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385B1 - 녹내장을 치료하기 위한 망막보호제로서의 비여성화에스트로겐의 용도 - Google Patents

녹내장을 치료하기 위한 망막보호제로서의 비여성화에스트로겐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385B1
KR100894385B1 KR1020047003273A KR20047003273A KR100894385B1 KR 100894385 B1 KR100894385 B1 KR 100894385B1 KR 1020047003273 A KR1020047003273 A KR 1020047003273A KR 20047003273 A KR20047003273 A KR 20047003273A KR 100894385 B1 KR100894385 B1 KR 10089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rogen
glaucom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eminized
estrog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012A (ko
Inventor
이옥-호우 팡
애보트 에프. 클라크
Original Assignee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3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61K31/56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substituted in position 17 alpha, e.g. mestranol, norethandrol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61K31/56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having an oxo group in position 17, e.g. est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녹내장과 관련된 망막 및 시신경 손상을 예방하거나 개선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녹내장을 치료하기 위한 망막보호제로서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의 용도 {USE OF NON-FEMINIZING ESTROGENS AS RETINOPROTECTIV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본 발명은 녹내장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비여성화 (non-feminizing) 에스트로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녹내장성 망막병증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녹내장"은 미국 및 그 밖의 선진국에서 예방가능한 실명의 주된 원인인 쇠약성 안구 질병군이다.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POAG)이 녹내장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이 질병은 눈을 홍채와 각막 사이의 공간 (예를 들어, "각 (angle)")의 폐쇄없이 유지시키는 방수의 정상적인 능력의 장애를 일으키는 잔기둥 그물 (TM)의 퇴화를 특징으로 한다 (Langham (1979); Segawa (1979); Rohen (1983)). 이 질병에서 그러한 장애의 특징은 적당하게 시기적절한 방식으로 치료되지 않는 경우에 점진적 시력 상실 및 실명을 초래하는 안내압(IOP) 증가이다. 이 질병은 40세 이상의 모든 성인 중의 0.4% 내지 3.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산된다 (Leske et al. (1994, 1997, 2001); Bengtsson (1989); Strong (1992)). 더욱이, 이 질병의 유병률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며, 75세 이상의 성인의 경우 6%가 넘는다 (Strong (1992)).
POAG의 또 다른 형태인 정상안압 녹내장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IOP가 없는 중증 시신경병증을 특징으로 한다. 정상안압 녹내장에 걸린 환자는 정상 범위내의 압력을 지니지만, 종종 높은 정상 범위의 압력을 지닌다 (Tanna & Jampel (2000)).
IOP 증가가 녹내장의 쉽게 측정가능한 특징이므로, 이 질병의 진단은 안압측정법에 의해 일반적으로 평가되는 IOP의 증가를 주로 기초로 한다 (Strong (1992); Greve & Chisholm (1993)). 불운하게도, 정상안압 녹내장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신경 손상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IOP 없이도 일어날 수 있다 (Yamamoto & Kitazawa (1998); Tanna & Jampel (2000)). 반대로, 안구 고혈압이 항상 망막 또는 시신경 손상을 직접 일으키지는 않는다. 약 5백만명의 미국인이 시신경 손상 또는 시야 상실없이 상승된 IOP를 지닌다. 압력과 시신경 및 망막 손상 사이의 관계가 반드시 직접적이지 않기 때문에, 높은 IOP는 이제 필수적인 질병 특징이라기 보다는 단지 위험 인자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이유로, 시신경원판의 직접적 검사 및 환자의 시야 상실 범위의 측정과 같은 추가의 방법이 진단의 정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종종 수행된다 (Greve & Chisholm (1993)). 또한, 동일한 이유로, 녹내장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망막 및 시신경의 병리학적 변화를 예방함으로써 시력을 보존하는 데에 있다.
