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902B1 - 실험대 상판 - Google Patents

실험대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902B1
KR100894902B1 KR1020070080982A KR20070080982A KR100894902B1 KR 100894902 B1 KR100894902 B1 KR 100894902B1 KR 1020070080982 A KR1020070080982 A KR 1020070080982A KR 20070080982 A KR20070080982 A KR 20070080982A KR 100894902 B1 KR100894902 B1 KR 100894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layer
resin
waste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537A (ko
Inventor
유귀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세라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세라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세라믹
Priority to KR102007008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9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47B2200/001Manufacture of table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6Vegetal particles
    • B32B2264/062Cellulose particles, e.g. cotton
    • B32B2264/067Woo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대 상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나 연구소 등의 실험실에 설치되는 실험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충진하는 재료를 규사로 사용하지 않고 톱밥을 사용하므로써 보다 가볍고 견고한 실험대 상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단에 형성된 하단수지층과; 상기 하단수지층의 상단으로 규사와 바인더로 형성되는 규사층과; 상기 규사층의 상단 및 측단에 도포되는 상단수지층과; 상기 상단수지층의 상하 및 좌우에 도포되는 표면수지층으로 구성되는 실험대 상판에 있어서, 상기 규사층은 톱밥과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분포되는 톱밥층과, 분말톱밥과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미세톱밥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험대 상판에 의하면 종래의 실험대 상판보다 굴곡강도가 강하면서 가볍고, 내화학성 등의 화학적성질이 우수하며, 가벼워서 생산,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다.
실험대, 상판, 바인더, 수지, 톱밥.

