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865B1 -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865B1
KR100892865B1 KR1020070049749A KR20070049749A KR100892865B1 KR 100892865 B1 KR100892865 B1 KR 100892865B1 KR 1020070049749 A KR1020070049749 A KR 1020070049749A KR 20070049749 A KR20070049749 A KR 20070049749A KR 100892865 B1 KR100892865 B1 KR 100892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weight
adhesive composition
acrylate
acrylic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811A (ko
Inventor
최규하
엄상열
이문복
김상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86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필름을 광학용 디스플레이소재인 편광판에 적용함으로서 발생하는 점착제 흐름(비어져 나옴)에 의한 겹쳐 쌓을 때의 시트의 달라붙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표면에 부착한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디스플레이 광학소재에 사용되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a)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 1,00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00 중량부, (b) 경화제 2 ~ 35중량부이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10 ~ 50 중량부, 탄소수가 2 ~ 12인 알킬기를 가진 알킬아크릴레이트 30 ~ 80 중량부,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 1 ~ 20 중량부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 ~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3 ~ 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착제, 보호필름, 디스플레이, 편광판, 점착제 흐름

Description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FOR PROTECTIVE FILM }
본 발명은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필름을 광학용 디스플레이소재인 편광판에 적용함으로서 발생하는 점착제 흐름(비어져 나옴)에 의한 편광판을 겹쳐 쌓을 때의 시트의 달라붙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표면에 부착한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광판 등의 광학용 시트의 가공, 실장 시에는 당해 시트의 상(傷), 오염(汚染) 방지의 표면보호 필름을 첩부하고, 이면(裏面)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켜, 박리필름을 합친 다음 목표로 하는 편광각도에 맞추어 재단하여 적층 보존하는 것이 상례이다. 당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첩부하는 때에는 오토클레이브 등의 가열처리가 행해지는 일이 있어 표면보호 필름은 열수축 등이 생기지 않는 내열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적층보존시 보호필름을 첩부한 편광필름은 실장시 첩부하기 위한 점착제가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등으로 표면을 더렵혀져 외관 검품 작업을 방해하 거나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보호필름 표면에 부착한 점착제는 광학용 시트 자체의 결함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알코올이나 에스테르 케톤류 등의 유기용제로 닦아내거나 부착물을 물로 솔질하여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필름의 점착제층이 내열성 및 내열내습성이 취약해서 편광판을 제단시에 점착층이 흐름(비어져 나옴)으로 인해, 편광판을 겹쳐 쌓을 때 층과 층 사이가 서로 달라붙어서 작업성이 나빠지며, 보호필름 표면을 오염시키므로, 점착제 흐름(비어져 나옴)에 의한 편광판을 겹쳐 쌓을 때의 시트의 달라붙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표면에 부착한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디스플레이 광학소재에 사용되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a)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 1,00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00 중량부, (b) 경화제 2 ~ 3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3 ~ 6이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10 ~ 50 중량부, 탄소수가 2 ~ 12인 알킬기를 가진 알킬아크릴레이트 30 ~ 80 중량부,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 1 ~ 20 중량부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 ~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40℃ ~ 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겔분율이 70 ~ 9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로니트릴, 알킬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10 ~ 50 중량부, 탄소수가 2 ~ 12인 알킬기를 가진 알킬아크릴레이트 30 ~ 80 중량부,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 1 ~ 20 중량부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 ~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액정 TV, 카 내비게이터, 휴대전화 등의 디스플레이 화 면 등에 이용되는 편광판 등의 가공(加工), 실장시(實裝時)에 있어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표면보호 필름의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 1,00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00 중량부와 경화제 2 ~ 3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분자량 분포가 3 ~ 6, 유리전이온도가 -40℃ ~ 0℃, 경화도(겔분율)가 70 ~ 9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디스플레이장치용 광학필름의 보호용으로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용 광학필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알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다관능성 화합물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탄소수 4-12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iso-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iso-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가교제에 대해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서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비닐계 단량체,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비닐계 단량체, 아미노기를 함유 하는 비닐계  단량체,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비닐계 단량체, 및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비닐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및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산, 베타-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크로돈산,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및 말레인산 부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릴알콜 등이 있다. 상기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예로는 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비닐피리딘 등이 있다. 