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610B1 -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610B1
KR100890610B1 KR1020080047383A KR20080047383A KR100890610B1 KR 100890610 B1 KR100890610 B1 KR 100890610B1 KR 1020080047383 A KR1020080047383 A KR 1020080047383A KR 20080047383 A KR20080047383 A KR 20080047383A KR 100890610 B1 KR100890610 B1 KR 10089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water
tank
lower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김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현 filed Critical 김성현
Priority to KR1020080047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610B1/ko
Priority to US12/738,075 priority patent/US8387308B2/en
Priority to PCT/KR2008/007168 priority patent/WO2009072822A1/en
Priority to CN2008801112416A priority patent/CN101848652B/zh
Priority to JP2010536848A priority patent/JP5611832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눈 발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쌀눈 발아에 요구되는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순환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동력원인 모터와 이러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를 하부수조 내부와 외부에 각각 설치하고 상호간을 자력으로 연결하여 하부수조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자기 부상식으로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가 하부수조 저면에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수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임펠러 결합부의 일 측을 이루는 순환수 가이드 일면에 의해 송수관의 내주면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리 결합과 청소를 용이하게 하고 소용돌이 중심부로의 공기 유입을 방지하여 순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아장치, 자기 부상, 자석, 소용돌이, 송수관

Description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GERMINATION APPARATUS HAVING CIRCULATION MOTOR OF MAGNETIC LEVITATION TYPE}
본 발명은 쌀눈 발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쌀눈 발아에 요구되는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순환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동력원인 모터와 이러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를 하부수조 내부와 외부에 각각 설치하고 상호간을 자석 결합하여 하부수조에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 자기 부상식으로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누수를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가 하부수조 저면에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수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임펠러 결합부의 일 측을 이루는 순환수 가이드 일면에 의해 송수관의 내주면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리 결합과 청소를 용이하게 하고 소용돌이 중심부로의 공기 유입을 방지하여 순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에 관한 것이다.
쌀눈 발아 제조용기는 본 출원인이 최초로 제안하여 특허 제675405호로 등록받은 바와 같이, 발아시키고자 하는 쌀이 저장되는 발아용기와, 상기 발아용기에 공급할 순환수가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있는 순환수를 발아용기 쪽으로 전 송하는 송수관, 및 상기 송수관을 통해 순환수를 수조로 공급하면서 순환시키는 순환동력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수조는 발아용기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수조와, 상기 상부수조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수조로 공급한 순환수가 다시 저장되는 하부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순환동력부는 순환수를 상부수조로 공급하는 동력원을 제공하는 모터와, 이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물을 상부로 공급하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임펠러 동력에 의해 흡입한 물을 상부수조로 전송하는 상기 송수관이 임펠러 상부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수조의 바닥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하부수조의 바닥 내부에 설치되며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구비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 상부를 덮는 임펠러 덮개는 하나의 단일 몸체로 구성됨이 일반적이었다. 즉, 상기 임펠러를 모터에 결합하고, 상기 모터의 몸체와 임펄러 덮개를 나사 결합하는 등 견고하게 결합하여 이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순환동력부는 상기 하부수조 외부에 설치된 모터의 동력을 하부수조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에 전달하기 위해, 그 연결부에 해당하는 하부수조 바닥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을 통해 모터와 임펠러를 결합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순환수가 지속적으로 저장되는 하부수조의 바닥에 순환동력부의 결합을 위한 구멍을 형성할 경우 그 구멍을 통하여 하부수조에 저장된 순환수의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관통된 하부수조의 구멍을 막는 고무패 킹 등을 이용하기도 하였지만, 그 경우 하부수조의 구멍을 통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기 임펠러와 모터 및 임펠러 덮개의 분리가 어려우므로, 하부수조와 임펠러 날개, 임펠러 덮개 및 송수관 내부 등의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그에 따라 순환수에 계속 접하는 고무패킹과 상기 하부수조에 형성된 구멍에 발아시키고자 하는 