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079B1 -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079B1
KR100896079B1 KR1020080080423A KR20080080423A KR100896079B1 KR 100896079 B1 KR100896079 B1 KR 100896079B1 KR 1020080080423 A KR1020080080423 A KR 1020080080423A KR 20080080423 A KR20080080423 A KR 20080080423A KR 100896079 B1 KR100896079 B1 KR 100896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phase
input
le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연
박대식
Original Assignee
강성연
박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연, 박대식 filed Critical 강성연
Priority to KR1020080080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1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or rip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2Two-phase, three-phase or polyphase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16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operating from a three-phase input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불평형 상태를 능동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전압, 전류의 전달비 조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의 전압 및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부,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며, 이웃하는 다른 상과 상호 교차되도록 권선 되어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전압 또는 전류의 불평형을 감소시키는 전력 절감부 및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 사이의 전압 또는 전류의 위상차가 감지되면, 전력 절감부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상 별로 입력 권선과 출력 권선을 이웃하는 다른 상과 상호교차 결선시켜 3상 입력전압과 입력전류 및 3상 출력전압과 출력전류의 위상차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3상 평형이 유지되도록 하여 고조파 성분을 감소시킴으로써, 뉴트럴 라인에 흐르는 순환전류를 감소 및 역률을 증가시키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3상 입력, 3상 출력, 영상분 고조파, 위상차

Description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Power Control Apparatus for Energy Saving}
본 발명은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3상 4선식 전력 불평형 상태를 능동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전압, 전류의 전달비 조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류 전원을 송전, 배전 및 변전하기 위해 여러 단계에 걸쳐서 전력기가 사용되는데, 부하로의 전력 공급의 안정을 위해서는 각 단계의 전력기는 입력전압의 변동과 관계없이 출력전압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실제로 각 전력기의 입력전압은 배전 구조상의 부하분포의 변동, 발전기의 상태 등으로 인해 항상 변하기 때문에, 각 변압기는 입력전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출력전압을 절약형 전압으로 쉽게 전환시켜 주는 자동절약기능이 필요하며, 전력 공급 단에 설치된 변압기에서도 부하의 전력 소비량에 대응하여 출력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전자식 제어회로의 사용이 확산 되면서 이때 발생하는 여러 가지 스위칭 전류에 의하여 영상분 고조파 전류의 증가로 중성선 에 큰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래서, 중성선의 대지 전위 상승은 물론 변압기나 케이블의 과열, 전력 기기의 출력저하, 역률저하, 전력손실, 각종 첨단 제어기기의 오작동, 유도 장해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서 전력품질의 큰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하의 가동 및 운전시간, 생산 공정 환경에 따라 3상 전력의 상간 불평형 발생으로 전력 손실이 발생하고 생산 공정의 자동화로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제어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전력 손실뿐만 아니라 기기 효율 및 수명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상 별로 입력 권선과 출력 권선을 이웃하는 다른 상과 상호교차 결선시켜 3상 입력전압과 입력전류 및 3상 출력전압과 출력전류의 위상차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3상 평형이 유지되도록 하여 고조파 성분을 감소시킴으로써, 뉴트럴 라인에 흐르는 순환전류를 감소 및 역률을 증가시키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는,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의 전압 및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부,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며, 각각의 이웃하는 다른 상과 상호 교차되도록 권선 되어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전압 또는 전류의 불평형을 감소시키는 전력 절감부 및 센서부를 통하여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 사이의 전압 또는 전류의 위상차가 감지되면, 전력 절감부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 사이에는, 3상 입력단의 전원이 3상 출력단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 또는 전류의 불평형이 발생되면 바이패스 스위치를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전력 절감부가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전력 절감부는, 제1레그, 제2레그 및 제3레그가 형성된 코어, 각각의 레그의 상부에 구비되는 입력권선 및 각각의 레그의 하부에 구비되는 출력권선을 포함하며, 입력권선은 다른 레그의 입력권선과 상호 교차되도록 권선되고, 출력권선은 다른 레그의 출력권선과 상호 교차되도록 권선되며, 입력권선의 일측은 각각 입력단에 연결되고, 입력권선의 타측과 출력권선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어 각각 출력단으로 연결되며, 출력권선의 타측은 각각 뉴트럴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력권선은, 제1레그에 R1 권선, R2 권선 및 R3 권선이 구비되고, 제2레그에 S1 권선, S2 권선 및 S3 권선이 구비되고, 제3레그에 T1 권선, T2 권선 및 T3 권선이 구비되고, 출력권선은, 제1레그에 R4 권선, R5 권선 및 R6 권선이 구비되고, 제2레그에 S4 권선, S5 권선 및 S6 권선이 구비되고, 제3레그에 T4 권선, T5 권선 및 T6 권선이 구비되며, R1 권선, S2 권선, R3 권선, R4 권선, S5 권선 및 R6 권선이 직렬로 연결되고, S1 권선, T2 권선, S3 권선, S4 권선, T5 권선 및 S6 권선이 직렬로 연결되며, T1 권선, R2 권선, T3 권선, T4 권선, R5 권선 및 T6 권선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입력권선과 출력권선은, 각각의 상의 자속은 동일하되 전류 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권선 될 수 있다.
