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136B1 -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136B1
KR100896136B1 KR1020080027560A KR20080027560A KR100896136B1 KR 100896136 B1 KR100896136 B1 KR 100896136B1 KR 1020080027560 A KR1020080027560 A KR 1020080027560A KR 20080027560 A KR20080027560 A KR 20080027560A KR 100896136 B1 KR100896136 B1 KR 10089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point
line
vector
inter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명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08002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136B1/ko
Priority to PCT/KR2008/003804 priority patent/WO200911994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2Guidance using simplified or iconic instructions, e.g. using arr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는 경로를 이루는 경로선 포인트 중 적어도 일부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고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을 3D 맵상에 표현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27560
경로선, 포인트, 유턴, 스트레이트화, 3D맵.

Description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ATH DISPLAYING OF 3D VECTOR ENLARGEMENT DRAWING}
본 발명은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로를 이루는 경로선 포인트 중 적어도 일부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고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을 3D 맵상에 표현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치 추적 장치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여 표현하는 경로 표현 단말기가 일반화 되게 되었다. 이러한 경로 표현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GPS를 사용하여 경로 표현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목적지와 경로 표현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지도 정보를 검색하여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여 표현하게 된다.
이때, 경로 표현 단말기는 대부분의 경우에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위치와 진행 경로를 탐색하는 것에 사용되므로 경로 표현 단말기에 저장되는 지도 정보 역시 차량이 이동 가능한 도로를 기준으로 생성된 지도 정보가 사용된다. 따라서, 실제 도로는 직선 도로임에도 차량이 이동 가능한 중앙선이 있는지, 아니면 차량이 이동 불가능한 차단부가 있는지에 따라 경로가 다르게 표현될 가능성도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경로 표현 단말기에서 실제 도로와 경로의 형태가 다른 도로 구간의 일례이다.
종래의 2D 경로 표현 단말기에서 실제 도로와 경로의 형태가 다른 도로 구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행선(111)과 하행선(112)의 사이에 차량이 이동할 수 없는 차단부(113)가 생성되어 있으며 다른 도로와의 분기점을 통과하기 전에 차단부(113)가 없이 중앙선(114)가 표현된 실제 도로(110)를 2D 경로 표현 단말기에서 생성한 경로가 통과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때, 2D 경로 표현 단말기는 차량의 이동 가능한 구간과 이동 불가능한 구간을 구별하여 2D이미지 맵을 생성하므로, 실제 도로(110)에 대한 맵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행선(121)와 하행선(122)사이에 차단부(123)를 표현하여 상행 일방 통행 도로와 하행 일방 통행 도로의 두 가지 도로가 평행한 것처럼 2D 이미지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D 경로 표현 단말기는 중앙선(114)을 차량이 통과 가능한 구간으로 판단하므로 중앙선(114)이 표현된 구간이 있으면 두 가지 도로가 합쳐지는 결합 도로(124)로 이미지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 경로(125)는 직선 도로인 실제 도로(110)을 통과함에도 불구하고 상행선(121)과 결합 도로(124)를 통과하는 굴곡이 형성된 경로가 될 수 있었다.
또한, 도로의 형태에 따라서는 다른 도로에 근접할 정도로 굴곡이 심하면서도 다른 도로와의 교차점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다른 도로와의 교차점이 없는 도로라는 것을 알려주는 방법이 없어 경로 표현 단말기에 표현되는 2D 이미지 맵을 본 사용자가 교차점을 찾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경로에 따라 유턴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종래의 경로 표현 단말기는 유턴 전의 경로와 유턴 후의 경로가 겹치거나 인접하여 유턴을 해야 하는 지점의 식별이 불편하다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도 2는 종래의 경로 표현 단말기에서 표현되는 유턴 구간의 일례이다.