쌀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이나 물때가 끼게 되어 순환수가 하부수조 내에서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송수관은 임펠러의 회전력에만 의존하여 하부수조에 저장된 순환수를 흡입한 후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수조로 전송하게 되므로 많은 동력이 요구되고, 그에 따라 모터의 동력에 의한 순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부수조 외부에 설치되어 순환수를 순환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하부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임펠러를 폐쇄된 하부수조 저면을 통하여 자기 부상식으로 자력 연결함으로써, 하부수조의 저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모터를 부착시킬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쇄된 하부수조에서 임펠러가 안착되는 임펠러 결합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절곡송수관을 지지하면서 흡입된 순환수의 진행방향을 상부수조로 유도하는 순환수 가이드에 유도관 내측이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분리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흡입구로 순환수가 흡입되면서 그 상부의 물이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 소용돌이치게 되고, 이러한 소용돌이가 심해지면서 그 중심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순환수의 흡입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순환 효율을 향상시킨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는, 발아시키고자 하는 쌀이 저장되고 순환수를 공급받는 발아용기; 상기 발아용기에 순환수를 공급하는 절곡송수관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수조와, 상기 순환수가 저장되고 저면 중앙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된 임펠러 결합부가 형성된 하부수조로 이루 어진 수조; 상기 임펠러 결합부 상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하부수조 저면에서 상기 상부수조의 절곡송수관 결합공에 이르도록 연결되어 순환수를 상부수조로 공급하는 절곡송수관; 및 상기 하부수조 저면 외부에 위치하며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력 전달부가 구비된 모터부와, 상기 하부수조 저면 내부에 위치하며 막혀 있는 하부수조 저면을 통하여 상기 자력 전달부에 자석 결합되어 자력 전달부와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로 이루어진 자기 부상식 순환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가, 상기 자력 전달부와 다른 극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 결합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수조 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임펠러 자석; 상기 임펠러 자석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임펠러 회전축; 및 상기 임펠러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임펠러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 결합부가, 일면이 상기 절곡송수관에서 흡입된 순환수의 진행방향을 상부수조로 유도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면은 상기 절곡송수관의 유도관 내측을 지지하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순환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절곡송수관이, 상기 임펠러 상부에 위치하여 임펠러를 내부에 수납하며, 흡입한 순환수를 전달하는 구멍이 유도관으로 연결되는 일 측면에 형성된 통구조의 흡입관; 상부가 상기 절곡송수관 결합공에 연결되고 하부 내측 일면이 상기 순환수 가이드에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구멍을 통해 순환수를 공급받는 유도관; 및 상기 흡입관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흡입관에서 이격되어 유도관 일 측에 고정 설치된 판으로 이루어진 공기유입 방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에 따라 임펠러의 회전축도 함께 회전하도록, 모터와 임펠러를 폐쇄된 하부수조의 외부와 내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시켜 순환동력부를 자기 부상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모터와 임펠러 연결부분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곡송수관이 순환수 가이드에 지지되면서 순환수의 수압에 의해 하부수조에 견고히 결합되며,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 흡입구 상부의 순환수가 소용돌이치면서 흡입될 때 이러한 소용돌이가 심해져 그 중심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순환수의 흡입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순환수 가이드의 곡면을 따라 순환수의 진행방향을 부드럽게 상부로 가이드함으로써 상부수조로 순환수가 공급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아시키고자 하는 쌀이 저장되는 발아용기(200)와, 상기 발아용기에 공급할 순환수가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있는 순환수를 발아용기 쪽으로 전송하는 절곡송수관(500), 및 상기 송수관을 통해 순환 수를 수조로 공급하면서 순환시키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6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발아용기(200)는 발아시키고자 하는 쌀이나 현미가 저장되는 통으로서, 측면 하부나 저면에 순환수가 공급되는 물공급공과 배수공이 형성된 통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저장된 쌀이나 현미에의 순환수 공급과 배출이 용이하도록 그물망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구조 내부에 그물망이 수납되는 이중 용기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조는 순환수를 저장하는 통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발아용기(200)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수조(300)와, 상기 상부수조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수조로 공급한 순환수가 다시 저장되는 하부수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가 단일의 통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발아용기(200) 하부에 절곡송수관 