R1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R2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R3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 R4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R5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R6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1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2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S3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4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5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S6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 로, T1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2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T3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4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5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T6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권선 될 수 있다.
R3 권선과 R4 권선이 연결된 지점, S3 권선과 S4 권선이 연결된 지점 및 T3권선과 T4 권선이 연결된 지점에서 각각 출력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R6 권선, S6 권선 및 T6 권선에서 각각 뉴트럴 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상 별로 입력 권선과 출력 권선을 이웃하는 다른 상과 상호교차 결선시켜 3상 입력전압과 입력전류 및 3상 출력전압과 출력전류의 위상차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3상 평형이 유지되도록 하여 고조파 성분을 감소시킴으로써, 뉴트럴 라인에 흐르는 순환전류를 감소 및 역률을 증가시키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부를 나타내는 권선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R상, S상 및 T상의 3상 입력단과 U상, V상 및 W상의 3상 출력단의 전압과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제1센서부(100)와 제2센서부(400),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며, 각각의 이웃하는 다른 상과 상호 교차되도록 권선 되어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의 전압 또는 전류의 전달비 및 위상을 조절하여 전압 또는 전류의 불평형을 감소시키는 전력 절감부(200) 및 제1센서부(100)와 제2센서부(400)를 통하여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 사이의 전압 또는 전류의 위상차가 감지되면, 전력 절감부(200)를 가동시키는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력 절감부(200)와 제2센서부(400) 사이에는 전력 절감부(200)를 통한 3상 입력단의 전원이 3상 출력단으로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제1스위치(300)가 구비된다. 또한,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 사이에는 3상 입력단의 전원이 3상 출력단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스위치인 제2스위치(800)가 구비된다.
그래서, 제2스위치(800)를 통하여 유사시 입력단과 출력단이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출력전압이 전력절감부(200)를 통하여 조정이 불가능할 정도로 낮아지면 전력절감부(200)를 거치지 않고 입력단에서 출력단으로 직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2스위치(800)는 전력절감부(200)에 과부하가 걸리는 상황에서도 입력단과 출력단이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전력절감부(200) 자체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스위치(500)는 기계식 스위치와 반도체 스위치를 같이 구현하였다. 그리 하여, 정전시간이 짧을 때는 용량이 적은 반도체 스위치가, 정전시간이 길 때는 용량이 큰 기계식 스위치가 상호보완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스위칭 동작시 먼저 반도체 스위치가 스위칭 되고, 이어서 기계식 스위치가 스위칭 되므로 짧은 정전시간이 되더라도 대용량으로 스위칭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입력단에 서지 흡수기(미도시)를 설치하여 낙뢰 등 자연적인 현상으로 인하여 입력단에 강한 서지 전압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전력 계통의 개폐 서지로 인해 발생하여 유입되는 노이즈를 차단한다.
이를 통해 안정된 전력공급과 부하설비의 보호효과를 추구할 수가 있다.
제1센서부(100)는 입력단에서의 아날로그 신호인 전압 값 및 전류 값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제2센서부(400)는 출력단에서의 아날로그 신호인 전압 값 및 전류 값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제1센서부(100)로부터 전압 값 및 전류 값을 입력받기 위한 제1센서 입력부(500)와 제2센서부(400)로부터 전압 값 및 전류 값을 입력받기 위한 제2센서 입력부(700)가 구비된다.
그래서, 제1센서 입력부(500)와 제2센서 입력부(700)를 통하여 제어부(600)로 입력단 및 출력단의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이 디지털 신호로 자동 입력된다.
