하는 제2 접촉면과,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내측면; 및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을 연결하는 외측면을 포함하는 모서리 안전쿠션.
상기 내측면의 연결면에 설정된 두께와 길이를 갖는 탄성 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안전쿠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의 연결면에 설정된 두께와 길이를 갖는 탄성 리브가 복수 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안전쿠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의 연결면은 오목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안전쿠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곡면은 일부분이 절개된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안전쿠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의 연결면은 복수 개의 평면이 연결된 다각통 형상이며, 그 다각 통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안전쿠션.
제 1 항의 상기 모서리 안전쿠션은 투명인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안전쿠션. - 제 1 항의 상기 모서리 안전쿠션은 연질 EV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안전쿠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에 접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안전쿠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756A KR20180064645A (ko) | 2016-12-06 | 2016-12-06 | 모서리안전쿠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756A KR20180064645A (ko) | 2016-12-06 | 2016-12-06 | 모서리안전쿠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4645A true KR20180064645A (ko) | 2018-06-15 |
Family
ID=6262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4756A KR20180064645A (ko) | 2016-12-06 | 2016-12-06 | 모서리안전쿠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64645A (ko) |
-
2016
- 2016-12-06 KR KR1020160164756A patent/KR20180064645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103707A1 (en) | Helmet with external shock wave dampening panels | |
US4153230A (en) | Baby bumpers | |
US4999233A (en) | Protective guard member | |
JPS62500037A (ja) | 衝撃減衰構造 | |
USD942700S1 (en) | Impact absorbing lattice | |
USD946105S1 (en) | Amusement apparatus | |
US20160029732A1 (en) | Head Protection Assembly | |
KR20180064645A (ko) | 모서리안전쿠션 | |
KR102175985B1 (ko) | 가구용 코너안전캡 | |
KR100863215B1 (ko) | 모서리 보호대 및 그에 결합되는 캡 | |
KR20120002388U (ko) | 모서리 안전대 | |
KR200476180Y1 (ko) | 코너 보호대 | |
US8356788B2 (en) | Corner protector | |
KR200368871Y1 (ko) | 모서리용 충격방지 보호대 | |
KR200475940Y1 (ko) | 다목적 프레임 | |
US20050217205A1 (en) | Corner protector | |
KR102118712B1 (ko) | 간이 보호 모자 | |
KR200386643Y1 (ko) | 가구용 모서리 보호구 | |
KR20090082852A (ko) | 모서리보호대 | |
JP3199592U (ja) | ソフトコーナーガード | |
KR200404578Y1 (ko) | 책상 상판의 테두리 보호구조 | |
KR20100107152A (ko) | 모서리보호대 | |
JPS5829976Y2 (ja) | 負傷防止用保護コ−ナ− | |
TWI639401B (zh) | 防撞角 | |
KR200474963Y1 (ko) | 코르크로 제작된 헬멧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