현재의 녹내장 요법은 IOP를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승된 IOP를 감소시키는 능력을 지닌 다양한 치료제가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요법은 IOP를 감소시키지만, 망막 및 시신경에서 일어나는 병원성 기전을 직접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질병은 계속 진행된다. 더욱이, 그러한 치료제 중 다수가 종종 부작용과 관련된다. 녹내장성 망막병증 및 시신경병증을 다루기 위한 용인되는 치료법은 현존하지 않는다. 망막보호 특성을 제공하는 작용제가 바람직할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녹내장성 망막병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상기 단점 및 그 밖의 단점을 해결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 또는 이의 유사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적 유효량으로 투여함으로써 망막을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표현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은 여성화 또는 성 관련 활성을 거의 지니지 않거나 전혀 지니지 않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임의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이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것으로 고려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은 적어도 제 2 고리를 함유하는 구조에서 말단 페놀기를 지니며 분자량이 1000 달톤 미만인 폴리시클릭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에스트라트리엔-3-올, 3,17α-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스트리올 및 이들의 유사체가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은 에스트라트리엔-3-올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안구 고혈압 및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의 발병률은 폐경기 동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Qureshi (1996); Worda & Sator (2000)), 이는 폐경후 여성의 에스트로겐 순환 농도의 급격한 감소와 관련될 수 있다. 에스트로겐을 프로게스틴과 함께 투여하면 IOP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Meyer et al. (1966); Caramazza et al. (1968); Treister & Mannor (1970); Sator et al. (1998)). 또한, 트레이스터 (Treister) 및 만노르 (Mannor)는 에스트로겐이 단독 투여된 경우에 IOP 감소 효과를 관찰하였다 (1970). IOP의 에스트로겐 유도된 감소는 방수 유출률 증가와 상호관련된다. 그러나, IOP 감소 효과와 무관하게, 에스트로겐은 뇌의 다양한 손상에 대해 보호성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Cry et al. (2000); Emilien et al. (2000); Granholm (2000); Green et al. (2000); Henderson (1997); McMillan & Dorsa (1999); Monk & Brodaty (2000); Simpkins et al. (2000); Woolly (1999)). 에스트로겐 수용체 (Kobayashi et al. (1998); Ogueta et al. (1999); Wickham et al. (2000)) 및 에스트로겐 결합 단백질 (Rao (1998))이 망막에서 발견되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망막에서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자들은 에스트로겐이 이들의 IOP에 대한 효과와 무관하게 녹내장과 관련된 망막 및 시신경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경감시키는 데에 유용하다는 것을 최초로 고려하였다.
고전적 에스트로겐 또는 이들의 대사산물은 망막 질병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 실용적이지 않은데, 이는 이들의 여성화 효과가 다수의 환자에게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은 피검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성 관련 효과를 지니지 않은 에스트로겐 관련 화합물이다. 심프킨스 (Simpkins) 등 (미국 특허 제 6,197,833호; 미국 특허 제 5,877,169호; 미국 특허 제 5,843,934호, 이들 모두는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됨)은 다수의 퇴화성 질환 또는 뇌의 허혈성 손상으로 인한 질환에 걸린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심프킨스 등은 눈 관련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검토하지 않았다.
에스트로겐은 α에스트로겐 및 β에스트로겐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한다. β에스트로겐은 다수의 생물학적 활성을 지닌 다면성 분자이다. 임상적 용도로는 골다공증, 폐경기 증상의 치료 및 수태 조절이 있다. β에스트로겐과 비교하여, α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 활성에 있어서 적어도 100 내지 1000배 덜 효능있는 것으로 전형적으로 믿어진다. β에스트로겐의 생물학적 효과를 α이성질체가 공유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다수의 예가 문헌에 보고되었다. 실제로, 당 분야에서는, α에스트로겐은 전형적으로 β에스트라디올의 네거티브 대조표준으로서 사용된다.
심프킨스 등 (미국 특허 제 5,843,934호,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됨)은 α에스트로겐이 신경보호에 있어서 β에스트로겐의 활성과 필적하는 활성을 지님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활성은 중추 신경계와 관련된 퇴화성 질병, 외상 및 노화의 치료에서 β에스트로겐에 비해 다수의 이점을 α에스트로겐에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은 여성적 성향의 발달이 방지되어야 할 남성을 치료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및 자궁내막암, 유방암 및 경부암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한 여성을 치료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본 발명자들은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이 녹내장성 망막병증을 치료하는 데에 유용함을 최초로 제시한다.
미국 특허 제 5,521,168호에는 안내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에스트로겐 대사산물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화합물은 에스트로겐 대사산물이며, 이의 일부는 성 관련 약리학적 작용을 지닐 수 없다. 그러나, 미국 특허 제 5,521,168호에는 녹내장 관련 망막 및 시신경 손상을 치료하는 데에 있어서 이러한 에스트로겐 대사산물 또는 임의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지 않다.