한편, 제1센서 입력부(500)와 제2센서 입력부(70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전압 값 및 전류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600)로 입력되도록 하는 A/D 컨버터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일종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등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보다 효율적인 계산을 위해서는 전문화된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DSP 칩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를 직접 입력받는 포트를 구비하고 있어서, A/D 컨버터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제어부(600)는 제1스위치(300) 뿐만 아니라 제2스위치(800)도 자동으로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제2센서부(400)로부터 입력받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으로부터 과부하 여부 또는 출력 전압의 강하 정도를 판단하여, 입력단과 출력단의 전압 또는 전류의 불평형이 발생되면 제1스위치(300) 또는 제2스위치(80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여 자동으로 스위칭 되도록 한다.
전력 절감부(200)는 코어(250)에 코일이 권선되는 변압기(Transformer) 형태로써, 코어(250)에 R상이 입력되는 제1레그(251), S상이 입력되는 제2레그(253) 및 T상이 입력되는 제3레그(257)가 형성되며, 각각의 레그(251, 253, 257)의 상부에는 입력권선(270)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출력권선(280)이 구비된다.
입력권선(270)은 제1레그(251)에 R1 권선, R2 권선 및 R3 권선으로 구비되고, 제2레그(253)에 S1 권선, S2 권선 및 S3 권선으로 구비되고, 제3레그(257)에 T1 권선, T2 권선 및 T3 권선으로 구비된다.
출력권선(280)은 제1레그(251)에 R4 권선, R5 권선 및 R6 권선으로 구비되고, 제2레그(253)에 S4 권선, S5 권선 및 S6 권선으로 구비되고, 제3레그(257)에 T4 권선, T5 권선 및 T6 권선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입력권선(270)은 다른 레그의 입력권선(270)과 상호 교차되도록 결선되는데, 제1레그(251)의 R1 권선에서 제2레그(253)의 S2 권선으로 결선되고, S2 권선에서 다시 제1레그(251)의 R3 권선으로 결선된다.
그리고, 제2레그(253)의 S1 권선에서 제3레그(257)의 T2 권선으로 결선되고, T2 권선에서 다시 제2레그(253)의 S3 권선으로 결선된다.
또한, 제3레그(257)의 T1 권선에서 제1레그(253)의 R2 권선으로 결선되고, R2 권선에서 다시 제3레그(257)의 T3 권선으로 결선된다.
마찬가지로 출력권선(280)도 다른 레그의 출력권선(280)과 상호 교차되도록 결선되는데, 제1레그(251)의 R4 권선에서 제2레그(253)의 S5 권선으로 결선되고, S5 권선에서 다시 제1레그(251)의 R6 권선으로 결선된다.
그리고, 제2레그(253)의 S4 권선에서 제3레그(257)의 T5 권선으로 결선되고, T5 권선에서 다시 제2레그(253)의 S6 권선으로 결선된다.
또한, 제3레그(257)의 T4 권선에서 제1레그(253)의 R5 권선으로 결선되고, R5 권선에서 다시 제3레그(257)의 T6 권선으로 결선된다.
그래서, R1 권선, S2 권선, R3 권선, R4 권선, S5 권선 및 R6 권선이 직렬로 연결되고, S1 권선, T2 권선, S3 권선, S4 권선, T5 권선 및 S6 권선이 직렬로 연결되며, T1 권선, R2 권선, T3 권선, T4 권선, R5 권선 및 T6 권선이 직렬로 연결된다.
아울러, 입력권선(270)의 일측인 R1 권선, S1 권선 및 T1 권선의 상측은 각 각 R상, S상 및 T상의 3상 입력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입력권선(270)의 타측인 R3 권선, S3 권선 및 T3 권선의 하측과 출력권선(280)의 일측인 R4 권선, S4 권선 및 T4 권선은 서로 연결되며 각각 제1노드(261), 제2노드(236) 및 제3노드(267)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노드(261), 제2노드(263) 및 제3노드(267)에는 각각 U상, V상 및 W상의 3상 출력단이 병렬로 연결되며, 출력권선(280)의 타측인 R6 권선, S6 권선 및 T6 권선의 하측은 각각 뉴트럴(N) 라인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입력전압은 입력권선(270)의 권수비 만큼 항상 출력전압보다 높은 값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각 상 별로 6개의 권선을 이루며, 각각의 권선은 다른 상에 결선된 분로 권선의 형태를 띠는 3상 교차(Zig Zag; Z&Z) 권선의 결선을 취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3상 코어(250)의 자속의 크기가 균일화되어 3상 4선식 선로에서 단상 부하 사용에 따른 각 상의 전압 및 전류의 불평형을 개선할 수 있고, 3배수 고조파에 대한 저차수 고조파와 뉴트럴(N) 라인에 흐르는 영상분 고조파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각 상의 자속은 동일하되 전류 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코어(250)에 코일을 권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R1 권선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권선했다면, R2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권선 해야 하며, R3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권선한다.
