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413B1 -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413B1
KR100892413B1 KR1020070102934A KR20070102934A KR100892413B1 KR 100892413 B1 KR100892413 B1 KR 100892413B1 KR 1020070102934 A KR1020070102934 A KR 1020070102934A KR 20070102934 A KR20070102934 A KR 20070102934A KR 100892413 B1 KR100892413 B1 KR 100892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bstrate
groove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인
김원근
이찬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light reflecting structure, e.g. semiconductor Bragg reflec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기 발광 구조물에서 방출된 광을 반사 구조물의 경사진 내측벽에서 반사시켜 조명하게 됨으로, 기판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의 물질간의 굴절율 차이에 의하여 측면으로 진행되는 광을 반사 구조물에서 반사시켜 광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반사 구조물, 기판 등에 결합홈 또는 요철 패턴을 형성하여 기판과 반사 구조물간 접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사, 유기, 조명, 결합, 접착

Description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OLED ligh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표시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빛을 발생하기에,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낮은 소비전력이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통상,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 내부로 양극으로부터 공급된 정공과 음극으로부터 공급된 전자가 주입되어, 유기층의 내부에서 결합될 때, 빛이 방출되는 소자이다.
그러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그 단순한 구조와 저압에서 고밀도 다색광을 발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하여 표시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형성된 표시장치는 TFT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비교할 때 후면광(Back Light)이 필요하지 않고, 컬러 필터에 의한 휘도 저하가 없으며, 검은색 화면 구동시에 전기가 공급될 필요가 없고, 소비전력이 낮고, 자체 발광을 함으로써 빛의 굴절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야각이 매우 양호한 장점이 있다.
현재,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조시 수분 및 산소 등의 외부 불순물이 소자 내부로 침투하여 발광면적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소자에 캔(Can)을 패키징하고, 이 캔 내부에 흡습제(Desiccant)를 사용하여 외부 침투를 방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캔(Can)이 패키징된 유기 발광 발광 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유리기판(10) 상부에 유기 발광 구조물(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기 발광 구조물(20)을 내측에 위치시키는 캔(30)이 상기 유리기판(10) 상부에 자외선 밀봉제(Sealant)(31)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기 발광 구조물(20)은 상기 유리기판(10) 상부에 형성된 투명한 양극전극, 상기 양극전극의 상부에 형성된 유기막, 상기 유기막 상부에 형성된 음극전극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기막과 음극전극의 측면에는 절연막과 격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캔(30)은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로 유입되는 가스 및 수분을 막는다.
한편, 상기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아웃가싱된 가스를 흡수시키기 위해, 상기 캔(30)의 내부에 흡습제를 넣는다.
한편, 디스플레이에서는 미세하게 패터닝된 애노드 전극을 절연막 등으로 분리하여 수천에서 수백만개 이상의 픽셀을 형성하게 되고, 발광은 각각의 픽셀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각기 다른 밝기를 가지고 발광하여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조명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넓은 면적에서 동일하게 발광해야 하므로, 픽셀을 형성하지 않고 넓은 대면적의 발광 소자를 만들게 되며, 하나 또는 수개 정도의 발광 영역을 갖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조명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봉지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수분과 산소에 매우 취약하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여 봉지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봉지 기술은 크게 캡(Cap)을 사용하는 방법, 박막을 증착하는 방법과 이 두가지 방법을 혼합하여 적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작하는 방법은 대부분 캡을 활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캡은 글래스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소자에 직접 접촉되지 않 도록 접합부를 형성하고, 안쪽 부분은 파거나 찍어내는 등의 가공을 통하여 단차를 만들게 된다.
접합부에는 실런트(Sealant)가 도포되며, 이것은 외부에서 수분과 산소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공정은 수분과 산소에 대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진공 또는 N2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이루어지지만, 실런트를 통한 침투나 내부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 및 산소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캡의 안쪽에 흡습제를 넣게 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유리 기판과 ITO 등의 투명 전극, 유기물, 금속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어, 유기물에게 발광된 빛은 모든 방향으로 방출되게 되는데, 이때 투명 전극 방향으로 진행되어 유리 기판을 통과하여 방출된 빛만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을 가능한 한 전면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캐소드 전극은 반사율이 좋은 물질을 사용하여 캐소드 쪽으로 방출된 빛을 투과가 가능한 투명전극쪽으로 반사시킨다.
