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803B1 -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803B1
KR100890803B1 KR1020020063943A KR20020063943A KR100890803B1 KR 100890803 B1 KR100890803 B1 KR 100890803B1 KR 1020020063943 A KR1020020063943 A KR 1020020063943A KR 20020063943 A KR20020063943 A KR 20020063943A KR 100890803 B1 KR100890803 B1 KR 100890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distribution pipe
bag filter
air
ai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189A (ko
Inventor
위흥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8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81Venturi's or systems showing a venturi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필터의 측면부를 회전하면서 타격하여 터스트가 용이하게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집진설비중 백케이지와, 이를 감싸면서 고정된 백과, 상기 백의 상단에 끼워진 벤츄리관으로 구성된 백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의 하단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백의 내부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 일부에는 회전에어분사구가 형성된 에어분배관과; 상기 에어분배관에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분사공을 개폐하며 개방시 백 내주면에 접촉충격을 가하도록 구비된 호형상의 타격판과; 상기 백이 안착되는 백케이지마개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에어분배관의 하단이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설비의 백필터 세정 작업시 에어가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분산되게 되어 백의 조기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백 전체를 골고루 세정하게 됨으로서 백의 세정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ROTATING TYPE BAG FILTER DEVICE OF DUST COLLECTING EQUIPMENT}
도 1은 종래 집진설비를 개략적으로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의 (가),(나)는 종래 집진설비의 내부 단면도 및 백필터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중 에어분배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종단면도 및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회전수단을 보인 일부 사시도,
도 7의 (가),(나),(다)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백 12....백케이지
30....벤츄리관 40....에어분배관
44a~e....분사공 46a,b,86....회전축
50....타격판 60....가이드홈
62....상승에어분사구 64....회전에어분사구
66....핀 80....백케이지마개
82....스토퍼 84....받침대
본 발명은 더스트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집진설비중 백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필터의 측면부를 회전하면서 타격하여 터스트가 용이하게 분리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스트가 발생하는 장소에는 이 분진(더스트)를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집진설비가 장치된다.
특히, 건식집진기는 백필터(BAG FILTER)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백필터는 도 1 및 도 2의 (가),(나)에서와 같이, 통체를 이루는 뼈대인 백케이지(12)의 외주에 자루모양의 백(10)을 고정하여 에어를 흡입하였을 때 에어는 백(10)을 통과하도록 하고 더스트는 백(10)의 외면에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더스트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에 의해 더스트가 일정량 부착되게 되면 집진하우징(20) 내부의 백(10) 상단면에 인접하여 배관된 다수의 에어공급관(22)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해당 백(1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강하게 분사시킴으로써 백(10)의 외주면에 부착된 더스트를 분리시키게 된다.
특히, 그 분사된 에어의 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백(10)의 상단에는 벤츄리관(30)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벤추리관(30)을 통한 에어의 속도 증대시 균일한 증대가 일어나지 않고 편류되는 현상이 유발되면서 백(10)의 일부로 집중 분사되어 백(10)이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불량(F)이 빈번하게 유발되었다.
이러한 백(10)의 불량(F)은 더스트의 포집상태를 불량하게 하여 일부 더스트가 곧바로 대기로 방출됨으로써 대기오염을 불러 일으키는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또한 백(10)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백케이지 내부에 회전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타격수단을 마련하여 백의 외주면에 부착된 더스트를 털어내어 고른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기오염의 방지는 물론 백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집진설비중 백케이지와, 이를 감싸면서 고정된 백과, 상기 백의 상단에 끼워진 벤츄리관으로 구성된 백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의 하단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백의 내부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 일부에는 회전에어분사구가 형성된 에어분배관과; 상기 에어분배관에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분사공을 개폐하며 개방시 백 내주면에 접촉충격을 가하도록 구비된 호형상의 타격판과; 상기 백이 안착되는 백케이지마개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에어 분배관의 하단이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필터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백필터장치를 구성하는 에어분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백필터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및 그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본 발명 백필터장치는 뼈대인 백케이지(12)와, 그의 외주에 감기거나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된 백(10)에 의해 이루어진 원통상의 공간 내부로 에어분배관(4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된 형태를 이룬다.