그리하여, R4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R5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R6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1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2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S3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4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5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S6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1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2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T3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4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5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T6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권선한다.
이런 식으로 각각의 권선 마다 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권선한다.
또한, 각각의 권선 간에는 영상분 고조파 전류를 상쇄할 수 있게 규칙적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이렇게, 각 상 별로 Z&Z 권선의 교차 결선을 함으로써, 입력단과 출력단의 적정 전압을 유지시켜 잉여전력을 차단할 수 있으며, 3상 입력과 3상 출력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각각의 상간에 발생하는 위상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부하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불평형 및 뉴트럴(N) 라인으로 흐르는 영상분 고조파 전류도 감소하게 된다.
전압 또는 전류의 불평형 및 영상분 고조파 전류가 감소하게 되면 전기적 저항이 줄어들어 양질의 전력이 부하에 공급될 수 있어서, 부하로 사용되는 기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부하의 역률이 개선되고 효율이 향상되므로 전력소비는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출력단에 LC(인덕터 및 커패시터) 조합의 5차 고조파 필터(미도시)를 부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과도한 정류부하 등의 비선형부하에 의해 역류되는 저차수 고조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입력 역률 및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뉴트럴(N) 라인에 흐르는 고조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제1스위치(300)는 오프(OFF)되어 있고, 제2스위치(800)는 온(ON) 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단을 통하여 R상, S상 및 T상의 3상 전원이 입력된다.
그러면, 제2스위치(800)가 온 되어 있으므로 입력단에서 출력단으로 전원이 직접 전달된다.
이어서, 제1센서부(100)와 제2센서부(400)를 통하여 입력단과 출력단에서 검출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제어부(200)에서 입력받게 된다.
이어서, 부하의 종류 및 전력 사용량에 따라 입력단과 출력단에 전압 또는 전류의 위상차가 발생하면 전압 또는 전류의 불평형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부(200)는 제1스위치(300) 및 제2스위치(800)를 스위칭한다.
그래서, 제2스위치(800)를 오프 시키고, 제1스위치(300)가 온 되도록 하여 전력절감부(200)를 가동시킨다.
그리하여, 입력단에서의 전원은 제2스위치(800)를 통하지 않고, 전력절감 부(200)로 입력된다. 전력절감부(200) 입력되는 R상, S상 및 T상의 3상 입력 전원은 각각 이웃하는 다른 상과 상호 교차 결선되어 있는 복수의 권선을 거치면서 입력단과 출력단에서의 전압 또는 전류의 위상차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그리하여, 각각의 상은 서로 위상이 상쇄되어 3상의 불평형이 감소되고, 제1노드(261), 제2노드(263) 및 제3노드(267)에 연결된 U상, V상 및 W상의 3상 출력단을 통하여 3상이 평형된 안정적인 전원이 부하로 공급됨으로써, 부하의 역률 및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부를 나타내는 권선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의 전압 및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센서부;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며, 각각의 이웃하는 다른 상과 상호 교차되도록 권선 되어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의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전압 또는 전류의 불평형을 감소시키는 전력 절감부; 및
    센서부를 통하여 3상 입력단과 3상 출력단 사이의 전압 또는 전류의 위상차가 감지되면, 전력 절감부를 가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전력 절감부는,
    제1레그, 제2레그 및 제3레그가 형성된 코어;
    각각의 레그의 상부에 구비되는 입력권선; 및
    각각의 레그의 하부에 구비되는 출력권선을 포함하며,
    입력권선은 다른 레그의 입력권선과 상호 교차되도록 권선되고, 출력권선은 다른 레그의 출력권선과 상호 교차되도록 권선되며, 입력권선의 일측은 각각 입력단에 연결되고, 입력권선의 타측과 출력권선의 일측은 서로 연결되어 각각 출력단으로 연결되며, 출력권선의 타측은 각각 뉴트럴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입력권선은, 제1레그에 R1 권선, R2 권선 및 R3 권선이 구비되고, 제2레그에 S1 권선, S2 권선 및 S3 권선이 구비되고, 제3레그에 T1 권선, T2 권선 및 T3 권선이 구비되고, 출력권선은, 제1레그에 R4 권선, R5 권선 및 R6 권선이 구비되고, 제2레그에 S4 권선, S5 권선 및 S6 권선이 구비되고, 제3레그에 T4 권선, T5 권선 및 T6 권선이 구비되며, R1 권선, S2 권선, R3 권선, R4 권선, S5 권선 및 R6 권선이 직렬로 연결되고, S1 권선, T2 권선, S3 권선, S4 권선, T5 권선 및 S6 권선이 직렬로 연결되며, T1 권선, R2 권선, T3 권선, T4 권선, R5 권선 및 T6 권선이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입력권선과 출력권선은,