또한,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및 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물질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다관능성 화합물의 관능기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와 반응하는 것으로, 1 분자내에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다관능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및 아지리딘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트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가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폴리올과의 수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비스페놀 A, 에피클로르히드린형의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글리콜 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및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민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트리에틸디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테트라민, 이소포름디아민, 아미노수지 및 메틸렌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철, 동, 아연, 주석, 티탄, 니켈, 안티몬, 마그네슘, 바나듐, 크롬 및 지르코늄 등의 다가 금속이 아세틸아세톤이라든가 아세토초산에틸에 배위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지리딘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N,N'-헥사메틸렌-1,6-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베타-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베타-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은 디스플레이장치 광학소재필름용 보호필름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광학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이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예로는 음극선관(CRT),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평광판용 보호필름은 기재상에 점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편광판용 보호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 1,00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00 중량부와 경화제 2 ~ 3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3~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 ~ 1,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0 ~ 800,000이다. 여기서 중량평균 분자량이 300,000미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보호필름 경우, 내열내습 신뢰성 평가 시 조성물의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보호필름의 반대면에 있는 광학소재에 미세 전사되어 미세얼룩으로 발생되게 되고, 반면 중량평균 분자량이 800,000초과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보호필름 경우 조 성물의 분자량이 올라가서 점착제의 탄성과 점착력이 상승하게 되어 보호필름을 합지하여 제거시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다관능성) 경화제는 상기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는 2 내지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다관능성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와의 사이에서 바람직한 3 차원 가교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이들 다관능성 경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의 분자량 분포는 3 내지 6의 값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값은 나타낸다. 분자량 분포가 2 미만의 경우 제조상의 문제 및 제조비용이 많이 들므로 제조하고 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있으며, 분자량 분포 값이 5를 초과할 경우 잔존하는 올리고머 및 저분자량의 고분자가 내열내습 신뢰성 평가시 미세얼룩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40℃ 내지 0℃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로 하며, 유리전이온도가 -30℃ 미만일 경우 점착제 조성물이 경화되어 3차원 네트워크 구성을 가진다 해도 고분자 자체의 유리전이온도가 낮기 때문에 내열내습 평가 시 변형이 일어나 신뢰성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유리전이 온도가 -20℃ 초과할 경우 점착제 조성물이 경화되면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진 조성물보다 분자구조가 더 치밀하게 3차원 네 트워크 구성을 가지게 된다. 점착제 자체는 점탄성을 가지는데 이 경우에는 탄성쪽으로 더 치우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보호필름이 이물이나 외부충격에 대한 보호역할을 해야 되는데 탄성이 높고, 점성이 낮아지게 되면 외부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제품에 손상을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의 경화도(겔분율)는 70% 내지 99%로 경화를 하며,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5%가 경화되도록 해야 한다. 경화가 진행되어 겔이 형성되는 정도가 80% 미만인 경우, 경화에 참여하지 못한 고분자들이 신뢰성시 미세얼룩과 같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또한 경화가 진행되어 겔이 형성되는 정도가 95% 초과되는 경우 대부분의 공중합체들이 경화에 참여하여 점착력이 저하된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980,000, 분자량 분포: 3.3, 유리전이온도: -26℃, 겔분율: 95%)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두께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70,000, 분자량 분포: 3.2, 유리전이온도: -30℃, 겔분율: 93%)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두께 10㎛ 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450,000, 분자량 분포: 3.6, 유리전이온도: -28℃, 겔분율: 91%)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 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50,000, 분자량 분포: 2.1, 유리전이온도: -25℃, 겔분율: 89%)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 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000,000, 분자량 분포: 3.2, 유리전이온도: -22℃, 겔분율: 91%)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 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30,000, 분자량 분포: 5.8, 유리전이온도: -24℃, 겔분율: 93%)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 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60,000, 분자량 분포: 3.3, 유리전이온도: -5℃, 겔분율: 91%)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 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80,000, 분자량 분포: 3.4, 유리전이온도: -21℃, 겔분율: 93%)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 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20,000, 분자량 분포: 3.2, 유리전이온도: -38℃, 겔분율: 91%)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60,000, 분자량 분포: 3.3, 유리전이온도: -26℃, 겔분율: 91%)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30,000, 분자량 분포: 3.2, 유리전이온도: -30℃, 겔분율: 83%)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10,000, 분자량 분포: 3.3, 유리전이온도: -24℃, 겔분율: 73%)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1,840,000, 분자량 분포: 3.6, 유리전이온도: -24℃, 겔분율: 92%)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1,250,000, 분자량 분포: 3.6, 유리전이온도: -21℃, 겔분율: 91%)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240,000, 분자량 분포: 3.4, 유리전이온도: -20℃, 겔분율: 89%)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30,000, 분자량 분포: 6.5, 유리전이온도: -25℃, 겔분율: 88%)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60,000, 분자량 분포: 7.3, 유리전이온도: -27℃, 겔분율: 91%)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810,000, 분자량 분포: 8.7, 유리전이온도: -21℃, 겔분율: 89%)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20,000, 분자량 분포: 3.2, 유리전이온도: -25℃, 겔분율: 