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489B1 -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489B1
KR100893489B1 KR1020070106031A KR20070106031A KR100893489B1 KR 100893489 B1 KR100893489 B1 KR 100893489B1 KR 1020070106031 A KR1020070106031 A KR 1020070106031A KR 20070106031 A KR20070106031 A KR 20070106031A KR 100893489 B1 KR100893489 B1 KR 100893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supply line
screen
descal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0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6Treatment of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한 쇼트볼을 회수하여 세척한 뒤 선별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는 공급슈트의 공급배관을 통해 사용된 쇼트볼이 낙하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단부에 회전하는 스풀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하는 방향의 말미의 스풀 측에 공급구가 설치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이 이동하는 방향의 초입 상부에 설치된 워터공급라인과, 상기 스크린이 이동하는 방향의 중간 상부에 설치된 에어공급라인과, 상기 스크린이 이동하는 방향의 말미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쇼트볼을 건조시키는 드라이 장치 및 상기 스크린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워터공급라인에서 발생하는 수분 및 이물질을 수거하는 폐기물 수거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새로운 쇼트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쇼트볼 오염, 파괴 등 쇼트볼 불량에 의한 스트립의 품질 불량을 최소하하여 양질의 스트립을 생산할 수 있다.
디스케일러, 쇼트볼, 스케일

Description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DEVICE FOR SORTING SHOT BALL USE DESCALER}
본 발명은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케일러용 쇼트볼을 세정한 뒤 재사용 가능한 쇼트볼을 선별할 수 있는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의 제조공정 중 연속 소둔 작업에서는 열간압연 시 발생된 응력을 제거하고 스트립에 기계적, 물리적 성질을 부여하기 위하여 열처리를 한다. 열처리 과정에서 스트립의 표면에 산화스케일(Scale)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산화스케일은 산세 공정 전에 미리 산세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스틸 등으로 형성된 쇼트볼(Shot ball)을 이용하여 스트립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층을 박리하는 쇼트 블라스팅(Shot blasting) 작업을 행한다.
쇼트 블라스팅 작업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많은 양의 쇼트볼이 설비 하부로 리크(Leak)되어 설비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이나 먼지 등에 오염된다. 그러한 쇼트볼은 진공(Vacuum)을 이용하여 회수 후 재투입된다. 그러나, 진공을 이용하여 회수된 쇼트볼이 재투입되면 기름이나 각종 미세한 먼지 등으로 오염된 쇼트볼과 새로운 쇼트볼이 섞여 재사용되므로, 스트립 표면에 기름 등으로 인한 얼룩이 형성되며, 각종 미세한 먼지로 인하여 스트립 표면에 잔재하는 산화스케일을 깨끗하게 박리하지 못하게 되어 다음 공정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쇼트볼은 한번 사용 후 일부 파손되기 때문에 전량 폐기 처리하여 사용하지 않거나, 일부 파손되지 않은 쇼트볼을 재사용하려고 해도 파손된 쇼트볼과의 선별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한 쇼트볼을 회수하여 세척한 뒤 선별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디스케일 처리된 스트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쇼트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는 사용된 쇼트볼을 벨트 콘베이어와 공급슈트를 이용하여 회수한 후, 투사기를 통해 투사하여 스트립의 스케일층을 박리시키는 디스케일러에 있어서, 상기 공급슈트의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사용된 쇼트볼이 낙하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단부에 회전하는 스풀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하는 방향의 말미의 스풀 측에 공급구가 설치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이 이동하는 방향의 초입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한 쇼트볼을 깨끗한 쇼트볼로 세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하는 워터헤드가 설치된 워터공급라인과, 상기 스크린이 이동하는 방향의 중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공급라인을 통과하며 세척된 상기 쇼트볼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하는 에어헤드가 설치된 에어공급라인과, 상기 스크린이 이동하는 방향의 말미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공급라인을 통과한 상기 쇼트볼을 건조시키는 드라이 장치 및 상기 스크린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워터공급라인에서 발생하는 수분 및 이물질을 수거하는 폐기물 수거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드라이 장치를 통과한 상기 쇼트볼이 상기 스크린에서 분리되어 상기 공급구로 낙하되도록 상기 스크린의 말미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하는 에어헤드가 설치된 에어 스프레이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철망으로 낙하된 상기 쇼트볼은 상기 철망에 설치된 모터의 진동에 의해 이물질이 이송되는 이물질 수거박스를 포함하는 철망 선별 장치와, 상기 철망을 빠져나온 상기 쇼트볼이 칸막이가 설치된 쇼트볼 수거박스로 낙하될 때 상기 쇼트볼 수거박스의 일단부에 설치된 팬에 의해 낙하되는 상기 쇼트볼을 강제 송풍하여 상기 쇼트볼의 무게에 따라 분리하는 강제송풍 선별 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한 쇼트볼을 회수하여 세척한 뒤 선별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쇼트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쇼트볼 오염, 파괴 등 쇼트볼 불량에 의한 스트립의 품질 불량을 최소하하여 양질의 스트립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선별 장치가 설치된 디스케일러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선별 장치를 도시한 부분사 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선별 장치를 설명하면, 디스케일러(200)는 회수된 쇼트볼을 스트립(S)의 상하면으로 투사시키는 투사부(300), 투사된 쇼트볼을 회수하는 회수부(500), 및 본 발명에 따른 선별부(400)로 이루어진다.