    각각의 상의 자속은 동일하되 전류 방향은 반대가 되도록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R1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R2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R3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 R4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R5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R6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1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2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S3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4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S5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S6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1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2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T3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4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T5 권선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T6 권선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권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R3 권선과 R4 권선이 연결된 지점, S3 권선과 S4 권선이 연결된 지점 및 T3권선과 T4 권선이 연결된 지점에서 각각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R6 권선, S6 권선 및 T6 권선에서 각각 뉴트럴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KR1020080080423A 2008-08-18 2008-08-18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KR100896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423A KR100896079B1 (ko) 2008-08-18 2008-08-18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423A KR100896079B1 (ko) 2008-08-18 2008-08-18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079B1 true KR100896079B1 (ko) 2009-05-07

Family

ID=4086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423A KR100896079B1 (ko) 2008-08-18 2008-08-18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940B1 (ko) 2012-07-31 2014-08-06 김나운 이상전압 발생 시 재해 방재 분배전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987B1 (ko) 2004-09-21 2005-06-08 전력품질기술주식회사 개선된 영상분 고조파 필터
KR100820865B1 (ko) 2007-07-06 2008-04-11 주식회사 태경전기산업 중성선 고조파전류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987B1 (ko) 2004-09-21 2005-06-08 전력품질기술주식회사 개선된 영상분 고조파 필터
KR100820865B1 (ko) 2007-07-06 2008-04-11 주식회사 태경전기산업 중성선 고조파전류 저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940B1 (ko) 2012-07-31 2014-08-06 김나운 이상전압 발생 시 재해 방재 분배전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3167C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evenly distributing an electrical load across an n-phase power distribution network
US7573253B2 (en) System for managing electrical consumption
US8923026B2 (en) Power conversion circuits
KR20040008610A (ko) 중성선 전류 제거를 위한 저감된 정격의 능동 전력 필터장치
KR100820865B1 (ko) 중성선 고조파전류 저감장치
CA2622057A1 (en) Apparatus for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WO2004049539A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 of power flow in a transmission line
ES2634668T3 (es) Filtro pasivo de armónicos de corriente alterna y distorsiones
CN107370389B (zh) 用于克服异常电网状况的电力转换系统及其操作方法
WO1994005067A9 (en) Active filter for reducing non-fundamental currents and voltages
US9214813B2 (en) Device and method for limiting an electrical current
JP2007525933A (ja) 超伝導電流制限システムおよび超伝導電流制限方法
KR100658964B1 (ko) 밧데리 충전기
KR100896079B1 (ko) 에너지 절약형 전력 제어 장치
US20100061028A1 (en) System for managing electrical consumption with coaxial communication line protection
KR100519380B1 (ko) 3상 무순단 탭전환 변압기 시스템
JP2005006455A (ja) 整流装置
JP7043607B2 (ja) 電力変換装置
KR200429523Y1 (ko) 절전형 전력기기
KR20050018931A (ko) 정전압 전력절감장치
KR100198831B1 (ko) 리니어 전력제어장치
KR101337948B1 (ko) 고조파 파형을 개선한 발전기
WO2009062432A1 (fr) Dispositif d'ajustement d'impédance homopolaire et procédé de filtrage de courant homopolaire
JPH01222319A (ja) 誘導負荷用自動力率制御装置
RU51796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вышения качеств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етя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