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082B1 -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082B1
KR100890082B1 KR1020070012400A KR20070012400A KR100890082B1 KR 100890082 B1 KR100890082 B1 KR 100890082B1 KR 1020070012400 A KR1020070012400 A KR 1020070012400A KR 20070012400 A KR20070012400 A KR 20070012400A KR 100890082 B1 KR100890082 B1 KR 100890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tion
electrode
sensor
mo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600A (ko
Inventor
신광호
Original Assignee
신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호 filed Critical 신광호
Priority to KR102007001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0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고나 출입문 등에 설치하여 진동이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극이 다른 두 개의 접점이 일정 거리로 떨어져 있고 상기 접점 중 하나가 움직임에 따라 동작하여 다른 접점과 접속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 감지센서;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 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 및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고온, 고습, 저온에서도 오동작이나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 진동, 문, 스프링, 추

Description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MOVEMENT MONITOR USING MOVEMENT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a, 10b : PCB 기판 11a, 11b : 전극봉
12a, 12b : 스프링 13a, 13b : 추
20 : PCB 기판 21 : 전극봉
21a : 추 거치대 22 : 추
23 : 제 2 전극파이프 30 : PCB 기판
31 : 추 설치대 31a : 추 설치부
32 : 고리형 추 32a : 고리 형상부
33 : 접점 고리 40 : PCB 기판
41 : 추 설치대 42 : 스프링
43 : 막대형 추 44 : 접점 고리
50 : PCB 기판
51 : 전도성 섬유 또는 가는 구리선
52 : 추 53 : 접점 전극판
54 : 고정대
100 : 움직임 감지센서
110 : PCB 기판 120 : 추 설치대
120a : 평평한 부분 130 : 접점 고리
130a : 원형 구멍 140 : 고리형 추
140a : 걸이부 141 : 막대 형상의 추
200 : 제어부 300 : 부하단
400 : 전원 공급부
본 발명은 금고나 출입문 등에 설치하여 진동이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고온, 고습, 저온에서도 오동작이나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움직임 감지장치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신호변환회로와 전원공급장치가 필요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의 움직임 감지장치는 가격이 비싸고 부피가 크며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움직임 감지장치는 센서 회로에 의해 움직임을 감지하기 때문에 고온, 고습, 저온 등과 같이 주위의 환경에 따라 오동작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고온, 고습, 저온에서도 오동작이나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는, 전극이 다른 두 개의 접점이 일정 거리로 떨어져 있고 상기 접점 중 하나가 움직임에 따라 동작하여 다른 접점과 접속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 감지센서;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 및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PCB 기판의 제 1 전극이 흐르는 접점부에 고정 설치된 추 설치대(120)와; 상기 PCB 기판의 제 2 전극이 흐르는 접점부에 상기 추 설치대(120)와 평형하게 고정 설치되며 접점이 형성된 접점 고리(130); 및 상기 추 설치대(120)에 끼워서 설치하는 고리 형상의 걸이부(14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부(140a)의 일 측에 추(1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 고리(130)의 접점부에 상기 추(141)가 삽입되어 흔들림이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점점 고리(13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고리형 추(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 형상의 걸이부(140a)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구성되고, 상기 추 설치대(120)와 접촉하는 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 설치대(120)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것으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는, 추설치대(120), 접점고리(130), 고리형 추(140)로 이루어지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구비한 움직임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추(140)는, 상기 추 설치대(120)에서 상기 접점 고리(130)까지의 길이를 'L1'이라고 하고, 상기 접점 고리(130)에서 상기 고리형 추(140)의 끝단까지의 길이를 'L2'라고 할 때, 상기 L1:L2는 1:2의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상기 접점 고리(130)에 형성된 원형 구멍(130a)의 직경을 조절하여 움직임 센서 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 설치대(120)와 상기 접점 고리(130) 및 상기 고리형 추(140)는 각각 도전체의 금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PCB 기판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고 제 1 전극이 흐르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PCB 기판상에 설치되고 제 2 전극이 흐르는 전극봉; 및 상기 스프링 끝에 고정 설치되며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전극봉에 상기 스프링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PCB 기판상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제 1 전극이 흐르는 파이프 막대; 상기 파이프 막대의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PCB 기판상에 설치되고 일 측에 원형의 추를 거치하는 추 거치대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전극이 흐르는 전극봉; 및 상기 전극봉의 추 거치대에 거치되며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파이프 막대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원형의 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수직 