Description

실험대 상판{UPPER BOARD FOR EXPERIMENT STAND}
본 발명은 실험대 상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나 연구소 등의 실험실에 설치되는 실험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판을 형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충진하는 재료를 규사로 사용하지 않고 톱밥을 사용하므로써 보다 가볍고 견고한 실험대 상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험대란 학교, 연구기관 등에서 실험실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실험대의 상단에 형성된 실험대 상판은 강한 충격에도 잘 견딜 수 있고, 수평이 정확히 유지되어야 하며, 독성이 강한 화학제품 등을 사용해도 내식성, 내화학성 및 내약품성이 강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특성이 있는 것이다.
종래의 실험대 상판은 하단에 형성된 하단수지층과; 상기 하단수지층의 상단으로 규사와 바인더로 형성되는 규사층과; 상기 규사층의 상단 및 측단에 도포되는 상단수지층과; 상기 상단수지층의 상하 및 좌우에 도포되는 표면수지층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실험대 상판은 규사, 즉 모래와 같은 무거운 물질로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 운반 및 설치 등의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나무,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내부를 충진하여 보다 가벼운 실험대 상판을 형성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규사가 아닌 다른 물질로 충진된 실험대 상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굴곡강도가 낮아서 표면이 쉽게 휘거나 굴곡된다.
(2) 생산하기가 불편하고, 생산단가가 높아진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단에 형성된 하단수지층과; 상기 하단수지층의 상단으로 규사와 바인더로 형성되는 규사층과; 상기 규사층의 상단 및 측단에 도포되는 상단수지층과; 상기 상단수지층의 상하 및 좌우에 도포되는 표면수지층으로 구성되는 실험대 상판에 있어서,
상기 규사층은 톱밥과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분포되는 톱밥층과, 분말톱밥과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미세톱밥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험대 상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종래의 실험대 상판보다 굴곡강도가 강하면서 가볍다.
(2) 내화학성 등의 화학적성질이 우수하다.
(3) 가벼워서 생산,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단에 형성된 하단수지층(400)과; 상기 하단수지층(400)의 상단으로 규사와 바인더로 형성되는 규사층과; 상기 규사층의 상단 및 측단에 도포되는 상단수지층(200)과; 상기 상단수지층(200)의 상하 및 좌우에 도포되는 표면수지층(100)으로 구성되는 실험대 상판에 있어서,
상기 규사층은 굵은 톱밥과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두껍게 분포되는 톱밥층(300)과, 상기 톱밥층(300)의 하단에 분말톱밥(400~500매쉬)과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미세톱밥층(3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단수지층(400)은 폐놀계수지 1kg당 흑색카본 0.52g 및 미분(예로는 일반적으로 돌가루 등) 1.08kg이 혼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톱밥층(300)은 폐놀계수지 1kg당 톱밥 0.2~0.4kg 및 경화제(예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iethylene Triamine(DETA), Triethylene Tetramine(TETA), Diethylamino propyl amine (DEAPA), Menthane diamine(MDA), N-aminoethyl piperazine(N-AEP), M-xylene diamine(MXDA), Isophorone diamine(IPDA)등) 0.2~0.6g이 혼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미세톱밥층(350)은 폐놀계수지 1kg당 미세톱밥 0.6kg, 미분 0.9kg이 혼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단수지층(200)은 폐놀계수지 1kg당 흑색카본 0.48g 및 미분 1.44kg이 혼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표면수지층(100)은 폐놀계수지 1kg당 조색제(예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산화티타늄, 카드뮴레드, 샤닝그린, 카본블랙, 크롬그린, 크롬옐로우, 네비블루, 샤닝블루 등) 60g, 실리카 10g, 경화제 15g, 촉진제(예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MP-30, PolyMercaptane계열과 Benzyl methylamine, DMP-30, Pyridine, K-61B, Lewis-Acid, Lewis-Base 등) 5g으로 구성된다.
상기 톱밥층(300)에 사용되는 톱밥은 100~200매쉬로 분쇄된 톱밥을 사용하고, 미세톱밥층(350)에 사용되는 톱밥은 400~500매쉬로 분쇄된 톱밥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표면층(100)에 사용하는 폐놀계수지는 (주)세원화성 제품번호 841을 사용하고, 상단 및 하단수지층(200,400)은 (주)세원화성의 제품번호 M600을 사용하여 화학적 특징을 다르게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험대 상판을 생산하는 방법은 상단이 개봉된 틀을 준비하고, 조색제 0.2g, 실리카 10g, 경화제 15g, 촉진제 5g 및 폐놀계수지((주)세원화성 841) 0.5g을 혼합한 혼합액을 틀의 바닥면과 측면에 바르는 1단계와;
상기 1단계 후 실온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후에 1평당 폐놀계수지 2.5kg, 흑색카본 1.2kg 및 미분 3.6kg을 혼합한 혼합액을 바닥면에 2회에 걸쳐 30분간격으로 바르는 2단계와;
상기 2단계 후 20분 내지 30분 후에 1평당 폐놀계수지 5kg, 톱밥(100~200매쉬) 2.0kg 및 경화제 2g을 혼합한 혼합액을 틀의 내부를 채우는 3단계와;
상기 3단계 후 1시간 내지 2시간 후에 1평당 폐놀계수지 2.5kg, 흑색카본 1.3kg, 미분 2.7kg, 톱밥(400~500매쉬) 1.5kg을 혼합한 혼합액을 3단계의 톱밥층(300)의 상단에 바르는 4단계와;
상기 4단계후에 폐놀계수지((주)세원화성 M600) 2.5kg, 흑색카본 1.3kg, 미분 3kg을 섞어서 상단에 바르는 5단계와;
상기 5단계 후 20분 내지 30분 후에 틀을 제거하고 뒤집어서 10시~12시간 경 화시켜 완성하는 6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험대 상판(10)의 생산방법은 표면수지층(100)으로부터 거꾸로 생산하는 방법으로 표면수지층(100)이 실험대 상판의 상단과 측면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톱밥층(300)을 중심으로 상,하단수지층(200,400)을 형성하도록 생산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실험대 상판(10)에 대한 굴곡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한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험대 상판(10)과 종래에 규사로 형성된 실험대 상판의 시편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 시험 내용 >
시험장비 : KS M ISO 1789:2002
시편크기 : 30 X 100 X 600mm
시험속도 : 10mm/min
지점간거리 : 400mm
표 1은 상기 시험의 시험성적서(도 2참조)의 결과부분만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실험대 상판이 2660N의 굴곡하중에 대해서 견딜 수 있었으나, 종래의 규사로 형성된 실험대 상판은 동일한 조건에서 2530N에 대해서 견딜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실험대 상판이 보다 더 굴곡강도가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시 험 항 목 단 위 시 험 결 과 시 험 방 법
톱밥 규사
굴곡하중 N 2660 2530 KS M ISO 178:2002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실험대 상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실험대 상판의 시험 성적서.
도 3은 종래의 실험대 상판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면수지층 200 : 상단수지층
300 : 톱밥층 350 : 미세톱밥층
400 : 하단수지층

Claims (5)