투사부(300)는 투사기(10-a, 10-b)와, 투사기(10-a, 10-b)의 외측에 고정된 상부 베이스(18)와 하부 베이스(19)에 설치되는 투사기(10-a, 10-b) 내부의 투사휠을 회전시키는 모터(12a, 12b)와, 모터(12a, 12b)와 투사기(10-a, 10-b)의 투사휠을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인 구동 풀리(71), V벨트(11) 및 피동 풀리(72)로 구성된다. 그리고 투사기(10-a, 10-b)에는 스트립(S)의 전면으로 투사구(73, 74)가 형성되어 투사부(300)를 구성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와 같은 투사부(300)는 디스케일러 캐빈(100)의 양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회수부(500)는 투사구(73, 74)를 통해 투사된 쇼트볼을 회수하기 위해서 디스케일러 캐빈(100)의 하부에 회수판(75)을 설치하고, 회수판(75)의 최하단에 모터(111)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루(110)를 설치한다.
그리고, 스크루(110)의 끝부분이 디스케일러 캐빈(100)의 외측에 수직으로 연결된 수직유니트(76)의 하부와 연결되어 스크루(110)를 통해 이송된 쇼트볼이 수직유니트(76)의 하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수직유니트(76)의 내부에는 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벨트 콘베이어(120)가 설치된다.
또한, 벨트 콘베이어(120)의 벨트(77) 외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수납함(121)은 쇼트볼을 담아서 상부의 공급슈트(130)로 쇼트볼을 옮기게 된다. 공급슈트(130)로 공급된 쇼트볼은 예비호퍼(140) 및 메인호퍼(150)를 통하여 후술하는 선별부(400)로 유입된다.
선별부(400)는 공급슈트(130)에 연결된 공급배관(78)을 통해 공급배관(78) 하부에 설치된 스크린(54)으로 사용한 쇼트볼을 이송시킨다. 스크린(54)의 양단에 스풀(66, 67)이 설치되고, 스풀(66, 67)에는 모터(63)가 연결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된다. 쇼트볼은 스크린(54)의 진행 방향에 따라 이동하며, 노즐(81)이 부착된 워터헤드(56) 및 벨브(59)가 설치된 워터공급라인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워터 공급라인을 지나면 노즐(82)이 부착된 에어헤드(57) 및 벨브(58)가 설치된 에어 공급라인을 거쳐, 드라이 장치(83)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게 된다. 드라이 장치(83)에는 열교환기(53)와 팬(52)을 작동시키는 모터(51)가 설치되어 있다.
드라이 장치(83)를 거친 쇼트볼은 스크린(54) 단부에 설치된 공급구(68)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스크린(54)에서 쇼트볼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쇼트볼이 올려져있는 스크린(54)의 하부에 에어헤드(64)를 포함하는 에어스프레이 장치(65)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54)의 하부에는 워터공급라인을 거치면서 발생한 물이나, 스크린(54)을 통과할 정도의 이물질 및 깨진 쇼트볼 등을 수거할 수 있도록 폐기물 수거함(5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공급구(68)를 통해 유출된 쇼트볼은 철망(84)으로 떨어지게 되며, 철망(84) 은 사용하지 못하게 된 쇼트볼들을 1차적으로 선별하게 되는 철망 선별 장치(700)를 거치게 되고, 모터(20)에 의해 작동하는 팬(21)의 강제송풍에 의해 2차적으로 쇼트볼들을 선별하는 강제송풍 선별 장치(700)를 거치게 된다.