종래의 2D 경로 표현 단말기에서 유턴 구간(2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턴하기 전의 경로(202)와 유턴한 이후의 경로(203)가 일직선으로 동일한 위치에 표현되고, 이 동일한 위치에 표현된 경로 위에 경로 표현 단말기의 위치(204)가 표현되므로 정확한 유턴 지점의 확인이 어려울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경로상의 도로 포인트에 따라 방향 벡터를 생성하여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경로가 도로의 교차점 위주로 표현되므로 도로의 교차로가 없는 구간을 교차로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3D 맵상에서 경로의 진행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경로를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느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있을 것이라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턴해야 하는 지점을 차별화하여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턴하는 지점을 명확히 인식시키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는 경로를 이루는 경로선 포인트 중 적어도 일부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고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을 3D 맵상에 표현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로 생성부는 교차점인 첫 번째 포인트와 다른 교차점인 마지막 포인트 사이의 도로가 1차선 또는 2차선이면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로 생성부는 교차점인 첫 번째 포인트와 다른 교차점인 마지막 포인트 사이의 도로가 1차선 또는 2차선이면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첫 번째 포인트의 바로 다음 포인트인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스트레이트화 된 경로선의 진행 방향이 교차점을 기준으로 어떤 방향인지에 따라 경로선의 위치를 도로 중심에서 경로 진행 방향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생성된 경로에 유턴하는 지점이 있으면, 유턴 텍스쳐 매핑 방식을 사용하여 유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은 3D 벡터 확대도의 차량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로에 포함된 경로선 포인트 중에 일부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고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을 3D 맵상에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로상의 도로 포인트에 따라 방향 벡터를 생성하여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경로가 도로의 교차점 위주로 표현되므로 도로의 교차로가 없는 구간을 교차로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맵상에서 경로의 진행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경로를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느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있을 것이라는 정보를 지속 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턴해야 하는 지점을 차별화하여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턴하는 지점을 명확히 인식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일례다.
위치 확인부(301)는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를 확인하여 맵 데이터베이스(302)로 전송하고, 맵 데이터베이스(302)는 수신한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맵 데이터를 경로 생성부(303)로 전송하며, 경로 생성부(303)는 수신한 맵 데이터를 텍스쳐 맵핑하여 3D 맵을 생성하고, 상기 3D 맵상에 일반 경로선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이 생성한 경로는 경로상에서 일정 간격마다 생성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 리스트로 구성된 선형 데이터인 경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인트는 하나이상의 도로가 만나는 교차로에는 반드시 생성되며 하나의 포인트 리스트는 하나의 교차로에서 다른 교차로 사이에 생성된 포인트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경로선을 구성하는 포인트들 중에서 상기 교차로에 생성된 포인트를 검색하고, 상기 교차로에 생성된 포인트를 교차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경로선을 구성하는 포인트 리스트를 입력 받아 도로의 특성에 따라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 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이 스트레이트화 하는 방식은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의 첫 번째 포인트와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 또는 다른 교차점을 나타내는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스트레이트화하는 방법과,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첫 번째 포인트의 바로 다음 포인트인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스트레이트화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도로의 특성을 고려하여 1~2차선의 작은 도로인 경우는 첫 번째 포인트와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3차선 이상의 고차선 도로인 경우는 첫 번째 포인트와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303)는 도로의 특성에 따라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과 연결되는 교차점 이후의 경로선을 제2 스트레이트화 한다. 즉,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과 연결되는 교차점을 기준으로 경로선에 대하여 제2 스트레이트화 한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경로의 진행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에 대하여 제1 및 제2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들을 하나의 단위로 스트레이트화 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상기 스트레이트화 된 경로선의 진행 방향이 교차점에서 어느 방향인지에 따라 경로선의 위치를 도로 중심에서 경로 진행 방향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상기 3D 맵상에 일반 경로선 텍스쳐 매핑 방식을 사용하여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을 폴리곤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상기 경로에 유턴 구간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유턴 구간이 있으면, 확인된 유턴 지점에 유턴 텍스쳐 매핑 방식을 사용하여 유턴 경로선을유턴 형상의 폴리곤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는 경로상의 도로 포인트에 따라 방향 벡터를 생성하여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경로가 도로의 교차점 위주로 표현되므로 도로의 교차로가 없는 구간을 교차로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에서 교차점 부분의 경로 표현 일례이다.