그런데, 투명전극으로 향한 빛이라도 유기물, ITO와 유리 기판 간의 굴절율 차이에 의하여 빛이 각도를 가지고 직행할 경우, 전반사 현상이 발생되게 되며, 이에 따라 발생된 빛은 전부가 밖으로 방출되어 활용되지 못하고, 약 20% 정도의 빛만이 밖으로 방출되게 된다.
나머지 80%의 빛은 유기물을 따라서 측면으로 진행되거나 유리 기판의 내부 에서 측면으로 진행되어 일종의 도파로 내에서의 거동을 보이게 된다.
많은 빛이 측면으로 진행되게 되나, 측면의 경우에는 실런트(Sealant) 또는 봉지 등으로 막혀 있으며, 글라스를 통과하여 나온 빛의 경우에는 빛이 나오는 것은 확인되나, 실제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된다.
디스플레이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에서는 각각의 픽셀을 통과하여 방출된 빛만을 활용하여야 하므로, 측면으로 진행한 빛은 활용이 불가능하며 오히려 디스플레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樣態)는,
상부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경사진 내측벽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의 내측벽이 상기 기판에 접착되어 있는 반사 구조물로 구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양태(樣態)는,
기판 상부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의 내측벽이 경사져 있으며, 상기 경사진 내측벽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사 구조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 구조물의 결합홈과 상기 기판 상부를 실런트(Sealant)로 접합하는 단계로 구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 구조물에서 방출된 광을 반사 구조물의 경사진 내측벽에서 반사시켜 조명하게 됨으로, 기판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의 물질간의 굴절율 차이에 의하여 측면으로 진행되는 광을 반사 구조물에서 반사시켜 광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반사 구조물, 기판 등에 결합홈 또는 요철 패턴을 형성하여 기판과 반사 구조물간 접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로서, 먼저, 기판(100) 상부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110)을 형성한다.(도 2a)
여기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영역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110)이 복수개의 발광 영역들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복수개의 발과 영역들은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이 기술은 통상적인 것이라 생략한다.
그 다음, 홈(3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300)의 내측벽(320)이 경사져 있는 반사 구조물(200)을 준비한다.(도 2b)
그 후, 상기 홈(300)의 내측벽(320)과 상기 기판(100) 상부를 실런트(Sealant)(400)로 접합한다.(도 2c)
여기서, 상기 반사 구조물(200)의 내측벽(320)에는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사막은 반사율이 우수한 Al, Ag, Cr과 Mo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정에 따라서 절연을 위하여 투명 절연 재료, SiO2, SiON, Si3N4, TiO2, Al2O3 등의 무기재료와 폴리아크릴레이트, 파릴렌 등의 투명 유기 절연 재료를 반사막 위에 코팅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제조 방법은 후술된 구조를 적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에서 광이 방출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상부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 물(110)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00)과; 경사진 내측벽(320)을 갖는 홈(3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300)의 내측벽(320)이 상기 기판(100)에 접착되어 있는 반사 구조물(20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반사 구조물(200)의 홈(300)은 바닥면(310)과; 상기 바닥면(310)에서 연장된 내측벽(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내측벽(320)은 경사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벽(320)의 경사 각도(α)는 20 ~ 7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 발광 구조물에서 방출된 광은 반사 구조물의 경사진 내측벽에서 반사시켜 조명하게 됨으로, 기판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의 물질간의 굴절율 차이에 의하여 측면으로 진행되는 광이 반사 구조물에서 반사되어 광 방출 효율, 즉 조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른 형상의 반사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로서, 반사 구조물(200)의 경사진 내측벽에는 기판(100)과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결합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330)에 실런트가 위치되어 상기 반사 구조물(200)을 