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577A - 쌀눈 발아장치 - Google Patents

쌀눈 발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577A
KR20170038577A KR1020150138171A KR20150138171A KR20170038577A KR 20170038577 A KR20170038577 A KR 20170038577A KR 1020150138171 A KR1020150138171 A KR 1020150138171A KR 20150138171 A KR20150138171 A KR 20150138171A KR 20170038577 A KR20170038577 A KR 20170038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mination
container
germicidal
water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웰빙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빙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빙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8577A/ko
Publication of KR2017003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의 쌀눈 발아장치를 스테인레스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발아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부의 구성을 조절용기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쌀눈 발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쌀이 저장되고, 발아수를 수용하는 발아용기와, 상기 발아용기에 수용한 발아수를 발아용기의 내측에서 순환시키는 순환부 및 상기 발아용기에 수용한 발아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로 이루어져 상기 발아용기의 하단에 결합하는 조절용기와, 상기 조절용기의 순환부 및 온도조절부로 선택적인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순환부의 회전력과 온도조절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아용기와 조절용기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쌀눈 발아장치{GER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쌀눈 발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용량의 쌀눈 발아장치를 스테인레스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발아용기에 수용한 발아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조절용기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어 발아용기 내측에 수용한 발아수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쌀눈 발아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쌀눈 발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아장치란, 다양한 종류의 곡물씨앗을 발아수가 담긴 통에 수용하여 곡물씨앗이 발아할 수 있는 온도와 수분,산소를 제공하여 인공적으로 곡물씨앗의 싹을 틔우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발아과정이 종래에는 물이 담긴 통에 곡물씨앗을 2~3일 정도 침수시키는 과정을 거치고, 이러한 과정 후에 통에 담긴 곡물씨앗을 꺼내어 온도가 유지된 장소에 보관하여 발아되도록 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발아과정의 복잡함과 그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곡물씨앗의 발아과정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발아장치가 제안된 것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 1에서와 같이, 히터, 산소공급장치, 온도조절기 등이 구비된 발아장치를 제공하여 통에 담긴 물에 발아를 이루고자 하는 곡물씨앗을 수용한 후 히터, 산소공급장치, 온도조절기를 조절하며 곡물씨앗의 발아과정을 이룰 수 있게 하거나, 문헌 2에서와 같이, 발아용기에 담긴 물에 전기적인 자극을 가미하여 곡물씨앗의 발아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발아장치 등이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 1, 문헌 2와 같은 종래의 발아장치는 곡물씨앗을 발아하고자 하는 본연의 목적은 이룰 수 있으나, 통에 담긴 물을 원활하게 순환시켜 발아과정에 사용되는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곡물씨앗의 발아과정을 효율적으로 높이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문헌 3에서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안하여 특허 등록된 제10-675405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 3과 같은 종래의 발아장치는 순환수가 지속적으로 저장되는 하부수조의 바닥에 순환동력부의 결합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그 구멍을 통하여 하부소주에 저장된 순환수의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4에서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안한 특허등록 제10-0890610호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발아장치는 사출성형을 통하여 소형으로 제작한 구조에는 원활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대용량의 발아장치를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순환부의 구성을 사출성형법을 통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없어 순환부가 구비된 대용량의 금속제 발아장치를 편리하게 제작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15810(2015.04.22) (2) 대한민국 실용등록 등록번호 제20-0189181(2000.05.03) (3)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75405(2007.01.22)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90610(2009.03.