철망 선별 장치(600)는 철망(84)의 측면에 형성된 모터(13)가 회전하면서 회전축에 결합된 캠(50)을 회전시킴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 작용으로 철망(84)에 진동을 발생시켜, 볼트나 용접팁 등의 큰 이물질을 걸러내어 드레인 슈트(85)를 통해 이물질 수거박스(22)에 담겨지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철망(84)을 빠져나온 쇼트볼은 하부에 설치된 쇼트볼 수거박스(86)로 낙하되고, 쇼트볼 수거박스(86)에 설치된 팬(21)에 의해 낙하되는 쇼트볼을 강제 송풍으로 칸막이(26, 27)가 설치된 쇼트볼 수거박스(86)로 무게에 따라 각각의 칸으로 이동하게 된다. 쇼트볼의 상태에 따라 수거될 수 있도록 제1 파이프(25), 제2 파이프(24) 및 제3 파이프(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쇼트볼 수거박스(86)의 하부는 제1 파이프(25), 제2 파이프(24) 및 제3 파이프(23)와 연결되어 있으며, 쇼트볼이 제1 파이프(25), 제2 파이프(24) 및 제3 파이프(23)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선별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투사부(300)의 투사구(74)를 통해 투사된 쇼트볼은 회수판(75)을 통해 떨어져 스크루(110)를 따라 수직 유니트(76)로 이송되고, 회수부(500)의 회전하는 이송 수납함(121)에 담겨져 상부로 이송된 후 공급슈트(130)를 통해 선별부(400)로 이동하게 된다.
선별부(400)로 유입된 사용된 쇼트볼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풀(66, 67)에 의해 서서히 이동하는 스크린(54) 상에 위치한다. 스크린(54) 상에 설치된 워터공급라인을 거치면서 쇼트볼을 세척하고, 세척 시 사용된 수분, 수분에 의해 씻겨져 나온 이물질 및 부서진 쇼트볼 조각들이 폐기물 수거함(55)으로 수거된다.
그리고, 워터공급라인을 거치면서 수분에 젖은 쇼트볼은 에어공급라인을 거치며 수분이 제거되고, 드라이 장치(83)를 거치며 쇼트볼이 건조된다. 건조된 쇼트볼은 스크린(54)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설치된 에어 스프레이 장치(65)의 에어헤드(64)에 의해 공급구(68)로 낙하하여 철망 선별 장치(700)로 이동한다.
철망 선별 장치(700)의 철망(84)에 설치된 모터(13)의 진동에 의해 볼트나 용접팁 등의 큰 이물질은 이물질 수거박스(22)로 이송되고, 철망(84)을 빠져나온 쇼트볼은 하부에 설치된 쇼트볼 수거박스(86)로 낙하된다. 이때, 쇼트볼 수거박스(86)에 설치된 팬(21)에 의해 낙하되는 쇼트볼을 강제 송풍으로 칸막이(26, 27)가 설치된 쇼트볼 수거박스(86)로 무게에 따라 각각의 칸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장 가벼운 쇼트볼은 팬과 가장 멀리 떨어진 칸으로 날려가서 제1 파이프(25)를 따라 폐쇼트볼 수거함(86)에 수거되고, 절반 정도가 파손되거나 깨진 모양으로 변한 중간 무게의 쇼트볼은 제2 파이프(24)를 따라 수거되며, 정상적인 쇼트볼은 제3 파이프(23)를 따라 수집함(28)으로 모아져 다시 투사부(300)로 이동하게 된다.
수집함(28)에 담겨진 쇼트볼은 그 하부에 설치된 두 개의 공급라인으로 공급되어 하나는 상부 투사구(73)로 투사되고, 다른 하나는 하부 투사구(74)로 투사되어진다.
즉, 각각의 베이스(18, 19) 위에 설치된 모터(12a, 12b))가 회전하여 V벨트(11)로 연결된 투사휠을 각각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투사휠에 의해 그 상부에서 공급되는 쇼트볼이 스트립(S) 표면으로 투사된다.