락킹(Locking)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반사 구조물(200)과 기판(100)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반사 구조물(200)의 경사진 내측벽은 제 1 경사진 내측벽(321)과 제 2 경사진 내측벽(3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330)은, 제 1 경사진 내측 벽(321)과 제 2 경사진 내측벽(32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1과 2 경사진 내측벽(321,322)은 경사진 면이 다른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사진 내측벽(321)의 경사진 면은 'P1'선상에 존재하고, 제 2 경사진 내측벽(322)의 경사진 면은 'P2'선상에 존재하므로,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또 다른 형상의 반사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반사 구조물(200)의 홈 바닥면(310)에, 흡수제(500)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35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렇게, 상기 반사 구조물(200)의 홈 바닥면(310)에 장착홈(350)이 형성되어 있으면, 이 장착홈(350)에 장착된 흡수제(500)는 장착홈(350)의 깊이(d)에 의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110)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광을 집광시키기 위하여 반사 구조물과 기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110)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00)과 접착되어 있는 반사 구조물(200)이 기판(100)보다 돌출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에서 반사 구조물(200)은 기판(100)의 하부면상에서 't'정도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110)에서 방출된 광은 반사 구조물(200)의 경사진 내측벽(320)에서 반사되어 조명하게 되는데, 도 6과 같이, 상기 기판(100) 하부면보다 돌출된 반사 구조물 영역은 상기 기판의 측면을 통과하는 광도 반사시켜 조명효율을 더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기판과 접착되는 반사 구조물 영역 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적인 일부 단면도로서, 도 7의 반사 구조물(200)의 경사진 내측벽에도 도 4의 구조와 동일하게 기판(100)과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결합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330)은, 제 1 경사진 내측벽(321)과 제 2 경사진 내측벽(322)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 1과 2 경사진 내측벽(321,322)은 도 7과 같이, 경사진 면이 동일 선상(P)에 위치한다.
또, 상기 결합홈(330) 내부에 실런트(400)가 채워지고, 반사 구조물(200)과 기판(100)은 상기 실런트(400)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실런트에 의해 반사 구조물의 홈과 기판의 모서리가 접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이 형성된 기판에 반사 구조물을 접착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을 상기 반사 구조물에서 반사시켜 조명함으로써, 광 손실을 줄여 조명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판(100)에 반사 구조물(200)을 접착하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기판(100) 상부와 반사 구조물(200)을 접착하거나, 도 8과 같이, 기판(100)의 모서리와 반사 구조물(200)을 접착한다.
이때, 상기 반사 구조물(200)의 경사진 내측벽(320)에는 결합홈(3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홈(330) 내부에 실런트(400)를 도포하여 기판(100)의 모서리와 접착하는 것이다.
도 9a와 9b는 본 발명에 따라 실런트에 의해 반사 구조물의 홈과 기판의 모서리가 접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로서, 도 9a와 같이, 반사 구조물(200)의 결합홈(330)은 오목한 다각 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결합홈(330) 내부의 폭(W1)보다 홈 입구의 폭(W)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도 9b와 같이, 측면에서 방출되는 광은 상기 결합홈(330) 내부에 'A'경로(실선)로 반사되고, 하측면에서 방출되는 광은 'B'경로(점선)로 반사되어 조명된다.
참고로, 상기 경로는, 실런트의 굴절율을 감안하지 않은 것임.
도 10a와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 구조물의 사시도로서, 반사 구조물(200)에 형성된 홈(330)은 도 10a와 10b와 같이, 오목한 원기둥 형상이다.
여기서, 도 10a는 홈이 반사 구조물 상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홈이 반사 구조물 하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러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에서 방출되는 광은 상기 홈(330)의 경사진 내측벽에서 반사되어 조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의 외측은 상기 홈(330)의 경사진 내측벽이 위치된다.