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아용기, 조절용기, 몸체를 스테인레스로 형성하여 대용량의 발아장치를 제작하는 경우에도 발아용기의 발아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조절용기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의 대용량 발아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고,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쌀눈 발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용량의 쌀눈 발아장치를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발아용기에 구비한 발아수가 순환부의 구성을 통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순환됨으로써, 발아수의 변질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쌀눈 발아과정을 이룰 수 있는 쌀눈 발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쌀눈이 수용되는 발아용기의 온도를 뚜껑과 온도조절부의 구성을 통하여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어 쌀눈의 발아과정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쌀눈 발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쌀이 저장되고, 발아수를 수용하는 발아용기와, 상기 발아용기에 수용한 발아수를 발아용기의 내측에서 순환시키는 순환부 및 상기 발아용기에 수용한 발아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로 이루어져 상기 발아용기의 하단에 결합하는 조절용기와, 상기 조절용기의 순환부 및 온도조절부로 선택적인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순환부의 회전력과 온도조절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발아용기와 조절용기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용기에는 상기 발아용기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기유입공을 형성한 뚜껑을 결합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조절용기와 밀착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공기 배출홈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아용기, 조절용기, 몸체는 스테인레스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조절용기의 결합홈에 안착 결합하고, 상측에는 임펠러를 구비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상부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발아용기에 수용한 발아수를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일 방향으로 흡입 배출하는 순환관과, 상기 임펠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구의 하단에 위치되는 구동판과, 상기 구동판의 모터를 감싸도록 상기 조절용기의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구와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체결판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조절용기의 결합홈에 안착 결합하는 하부고정구와, 상기 하부고정구의 상측에 밀착 결합하는 상부고정구와, 상기 하부고정구와 상부고정구의 결합 부위에 구비하는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관은 상기 고정구에 결합된 임펠러를 내측에 수납하며, 상기 발아용기에 수용한 발아수가 유입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된 발아수를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일 방향으로 배출하게 상기 흡입관과 연통 되게 일체로 형성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흡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발아수를 배출관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흡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발아수를 배출관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유도판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과 임펠라는 2:1의 비율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조절용기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판을 통하여 단열부가 더 결합되어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아용기는 상기 뚜껑의 공기유입공과 배출홈으로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하여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발아용기에 수용한 발아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발아용기에 수용한 발아수를 가열하는 히팅수단과, 상기 뚜껑의 공기유입공과 인접하게 형성하는 공기흡입공과, 상기 공기흡입공의 일측에 설치하는 송풍팬과, 상기 온도감지센서, 히팅수단, 송풍팬으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인가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발아용기에 수용한 발아수의 온도가 23~30℃ 이내를 유지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용량의 발아장치를 스테인레스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발아용기의 발아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조절용기에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어 대용량의 발아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용량의 쌀눈 발아장치를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발아용기에 구비한 발아수가 발아용기의 내측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순환됨으로써, 발아수의 변질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쌀눈이 수용되는 발아용기의 온도를 뚜껑과 온도조절부의 구성을 통하여 원활하게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어 쌀눈의 발아과정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쌀눈 발아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쌀눈 발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쌀눈 발아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쌀눈 발아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쌀눈 발아장치의 순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 발아장치의 순환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 발아장치의 순환부가 발아용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쌀눈 발아장치의 순환부 작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쌀눈 발아장치의 공기 유입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먼저, 도시한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쌀(10)을 저장하고, 발아수(20)를 수용하는 발아용기(100)와,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를 발아용기(100)의 내측에서 순환시키는 순환부(210) 및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220)로 이루어져 상기 발아용기(100)의 하단에 결합하는 조절용기(200)와, 상기 조절용기(200)의 순환부(210) 및 온도조절부(220)로 선택적인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310)를 구비하여 상기 발아용기(100)와 