  1. 하단에 형성된 하단수지층(400)과; 상기 하단수지층(400)의 상단으로 규사와 바인더로 형성되는 규사층과; 상기 규사층의 상단 및 측단에 도포되는 상단수지층(200)과; 상기 상단수지층(200)의 상하 및 좌우에 도포되는 표면수지층(100)으로 구성되는 실험대 상판에 있어서,
    상기 규사층은 톱밥과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분포되는 톱밥층(300)과, 상기 톱밥층(300)의 하단에 분말톱밥과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미세톱밥층(3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상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수지층(400)은 폐놀계수지 1kg당 흑색카본 0.52g 및 미분 1.08kg이 혼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톱밥층(300)은 폐놀계수지 1kg당 톱밥 0.2~0.4kg 및 경화제 0.2~0.6g이 혼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미세톱밥층(350)은 폐놀계수지 1kg당 톱밥 0.6kg, 미분 0.9kg이 혼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단수지층(200)은 폐놀계수지 1kg당 흑색카본 0.48g 및 미분 1.44kg이 혼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표면수지층(100)은 폐놀계수지 1kg당 조색제60g, 실리카 10g, 경화제 15g, 촉진제 5g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상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톱밥층(300)의 톱밥은 100~200매쉬의 크기로 형성되고, 미세톱밥층(350)의 톱밥은 400~500매쉬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상판.
  5. 조색제 0.2g, 실리카 10g, 경화제 15g, 촉진제 5g 및 폐놀계수지((주)세원화성 841) 0.5g을 혼합한 혼합액을 틀의 바닥면과 측면에 바르는 1단계와;
    상기 1단계 후 실온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후에 1평당 폐놀계수지 2.5kg, 흑색카본 1.2kg 및 미분 3.6kg을 혼합한 혼합액을 바닥면에 2회에 걸쳐 30분간격으로 바르는 2단계와;
    상기 2단계 후 20분 내지 30분 후에 1평당 폐놀계수지 5kg, 톱밥 2.0kg 및 경화제 2g을 혼합한 혼합액을 틀의 내부를 채우는 3단계와;
    상기 3단계 후 1시간 내지 2시간 후에 1평당 폐놀계수지 2.5kg, 흑색카본 1.3kg, 미분 2.7kg, 톱밥 1.5kg을 혼합한 혼합액을 3단계의 톱밥층(300)의 상단에 바르는 4단계와;
    상기 4단계후에 폐놀계수지((주)세원화성 M600) 2.5kg, 흑색카본 1.3kg, 미분 3kg을 섞어서 상단에 바르는 5단계와;
    상기 5단계 후 20분 내지 30분 후에 틀을 제거하고 뒤집어서 10시~12시간 경화시켜 완성하는 6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대 상판 제조방법.
KR1020070080982A 2007-08-11 2007-08-11 실험대 상판 KR100894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982A KR100894902B1 (ko) 2007-08-11 2007-08-11 실험대 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982A KR100894902B1 (ko) 2007-08-11 2007-08-11 실험대 상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537A KR20090016537A (ko) 2009-02-16
KR100894902B1 true KR100894902B1 (ko) 2009-04-30

Family

ID=4068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982A KR100894902B1 (ko) 2007-08-11 2007-08-11 실험대 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9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225A (ko) * 1996-02-28 1997-09-12 에이유. 벅. 링 보드 또는 판넬 부재
KR20010000102A (ko) * 2000-04-12 2001-01-05 강승구 실험,연구실의 실험대 상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225A (ko) * 1996-02-28 1997-09-12 에이유. 벅. 링 보드 또는 판넬 부재
KR20010000102A (ko) * 2000-04-12 2001-01-05 강승구 실험,연구실의 실험대 상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537A (ko) 200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99927B (zh) 一种基于树脂混凝土的机械配件及其制备方法
CN104987736B (zh) 一种环氧沥青微胶囊材料及应用
CN103409090B (zh) 在潮湿环境下使用的环氧嵌缝胶
CN103964751B (zh) 一种环氧砂浆桥面薄层铺装材料及其施工方法
CN102307846A (zh) 基于环氧树脂和杂多环多胺的可固化组合物
EP3713985B1 (de) Mehrkomponenten-epoxidharzmasse mit leckageindikator und härterkomponente für die epoxidharzmasse
KR20100096145A (ko) 에폭시계 미끄럼방지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47657A (zh) 高强高流动性环氧树脂灌浆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879668A (zh) 一种用于伸缩缝快速修补的抗开裂环氧砂浆及其制备方法
KR20130059625A (ko) 에폭시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US20220227669A1 (en) Slag-containing polymer concrete and grouting mortar
CN105369747B (zh) 一种桥面铺装抗裂罩面及其制备方法
KR100894902B1 (ko) 실험대 상판
DE193105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harzbeton
EP1627861A3 (de) Pumpfähiger selbstnivellierender Magnesiaestrich
ATE538089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mit hilfe von mischungen von aminen mit guanidin- derivaten
WO201816699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ärters für emissionsarme epoxidharz-zusammensetzungen
CN105949962A (zh) 一种自发光环氧树脂液及其制备方法,自发光环氧树脂复合材料,自发光碳纤维预浸料
CN103601438B (zh) 环氧聚氨酯复合水泥基声屏障面板及其制备方法
EP0501916B1 (en) Creosote resistant epoxy adhesive system
CN107188458B (zh) 一种树脂混凝土机械配件及其制备方法
KR100959344B1 (ko) 철도차량용 퍼티 조성물
KR100793715B1 (ko) 가변 패드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CN106244072A (zh) 一种水下灌钢胶及其制备方法
JP2022501455A (ja) アルキル化アミンを含むエポキシ樹脂の硬化用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