투사된 쇼트볼은 회수판(75)을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순서대로 계속 진행하며, 정상적인 쇼트볼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선별 장치가 설치된 디스케일러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선별 장치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4 : 스크린 55 : 폐기물 수거함
56 : 워터헤드 57 : 에어헤드
65 ; 에어 스프레이 장치 83 : 드라이 장치
600 : 강제송풍 선별 장치 700 : 철망 선별 장치

Claims (3)

  1. 사용된 쇼트볼을 벨트 콘베이어와 공급슈트를 이용하여 회수한 후, 투사기를 통해 투사하여 스트립의 스케일층을 박리시키는 디스케일러에 있어서,
    상기 공급슈트의 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사용된 쇼트볼이 낙하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양단부에 회전하는 스풀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하는 방향 말미의 스풀 측에 공급구가 설치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이 이동하는 방향의 초입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한 쇼트볼을 깨끗한 쇼트볼로 세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하는 워터헤드가 설치된 워터공급라인;
    상기 스크린이 이동하는 방향의 중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터공급라인을 통과하며 세척된 상기 쇼트볼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하는 에어헤드가 설치된 에어공급라인;
    상기 스크린이 이동하는 방향의 말미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공급라인을 통과한 상기 쇼트볼을 건조시키는 드라이 장치;
    상기 스크린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워터공급라인에서 발생하는 수분 및 이물질을 수거하는 폐기물 수거함;
    상기 드라이 장치를 통과한 쇼트볼이 공급구를 통해 낙하되도록 스크린의 말미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하는 에어헤드가 설치된 에어 스프레이 장치;
    상기 공급구를 통해 철망으로 낙하된 쇼트볼이 상기 철망에 설치된 모터의 진동에 의해 이물질이 이송되는 이물질 수거박스를 구비하는 철망 선별 장치; 및
    상기 철망을 빠져나와 낙하되는 쇼트볼을 칸막이가 설치된 쇼트볼 수거박스의 일단부에 구비된 팬에 의해 강제 송풍하여 쇼트볼의 무게에 따라 분리하는 강제 송풍 선별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70106031A 2007-10-22 2007-10-22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 KR100893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31A KR100893489B1 (ko) 2007-10-22 2007-10-22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31A KR100893489B1 (ko) 2007-10-22 2007-10-22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489B1 true KR100893489B1 (ko) 2009-04-17

Family

ID=4075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031A KR100893489B1 (ko) 2007-10-22 2007-10-22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200B1 (ko) * 2009-08-31 2010-05-14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선별된 가연성 폐기물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200065705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쇼트 블라스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767A (ja) * 1993-09-21 1995-04-04 Nissan Motor Co Ltd ショットピーニ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0064161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스트립의 스케일 박리용 쇼트볼 세정장치
KR20020052889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디스케일러용 숏 볼 선별장치
KR20040012342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쇼트 블라스트의 이물질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767A (ja) * 1993-09-21 1995-04-04 Nissan Motor Co Ltd ショットピーニ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0064161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스트립의 스케일 박리용 쇼트볼 세정장치
KR20020052889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디스케일러용 숏 볼 선별장치
KR20040012342A (ko) *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쇼트 블라스트의 이물질 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200B1 (ko) * 2009-08-31 2010-05-14 두제산업개발(주)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선별된 가연성 폐기물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200065705A (ko) *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쇼트 블라스터
KR102168370B1 (ko) * 2018-11-30 2020-10-22 주식회사 포스코 쇼트 블라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65739A (zh) 自动清洁和处理垫系统和方法
KR101928748B1 (ko) 쇼트볼 분리 및 세정장치를 구비한 연속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쇼트 블라스트 시스템
KR101134135B1 (ko) 쇼트 블라스트
US3053700A (en) Method for cleaning floors in textile mills
CN105666299A (zh) 一种新型钢球处理机
KR100893489B1 (ko) 디스케일러용 쇼트볼 선별 장치
KR101928700B1 (ko) 연속 벨트 컨베이어 방식의 쇼트 블라스트 시스템
KR101462808B1 (ko) 도장지그용 표면처리장치
KR20170044251A (ko) 도상자갈용 세척장치
KR20090059621A (ko) 벨트 표면의 미세분진 제거 장치 및 방법
US5014469A (en) Shot removal system
KR101186588B1 (ko) 리턴 벨트 세척 및 철광석 분리장치
CN110327697A (zh) 一种列车空调滤网竖向传送清洗设备
CN108654843A (zh) 茶叶除杂装置
JP3333713B2 (ja) 空気浮上式コンベヤの清掃装置
US4646481A (en) Surface blasting apparatus
JP3723087B2 (ja) 異物除去機構およびメダル洗浄装置
CN114029867A (zh) 一种风力发电机塔筒外壁专用抛丸机
JP2009119737A (ja) 農業用マルチシートの処理装置
US4788799A (en) Surface blasting apparatus
CN210754131U (zh) 干湿分离设备
CN219859167U (zh) 一种玻璃辊道排废装置
KR20040043387A (ko) 숏볼 블라스터의 숏볼 입도별 선택장치
KR100803976B1 (ko) 디스케일러의 이물질 제거장치
JP7322729B2 (ja) ショット材除去機構およびショット材除去機構を備えたショット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