경로 생성부(303)는 하나 이상의 차선(401)과 각 차선에서 진행 가능한 방향(402,403)이 표현된 3D맵의 도로상의 교차점에서 경로가 좌회전을 하도록 생성되어 있으면(410), 좌회전이 가능한 차선의 표시(402)를 다른 방향 표시(403)와 다른 색으로 표현하고, 폴리곤으로 형성된 경로선(404)을 상기 3D맵의 도로의 중앙(405)에서 좌측에 치우치도록 표현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경로(404)가 좌회전이 가능한 차선의 표시(402)중에 최소한 하나는 가리지 않는 위치에 표현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하나 이상의 차선(401)과 각 차선에서 진행 가능한 방향(402,403)이 표현된 3D맵의 도로상의 교차점에서 경로가 우회전을 하도록 생성되어 있으면(420), 우회전이 가능한 차선의 표시(403)를 다른 방향 표시(402)와 다른 색으로 표현하고, 폴리곤으로 형성된 경로선(404)을 상기 3D맵의 도로의 중앙(405)에서 우측으로 치우치도록 표현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경로(404)가 우회전이 가능한 차선의 표시(402)중에 최소한 하나는 가리지 않는 위치에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303)는 상기 3D맵의 도로가 직선이 불가능하고 좌회전과 우회전 중에 택일 하는 도로이고, 경로가 우회전을 하도록 생성되면 좌회전이 필요한 도로(406)의 표현을 생략하여 경로 생성부(303)가 텍스쳐 맵핑하는 량을 감소 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경로를 표현하면, 경로의 진행 방향에 따라 경로선을 도로상에서 좌측이나 우측에 치우쳐서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도로상에서의 경로 위치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 회전이 필요한 것을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에서 유턴 경로의 경로 표현 일례이다.
경로 생성부(303)는 하나 이상의 차선(501)과 각 차선에서 진행 가능한 방향(502,503)이 표현된 3D맵의 도로상의 교차점에서 유턴이 설정되어 있으면 유턴이 가능한 차선의 유턴 표시(503)를 다른 방향 표시(502)와 다른 색으로 표현하고, 폴리곤으로 형성된 유턴 경로선(504)을 상기 3D맵의 도로의 중앙과 유턴 표시(503)사이에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유턴 경로선을 표현하면, 유턴을 해야 하는 지점과 유턴을 해야 한다는 내용을 사용자가 인식하기에 용이하고, 사용자에게 유턴이 가능한 차선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삭제
삭제
단계(S601)에서 경로 생성부(303)는 목적지와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간의 경로를 생성한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일반 경로선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303)가 생성한 경로는 경로상에서 일정 간격마다 생성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 리스트로 구성된 선형 데이터인 경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인트는 하나이상의 도로가 만나는 교차로에는 반드시 생성되며, 상기 포인트 리스트는 하나의 교차로에서 다른 교차로 사이에 생성된 포인트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단계(S602)에서 경로 생성부(303)는 단계(S601)에서 생성된 경로선 중에서 교차점을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경로 생성부(303)는 상기 경로선을 구성하는 포인트들 중에서 상기 교차로에 생성된 포인트를 검색하고, 상기 교차로에 생성된 포인트를 교차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단계(S603)에서 경로 생성부(303)는 단계(S602)에서 확인된 교차점 중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교차점과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사이의 경로선을 제1 스트레이트(Straight)화 한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경로선을 구성하는 포인트 리스트를 입력 받아 도로의 특성에 따라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 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이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 하는 방식은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와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 또는 다른 교차점을 나타내는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스트레이트화하는 방법과,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첫 번째 포인트의 바로 다음 포인트인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스트레이트화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303)는 도로의 특성을 고려하여 1~2차선의 작은 도로인 경우에는 첫 번째 포인트와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3차선 이상의 고차선 도로인 경우에는 첫 번째 포인트와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S604)에서 경로 생성부(303)는 단계(S603)에서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과 연결되는 교차점 이후의 경로선을 제2 스트레이트화 한다. 즉,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과 연결되는 경로선에 대하여 교차점을 기준으로 제2 스트레이트화 한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단계(S601)에서 생성된 경로의 진행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로선들을 하나의 단위로 스트레이트화 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이 스트레이트화 하는 방식은 단계(S603)에서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S605)에서 경로 생성부(303)는 단계(S604)에서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로상에 표현되는 경로선의 위치를 보정한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교차점을 기준으로 좌측의 경로선이 단계(S604)에서 스트레이트화 되었으면 도로 중심에서 좌측으로 경로선을 보정하고, 교차점을 기준으로 우측의 경로선이 단계(S604)에서 스트레이트화 되었으면 도로 중심에서 우측으로 경로선을 보정하며, 교차점을 기준으로 직선 방향의 경로선이 단계(S604)에서 스트레이트화 되었으면 경로선을 보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단계(S606)에서 경로 생성부(303)는 단계(S603)에서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을 폴리곤으로 생성한다.