91%)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830,000, 분자량 분포: 3.7, 유리전이온도: -29℃, 겔분율: 93%)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90,000, 분자량 분포: 3.8, 유리전이온도: -23℃, 겔분율: 91%)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30,000, 분자량 분포: 3.6, 유리전이온도: -24℃, 겔분율: 63%)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680,000, 분자량 분포: 3.9, 유리전이온도: -27℃, 겔분율: 46%)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보호필름 점착제 조성물인 경화제를 포함한 아크릴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710,000, 분자량 분포: 3.7, 유리전이온도: -29℃, 겔분율: 28%)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기재에 점착제 10㎛로 도포 및 숙성하여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제조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대한 재단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보호필름을 편광판에 합지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재단성 평가방법은 점착제가 도포가 안된 편광판에 위와 같이 제조된 보호필름을 합지하고 1일 방치 후 자동 컷팅 머신을 사용하여 컷팅한 후 편광판을 겹쳐 쌓은 후 다시 1일 방치 후에 겹쳐 쌓은 편광판을 분리해 낼 때 점착제 흐름(비어져 나옴)에 의한 서로간 붙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경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겔분율은 이형필름 위에 점착제를 10㎛ 두께로 코팅하여, 지지체 상에서 온도 23℃, 습도 65%RH의 조건에서 숙성시킨 후, 점착제의 약 0.1g을 샘플 병에 채취하고, 초산에틸을 50g 가하여 24시간 교반 후 해당 샘플 병의 내용물을 200메쉬의 스테인레스제 철망에 걸러, 철망상의 잔류물을 100℃에서 2시간 건조시켜서 건조 중량을 측정하였다. 겔분율(%)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고 물성 측정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1]
겔분율(%)=(건조중량/점착제채취중량)× 100
[표 1]
Figure 112007037536050-pat00001
* 좋음:●, 양호:▲, 나쁨:X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경우 비교예들에 비해 점착제흐름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 흐름(비어져 나옴)에 의한 시트 서로간의 달라붙음을 방지할 수 있고 표면에 부착한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의하면, 보호필름을 광학용 디스플레이소재인 편광판에 적용함으로서 발생하는 점착제 흐름(비어져 나옴)에 의한 겹쳐 쌓을 때의 시트의 달라붙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표면에 부착한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디스플레이 광학소재에 사용되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a)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 1,000,000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00 중량부, (b) 경화제 2 ~ 3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3 ~ 6이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10 ~ 50 중량부, 탄소수가 2 ~ 12인 알킬기를 가진 알킬아크릴레이트 30 ~ 80 중량부,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 1 ~ 20 중량부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 ~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40℃ ~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겔분율이 70 ~ 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로니트릴, 알킬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아 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5. 삭제
KR1020070049749A 2007-05-22 2007-05-22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KR100892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749A KR100892865B1 (ko) 2007-05-22 2007-05-22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749A KR100892865B1 (ko) 2007-05-22 2007-05-22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811A KR20080102811A (ko) 2008-11-26
KR100892865B1 true KR100892865B1 (ko) 2009-04-15

Family

ID=4028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749A KR100892865B1 (ko) 2007-05-22 2007-05-22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5274B2 (en) 2016-07-22 2021-04-13 Samsung Display Co., Ltd. Acrylic adhesive and protective fil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706A (ko) * 2004-01-20 2005-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070055363A (ko) * 2005-11-24 2007-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706A (ko) * 2004-01-20 2005-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070055363A (ko) * 2005-11-24 2007-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5274B2 (en) 2016-07-22 2021-04-13 Samsung Display Co., Ltd. Acrylic adhesive and protective fil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811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0394B2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JP4521520B2 (ja) 低極性フィルム用粘着剤
JP5595034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5604662B2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US20130164478A1 (en)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release sheet,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transparent laminate
TWI486417B (zh) A polarizing plate adhesive composition, and a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using the polarizing plate
KR102088783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광학 필름용 점착 필름
TWI688626B (zh) 偏光板用黏著劑組成物、黏著片、附有黏著劑層之偏光板及積層體
CN101583684B (zh) 丙烯酸压敏粘合剂组合物
JPWO2006009250A1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偏光板
JP5517831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20130141524A (ko) 광학 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부재용 점착제, 점착제 부착 광학부재 및 화상 표시장치
CN1740256A (zh) 用于偏振膜的压敏粘合剂组合物
KR101863664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TWI588232B (zh) 壓敏性黏著劑組成物
TW201606014A (zh) 黏著劑組合物以及黏著膜
TWI754363B (zh) 黏著劑層及黏著薄膜
TW201606015A (zh) 黏著劑組合物以及黏著膜
KR20130094724A (ko) 아크릴계 수지 용액,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아크릴계 점착제, 점착 시트, 광학 부재용 아크릴계 점착제, 점착제층 부착 광학 부재
TWI415918B (zh)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protective sheet and protective film for optical film
JP5611130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TW200905312A (en) Polarizer hav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improved light leakage property
JP5611129B2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0904153B1 (ko) 디스플레이 광학소재용 보호필름
KR100892865B1 (ko)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