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777B1 -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777B1
KR100889777B1 KR1020080066275A KR20080066275A KR100889777B1 KR 100889777 B1 KR100889777 B1 KR 100889777B1 KR 1020080066275 A KR1020080066275 A KR 1020080066275A KR 20080066275 A KR20080066275 A KR 20080066275A KR 100889777 B1 KR100889777 B1 KR 10088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length measuring
sewer
pip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8006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05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the axis of at least one spring being oblique or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200)의 바닥에 안착되는 받침콘크리트(10)와, 상,하부플레이트(21,22) 사이에 강재스프링(23)이 용접되어 받침콘크리트(10)의 상면으로 결합되는 완충부재(20)와, 하수도관(300)을 수용하는 반구형상의 홈(32)이 구비되어 완충부재(20)의 상부플레이트(21)에 조립되는 지지부재(30)와, 영구자석으로 형성되어 완충부재(20)와 지지부재(30)를 고정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40)와, 지지부재(30)의 양쪽 측면 조립부(33,33)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와, 도량형이 표시되는 표시부(63)가 형성되어 고정부재(50)의 걸림편(52)에 결합되는 길이측정부재(60)와, 길이측정부재(60)의 측면에 결합되는 보호커버(70)를 포함하고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면 편차로 인해 관로의 구배 및 깊이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높이조절 및 구배 조절이 용이하도록 개선함으로써 하수도관의 구배를 맞추는 작업이 숙련된 전문가가 아닌 초보자도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하수관로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작업에 편의제공으로 공기단축과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하수도관, 매설, 시공, 구배, 높낮이 조절

Description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CONTROLLER}
본 발명은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 편차로 인해 관로의 구배 및 깊이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높이 조절과 구배 조절작업이 용이하도록 개선함으로써 하수도관의 구배를 맞추는 작업이 숙련된 전문가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초보자도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하수관로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작업에 편의제공으로 공기단축과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공장이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수 및 생활하수 등은 대형 하수관을 매개로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취합한 후 여과하여 강이나 호수로 방류하게 된다.
하수의 배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하수도관은 지상의 공간확보 및 생활환경미화를 위해 지하에 매설되며 도심지에 매설되는 대부분의 하수도관은 도로를 따라 매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수도관은 하수 또는 우수가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기 위해 적당한 구배로 설치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굴삭기를 이용하여 지면을 일정한 폭과 깊이로 하수도 관을 시설하기 위한 관로를 굴착한 후 굴착된 관로의 바닥에 일정한 구배를 이루도록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된 기초콘크리트 위에 하수도관을 올려놓는 방법으로 하수도관을 설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도로는 지형에 따라 높낮이가 심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구배 또한 많은 차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종래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로(200)가 굴착된 지면(100)에 길이가 긴 각목(400)을 횡방향으로 거치시킨 후 상기한 각목(400)에 결속되는 굵은 와이어(500)을 매개로 하수도관(300)을 메단 상태에서 그 하부측으로 벽돌이나 받침대 등을 고이는 방식으로 하수도관(300)의 구배를 맞추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고도로 숙련된 전문가를 필요로 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구배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돌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 해소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수도관 매설시 도로 및 노면의 높이 또는 구배에 맞춰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여 하수도관의 설치가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지면(100)을 따라 길게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관로(200)를 굴착하여 상기 관로(200)를 따라 일정한 구배를 이루도록 하수도관(300)을 시공하는 것에 있어서, 관로(200)의 바닥으로 안착되는 받침콘크리트(10)와, 상,하부플레이트(21,22) 사이에 강재스프링(23)이 고정되게 용접하여 상부플레이트(21)가 강재스프링(23)의 탄성을 보유하도록 하부플레이트(22)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24)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25)를 매개로 받침콘크리트(10)의 상면 요입부(12)에 결합되는 완충부재(20)와, 직사각형 몸체(31)의 상면 중앙에 하수도관(300)을 수용하는 반구형상의 홈(32)이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는 서로 상반되는 조립부(33)가 형성되며 하부측에 상부플레이트(21)가 조립되는 요입부(34)가 구비되어 상부플레이트(21)와 결합되는 지지부재(30)와, 상부측(41)은 공업용 접착제(44)를 매개로 지지부재(30)의 요입부(34)에 접착되고 하부측(42)은 완충부재(20)의 상부플레이트(21)와 자력으로 착자되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되어 완충부재(20)와 지지부재(30)를 고정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40)와, 걸림편(52)이 