특히, 상기 에어분배관(40)은 벤츄리관(30)의 하단 직하방에 위치되며,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링과 같은 수단에 의해 요동되지 않고 원활한 회전동작이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도 4에서, 에어분배관(40)은 그 상단이 상기 벤츄리관(30)에 거의 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도록 깔대기형상의 에어유도부(42)를 이루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분사공(44a,b,c,d,e)이 다수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유도부(42)는 에어분배관(40)의 상하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신축성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벤츄리관(30)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분사공(44a~e)은 각각 서로 대칭되게 한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분사되는 에어의 공급압에 비례하여 각 분사공(44a~e)을 통해 분사되는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그 크기 즉, 그 직경을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각 분사공(44a~e)의 인접 상하측인 에어분사관(40)의 외주면상에는 한쌍의 회전축(46a,b)이 상하로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46a,b)에는 한쌍의 기지대(48)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지지대(48)의 각 타단에는 호형상의 타격판(50)이 고정되어 상기 분사공(44a~e)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대(48)는 상기 타격판(50)이 분사공(46a~e)을 개방하면서 에어압에 의해 상승되었을 때 백(10)의 내주면에 충격을 가하면서 접촉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 백필터장치의 회전수단을 보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분배관(40)의 하단 중심에는 원통형상의 상향요입된 가이드홈(6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6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에어분배관(40)과 통하는 상승에어분사구(62)가 형성되며, 에어분배관(40)의 하단 외테두리중 어느 일부에는 약간 하향경사진 형태의 회전에어분사구(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분배관(40)의 하단 테두리는 톱니형상으로 단이진 다단 톱니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분배관(4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높이의 외주면상에는 대략 90°를 이루며 4개의 핀(66)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에어분배관(40)이 안착되는 백케이지마개(80)의 상단면 중앙에는 회전축(86)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6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주변에는 상기 에어분배관(40)의 하단 테두리와 치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톱니형 받침대(84)가 돌출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84)와 인접하면서 상기 핀(66)중 어느 하나가 걸림될 수 있는 스토퍼(82)가 돌출형성되는 바, 상기 스토퍼(82)는 상기 핀(66)의 설치높이와 거의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분배관(40)이 약간만 상승되어도 그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높이를 갖고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집진과정이 수행되면서 백(10)의 외주면에 더스트가 부착되게 되면 주기적으로 혹은 선택에 의해 고압의 공기를 백(10)의 상부로부터 공급하여(즉, 역류시켜) 부착된 더스트를 떨어내게 된다.
즉, 백(20)의 세정을 위해 공급된 에어는 벤츄리관(30)을 통해 분사되면서 에어분배관(40)을 통해 분배되게 된다.
이때, 에어분배관(4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걸쳐 형성된 분사공(44a~e)은 크기가 달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되어 에어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각 분사공(44a~e)을 통해 에어가 분사되면서 이들 분사공(44a~e)을 막고 있던 타격판(50)이 상승되면서 백(10)의 내주면을 순간적으로 치면서 접촉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백(1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던 더스트가 떨어지게 되며, 또한 동시에 분출된 에어가 백(10) 내부에서 외부로 분사되게 되므로 충격에 의해 떨어지려고 하던 더스트마저 완전히 백(10)의 외주면으로부터 탈거되게 된다.
아울러, 에어분배관(40)을 타고 그 하단으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상승에어분사구(62)를 통해 분출되면서 그 압에 의해 상기 에어분배관(40)이 일정높이로 상승하게 되며, 동시에 회전에어분사구(64)를 통해 분사되는 분사압에 의해 상기 에어분배관(4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에어분배관(40)이 상승되면서 핀(66)이 스토퍼(82)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으며, 공급하는 에어의 스트로크(에어를 단속적으로 쏘아주는 것을 일컬음)에 의해 1회 세척시마다 90°씩 회전되도록 조절하여 백(10)의 전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백(10)의 외주면 모두가 세정될 수 있도록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의 (가),(나),(다)에서와 같이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설비의 백필터 세정 작업시 에어가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분산되게 되어 백의 조기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백 전체를 골고루 세정하게 됨으로서 백의 세정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집진설비중 백케이지(12)와, 이를 감싸면서 고정된 백(10)과, 상기 백(10)의 상단에 끼워진 벤츄리관(30)으로 구성된 백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30)의 하단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백(10)의 내부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공(44a~e)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 일부에는 회전에어분사구(64)가 형성된 에어분배관(40)과;