결합공(3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후술하는 임펠러 결합부(410)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수조(300)로 공급된 물이 상기 발아용기로 전달된 후, 그 외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 상기 하부수조(400)에서 다시 수집되도록, 상기 상부수조(300)의 외측면과 하부수조(400)의 내측면, 또는 하부수조의 내측면 연장선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상기 하부수조(400) 상부의 내측면에는 하부수조의 내측 중심을 향하도록 일정길이 연장된 걸림턱(43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수조(30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수조는 하부수조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부수조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상부수조가 하부수조와 층구조를 이루어 상기 걸림턱이 상부수조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수조(300)의 저면에는 하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순환수가 공급되기 위한 절곡송수관의 상부가 결합되는 절곡송수관 결합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송수관 결합공 상부에는 공급된 순환수를 상부수조 내에서 넓게 분산시키는 물분산부(32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저면이 폐쇄된 하부수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수조(400)는 저면이 폐쇄되고, 그 중앙부분이 위쪽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임펠러 결합부(41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수조(400)의 저면에는 순환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수조(400) 아래에는 상기 배수장치와 모터의 수납을 위한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하부수조가 폐쇄되었다는 것은 완전한 밀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순환동력부의 결합을 위한 부분이 통공되지 않고 막혀있음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수장치 등의 결합을 위한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임펠러 결합부(410)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의 임펠러(620)가 안착되는 곳으로서, 임펠러가 안착될 부위에는 상기 하부수조(40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임펠러(620)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턱(411)과, 상기 지지턱 상부에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임펠러 회전축이 결합되는 고정축(4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412)에 임펠러 중앙에 형성된 임펠러 회전축이 끼움 결합되어, 상기 임펠러 결합부(4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하부수조(400) 저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임펠러 결합부(410)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수조(400) 저면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모터의 자력 전달부(612)가 위치하도록 일정 깊이 움푹 들어간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자력 전달부(612)는 임펠러 하부에 형성된 임펠러 자석(621)과 상기 하부수조(400) 저면을 통하여 자력으로 연결되어 모터(610)의 회전력을 임펠러(62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 결합부(410)의 일 측에는 일정 높이로 더 연장된 순환수 가이드(4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순환수 가이드(420)는 흡입된 순환수의 진행 방향을 상부수조(300)로 자연스럽게 유도하도록 일면이 일정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순환수 가이드(420)의 다른 면은 절곡송수관의 유도관(530) 내측이 지지되도록 유도관의 내측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절곡송수관(500)이 임펠러 결합부(4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순환수 가이드를 제외한 임펠러 결합부의 나머지 외곽 부분도 상기 순환수 가이드보다는 낮지만 임펠러 결합부보다는 약간 높게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절곡송수관의 유도관과 흡입관 내측이 지지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축(412)에 결합된 임펠러(620)의 외주면이 절곡송수관을 이루는 흡입관 내측을 지지하여 견고히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임펠러 결합부에 임펠러가 안착된 후 상기 절곡송수관을 결합하 였을 때, 순환수가 없을 경우에는 그 결합이 헐겁게 되지만, 순환수가 채워지면 절곡송수관 외부에서는 순환수에 의한 수압을 받고, 절곡송수관 내부에서는 순환수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므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 결합부에 끼움결합하고 순환수를 채우는 것만으로 기존 펌프의 임펠러 덮개에서와 같은 강한 결합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소를 위해 순환수를 모두 배수하였을 때에는 절곡송수관 외부에서 가해지는 수압이 제거되어 용이하게 분리하고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밀폐 형성된 하부수조에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자기 부상식 순환 동력부에 절곡송수관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자기 부상식 순환 동력부(600)는 순환수를 상부수조로 공급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서 생성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하부수조에 있는 순환수를 흡입하여 상부수조로 공급하는 임펠러(6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임펠러(620)의 상부에는 순환수가 상부수조(300)로 이동하는 통로인 절곡송수관(50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모터부는 하부수조(400)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610)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610)에서 생성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력 전달부(6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력 