조절용기(200)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몸체(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발아용기(10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발아를 이루고자 하는 쌀(10)을 저장할 수 있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며, 발아수(20)를 수용한 뒤에는 상기 조절용기(200)에 구비한 순환부(210)를 통하여 발아용기(100) 내측에 수용한 발아수(20)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순환부(210)와 인접한 위치에 발아수(20)가 유동 될 수 있는 발아수유입공(100a)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조절용기(2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발아용기(100)의 하단에 결합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발아용기(100)가 상기 조절용기(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견고하게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조절용기(200)의 순환부(210)는 도시한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용기(200)의 바닥면을 이루는 부위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발아용기(100)와 조절용기(200)에 수용된 발아수(20)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순환부(21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순환부(210)는 상기 조절용기(200)의 결합홈(200a)에 안착 결합하고, 상측에는 임펠러(I)를 구비한 고정구(211)와, 상기 고정구(211)의 상부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를 임펠러(I)의 회전에 따라 일 방향으로 흡입 배출하는 순환관(212)과, 상기 임펠러(I)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M)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구(211)의 하단에 위치되는 구동판(213)과, 상기 구동판(213)의 모터(M)를 감싸도록 상기 조절용기(200)의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구(211)와 체결볼트(P)로 결합되는 체결판(21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211)는 도시한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용기(200)에 형성한 결합홈(200a)의 내측으로 안착되게 결합하는 것이며, 이를 이루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고정구(211)는 상기 조절용기(200)의 결합홈(200a)에 안착 결합하는 하부고정구(211a)와, 상기 하부고정구(211a)의 상측에 밀차되게 결합하는 상부고정구(211b)와, 상기 하부고정구(211a)와 상부고정구(211b)의 결합부위에 밀착되게 결합하는 오링(211c)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구(211b)의 상측에는 임펠러(I)의 하단이 결합 될 수 있는 고정돌기(211b-1)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오링(211c)은 상기 하부고정구(211a)와 상부고정구(211b)의 사이에 밀착되게 결합하여 상기 조절용기(200)에 수용된 발아수(20)가 조절용기(200)의 하부방향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구(211a)와 상부고정구(211b)는 상기 조절용기(200)의 결합홈(200a)에 안착 결합하되, 도시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체결부재(P)를 통하여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212)은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11)의 상부에 끼움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를 상기 고정구(211)에 구비한 임펠러(I)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고정구(211)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경우, 유입된 발아수(20)를 유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순환관(212)은 도시한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구(211)에 결합 된 임펠러(I)를 내측에 수납하며,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가 유입되게 형성하는 흡입관(212a)과, 상기 흡입관(212a)으로 유입이 이루어진 발아수(20)를 상기 임펠러(I)의 회전에 따라 발아수(20)가 유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관(212b)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흡입관(212a)과 배출관(212b)은 발아수(20)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호 연통 되게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러한 흡입관(212)과 배출관(212b)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순환관(212)은 플라스틱재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는, 상기 순환관(212)의 제조과정 효율을 높여 불필요한 제조비용과 인건비 등을 절감하면서도 상술한 고정구(211)와 체결판(214)의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스테인레스로 형성한 조절용기(200)에도 편리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판(213)은 상기 순환관(212)의 흡입관(212a) 내측에 수납된 임펠러(I)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모터(M)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판(212)의 구성은 도시한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용기(200)의 하단에 구비하여 상기 모터(M)의 회전에 상기 임펠러(I)가 대응되는 회전을 이루도록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임펠러(I)와 모터(M)의 연결되는 구성은 도시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축봉에 자석(ma)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임펠러(I)의 하단에는 상기 모터(M)의 축봉에 구비한 자석(ma)과 대응하는 자석(ma)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임펠러(I)와 모터(M)의 축봉을 연결하는 별도의 구성 없이도 상기 모터(M)에 구비한 자석(ma)이 임펠러(I)에 구비한 자석(ma)을 자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모터(M)의 회전에 대응되게 상기 임펠러(I)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임펠러(I)의 회전을 이루기 위하여 모터(M)가 구비된 구동판(213)을 상기 조절용기(200)에 결합하는 경우에도 상기 임펠러(I)와 모터(M)의 연결부위로 발아수(20)가 스며들어 상기 조절용기(200)의 하단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판(214)은 상기 구동판(213)의 모터(M)를 감싸며 상기 조절용기(200)의 하단에 위치되게, 상기 고정구(211)와 체결보트(P)로 결합 구성한다.