    상기 에어분배관(40)에 고정된 회전축(46a,b)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분사공(44a~e)을 개폐하며 개방시 백(10) 내주면에 접촉충격을 가하도록 구비된 호형상의 타격판(50)과;
    상기 에어분배관(40)의 하단이 끼워져 회전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백(10)이 안착되는 백케이지마개(8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회전축(8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44a~e)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에어분사량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배관(40)은 그 하단면 중앙에 상승에어분사구(62)가 형성되고, 그 하단 외주면에는 90°간격을 두고 핀(66)이 고정되며, 상기 받침대(84)의 상면 일부에는 상기 핀(66)과 걸림되는 스토퍼(82)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분배관(40)이 상승 다단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
KR1020020063943A 2002-10-18 2002-10-18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 KR100890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43A KR100890803B1 (ko) 2002-10-18 2002-10-18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43A KR100890803B1 (ko) 2002-10-18 2002-10-18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89A KR20040035189A (ko) 2004-04-29
KR100890803B1 true KR100890803B1 (ko) 2009-03-30

Family

ID=3733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943A KR100890803B1 (ko) 2002-10-18 2002-10-18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594A (ko) 2017-01-31 2018-08-09 김민정 필터 크리닝 모듈 및 필터 크리닝 모듈이 구비된 여과집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577B1 (ko) * 2018-07-27 2023-09-08 주식회사 위니아 모듈형 공기청정기
CN108786307B (zh) * 2018-08-10 2024-04-19 柳州鑫磊冷却设备有限公司 除尘滤袋清灰器
JP6947146B2 (ja) * 2018-10-30 2021-10-13 新東工業株式会社 集塵装置、集塵装置の制御方法、及び集塵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13663429B (zh) * 2021-08-31 2022-07-01 安徽蔚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灰的除尘滤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27038A1 (en) * 1979-10-03 1981-04-15 Johnson, Frances Hedrick Bag-type filter apparatus
US4297115A (en) * 1979-09-18 1981-10-27 Staclean Diffuser Company Bag-type filter with air diffuser tubes of helical construction
JPH0810542A (ja) * 1994-06-28 1996-01-16 Shinwa Corp エンベロープ型バグフィルタおよびそれに用いるケージ
KR970004370U (ko) * 1995-07-20 1997-02-19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백필터 청소용 공기분사 노즐
KR20020086766A (ko) * 2001-05-10 2002-11-2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필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7115A (en) * 1979-09-18 1981-10-27 Staclean Diffuser Company Bag-type filter with air diffuser tubes of helical construction
EP0027038A1 (en) * 1979-10-03 1981-04-15 Johnson, Frances Hedrick Bag-type filter apparatus
JPH0810542A (ja) * 1994-06-28 1996-01-16 Shinwa Corp エンベロープ型バグフィルタおよびそれに用いるケージ
KR970004370U (ko) * 1995-07-20 1997-02-19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백필터 청소용 공기분사 노즐
KR20020086766A (ko) * 2001-05-10 2002-11-2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필터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594A (ko) 2017-01-31 2018-08-09 김민정 필터 크리닝 모듈 및 필터 크리닝 모듈이 구비된 여과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89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3386B2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0539762B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청소 장치
KR101524170B1 (ko) 먼지털이장치가 장착된 산업진공청소기
KR100890803B1 (ko) 집진설비의 회전식 백필터장치
CN215390605U (zh) 一种复合肥生产用筛分装置
CN213436077U (zh) 一种茶叶生产用卧式静电除杂机
JP2004121900A (ja) バグフィルタ型集塵装置
JPH0578963A (ja) 丸編機における繊維屑などの除塵装置
CN114768416B (zh) 一种建筑施工除尘设备
CN114290200B (zh) 一种内螺纹管自动化清洗装置
KR200396874Y1 (ko) 용접흄 집진기의 탈진장치
CN212468951U (zh) 一种水泥生产过程中使用的吸尘装置
JPH11309322A (ja) バグフィルターのダスト払い落とし機構
KR200439586Y1 (ko) 약초 뿌리 분리장치
CN104941931A (zh) 一种耐磨球表面清洁装置
KR200326128Y1 (ko) 집진기
CN211358065U (zh) 一种清灰不停工的布袋除尘器
CN216597522U (zh) 一种网版清洗平台
WO2019083295A1 (ko) 복수개의 터닝 포켓을 포함하는 포집부에 구비된 필터청소수단
JP3771630B2 (ja) ねじ穴の清掃装置
CN217222298U (zh) 一种猪饲料加工用原料除杂装置
CN211282216U (zh) 一种便于煤粉自清理的储煤装置
KR900005787Y1 (ko) 골프공 세척기
KR200249494Y1 (ko) 종자봉입기의 종자 공급장치
CN104121764B (zh) 一种螺旋输送干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