전달부(612)는 그 회전에 의해 하부수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수조(400)의 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임펠러 결합부의 하부 공간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력 전달부(612)의 위치는 상기 하부수조 아래에서 배수장치와 모터의 수납을 위해 형성된 공간을 이루는 하부수조의 측면에 결합 고정된 모터(610)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임펠러(620)는 상기 하부수조(400) 저면을 통하여 자력 전달부(612)에 자력으로 연결되는 임펠러 자석(621)과, 상기 임펠러 자석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 회전축과, 상기 임펠러 회전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 날개(6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 자석(621)은 상기 하부수조의 임펠러 결합부(410)에 안착되며, 상기 자력 전달부에 자력으로 연결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 결합부의 면적에 비례하게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임펠러 자석(621)을 용이하게 결합하고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턱(411)은 부도체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 회전축은 상기 임펠러 자석(621)에 연결되어 임펠러 자석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임펠러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축(412)에 임펠러 회전축(622)의 중심이 끼움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하부수조(400) 아래에 위치하는 모터(610)의 회전력이 모터 회전축(611)을 통해 자력 전달부(612)로 전달되어 회전하게 되며, 그러한 자력 전달부(612)의 회전은 하부수조(400) 바닥을 통하여 자력으로 연결된 임펠러 자석(621)에 전달된다. 즉, 자력 전달부가 회전하면 하부수조 바닥을 통하여 자석 결합된 임 펠러 자석(621)은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임펠러 자석에 연결된 임펠러 회전축과 임펠러 날개(622)도 함께 회전하면서 순환수를 흡입하는 회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임펠러 자석의 회전에 의해 하부수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임펠러 자석(621)의 하부는 상기 지지턱(411)의 상부에 안착되어 하부수조(400)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력 전달부(612)와 임펠러 자석(621)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띄게 되어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하부수조 저면을 중심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거나, 서로 상이한 극성을 띄게 되어, 즉, 상기 자력 전달부가 N극이면 임펠러 자석은 S극이 되고, 상기 자력 전달부가 S극이면 임펠러 자석은 N극이 되어 상호간에 인력이 작용하면서 자력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력 전달부의 회전에 따라 임펠러 자석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자력 전달부와 임펠러 자석이 상이한 극성으로 결합된 경우에도, 상기 임펠러 자석(621)은 하부수조에 구비된 지지턱(411)에 의해 바닥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자력 전달부(612)는 하부수조 외부에 설치되고 그 높이가 상하 조절되어 상기 하부수조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므로, 하부수조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상호간에 자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회전력 전달시에 하부수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송수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절곡송수관(500)은 하부수조에 저장된 순환수를 흡입하는 영역과 흡입된 순환수를 상부수조로 밀어 올리는 영역이 분리되도록,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위치 하여 순환수를 흡입하는 흡입관(510)과, 상기 흡입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부수조로 물을 전달하는 유도관(530)과, 상기 흡입관(5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흡입력을 향상시키는 공기유입 방지판(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510)이 임펠러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유도관(530)의 내측 일면이 순환수 가이드(420)에 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절곡송수관(500)은 임펠러 결합부(4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유도관의 내측 일 면이 순환수 가이드(420)의 다른 면에 의해 지지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흡입관(510)은 상기 임펠러 결합부에 안착된 임펠러(6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임펠러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통구조로 이루어지며, 일 측면에는 흡입한 순환수를 상기 유도관(530)으로 공급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임펠러(620)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관(510) 내부에 있는 순환수가 회전하면서 상기 흡입관(510)의 내측 벽면을 향하는 원심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순환수는 흡입관(510) 벽면을 타고 회전하면서 벽면 일 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유도관(530)으로 자연스럽게 전달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510)의 상부에는 임펠러(620)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으로 하부수조에 저장된 순환수가 유입되는 흡입구(52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520)는 상기 흡입관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흡입구의 중심을 이루는 중심축(521)과, 상기 중심축에서 흡입구 내측면에 이르는 다수개의 격막(5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격막(522)은 중심축(521)과 흡입구 내측면에 고정되어 흡입구(520) 내부를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게 된다. 