즉, 도시한 도 3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용기(200)의 결합홈에 상기 고정구(211), 순환관(212)을 연결 구성한 후, 상기 고정구(211)의 하단으로 모터(M)가 구비된 구동판(213)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조절용기(200)의 하단에서 상기 고정구(211)와 체결볼트(P)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구(211), 순환관(212), 구동판(213)이 도시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용기(200)에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관(212)을 플라틱재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도 상기 순환관(212)을 조절용기(200)에 결합하는 고정구(211)의 상측으로 편리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발아용기(100) 내측의 발아수(20) 순환을 편리하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발아시키고자 하는 쌀(10)의 발아과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조절용기(200)와 순환관(212)을 편리하게 분리하여 세척 등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순환부(210)를 상기 조절용기(200)의 결합홈(200a)에 결합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순환부(210)의 고정구(211)와, 체결판(214)이 조절용기(200)의 바닥판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며 감싸도록 위치시킨 후 복수개의 체결부재(P)를 통하여 상호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용기(200)의 하단으로는 상기 체결판(214)의 구성을 통하여 단열부(500)를 설치 구성한다.
이는, 상기 체결판(214)에 결합하는 체결볼트(P)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조절용기(200)와 체결판(214)의 사이로 단열부(500)를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열부(500)는 상기 조절용기(200)에 수용한 발아수(20)의 수온유지를 위한 것으로, 이러한 단열부(500)의 구성은 스티로폼, 우레탄, 유리섬유와 같은 종래의 단열재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순환관(212)의 배출관(212b)은 상기 흡입관(212a)을 통하여 유입이 이루어지는 발아수(20)를 상기 배출관(212b)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절곡부(212b-1)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절곡부(212b-1)에는 상기 흡입관(212a)을 통하여 임펠러(I)의 회전에 따라 유입되는 발아수(20)를 상기 배출관(212b)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유도판(215)을 더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순환관(212)의 흡입관(212a)으로 임펠러(I)의 회전에 따라 발아수(20)가 유입을 이루는 경우, 상기 흡입관(212a)과 연통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배출관(212b)의 방향으로 발아수(20)의 유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순환관(212)과, 임펠라(I)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2:1의 비율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순환관(212)이 형성되는 크기에 따라 상기 임펠라(I)를 통한 발아수(20)의 유동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조절용기(200)에는 상기 발아용기(10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기유입공(400a)을 형성한 뚜껑(400)을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뚜겅(400)은 상기 조절용기(200)와 밀착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공기 배출홈(400b)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조절용기(200)와 뚜껑(400)은 도시한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힌지구조(H)를 통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즉, 도시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뚜껑(400)의 공기유입공(400a)과 배출홈(400b)으로 공기(air)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공기(air)의 순환을 통하여 발아용기(100)는 물론이고,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된 발아수(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절용기(200)에 구비한 온도조절부(22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21)와,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를 가열하도록 구성하는 히팅수단(222)과, 상기 뚜껑(400)의 공기유입공(400a)과 인접하게 형성하는 공기흡입공(223)과, 상기 온도감지센서(221), 히팅수단(222), 송풍팬(224)으로 상기 전원부(310)의 전원을 인가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2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예컨대, 상기 온도감지센서(221)는 상기 발아용기(20)에 수용한 발아수(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히팅수단(222)은 상기 제어부(225)의 조절을 통하여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를 가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히팅수단(222)은 상기 제어부(225)를 통하여 조절되는 열선(미도시), 히팅판(미도시) 등을 상기 조절용기(220)에 구비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공(223)은 상기 뚜껑(400)의 공기유입공(400a)으로 유입되는 공기(air)가 도시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발아용기(10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공기(air)의 유입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하여 상술한 송풍팬(224)을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공기흡입공(223)의 일측에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5)는 상기 온도감지센서(221), 히팅수단(222), 송풍팬(224)으로 상기 전원부(310)의 전원을 인가하고,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25)는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순환부(210)의 