벽면에 설치된 PCB 기판상에 수직으로 고정되 며 오목한 부분의 설치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 1 전극이 흐르는 추 설치대; 상기 추 설치대와 평형하게 상기 PCB 기판상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제 2 전극이 흐르는 고리 형상의 접점 고리; 및 상기 추 설치대의 설치부에 끼워서 설치하는 고리 형상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접점 고리의 내부에 삽입하는 전극봉이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접점 고리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고리형 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형 추의 고리 형상부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C'자형 중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접점 고리의 고리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C'자형, 'ㄷ'자형, 'U'자형 중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수직 벽면에 설치된 PCB 기판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제 1 전극이 흐르는 추 설치대; 상기 추 설치대와 평형하게 상기 PCB 기판상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제 2 전극이 흐르는 고리 형상의 접점 고리; 및 상기 추 설치대에 수직으로 설치된 용수철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접점 고리의 내부에 삽입되어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접점 고리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막대형 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점 고리의 고리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C'자형, 'ㄷ'자형, 'U'자형 중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수평면에 설치된 PCB 기판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제 1 전극이 흐르는 전도성 섬유 또는 구리선; 상기 PCB 기판상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며 제 2 전극이 흐르는 2개의 접점 전극판; 및 상기 전도성 섬유 또는 구리 선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2개의 접점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어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접점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금고 보안 센서, 가정의 화장실 전등 센서, 방문객 자동 알림 센서, 기계 흔들림 감지 센서, 기계 기울기 감지 센서, 절전등 감지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움직임 감지장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 감지센서(100), 제어부(200), 부하단(300) 및 전원 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전극이 다른 두 개의 접점이 일정 거리로 떨어져 있고 상기 접점 중 하나가 움직임에 따라 동작하여 다른 접점과 접속함으로써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400)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 및 제어부(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움직임 감지센서(100)의 제 1 실시 예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B 기판(10a)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고 끝단에 추(13a)가 설치되며 제 1 전극이 흐르는 스프링(12a)과, 상기 스프링(12a)의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PCB 기판(10a)상에 설치되고 제 2 전극이 흐르는 전극봉(11a)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상기 추(13a)가 달린 스프링(12a)과 상기 전극봉(11a)이 지구의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12a) 끝에 고정 설치된 추(13a)는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스프링(12a)이 상기 전극봉(11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12a)에는 제 1 전극{(+) 또는 (-)}이 흐르고 상기 전극봉(11a)에는 제 2 전극{(-) 또는 (+)}이 흐르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12a)과 상기 전극봉(11a)이 접속되면 전기가 흐르게 된다. 이때, 흐르는 전류(또는 전압)를 편의상 '움직임 검출신호'라고 부른다.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움직임 감지센서(100)의 제 2 실시 예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B 기판(10a)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고 끝단에 추(13b)가 설치되며 제 1 전극이 흐르는 스프링(12b)과, 상기 스프링(12b)의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PCB 기판(10b)상에 설치되고 제 2 전극이 흐르는 전극봉(11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상기 추(13b)가 달린 스프링(12b)과 상기 전극봉(11b)이 지구의 중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12b) 끝에 고정 설치된 추(13b)는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스프링(12b)이 상기 전극봉(11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12b)에는 제 1 전극{(+) 또는 (-)}이 흐르고 상기 전극봉(11b)에는 제 2 전극{(-) 또는 (+)}이 흐르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12b)과 상기 전극봉(11b)이 접속되면 전기가 흐르게 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때 흐르는 전류(또는 전압)를 편의상 '움직임 검출신호'라고 부른다.