상기 흡입구(520)는 회전력에 의해 하부수조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순환수의 공급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하부수조(400)에 저장된 순환수에 충분히 잠기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임펠러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 방지판(540)은 상기 흡입구(520)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폭이 넓은 판구조로 이루어지며, 일부가 상기 유도관(530)에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유입 방지판(540)은 상기 흡입구(520)를 충분히 덮을 정도의 넓이로 형성되어야 하며, 흡입구로 순환수가 흡입되면서 그 상부의 물이 임펠러(620)의 회전력에 의해 그 회전방향으로 소용돌이치게 되고, 이러한 소용돌이가 심해지면서 그 중심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순환수의 흡입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임펠러(620)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흡입구의 연직 상방으로 계속 미치는 것이 상기 공기유입 방지판(540)에 의해 방지되므로, 하부수조 내부의 공기 흡입이 방지되며, 흡입구 근방에서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임펠러의 회전력이 작용하여 흡입구(520)로 유입되는 순환수의 감소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흡입구 근방에서 소용돌이 중심부로의 공기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순환수의 흡입량 감소를 방지하여 순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도관(530)은 하부수조(400) 저면과 상부수조에 형성된 절곡송수관 결합공(310)을 연결하는 길이의 통구조로 구성되며, 구멍을 통해 흡입관(510)에서 전달되는 순환수를 공급받는다. 또한, 상부수조(300) 저면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유도관(530) 상부 외주 측면에 형성된 돌출지지턱(53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유도관(530)의 내측 일면은 상기 임펠러 결합부에 형성된 순환수 가이드(420)의 일면에 접하면서 결합되어 상기 상부수조와 하부수조 사이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에 따라, 상기 흡입관(510)에서 원심력에 의해 내부 벽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구멍으로 유입된 순환수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순환수 가이드(420)의 일면을 따라서 그 진행방향이 유도관(530)의 길이 방향인 상부수조(300)로 자연스럽게 변경된다. 따라서, 단지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힘으로만 상부수조에 공급할 경우보다 훨씬 적은 회전력으로 상부수조에 순환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하부수조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임펠러 결합부(410)에 임펠러(620)를 안착시키고 그 상부에 절곡송수관(500)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임펠러의 하부를 이루는 임펠러 자석(621)은 상기 임펠러 결합부에 형성된 지지턱(41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부수조(400)의 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턱 상부에 형성된 고정축(412)에 임펠러 회전축이 결합되어 그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임펠러(620) 상부에는 절곡송수관의 흡입관(51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임펠러 결합부의 일 측에 형성된 순환수 가이드(420)의 일면에 상기 절곡송수관의 유도관(530) 내측면이 지지된다. 순환수가 없을 경우 상기 절곡송수관은 그 결합이 헐겁게 되지만, 순환수가 채워지면 절곡송수관 외부로부터 순환수에 의한 수압을 받고, 절곡송수관 내부에서 순환수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므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후, 청소를 위해 순환수를 모두 배수 하였을 경우에는 절곡송수관 외부에서 가해지는 수압이 제거되어 용이하게 분리하고 하부수조와 절곡송수관 및 임펠러 등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하부수조 아래에 형성된 모터(6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자력 전달부(612)가 상기 임펠러 자석(621)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한다. 이때, 상기 자력 전달부(612)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자력 전달부가 하부수조(400)의 외부 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자력 전달부(612)의 자력은 이격된 공간과 하부수조(400)를 통과하여, 같은 극성을 갖고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거나 다른 극성을 갖고 상호간에 인력이 작용하는 상기 임펠러 자석(621)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모터 회전축(611)에 연결된 자력 전달부에서 전달되는 자력에 의해 임펠러 자석(621)은 자력전달부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호간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척력 또는 인력이 작용하게 하여 모터(610)의 회전력을 임펠러(620)에 전달함으로써, 하부수조에 임펠러와 모터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순환수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임펠러와 모터의 자석 결합이 상기 절곡 송수관의 결합보다 선행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임펠러(620)와 모터부간에 자석 결합을 완료한 후 하부수조에 순환수를 채운다. 