구동판(213)에 구비된 모터(M)와 전선(L)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25)의 조절에 따라 상기 모터(M)로 전원을 인가하고, 작동의 제어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상기 온도조절부(220)는 도시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용기(200)에 구비하여 구성하는 경우,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의 온도가 23~30℃ 이내를 이루도록 유지하여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쌀(10)의 발아과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더하여, 상기 발아용기(100)는 손잡이(110)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발아용기(100)의 운반과 보관을 편리하게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 복수개의 관통공(120)을 더 형성하여 발아용기(100) 내측 공기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300)는 상기 제어부(310)를 구비하여 상기 발아용기(100)와 조절용기(200)의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바퀴(320)를 구비하여 몸체(300)의 편리한 운반과 사용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용기(200)에는 수용된 발아수(20)를 상기 몸체(30)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는 물배출관(232)을 연결 구성하고, 상기 물배출관(232)은 손잡이(231)를 통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절용기(200) 내측에 수용되는 발아수(20)의 외부 배출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쌀 20: 발아수
100: 발아용기 200: 조절용기
200a: 결합홈 210: 순환부
211: 고정구 211a: 상부고정구
211b: 하부고정구 211c: 오링
212: 순환관 212a: 흡입관
212b: 배출관 212b-1: 절곡부
213: 구동판 214: 체결판
215: 유도판 220: 온도조절부
221: 온도감지센서 222: 히팅수단
223: 공기흡입공 224: 송풍팬
225: 제어부 300: 몸체
310: 전원부 400: 뚜껑
400a: 공기유입공 400b: 배출홈
500: 단열부 I: 임펠라
M: 모터

Claims (11)

  1. 쌀(10)을 저장하고, 발아수(20)를 수용하는 발아용기(100)와,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를 발아용기(100)의 내측에서 순환시키는 순환부(210) 및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220)로 이루어져 상기 발아용기(100)의 하단에 결합하는 조절용기(200)와,
    상기 조절용기(200)의 순환부(210) 및 온도조절부(220)로 선택적인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310)를 구비하여 상기 발아용기(100)와 조절용기(200)의 하단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몸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용기(200)에는
    상기 발아용기(10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기유입공(400a)을 형성한 뚜껑(400)을 결합하고,
    상기 뚜껑(400)은 상기 조절용기(200)와 밀착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공기 배출홈(400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용기(100), 조절용기(200), 몸체(300)는 스테인레스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210)는
    상기 조절용기(200)의 결합홈(200a)에 안착 결합하고, 상측에는 임펠러(I)를 구비한 고정구(211)와,
    상기 고정구(211)의 상부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를 임펠러(I)의 회전에 따라 일 방향으로 흡입 배출하는 순환관(212)과,
    상기 임펠러(I)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M)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구(211)의 하단에 위치되는 구동판(213)과,
    상기 구동판(213)의 모터(M)를 감싸도록 상기 조절용기(200)의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구(211)와 체결볼트(P)로 결합되는 체결판(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11)는
    상기 조절용기(200)의 결합홈(200a)에 안착 결합하는 하부고정구(211a)와,
    상기 하부고정구(211a)의 상측에 밀착 결합하는 상부고정구(211b)와,
    상기 하부고정구(211a)와 상부고정구(211b)의 결합 부위에 구비하는 오링(211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212)은
    상기 고정구(211)에 결합된 임펠러(I)를 내측에 수납하며,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가 유입되는 흡입관(212a)과,
    상기 흡입관(212a)으로 유입된 발아수(20)를 임펠러(I)의 회전에 따라 일 방향으로 배출하게 상기 흡입관(212a)과 연통 되게 일체로 형성하는 배출관(2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12b)은
    상기 흡입관(212a)을 통하여 유입되는 발아수(20)를 배출관(212b)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절곡부(212b-1)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212b-1)에는 흡입관(212a)을 통하여 유입된 발아수(20)를 배출관(212b)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유도판(215)을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212)과 임펠라(I)는 2:1의 비율로 구성하고,
    상기 조절용기(200)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판(214)을 통하여 단열부(500)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용기(100)는
    상기 뚜껑(400)의 공기유입공(400a)과 배출홈(400b)으로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220)는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21)와,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를 가열하는 히팅수단(222)과,
    상기 뚜껑(400)의 공기유입공(400a)과 인접하게 형성하는 공기흡입공(223)과,
    상기 공기흡입공(223)의 일측에 설치하는 송풍팬(224)과,
    상기 온도감지센서(221), 히팅수단(222), 송풍팬(224)으로 상기 전원부(310)의 전원을 인가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220)는
    상기 발아용기(100)에 수용한 발아수(20)의 온도가 23~30℃ 이내를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발아장치.