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움직임 감지센서(100)의 제 3 실시 예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B 기판(20)상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제 1 전극이 흐르는 파이프 막대(23)와, 상기 파이프 막대(23) 의 내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PCB 기판(20)상에 설치되고 일 측에 원형의 추(22)를 거치하는 추 거치대(21a)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전극이 흐르는 전극봉(21)와, 상기 전극봉(21)의 추 거치대(21a)에 거치되며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파이프 막대(23)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원형의 추(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극봉(21)의 추 거치대(21a)는 상기 원형의 추(22)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추 거치대(21a)에 올려진 상기 원형의 추(22)는 주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전극봉(21)이 움직일 때 옆으로 흔들거리며 동작하여 상기 파이프 막대(23)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 막대(23)에는 제 1 전극{(+) 또는 (-)}이 흐르고 상기 원형의 추(22)에는 상기 전극봉(21)에 흐르는 제 2 전극{(-) 또는 (+)}이 흐르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 막대(23)의 내벽에 상기 원형의 추(22)가 접속되면 전기(움직임 검출신호)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움직임 감지센서(100)의 제 4 실시 예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벽면에 설치된 PCB 기판(30)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오목한 부분의 설치부(31a)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 1 전극이 흐르는 추 설치대(31)와, 상기 추 설치대(31)와 평행하게 상기 PCB 기판(30)상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제 2 전극이 흐르는 고리 형상의 접점 고리(33)와, 상기 추 설치대(31)의 설치부(31a)에 끼워서 설치하는 고리 형상부(32a)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접점 고리(33)의 내부에 삽입하는 전극봉(32b)이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접점 고리(3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고리형 추(3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고리형 추(32)의 고리 형상부(32a)와 상기 접점 고리(33)는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삼각형, 사각형, 'C'자형, 'ㄷ'자형, 'U'자형 등 다른 모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상기 추 설치대(31)에 고리형 추(32)가 설치되어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고리형 추(32)가 좌우로 움직여서 상기 고리 형상의 접점 고리(33)와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추 설치대(31)에는 제 1 전극{(+) 또는 (-)}이 흐르고 상기 고리 형상의 접점 고리(33)에는 제 2 전극{(-) 또는 (+)}이 흐르기 때문에 상기 접점 고리(33)에 상기 고리형 추(32)가 접속되면 전기(움직임 검출신호)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움직임 감지센서(100)의 제 5 실시 예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벽면에 설치된 PCB 기판(40)상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제 1 전극이 흐르는 추 설치대(41)와, 상기 PCB 기판(40)상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제 2 전극이 흐르는 고리 형상의 접점 고리(44)와, 상기 추 설치대(41)에 수직으로 설치된 용수철(42)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접점 고리(44)의 내부에 삽입되어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접점 고리(44)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막대형 추(4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접점 고리(44)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삼각형, 사각형, 'C'자형, 'ㄷ'자형, 'U'자형 등 다른 모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상기 추 설치대(41)에 스프링(42)으로 연결된 막대형 추(43)가 설치되어 움직임에 따라 상기 막대형 추(32)가 좌우로 움직여서 상기 고리 형상의 접점 고리(44)와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추 설치대(41)에는 제 1 전극{(+) 또는 (-)}이 흐르고 상기 고리 형상의 접점 고리(44)에는 제 2 전극{(-) 또는 (+)}이 흐르기 때문에 상기 접점 고리(44)에 상기 막대형 추(43)가 접속되면 전기(움직임 검출신호)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움직임 감지센서(100)의 제 6 실시 예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에 설치된 PCB 기판(50)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제 1 전극이 흐르는 전도성 섬유 또는 구리 선(51)과, 상기 PCB 기판(50)상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며 제 2 전극이 흐르는 2개의 접점 전극판(53)과, 상기 전도성 섬유 또는 구리선(51)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2개의 접점 전극판(53) 사이에 설치되어 미세한 움직임에도 동작하여 상기 접점 전극판(5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추(5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상기 전도성 섬유 또는 구리선(51)에 추(52)가 설치되어 좌우 움직임에 따라 상기 추(52)가 좌우로 움직여서 상기 2개의 접점 전극판(53)과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추(52)에는 상기 전도성 섬유 또는 구리선(51)을 통해 제 1 전극{(+) 또는 (-)}이 흐르고 상기 2개의 접점 전극판(53)에는 제 2 전극{(-) 또는 (+)}이 흐르기 때문에 상기 2개의 접점 전극판(53)에 상기 추(52)가 접속되면 전기(움직임 검출신호)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움직임 감지센서(100)의 제 7 실시 예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움직임 감지장치의 PCB 기판(110)의 제 1 전극{(+) 전극 또는 (-) 전극} 및 제 2 전극{(-) 전극 또는 (+) 전극}에 각각 설치된 추 설치대(120) 및 접점 고리(130)와, 상기 추 설치대(120)에 고리 형상의 걸이부(140a)를 끼워서 설치되고 상기 접점 고리(130)의 원형 구멍(130a)에 추(141)가 끼워진 고리형 추(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추 설치대(120)는 상기 PCB 기판(110)의 제 1 전극{(+) 전극 또는 (-) 전극}이 흐르는 접점부(미도시)에 고정 설치되고, 원형으로 형성된 도전체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추 설치대(120)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점 고리(130)는 상기 PCB 기판(110)의 제 2 전극이 흐르는 접점부에 상기 추 설치대(120)와 평형하게 고정 설치되며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 구멍(130a)이 형성되어 있는 도전체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리형 추(140)는 상기 원형의 추 설치대(120)에 끼워서 설치하는 고리 형상의 걸이부(14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부(140a)의 일 측에 막대 형상의 추(1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 고리(130)의 원형 구멍(130a)에 상기 막대 형상의 추(141)가 삽입되어 흔들림이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점점 