단계(S607)에서 경로 생성부(303)는 단계(S605)에서 보정된 경로선에 따라 3D맵상에 단계(S606)에서 생성한 경로선 폴리곤을 사용하여 경로를 표시한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상기 경로에 유턴 구간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유턴 구간이 있으면, 확인된 유턴 지점에 유턴 텍스쳐 매핑 방식을 사용하여 유턴 경로선을 유턴 형상의 폴리곤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확인된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에 대해서는 도 7, 도 8, 도9, 도10, 및 도11의 일례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첫 번째 포인트와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과정에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일례다.
경로 생성부(303)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701)와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 또는 다른 교차점을 나타내는 마지막 포인트(702)를 포함하며 우측으로 크게 굴곡이 형성된 경로선(703)을 확인하면 첫 번째 포인트(701)와 마지막 포인트(702)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수직 경로(704)로 스트레이트화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303)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705)와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 또는 다른 교차점을 나타내는 마지막 포인트(706)를 포함하며 우측으로 일부 굴곡이 형성된 경로선(707)을 확인하면 첫 번째 포인트(701)와 마지막 포인트(702)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좌측 사선 경로(708)로 스트레이트화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303)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709)와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 또는 다른 교차점을 나타내는 마지막 포인트(710)를 포함하며 우측으로 휘어지는 경로선(711)을 확인하면 첫 번째 포인트(709)와 마지막 포인트(710)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우측 사선 경로(712)로 스트레이트화할 수 있다.
도 8은 첫 번째 포인트와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과정에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일례다.
경로 생성부(303)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801)와 첫 번째 포인트(801)에 가장 근접한 포인트인 두 번째 포인트(802)를 포함하며 우측으로 크게 굴곡이 형성된 경로선(803)을 확인하면 첫 번째 포인트(801)와 두 번째 포인트(802)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좌측 사선 경로(804)로 스트레이트화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303)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805)와 첫 번째 포인트(805)에 가장 근접한 포인트인 두 번째 포인트(806)를 포함하며 우측으로 일부 굴곡이 형성된 경로선(807)을 확인하면 첫 번째 포인트(801) 와 두 번째 포인트(802)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수직 경로(808)로 스트레이트화할 수 있다.
경로 생성부(303)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809)와 첫 번째 포인트(809)에 가장 근접한 포인트인 두 번째 포인트(810)를 포함하며 우측으로 휘어지는 경로선(811)을 확인하면 첫 번째 포인트(809)와 두 번째 포인트(810)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우측 사선 경로(812)로 스트레이트화할 수 있다.
도 9는 교차점 이후의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과정에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일례다.
경로 생성부(303)는 경로선을 제1 스트레이트화한 구간(901)의 첫 번째 포인트인 교차점(902)에 연결되는 도로(903,904)를 확인하고, 상기 경로선이 도로(903,904)중에 어느 도로를 경유하였는가를 확인하며, 상기 경로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경로선(905)을 제2 스트레이트화한다. 이때, 경로 생성부(303)는 폴리곤으로 생성된 경로선을 제1 및 제2 스트레이트화한 구간(901,904)과 상기 경로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경로선(905)을 통과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경로선 진행 방향에 따라 경로선 위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일례다.