도 11a와 11b는 본 발명에 따라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반사 구조물(200)의 경사진 내측벽(320)에는 도 11a와 같이, 기판(100)과 반사 구조물(200)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 패턴(38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구조물(200)과 접착되는 기판(100) 영역에도 요철 패턴(18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요철 패턴에 의해, 기판과 반사 구조물을 접착시키는 접착 수단인 실런트의 접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a와 12b는 본 발명에 따라 기판에 홈에 반사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로서, 먼저, 도 12a와 같이, 기판(100)의 모서리에 홈(150)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도 12b와 같이, 기판(100) 상부에 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기판(100)에 형성된 홈(150,151)에 반사 구조물(200)을 접착하게 되면, 기판(100)과 반사 구조물(200)의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캔(Can)이 패키징된 유기 발광 발광 다이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에서 광이 방출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른 형상의 반사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또 다른 형상의 반사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광을 집광시키기 위하여 반사 구조물과 기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기판과 접착되는 반사 구조물 영역 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적인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실런트에 의해 반사 구조물의 홈과 기판의 모서리가 접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9a와 9b는 본 발명에 따라 실런트에 의해 반사 구조물의 홈과 기판의 모서리가 접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10a와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 구조물의 사시도
도 11a와 11b는 본 발명에 따라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12a와 12b는 본 발명에 따라 기판에 홈에 반사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Claims (15)

  1. 상부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경사진 내측벽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의 내측벽이 상기 기판에 접착되어 있는 반사 구조물로 구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 구조물에 형성된 홈은 오목한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의 내측벽과 상기 기판은 실런트(Sealant)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접착된 상기 반사 구조물의 경사진 내측벽에는 결합홈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 내부에 상기 실런트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사 구조물의 결합홈은,
    오목한 다각 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 내부의 폭보다 상기 결합홈의 입구의 폭(W)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사 구조물의 경사진 내측벽은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된 제 1 경사진 내측벽과 제 2 경사진 내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 1 경사진 내측벽과 제 2 경사진 내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8. 삭제
  9. 청구항 1 내지 7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의 경사 각도는,
    20 ~ 70도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10. 청구항 1 내지 7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구조물의 내측벽에는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11. 청구항 1 내지 7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구조물의 홈 바닥면에 장착홈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홈에는 흡수제가 더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12. 청구항 3 내지 7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가 접착되어 있는 기판 영역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13.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구조물의 경사진 내측벽, 기판 및 이들 모두 중 하나에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 구조물과 기판을 접착시키는 접착 수단은 상기 요철 패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14. 청구항 1 내지 7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구조물은,
    상기 기판의 하부면상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
  15. 기판 상부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의 내측벽이 경사져 있으며, 상기 경사진 내측벽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반사 구조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 구조물의 결합홈과 상기 기판 상부를 실런트(Sealant)로 접합하는 단계로 구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70102934A 2007-10-12 2007-10-12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92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934A KR100892413B1 (ko) 2007-10-12 2007-10-12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934A KR100892413B1 (ko) 2007-10-12 2007-10-12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413B1 true KR100892413B1 (ko) 2009-04-10

Family

ID=4075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934A KR100892413B1 (ko) 2007-10-12 2007-10-12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4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8107A1 (zh) * 2013-08-07 2015-02-1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封装结构及封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019A (ko) * 2003-03-06 2004-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봉 캡
KR20050038101A (ko) * 2003-10-21 200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20060093548A (ko) * 2005-02-22 200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의 방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019A (ko) * 2003-03-06 2004-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봉 캡
KR20050038101A (ko) * 2003-10-21 200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20060093548A (ko) * 2005-02-22 200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의 방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8107A1 (zh) * 2013-08-07 2015-02-1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封装结构及封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2155B2 (ja) 発光デバイス
JP4192494B2 (ja) 発光パネル
KR101231109B1 (ko) 에지 광추출을 갖는 타일형 oled 디바이스
US7982398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4363049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並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を備える表示装置
JP2000231985A (ja) 有機el素子
KR201500394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510919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02043054A (ja) 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02879B1 (ko)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8159309A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JP2004039553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US20160172632A1 (en)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including same
JP2011081945A (ja) 有機elパネル及びパネル接合型発光装置
KR10089241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149591A (ja) 面発光体及び表示装置
KR101597220B1 (ko) 조명용 유기발광장치
KR101608332B1 (ko)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
WO2021176538A1 (ja) 表示装置
KR101542425B1 (ko) 대면적 유기발광 패널
JP2007115629A (ja) 有機el照明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9734A (ko) 유기발광소자
KR20060047227A (ko) 다층막 구성을 갖는 유기 전계 다중면 발광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1470294B1 (ko) 금속산화물 박막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608300B1 (ko)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