고리(13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도전체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리 형상의 걸이부(140a)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구성되고, 상기 추 설치대(120)와 접촉하는 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움직임 감지센서(100)는, 상기 추 설치대(120)에 고리형 추(140)가 설치되어 흔들림이나 기울기에 따라 상기 고리형 추(140)가 좌우로 움직여서 상기 고리 형상의 접점 고리(130)와 전기적 접속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추 설치대(120)에는 상기 PCB 기판(110)의 제 1 전극{(+) 또는 (-)}이 흐르고 상기 고리 형상의 접점 고리(130)에는 제 2 전극{(-) 또는 (+)}이 흐르기 때문에 상기 접점 고리(130)에 상기 고리형 추(140)가 접속되면 전기(움직임 검출신호)가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100)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는 금고 보안 센서, 가정의 화장실 전등 센서, 방문객 자동 알림 센서, 기계 흔들림 감지 센서, 기계 기울기 감지 센서, 절전등 감지 센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효과가 있으며, 고온, 고습, 저온에서도 오동작이나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극이 다른 두개의 접점이 일정 거리로 떨어져 있고 상기 접점 중 하나가 움직임에 따라 동작하여 다른 접점과 접속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 감지센서;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로부터 움직임 검출신호가 수신되면 전등, 경고등, 스피커와 같은 부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음성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 및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PCB 기판의 제 1 전극이 흐르는 접점부에 고정 설치된 추 설치대(120)와;
    상기 PCB 기판의 제 2 전극이 흐르는 접점부에 상기 추 설치대(120)와 평형하게 고정 설치되며 접점이 형성된 접점 고리(130); 및
    상기 추 설치대(120)에 끼워서 설치하는 고리 형상의 걸이부(14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부(140a)의 일 측에 추(1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 고리(130)의 접점부에 상기 추(141)가 삽입되어 흔들림이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접점 고리(13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고리형 추(140); 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형 추(140)는,
    상기 추 설치대(120)에서 상기 접점 고리(130)까지의 길이를 'L1'이라고 하고,
    상기 접점 고리(130)에서 상기 고리형 추(140)의 끝단까지의 길이를 'L2'라고 할 때,
    상기 L1:L2는 1:2의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상기 접점 고리(130)에 형성된 원형 구멍(130a)의 직경을 조절하여 움직임 센서 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012400A 2007-02-06 2007-02-06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 KR100890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400A KR100890082B1 (ko) 2007-02-06 2007-02-06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400A KR100890082B1 (ko) 2007-02-06 2007-02-06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600A KR20080073600A (ko) 2008-08-11
KR100890082B1 true KR100890082B1 (ko) 2009-03-24

Family

ID=3988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400A KR100890082B1 (ko) 2007-02-06 2007-02-06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0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333A (ja) * 1995-07-18 1997-02-07 Eiichi Yoshida 振動感知装置
JPH10255616A (ja) * 1997-03-12 1998-09-25 Hisahiko Sasaki 感震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常灯
KR20050118924A (ko) * 2004-06-15 2005-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감지장치 및 그 운영방법
JP2006067982A (ja) 2004-09-06 2006-03-16 Kazumasa Tabata 振動センサ及び振動センサを備えた釣り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3333A (ja) * 1995-07-18 1997-02-07 Eiichi Yoshida 振動感知装置
JPH10255616A (ja) * 1997-03-12 1998-09-25 Hisahiko Sasaki 感震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常灯
KR20050118924A (ko) * 2004-06-15 2005-1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감지장치 및 그 운영방법
JP2006067982A (ja) 2004-09-06 2006-03-16 Kazumasa Tabata 振動センサ及び振動センサを備えた釣り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600A (ko) 200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85070A1 (en) Plug load receptacle
CN103119636B (zh) 借助布置在危险报警器插座中的以电学方式可读取的二端网络、尤其是电阻设置危险报警器的工作方式
CN101759102A (zh) 塔式起重机倾斜报警装置
US4679033A (en) Structure of vibration sensor
KR100890082B1 (ko)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장치
JP2009187367A (ja) 表示装置
US9196441B2 (en) Modular relay sub-assembly
CN214705803U (zh) 电器开关设备
CN212486021U (zh) 一种电缆桥架吊架
CN113238155B (zh) 一种基于冲击放电的电池故障或失效检测方法
JP7008542B2 (ja) 電池駆動式の機器
KR101865973B1 (ko) 차량의 스위치 장치
JP6997608B2 (ja) スイッチ回路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2083530A (ja) 感震短絡装置
CN217484245U (zh) 一种电化学气体传感器
CN103413405A (zh) 一种电线杆倾斜报警器
CN219143558U (zh) 一种高压开关综合保护器的故障告警装置
CN220634778U (zh) 磁棒吸附磁性污染物程度的感知装置
JP4685432B2 (ja) センサーユニットの取付方法及びセンサーユニット
JP3026542U (ja) 振動検出スイッチ
CN215961903U (zh) 一种应用于变电站的火灾应急装置
CN217873342U (zh) 高容量低速(hvls)风扇的自动安全探测器
CN214845449U (zh) 具有直流及拉弧电流检测的器件结构、传感器及处理系统
CN117133592B (zh) 一种磁感接近开关
JP3203673U (ja) 懐中電灯用自動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