경로 생성부(303)는 제2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10)이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01)에서 어느 방향에 위치한 경로선인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10)이 상기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01)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로선(1011)이면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01)을 도로 중심(1021)에서 우측으로 보정(1022)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생성부(303)는 상기 제2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10)이 상기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01)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로선(1012)이면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01)을 도로 중심(1021)에서 좌측으로 보정(1031)할 수도 있고, 상기 제2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10)이 상기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01)의 직선 방향에 위치하는 경로선(1013)이면 제1 스트레이트화한 경로선(1001)을 보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경로선을 이동하면, 경로의 진행 방향에 따라 경로를 도로상에서 좌측이나 우측에 치우쳐서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도로상에서의 경로 위치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 회전이 필요한 것을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유턴 경로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이미지 맵상에 표현되는 정보의 변화를 나타내는 일례다.
경로 생성부(303)는 경로선(1111)의 전방에 유턴(1112)이 표현되며 경로 표현 단말기(300)의 위치(1113)가 진행 경로(1111)에 표현되는 유턴 구간(1110)을 확인하면, 유턴(1112)에 유턴 텍스쳐 매핑을 사용하여 유턴 경로(1121)가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유턴 경로를 표현하면, 유턴 지점에 일반적인 경로보다 큰 유턴 콘텐츠를 표현함으로써 유턴을 해야 하는 지점과 유턴 을 해야 한다는 내용을 사용자가 인식하기에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파일 데이터,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경로 표현 단말기에서 실제 도로와 경로의 형태가 다른 도로 구간의 일례이다.
도 2는 종래의 경로 표현 단말기에서 표현되는 유턴 구간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일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에서 교차점 부분의 경로 표현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에서 유턴 경로의 경로 표현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도 7은 첫 번째 포인트와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과정에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일례다.
도 8은 첫 번째 포인트와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과정에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일례다.
도 9는 교차점 이후의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과정에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일례다.
도 10은 경로선 진행 방향에 따라 경로선 위치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일례다.
도 11은 유턴 경로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이미지 맵상에 표현되는 정보의 변 화를 나타내는 일례다.

Claims (20)

  1. 경로를 이루는 경로선 포인트 중 적어도 일부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고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을 3D 맵상에 표현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의 진행 방향이 교차점을 기준으로 어떤 방향인지에 따라 상기 경로선의 위치를 도로 중심에서 경로 진행 방향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선 표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 포인트는 하나 이상의 도로가 만나는 교차로와 다른 교차로 사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이 생성되고, 상기 교차로에도 각각 하나가 생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와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교차점과는 다른 교차점을 나타내는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 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마지막 포인트 사이의 도로가 1차선 또는 2차선이면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첫 번째 포인트의 바로 다음 포인트인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마지막 포인트 사이의 도로가 3차선 이상이면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과 연결되는 교차점 이후의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을 상기 3D 맵상에 폴리곤으로 표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생성된 경로에 유턴하는 지점이 있으면, 유턴 텍스쳐 매핑 방식을 사용하여 유턴 경로선을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및,
    맵 데이터를 포함하는 맵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생성부는 상기 위치 확인부에서 확인된 차량의 위치와 목적지 사이의 맵 데이터를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맵 데이터를 텍스쳐 맵핑하여 상기 3D 맵을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장치.