실질적으로 임의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유용한 것으로 고려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은 적어도 제 2 고리를 함유하는 구조에서 말단 페놀기를 지니며 분자량이 1000 달톤 미만인 폴리시클릭 화합물일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에스트라트리엔-3-올, 3,17α-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스트리올 및 이들의 유사체가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은 에스트라트리엔-3-올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입증하기 위해 포함된다. 당업자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이 본 발명의 실시에서 잘 기능하도록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된 기술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바람직한 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기 재에 비추어 기재된 특정 구체예에서 다수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전히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은 허용되는, 즉, 안전하고, 요망되는 투여 경로에 대해 유효량의 하나 이상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의 적합한 전달을 제공하는 임의의 포뮬레이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신적 경로 (예를 들어, 경구 투여, 근내 주사, 피하 주사, 정맥 주사, 경피 투여 및 경점막 투여), 국소적 경로 및 안내 주사, 안내 관류, 안구 주위 주사 또는 안구뒤 (건하 (sub-tenon)) 주사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여성화 에스트로겐(들)의 정확한 용량은 달라지지만, 당 분야의 숙련된 임상학자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로는 치료하고자 하는 실제 질병, 질환의 중증도, 환자의 건강,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의 효능 및 특정 활성 등이 있다. 그러나, 투여되는 양은 안구 질병 또는 장애,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안구 질병 또는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개선시키는 데에 유효한 정도일 것이며; 이러한 양은 "유효량"으로서 언급된다. 일반적으로,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의 1일 용량은 일 당 체중 kg 당 약 0.001 내지 100mg (mg/k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5.0 mg/kg/일이다.
본 발명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포뮬레이션 기술에 따 라 안과용 조성물의 다양한 타입에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용액, 현탁액 및 국소, 인트라비트리얼 (intravitreal) 또는 앞방내 용도에 적합한 그 밖의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수성 조성물이 포뮬레이션의 용이성 및 생리학적 양립성에 기초하여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은 현탁액 및 점성 또는 반점성 겔 또는 국소용 또는 안구뒤 주사용의 고형 또는 반고형 조성물의 그 밖의 타입과 같은 조성물의 다른 타입내로 또한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용 조성물은 또한 완충제, 방부제, 조용매 및 증점제와 같은 다양한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완충 시스템 (예를 들어, 인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또는 붕산나트륨)이 저장 조건하에서 pH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국소용 안과 생성물은 전형적으로 다회용량 형태로 패키징된다. 따라서, 사용 도중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방부제가 필요하다. 적합한 방부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클로로부탄올,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페닐에틸 알코올,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소르브산, 폴리쿼터늄-1,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그 밖의 작용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부제 중의 몇몇은 특정 적용에 부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는 안내 주사에 부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부제는 전형적으로 0.001 내지 1.0% 중량/부피 ("%w/v")의 수준으로 사용된다.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을 국소 투여하는 경우, 전형적인 용량은 일반적으로 0.001 내지 5% 중량/부피 ("w/v"),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w/v)의 하나 이상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일 당 1회 내지 4회에 걸쳐 눈에 대략 1방울 내지 2방울 투여하는 범위일 것이다. 용액, 현탁액, 연고, 겔, 젤리 및 국소 투여에 적합한 그 밖의 제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은 콘택트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눈의 환부 조직에 경시적으로 서서히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요법은 일반적으로 먼저 렌즈를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용액에 침지시킨 후, 정상적인 착용을 위해 콘택트렌즈를 눈에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포뮬레이션 실시예에서 추가로 예시되며, 본 발명의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은 실시예에서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으로서 총칭적으로 표현된다.