이때, 상기 순환수는 상기 공기유입 방지판(540)의 상부가 잠길 정도로 충분히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순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모터(610)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시키면, 모터 회전축(611)에 연결된 상기 자력 전달부(61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자력 결합부에 자기 부상식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자석 결합된 임펠러 자석(621)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임펠러 자석에 연결된 임펠러 회전축(622)과 임펠러 날개(623)도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임펠러 날개(623)의 회전에 의해 흡입관(510) 내부에 저장된 순환수도 회전하면서 흡입관(510) 내측 벽면 밖을 향하는 원심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흡입관(510) 벽면을 따라 회전하던 순환수는 구멍으로 전달되어, 순환수 가이드(420)의 곡면을 따라 진행방향이 자연스럽게 상부로 유도되어 상부수조(300)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510) 내부에서의 순환수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에 있던 순환수는 흡입관 쪽으로 흡입되며, 그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입구 상부에 있는 순환수는 다시 흡입구(520)로 빨려 들어오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에 구비된 격막(522)에 의해 흡입되는 순환수는 네 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들어오면서 상기 흡입구 상부에서 회전력을 받아 흡입관의 내벽면을 타고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 상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공기유입 방지판(540)은 흡입구(510)로 순환수가 흡입되면서 그 상부의 물이 임펠러(620)의 회전력에 의해 그 회전방향으로 소용돌이치게 되고, 이러한 소용돌이가 심해지면서 그 중심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순환수의 흡입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구로 빨려 들어가는 회전력이 상부로 계속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구 주위로 넓게 퍼지게 함으로써, 흡입구 상부에서 소용돌이 중심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많은 순환수가 흡입관(510)으로 유입되게 한다. 이와 같이 흡입구로 전달된 순환수는 흡입관(510) 내부의 원심력에 의해 다시 흡입관 내측 벽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유도관(530)으로 전송되어 순환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수가 저장되는 하부수조 외부에 설치된 모터의 동력을 하부수조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에 전달함에 있어, 하부수조에 그 연결을 위한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서로 상이한 전극을 가져 상호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임펠러의 회전축도 함께 회전하도록 자기 부상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모터와 임펠러의 연결부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와 모터의 결합을 위한 구멍이 없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그 결합부분의 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임펠러 또는 모터 중 어느 하나의 고장시 간편하게 분리하여 수리, 교체를 할 수 있고, 하부수조 저면이나 임펠러의 하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입구 상부에서 순환수 흡입시의 소용돌이 중심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임펠러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과, 흡입관 내부의 원심력을 최대화하여 순환수가 흡입되는 효율을 향상시키며, 순환수 가이드의 곡면을 따라 순환수의 진행방향을 부드럽게 상부로 가이드함으로써 상부수조로 공급되는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임펠러 결합부가 형성된 하부수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결합된 하부수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임펠러 결합부에 절곡송수관이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송수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관의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쌀눈 발아장치 200 - 발아용기
300 - 상부수조 400 - 하부수조
410 - 임펠러 결합부 420 - 순환수 가이드
500 - 절곡송수관 510 - 흡입관
520 - 흡입구 521 - 중심축
522 - 격막 530 - 유도관
540 - 공기유입 방지판 600 -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
610 - 모터 611 - 모터 회전축
612 - 자력 전달부 620 - 임펠러
621 - 임펠러 자석 622 - 임펠러 날개

Claims (10)

  1. 쌀눈 발아장치에 있어서
    발아시키고자 하는 쌀이 저장되고 순환수를 공급받는 발아용기;
    상기 발아용기에 순환수를 공급하는 절곡송수관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수조와, 상기 순환수가 저장되고 저면 중앙부분이 위쪽으로 돌출된 임펠러 결합부가 형성된 하부수조로 이루어진 수조;
    임펠러가 수납된 상기 임펠러 결합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하부수조 저면에서 상기 상부수조의 절곡송수관 결합공에 이르도록 연결되어 순환수를 상부수조로 공급하는 절곡송수관; 및
    상기 하부수조 저면 외부에 위치하며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력 전달부가 구비된 모터부와, 상기 하부수조 저면 내부에 위치하여 막혀 있는 상기 하부수조 저면을 통해 상기 자력 전달부의 자력에 의한 영향을 받으며 자력 전달부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로 이루어진 자기 부상식 순환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전달부는 회전시 하부수조에 직접 접하지 않게 상기 하부수조 저면에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 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전달부는 상기 하부수조 아래에 설치된 모터의 위치를 상하 이동시켜 하부수조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자력 전달부와 다른 극성으로 형성되어 상호간에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임펠러 결합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수조 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임펠러 자석;
    상기 임펠러 자석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임펠러 회전축; 및
    상기 임펠러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임펠러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자력 전달부와 같은 극성으로 형성되어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고 상기 임펠러 결합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수조 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된 임펠러 자석;
    상기 임펠러 자석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임펠러 회전축; 및