  12. 3D 벡터 확대도의 차량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경로에 포함된 경로선 포인트 중에 일부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고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단계;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을 3D 맵상에 표현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의 진행 방향이 교차점을 기준으로 어떤 방향인지에 따라 경로선의 위치를 도로 중심에서 경로 진행 방향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선 표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 포인트는 하나 이상의 도로가 만나는 교차로와 다른 교차로 사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이 생성되고, 상기 교차로에도 각각 하나가 생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단계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 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단계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교차점과는 다른 교차점을 나타내는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단계는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마지막 포인트 사이의 도로가 1차선 또는 2차선이면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마지막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단계는 다른 도로와 연결되는 교차점을 나타내는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첫 번째 포인트의 바로 다음 포인트인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단계는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마지막 포인트 사이의 도로가 3차선 이상이면 상기 첫 번째 포인트와 상기 두 번째 포인트를 기초로 벡터를 계산하여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트화된 경로선과 연결되는 교차점 이후의 경로선을 스트레이트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선 표현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5항, 또는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27560A 2008-03-25 2008-03-25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 KR100896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560A KR100896136B1 (ko) 2008-03-25 2008-03-25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
PCT/KR2008/003804 WO2009119945A1 (en) 2008-03-25 2008-06-30 Method and apparatus for path displaying of 3d vector enlargement dra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560A KR100896136B1 (ko) 2008-03-25 2008-03-25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136B1 true KR100896136B1 (ko) 2009-05-08

Family

ID=4086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560A KR100896136B1 (ko) 2008-03-25 2008-03-25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96136B1 (ko)
WO (1) WO20091199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884B1 (ko) 2012-09-04 2013-11-2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폴리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7498B2 (ja) * 2012-03-07 2017-08-09 株式会社ジオ技術研究所 経路案内システム
CN106714112A (zh) * 2017-01-20 2017-05-24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群智感知的移动车辆跟踪方法及系统
JP6920088B2 (ja) * 2017-03-31 2021-08-18 株式会社Subaru 自動車用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495A (ko) * 2001-02-12 2002-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복합 지리정보 가시화 시스템 및 객체지향적 운용방법
KR20050044964A (ko) * 2003-11-08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다각형의 화면 표시방법
KR20060085752A (ko) * 2005-01-25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그래픽스 환경에서의 2차원 고가도로 데이터의 3차원 변환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3차원 그래픽스 환경에서의 2차원 고가도로 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 방법 및 장치
WO2007059339A1 (en) * 2005-11-17 2007-05-24 Microsoft Corporation Schematic destination map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903A (ja) * 2000-04-27 2001-10-31 Denso Corp 分岐案内装置
JP2007033434A (ja) * 2005-06-20 2007-02-08 Denso Corp 車両用現在位置検出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495A (ko) * 2001-02-12 2002-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복합 지리정보 가시화 시스템 및 객체지향적 운용방법
KR20050044964A (ko) * 2003-11-08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다각형의 화면 표시방법
KR20060085752A (ko) * 2005-01-25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그래픽스 환경에서의 2차원 고가도로 데이터의 3차원 변환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3차원 그래픽스 환경에서의 2차원 고가도로 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 방법 및 장치
WO2007059339A1 (en) * 2005-11-17 2007-05-24 Microsoft Corporation Schematic destination ma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884B1 (ko) 2012-09-04 2013-11-2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폴리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9945A1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331B1 (ko) 3차원 방향 표시 생성 방법 및 장치
AU2007355818B2 (en) Method for displaying intersection enlargement in navigation device
KR100874107B1 (ko) 차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3508619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2503293B1 (en) Labelling of map elements in digital maps
US20110141115A1 (en) Interactive method for displaying integrated schematic network plans and geographic maps
JP200820935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交差点拡大図表示方法並びに地図情報作成方法
WO2005020187A1 (ja) 車載情報端末
JP2008076593A (ja) 略地図生成装置および略地図生成方法
KR100896136B1 (ko) 3d 벡터 확대도의 경로 표현 방법 및 장치
JP6177498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
CN110440819B (zh) 导航方法、装置和系统
JP200633718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2148174A2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524958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要約地図配信装置、車両案内方法および地図表示装置
CN105074389A (zh) 交叉路口引导显示系统、方法以及程序
JP2012133132A (ja) 地図データ生成システム
JP5847891B2 (ja) 地図データ生成システム
KR101392728B1 (ko) 3차원 방향 표시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08129093A (ja) 地図表示装置
CN110440818B (zh) 车道矩阵模型及其构建方法、读取方法和装置
JP439283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地図表示方法
KR20090005703A (ko) 교차로에서의 맵 매칭 방법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
JP200530016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地図表示方法
JP200609822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