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80Y1 - 코너 보호대 - Google Patents

코너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80Y1
KR200476180Y1 KR2020140005032U KR20140005032U KR200476180Y1 KR 200476180 Y1 KR200476180 Y1 KR 200476180Y1 KR 2020140005032 U KR2020140005032 U KR 2020140005032U KR 20140005032 U KR20140005032 U KR 20140005032U KR 200476180 Y1 KR200476180 Y1 KR 200476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wall
corner
corner protec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현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오수현
주식회사 늘푸른 가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현, 주식회사 늘푸른 가게 filed Critical 오수현
Priority to KR2020140005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adapted for cushioning impa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너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구조물의 기둥, 벽, 가구 등의 모서리부분 및 평평한 벽면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코너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벽면 또는 벽면 모서리 코너에 설치되어 신체가 부딪치게 될 시 충격을 완화해주는 연질의 PVC재질로 이루어진 코너 보호대에 있어서, 내부에는 양측이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접이홈(11)이 형성된 중앙접이부(10); 상기 중앙접이부(10)의 좌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 제2, 제충격흡수공(21a)(21b)(21c)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1쿠션부(20); 상기 중앙접이부(10)의 우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4, 제5, 제6충격흡수공(31a)(31b)(31c)들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2쿠션부(30); 및 상기 제1 및 제2쿠션부(20)(30)의 각 하부에 결합되며, 벽면에 밀착되어 고정볼트(60)로 고정되어 제1 및 제2쿠션부(20)(30)를 지지해주는 고정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보호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너 보호대{CORNER PROTECTION UNIT}
본 고안은 코너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구조물의 기둥, 벽, 가구 등의 모서리부분 또는 평평한 벽면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코너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이용하는 모든 건축물의 내부에는 기둥, 벽, 가구 등에 의해서 곳곳에 직각을 이루는 모서리가 많이 있고, 기 모서리에 사람들이 부딪쳐 크게 부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모서리는 면과 면이 만나 뾰족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부딪치는 경우에는 벽면에 부딪힐 경우보다 더 큰 충격을 받아 부상의 정도가 더욱 심각하다.
특히. 유아인 경우에는 신체가 완전히 발달하지 못하여 신체가 연약할 뿐만 아니라 신체의 균형감각이 낮으며, 전체신체에서 머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넘어지면 건축물의 가구나 벽면 또는 모서리에 머리가 부딪쳐 심하게 다칠 수가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벽면이나 모서리부위에 부딪히더라도 안전하게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보호대를 벽면이나 모서리부위에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모서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모서리용 보호대가 개발되었고, 개발된 종래의 모서리용 보호대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20961호의 “안전 모서리 보호대”가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안전 모서리 보호대(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독성 PVC재질로 압출성형되어 이루어지는데, 그 몸체(a)의 외측변이 만나는 부위는 라운드지면서 내측변이 만나는 부위는 각이 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a)의 중간부에는 복수의 탄성 작동공(b)이 관통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몸체(a)의 내측변 양단부에는 밀착성 향상을 위해 안쪽으로 각각 밀착돌기(c)가 돌출 형성되어 도 2의 단면도와 같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물질이 잘 묻어나지 않고 이물질이 묻은 경우에도 걸레 등으로 쉽게 지울 수 있어 오랫동안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된 것을 해체하여도 변형이 없어 양면 테이프(d)만 교체하여도 재활용할 수 있으며, 그 몸체의 내부에 탄성 작동공이 형성되어있어 탄성력을 오래도록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모서리 보호대는 온도에 의한 신축력이 큰 연질의 합성수지로만 이루어진 것이어서 부착부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한 경우 기둥 등의 모서리에서 잘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또한, 모서리 보호대의 부착부를 볼트로 고정할 경우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찢어져 손상되거나 밀려서 빠져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하여, 모서리 보호대의 부착부를 볼트로 고정할 경우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볼트의 머리가 보호대의 외측면으로 노출되어 피부가 연약한 유아의 신체가 부딪힐 경우 심하게 다치는 것은 물론 외관상으로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20961호(명칭: 안전 모서리 보호대)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863215호(명칭 : 모서리 보호대)가 등록된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격흡수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쿠션부, 접이홈이 형성된 중앙접이부,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고정판, 고정볼트,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진 코너 보호대를 제공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제2목적은 상기 중앙접이부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쿠션부를 접어주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여 'ㄱ'자 형상을 갖는 모서리뿐만 아니라 평평한 벽면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상기 제1 및 제2쿠션부의 하단에 고정판을 결합시켜 벽면 모서리 또는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되어 보호대를 지탱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고정판의 