KR1020150138171A 2015-09-30 2015-09-30 쌀눈 발아장치 KR20170038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71A KR20170038577A (ko) 2015-09-30 2015-09-30 쌀눈 발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71A KR20170038577A (ko) 2015-09-30 2015-09-30 쌀눈 발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577A true KR20170038577A (ko) 2017-04-07

Family

ID=5858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171A KR20170038577A (ko) 2015-09-30 2015-09-30 쌀눈 발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857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181Y1 (ko) 1998-04-06 2000-08-01 김용길 볍씨 발아장치
KR100675405B1 (ko) 2005-06-21 2007-01-30 김성현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KR100890610B1 (ko) 2008-05-22 2009-03-27 김성현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KR101515810B1 (ko) 2013-11-11 2015-05-04 사회복지법인 유은복지재단 씨앗 발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181Y1 (ko) 1998-04-06 2000-08-01 김용길 볍씨 발아장치
KR100675405B1 (ko) 2005-06-21 2007-01-30 김성현 가정용 쌀눈 발아 제조용기
KR100890610B1 (ko) 2008-05-22 2009-03-27 김성현 자기 부상식 순환동력부가 구비된 쌀눈 발아장치
KR101515810B1 (ko) 2013-11-11 2015-05-04 사회복지법인 유은복지재단 씨앗 발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222104U (zh) 一种具有自动温控功能的反应釜体系
CN105030069B (zh) 饮品冲泡机及其控制方法
KR101014676B1 (ko) 식초의 제조장치
JP2011512231A5 (ko)
KR101750947B1 (ko) 벼 종자 온탕 소독장치
KR102233932B1 (ko) 곡물 발아장치
CN108404174B (zh) 一种医疗用全身消毒装置
WO2005038356A8 (en)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of warm water
KR20170038577A (ko) 쌀눈 발아장치
CN112638148B (zh) 具有谷物种子消毒功能的发芽装置
CN209701362U (zh) 一种保温无菌型腹透液存储装置
KR101259245B1 (ko) 온도조절형 용기장치 및 액체저장용기 처리장치
CN211831791U (zh) 一种种子发芽装置
KR101309637B1 (ko) 유용미생물 연속발효장치
CN101480317B (zh) 蒸汽供应装置
KR20160106922A (ko) 음료 살균장치
KR20220083246A (ko) 상부인출구조를 갖는 화장품냉장고
CN207340939U (zh) 一种智能喂料装置
CN210809168U (zh) 一种食品化学工程恒温培养装置
CN220695039U (zh) 烹饪装置
CN218737033U (zh) 一种安全回流式巴氏杀菌装置
US20060131764A1 (en) Faucet-based humidifier
CN220695040U (zh) 烹饪装置
CN218220631U (zh) 一种使用方便的消毒柜
CN220557057U (zh) 一种食用菌生产用物料混合发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