실시예 1
망막 혈관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 유용한 국소용 안과 조성물:
성분 농도 (% w/v)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0.1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0.2
HPMC 0.5
폴리소르베이트 80 0.05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0.01
염화나트륨 0.75
에데테이트 이나트륨 0.01
NaOH/HCl pH 7.4가 되도록 하는 양
정제수 100%가 되도록 하는 양
실시예 2
망막 혈관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 유용한 안내용 멸균 주사 용액:
성분 농도 (% w/v)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0.05 내지 5.0
크레모포르 (Cremophor) EL
Figure 112007025454887-pct00005
10
트로메타민 0.12
만니톨 4.6
이나트륨 EDTA 0.1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pH 7.4가 되도록 하는 양
주사용수 100%가 되도록 하는 양
실시예 3
경구 투여에 적합하고 망막 혈관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 유용한 정제 포뮬레이션:
성분 정제 당 양 (㎎)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200
옥수수전분 50
락토오스 145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5
실시예 4
망막 혈관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 유용한 전신 주사용 용액:
성분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200㎎
0.4M KH2PO4 용액 2㎖
1N KOH 용액 pH 7.0이 되도록 하는 양
주사용수 20㎖가 되도록 하는 양
본원에 기재되고 청구된 모든 조성물 및/또는 방법은 본 명세서의 기재에 비추어 과도한 실험없이 제조되고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이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해 기술되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개념,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 및/또는 방법 및 방법의 단계의 순서에 변화가 적용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적으로 및 구조적으로 관련된 특정 작용제가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작용제 대신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이러한 모든 치환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및 개념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참고문헌
하기 참고문헌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사항에 대한 예시적 절차 또는 이를 보충하는 그 밖의 상세한 사항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미국 특허
미국 특허 제 5,521,168
미국 특허 제 5,843,934
미국 특허 제 5,877,169
미국 특허 제 6,197,833
서적
Figure 112004009105733-pct00001
그 밖의 간행물
Figure 112004009105733-pct00002
Figure 112004009105733-pct00003
Figure 112004009105733-pct00004

Claims (8)

  1. 비여성화 (non-feminizing) 에스트로겐 화합물을 포함하는, 환자의 녹내장과 관련된 망막 또는 시신경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내장이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내장이 정상압 녹내장 (저압 녹내장으로도 알려져 있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이 적어도 제 1 고리 및 제 2 고리를 포함하고 말단 페놀기를 지닌 폴리시클릭 화합물이며, 이러한 폴리시클릭 화합물의 분자량이 1000 달톤 미만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성화 에스트로겐 화합물이 에스트라트리엔-3-올, 3,17α-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및 에스트리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이 하나 이상의 안내압(IOP) 감소용 약제학적 작용제와 동시에 투여되거나 이와 순차적으로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이 하나 이상의 IOP 감소용 외과적 절차와 동시에 투여되거나 이와 순차적으로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성화 에스트로겐이 하나 이상의 망막보호제와 동시에 투여되거나 이와 순차적으로 투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KR1020047003273A 2001-09-05 2002-09-03 녹내장을 치료하기 위한 망막보호제로서의 비여성화에스트로겐의 용도 KR100894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722501P 2001-09-05 2001-09-05
US60/317,225 2001-09-05
PCT/US2002/027969 WO2003020284A1 (en) 2001-09-05 2002-09-03 Use of non-feminizing estrogens as retinoprotectiv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012A KR20040033012A (ko) 2004-04-17
KR100894385B1 true KR100894385B1 (ko) 2009-04-22

Family

ID=2323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273A KR100894385B1 (ko) 2001-09-05 2002-09-03 녹내장을 치료하기 위한 망막보호제로서의 비여성화에스트로겐의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423125B1 (ko)
JP (1) JP2005501888A (ko)
KR (1) KR100894385B1 (ko)
CN (1) CN1551773A (ko)
AR (1) AR038451A1 (ko)
AT (1) ATE371455T1 (ko)
AU (1) AU2002326807B2 (ko)
BR (1) BR0212274A (ko)
CA (1) CA2458468C (ko)
DE (1) DE60222143T2 (ko)
ES (1) ES2289134T3 (ko)
HK (1) HK1064947A1 (ko)
MX (1) MXPA04002098A (ko)
PL (1) PL206249B1 (ko)
TW (1) TWI320712B (ko)
WO (1) WO2003020284A1 (ko)