하단에 양면테이프를 구비시켜 더욱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설치할 경우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볼트의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가 연약한 유아의 신체가 부딪힐 경우 심하게 다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관상 미려함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벽면 또는 벽면 모서리 코너에 설치되어 신체가 부딪치게 될 시 충격을 완화해주는 연질의 PVC재질로 이루어진 코너 보호대에 있어서, 내부에는 양측이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접이홈이 형성된 중앙접이부; 상기 중앙접이부의 좌측으로 연하여 구비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 제2, 제3충격흡수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1쿠션부; 상기 중앙접이부의 우측으로 연하여 구비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4, 제5, 제6충격흡수공들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2쿠션부; 및 상기 제1 및 제2쿠션부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벽면에 밀착되어 고정볼트로 고정되어 제1 및 제2쿠션부를 지지해주는 제1 및 제2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보호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는 중앙접이부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쿠션부를 90°각으로 접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펼칠 수 있어 'ㄱ'자 형상의 벽면 모서리뿐만 아니라 평평한 벽면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에 제1 및 제2고정판을 구비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됨과 아울러 견고하게 벽면 모서리 또는 벽면에 고정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볼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가 연약한 유아의 신체가 부딪힐 경우 심하게 다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관상 미려함을 갖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코너 보호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 전체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가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가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가 벽면에 설치된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코너 보호대(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모서리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신체가 부딪치게 될 시 충격을 완화해주는 연질의 PVC재질로 이루어진 코너 보호대(100)가 구비되되, 상기 코너 보호대(100)는 크게 중앙접이부(10), 제1쿠션부(20), 제2쿠션부(30), 고정판(40), 양면테이프(5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중앙접이부(10)의 내부에는 양측이 용이하게 휘어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접이홈(11)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접이부(10)를 기준으로 상기 제1쿠션부(20)와 제2쿠션부(30)가 용이하게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중앙접이부(10)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연하여 위치되는 제1 및 제2쿠션부(20)(30)가 용이하게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로 형성된 벽체 모서리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쿠션부(20)는 중앙접이부(10)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되되, 내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시켜 완화해주는 다수의 제1, 제2, 제3충격흡수공(21a)(21b)(21c)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충격흡수공(21a)과 제2충격흡수공(21b)의 사이에는 고정볼트(60)가 삽입설치되도록 관통된 볼트삽입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삽입홈(22)의 상단에는 고정볼트(60)가 볼트삽입홈(22)으로 눌림에 의해 밀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굴곡진 라운드부(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쿠션부(30)는 중앙접이부(10)를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되되, 내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시켜 완화해주는 다수의 제4, 제5, 제6충격흡수공(31a)(31b)(31c)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충격흡수공(31a)과 제5충격흡수공(31b)의 사이에는 고정볼트(60)가 삽입설치되도록 관통된 볼트삽입홈(32)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삽입홈(32)의 상단에는 고정볼트(60)가 볼트삽입홈(32)으로 눌림에 의해 밀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굴곡진 라운드부(32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쿠션부(20)와 제2쿠션부(30)는 서로 동일한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져 중앙접이부(10)를 기준으로 대칭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40)의 양끝단에는 제1 및 제2쿠션부(20)(30)의 각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다리(23)(33)에 장착되도록 슬라이드 홈(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40)의 하단에는 벽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양면테이프(50)가 더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코너 보호대의 구체적인 설치방법과 작용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100)를 벽면 모서리(1)에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중앙접이부(10)를 기준으로 제1쿠션부(20)와 제2쿠션부(30)를 “ㄱ”자 형상의 벽면 모서리(1)와 동일한 90°각으로 접은 상태에서 제1쿠션부(20)의 하단에 결합된 고정판(40)을 벽면 모서리(1)의 일면에 밀착시키고 제2쿠션부(30)의 하단에 결합된 고정판(40)을 벽면 모서리(1)의 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60)를 각 볼트삽입홈(22)(32)에 밀어 넣어 삽입되도록 벽면 모서리(1)에 고정설치시키는데, 이때, 상기 고정판(40)의 하단에는 양면테이프(50)가 구비되어있어 고정볼트(60)를 설치하기 이전에 양면테이프(50)를 이용하여 벽면 모서리(1)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60)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100)를 평평한 