    상기 임펠러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임펠러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결합부는,
    상기 임펠러 자석 하부를 지지하여 하부수조 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 상부에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임펠러 회전축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결합부는,
    일면이 상기 절곡송수관에서 흡입된 순환수의 진행방향을 상부수조로 유도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면은 상기 절곡송수관의 유도관 내측을 지지하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순환수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곡송수관은 상기 순환수 가이드에 의해 내측이 지지되고, 하부수조에 저장된 순환수에 잠겨 수압에 의해 외측이 지지되면서 강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송수관은,
    상기 임펠러 상부에 위치하여 임펠러를 내부에 수납하며, 흡입한 순환수를 전달하는 구멍이 유도관으로 연결되는 일 측면에 형성된 통구조의 흡입관; 및
    상부가 상기 절곡송수관 결합공에 연결되고 하부 내측 일면이 상기 순환수 가이드에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구멍을 통해 순환수를 공급받는 유도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흡입관에서 이격되어 유도관 일 측에 고정 설치된 공기유입 방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 상부에 형성되어 순환수가 유입되는 흡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는 중심을 이루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서 흡입구 내측면에 이르는 다수개의 격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KR1020080047383A 2007-12-07 2008-05-22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KR10089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383A KR100890610B1 (ko) 2008-05-22 2008-05-22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US12/738,075 US8387308B2 (en) 2007-12-07 2008-12-04 Separately washable rice germination apparatus
PCT/KR2008/007168 WO2009072822A1 (en) 2007-12-07 2008-12-04 Separately washable rice germination apparatus
CN2008801112416A CN101848652B (zh) 2007-12-07 2008-12-04 可分离清洗的稻米发芽装置
JP2010536848A JP5611832B2 (ja) 2007-12-07 2008-12-04 個別洗浄可能米発芽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383A KR100890610B1 (ko) 2008-05-22 2008-05-22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610B1 true KR100890610B1 (ko) 2009-03-27

Family

ID=4069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383A KR100890610B1 (ko) 2007-12-07 2008-05-22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6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441B1 (ko) * 2014-02-27 2014-11-18 김희우 현미 발아 장치 및 현미 발아 방법
KR20170038577A (ko) 2015-09-30 2017-04-07 웰빙고 주식회사 쌀눈 발아장치
CN111771478A (zh) * 2020-07-27 2020-10-16 扬州大学 一种气吸式防漏播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569A (ja) 1997-05-16 1998-12-02 Hiroshi Miyauchi 撹拌装置
KR200362605Y1 (ko) 2004-07-06 2004-09-18 양홍승 육수의 냉각 혼합 장치
JP2006211907A (ja) 2005-02-01 2006-08-17 Kurimoto Corporation:Kk 播種用種子形成方法及び播種用種子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569A (ja) 1997-05-16 1998-12-02 Hiroshi Miyauchi 撹拌装置
KR200362605Y1 (ko) 2004-07-06 2004-09-18 양홍승 육수의 냉각 혼합 장치
JP2006211907A (ja) 2005-02-01 2006-08-17 Kurimoto Corporation:Kk 播種用種子形成方法及び播種用種子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441B1 (ko) * 2014-02-27 2014-11-18 김희우 현미 발아 장치 및 현미 발아 방법
KR20170038577A (ko) 2015-09-30 2017-04-07 웰빙고 주식회사 쌀눈 발아장치
CN111771478A (zh) * 2020-07-27 2020-10-16 扬州大学 一种气吸式防漏播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610B1 (ko)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RU26094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эраци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и водоочист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аэрации
JP7069852B2 (ja) エアレータ
KR101086846B1 (ko) 침전물 제거용 수중펌프
KR101109519B1 (ko) 지면 고정식 배수용 수중펌프
KR101109518B1 (ko) 배수용 수중펌프
JP2008260012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CN109287560A (zh) 一种用于养殖工船的循环排污系统
JP2006254956A (ja) 玉揚送装置
AR053277A1 (es) Sistema de recirculacion de agua en lavarropas
KR102277461B1 (ko) 양식장용 산소공급장치
KR101036176B1 (ko) 수처리용 교반장치
US20060013714A1 (en) Magnetic axleless liquid circulator
CN105366825B (zh) 一种抽吸式倒伞型表面曝气机
CN105413549B (zh) 一种泥水脉冲混合装置
KR101243718B1 (ko) 펌프장용 배수 펌프장치
JP2005264585A (ja) マンホール装置
KR20200026635A (ko) 가두리 양식장의 공기공급장치 및 이를 적용한 양식관리시스템
CN111544925A (zh) 水面浮油清理装置
CN219909164U (zh) 一种浮船式移动取水泵站
CN207322311U (zh) 一种散养式养殖业用自动给水装置
CN221122438U (zh) 带滤网的加湿器
KR101629094B1 (ko) 살균 기능을 가지는 수소수 제조장치
TWM532155U (zh) 水中增氧機及打水件
CN209420663U (zh) 一种鱼类孵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