ZA (1) ZA2004013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4806A1 (en) 2002-09-03 2004-10-28 Iok-Hou Pang Use of non-feminizing estrogens as retinoprotectiv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WO2004093882A1 (ja) * 2003-04-18 2004-11-04 Advanced Medicine Research Institute 眼に適用する疾患治療剤
WO2004091630A1 (ja) * 2003-04-18 2004-10-28 Advanced Medicine Research Institute 眼に適用する疾患治療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1168A (en) * 1994-10-13 1996-05-28 Alcon Laboratories, Inc. Estrogen metabolites for lowering intraocular pressure
US6197833B1 (en) * 1995-07-24 2001-03-06 Apollo Biopharmaceutics, Inc. Neuroprotective effects of polycyclic phenolic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32540T1 (de) * 1991-11-22 2003-02-15 Alcon Lab Inc Angiostatische steroide
JP2004537499A (ja) * 2000-11-27 2004-12-16 エントレメッ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血管新生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1168A (en) * 1994-10-13 1996-05-28 Alcon Laboratories, Inc. Estrogen metabolites for lowering intraocular pressure
US6197833B1 (en) * 1995-07-24 2001-03-06 Apollo Biopharmaceutics, Inc. Neuroprotective effects of polycyclic phenolic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71455T1 (de) 2007-09-15
WO2003020284A1 (en) 2003-03-13
EP1423125A1 (en) 2004-06-02
ZA200401313B (en) 2005-05-11
KR20040033012A (ko) 2004-04-17
TWI320712B (en) 2010-02-21
DE60222143T2 (de) 2008-06-05
CA2458468C (en) 2010-08-24
EP1423125A4 (en) 2005-02-09
JP2005501888A (ja) 2005-01-20
ES2289134T3 (es) 2008-02-01
AR038451A1 (es) 2005-01-19
AU2002326807B2 (en) 2007-08-23
BR0212274A (pt) 2004-10-19
CN1551773A (zh) 2004-12-01
PL374243A1 (en) 2005-10-03
DE60222143D1 (de) 2007-10-11
MXPA04002098A (es) 2004-06-07
EP1423125B1 (en) 2007-08-29
HK1064947A1 (en) 2005-02-08
CA2458468A1 (en) 2003-03-13
PL206249B1 (pl)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425B2 (en) Method for topical treatment of eye disease and composition and device for said treatment
CA2507375C (en) Use of rimexolone in the treatment of dry eye
WO2001041806A1 (fr) Compositions ophtalmiques
US20050182039A1 (en) Use of Loteprednol etabonate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WO2010113753A1 (ja) JNK(c-Junアミノ末端キナーゼ)阻害ペプチドを用いた網膜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剤、網膜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
MXPA06010849A (es) Uso de loteprednol etabonato para el tratamiento del ojo seco.
CN103747786A (zh) 比马前列素和溴莫尼定的固定剂量组合
KR20200130280A (ko) 안과용 제제
JP6994061B2 (ja) 4-(7-ヒドロキシ-2-イソプロピル-4-オキソ-4h-キナゾリン-3-イル)-ベンゾニトリルの製剤
US20220401390A1 (en) Treatments of diabetic macular edema and impaired visual acuity
US7384926B2 (en) Use of non-feminizing estrogens as retinoprotectiv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KR100894385B1 (ko) 녹내장을 치료하기 위한 망막보호제로서의 비여성화에스트로겐의 용도
JP7404658B2 (ja) 涙液層安定化剤及びマイバム分泌促進剤
TWI816660B (zh) 噻托銨用於製造預防近視、治療近視及/或預防近視增長之點眼劑之用途
HU214719B (hu) Eljárás retinális betegségek megelőzésére és kezelésére alkalmas gyógyszerkészítmények előállítására
US7488723B2 (en) Use of non-feminizing estrogens as treatment for retinal vascular diseases
Day et al. Timolol 0.5%/dorzolamide 2% fixed combination vs timolol maleate 0.5% and unoprostone 0.15% given twice daily to patient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or ocular hypertension
TW202033186A (zh) 眼科用組成物
Stewart et al. Differences in ocular surface irritation between timolol hemihydrate and timolol maleate
AU2002326807A1 (en) Use of non-feminizing estrogens as retinoprotectiv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WO2018174145A1 (en) Agent for preventing myopia, treating myopia, and/or preventing myopia progression comprising umeclidinium as active ingredient
Tokunaga et al. A case of cystoid macular edema associated with latanoprost ophthalmic solution
TW202415402A (zh) 安定之肽組成物及使用彼以治療中度/重度乾眼相關性眼徵候之方法
CN116474105A (zh) 一种预防、缓解或治疗眼部疾病的药物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