벽면(2)에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중앙접이부(10)의 좌/우측에 구비된 제1 및 제2쿠션부(20)(30)가 수평을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로 구비시킨 다음 제1 및 제2쿠션부(20)(30)의 각 하단에 결합된 상기 고정판(40)을 벽면(2)에 밀착시킨 후 고정볼트(60)를 각 볼트삽입홈(22)(32)에 밀어 넣어 삽입되도록 벽면(2)에 고정설치시키는데, 이때, 상기 고정판(40)의 각 하단에는 양면테이프(50)가 구비되어있어 고정볼트(60)를 설치하기 이전에 양면테이프(50)를 이용하여 평평한 벽면(2)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60)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100)는 중앙접이부(10)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쿠션부(20)(30)를 90°각으로 접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펼칠 수 있어 'ㄱ'자 형상의 벽면 모서리(1)뿐만 아니라 평평한 벽면(2)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100)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판(40)을 구비시켜 코너 보호대(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해줌과 아울러 견고하게 벽면 모서리(1) 또는 평평한 벽면(2)에 고정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코너 보호대(10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볼트(6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가 연약한 유아의 신체가 부딪힐 경우 심하게 다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관상 미려함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 코너 보호대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 - 중앙접이부 20 - 제1쿠션부
30 - 제2쿠션부 40 - 고정판
50 - 양면테이프 100 - 코너 보호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벽면 또는 벽면 모서리 코너에 설치되어 신체가 부딪치게 될 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내부에는 양측이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접이홈(11)이 형성된 중앙접이부(10)와, 상기 중앙접이부(10)의 좌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1, 제2, 제3충격흡수공(21a)(21b)(21c)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1쿠션부(20)와, 상기 중앙접이부(10)의 우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4, 제5, 제6충격흡수공(31a)(31b)(31c)들이 관통되어 형성된 제2쿠션부(30) 및 상기 제1 및 제2쿠션부(20)(30)의 각 하부에 결합되며, 벽면에 밀착되어 고정볼트(60)로 고정되어 제1 및 제2쿠션부(20)(30)를 지지해주는 고정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너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부(20)와 제2쿠션부(30)의 각 하단에는 고정판(4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1)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다리(23)(33)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40)의 양끝단에는 제1 및 제2쿠션부(20)(30)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다리(23)(33)에 각각 결합되도록 슬라이드홈(4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벽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양면테이프(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보호대.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5032U 2014-07-03 2014-07-03 코너 보호대 KR200476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32U KR200476180Y1 (ko) 2014-07-03 2014-07-03 코너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32U KR200476180Y1 (ko) 2014-07-03 2014-07-03 코너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180Y1 true KR200476180Y1 (ko) 2015-02-05

Family

ID=5259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032U KR200476180Y1 (ko) 2014-07-03 2014-07-03 코너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294A (ko) 2019-10-07 2021-04-15 김주현 코너 보호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637Y1 (ko) 2007-01-04 2007-09-13 김근철 칼라 모서리 보호대
KR100863215B1 (ko) 2007-05-04 2008-10-13 정도영 모서리 보호대 및 그에 결합되는 캡
KR20080109426A (ko) * 2007-06-13 2008-12-17 정도영 다각도 모서리용 보호대
KR20110003524U (ko) * 2009-10-02 2011-04-08 이승민 안전 모서리 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637Y1 (ko) 2007-01-04 2007-09-13 김근철 칼라 모서리 보호대
KR100863215B1 (ko) 2007-05-04 2008-10-13 정도영 모서리 보호대 및 그에 결합되는 캡
KR20080109426A (ko) * 2007-06-13 2008-12-17 정도영 다각도 모서리용 보호대
KR20110003524U (ko) * 2009-10-02 2011-04-08 이승민 안전 모서리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294A (ko) 2019-10-07 2021-04-15 김주현 코너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50244T3 (es) Protector de estanterías
KR200476180Y1 (ko) 코너 보호대
KR101499459B1 (ko) 조립식 안전 볼라드
ES2659071T3 (es) Estructura protectora para tabiques de placas
KR100863215B1 (ko) 모서리 보호대 및 그에 결합되는 캡
KR20080109426A (ko) 다각도 모서리용 보호대
KR200475940Y1 (ko) 다목적 프레임
KR200433327Y1 (ko) 건물용 주차 보호대
KR101346665B1 (ko) 코너 모서리 보호대
KR101757892B1 (ko) 주차장의 차량문짝 보호장치
US20070169995A1 (en) Ladder with cushioning pad
KR200435618Y1 (ko) 가구 모서리 보호구
KR200460839Y1 (ko) 안전 모서리 보호대
KR200483425Y1 (ko) 지진에 내구성을 가지는 복층유리
KR101393241B1 (ko) 모서리보호대
KR20090082852A (ko) 모서리보호대
KR102175985B1 (ko) 가구용 코너안전캡
KR100943536B1 (ko) 다양한 각도에 적용 가능한 충격완화용 부재
KR200368871Y1 (ko) 모서리용 충격방지 보호대
ES2717676T3 (es) Guía corrediza con un elemento amortiguador
CN211533460U (zh) 一种便于拆卸的柱角防撞条
KR20100107152A (ko) 모서리보호대
KR20190001214A (ko) 모서리 보호구
KR200386643Y1 (ko) 가구용 모서리 보호구
KR200378487Y1 (ko) 충격방지용 보호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