몸체(51)의 한쪽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체결공(53)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재(54)를 매개로 지지부재(30)의 양쪽 조립부(33,33)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와, 몸체(61)의 바깥쪽면에 도량형이 표시되는 표시부(63)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걸이부(6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64)에 ‘ㄷ’모양의 영구자석(65)이 체결부재(66)를 매개로 고정되어 고정부재(50)의 걸림편(52)에 결합되는 길이측정부재(60)와, 길이측정부재(60)와 동일 또는 그 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체결부재(72)를 매개로 길이측정부재(60)의 측면을 공유하는 양쪽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보호커버(70)를 더 포함하는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는,지면의 높낮이에 따라 관로의 구배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신속 간편하게 높이 조절 및 구배 조절작업이 용이하도록 개선함으로써 하수도관의 구배를 맞추는 작업이 숙련된 전문가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초보자도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하수관로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작업에 편의제공으로 공기단축과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 등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에 하수도관이 조립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2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b의 ‘A’부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 길이측정부재와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는 지면(100)을 따라 길게 소정의 폭과 깊이로 굴착되는 관로(200)의 바닥에 안착되는 받침콘크리트(10)와, 상,하부플레이트(21,22) 사이에 강재스프링(23)이 용접되어 하부플레이트(22)가 받침콘크리트(1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고정 결합되는 완충부재(20)와, 하수도관(300)을 수용하는 반구형상의 홈(32)이 구비되어 완충부재(20)의 상부플레이트(21)에 조립되는 지지부재(30)와, 영구자석(65)으로 형성되어 완충부재(20)와 지지부재(30)를 고정되게 연결하는 매개체 역활을 하는 연결부재(40)와, 지지부재(30)의 양쪽 측면 조립부(33,33)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와, 도량형이 표시되는 표시부(63)가 형성되어 고정부재(50)의 걸림편(52)에 결합되는 길이측정부재(60)와, 길이측정부재(60)에 결합되는 보호커버(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받침콘크리트(10)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어 지면(100)을 따라 길게 소정의 폭과 깊이로 굴착되는 관로(200)에 하수도관(300)을 일정한 구배를 이루도록 시공하기 위해 관로(200) 바닥에 놓여지도록 구 성되고 있다.
완충부재(20)는 강철 재질로 형성되는 상,하부플레이트(21,22) 사이에 강재스프링(23)이 용접 고정되어 상부플레이트(21)가 강재스프링(23)의 탄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면에는 다수의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20)는 체결공(24)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25)를 매개로 받침콘크리트(10)의 상면 요입부(12)에 고정된다.
지지부재(30)는 FRP 재질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몸체(31)의 상면 중앙에 반구형상의 홈(32)이 형성되어 상기 홈(32)에 놓여지는 하수도관(300)의 하부측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고, 양쪽 측면에는 서로 상반되는 조립부(33)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부(33)에 고정부재(50)를 고정시키도록 되고, 하부측에는 상부플레이트(21)가 조립되는 요입부(34)가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34)에 완충부재(20)의 상부플레이트(21)가 끼워지도록 조립한다.
연결부재(40)는 완충부재(20)와 지지부재(30)를 고정되게 연결하도록 영구자석(65)으로 형성되어 상부측(41)이 공업용 접착제(44)를 매개로 지지부재(30)의 요입부(34)에 접착되고 하부측(42)은 완충부재(20)의 상부플레이트(21)와 자력으로 착자되도록 조립한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재(50)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걸림편(52)이 몸체(51)의 한쪽면으로 돌출되어 체결공(53)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재(54)를 매개로 지지부재(30)의 양쪽 조립부(33,33)에 결합된다.
길이측정부재(60)의 몸체(61)는 폭이 작고 길이는 길게 형성되어 몸체(61)의 바깥쪽면에 도량형이 표시되는 표시부(63)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고정부재(50)의 걸림편(52)에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는 걸이부(64)가 연설되고, 상기 걸이부(64)에 ‘ㄷ’ 모양으로 형성되는 영구자석(65)이 체결부재(66)를 매개로 고정되게 조립되며, 걸이부(64)에 고정되는 영구자석(65)의 자력으로 인해 고정부재(50)의 걸림편(52)과 결합상태를 증진시키도록 하였다.
보호커버(70)의 몸체(71)는 연질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71)는 ‘ㄷ’모양의 사출물로 형성되어 체결부재(72)를 매개로 길이측정부재(60)의 측면을 공유하는 양쪽면 일부를 감싸도록 되고, 상기 보호커버(70)는 길이측정부재(60)와 동일 또는 그 보다 작은 길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단순 설계 변경 내지는 단순 치환된 것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첨부 도면 도 6과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받침콘크리트(10)의 상면 요입부(12)에 강재스프링(23)이 용접된 완충부재(20)의 하부플레이트(22)를 고정되게 조립한 다음 완충부재(20)의 상부플레이트(21) 상면으로 지지부재(30)의 하부면 요입부(34)에 접착제(44)로 고정시킨 연결부재(40)를 접근시키면 영구자석(65)으로 형성된 연결부재(40)는 상면플레이트(21)를 자력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즉, 받침콘크리트(10)의 상면 요입부(12)에는 완충부재(20)의 하부플레이트(22)가 고정되고, 완충부재(20)의 상부플레이트(21)의 상면은 지지부재(30)의 하부면 요입부(34)에 공업용접착제(44)로 고정된 연결부재(40)에 강한 자력으로 고정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30)의 양쪽 조립부(33,33)에 고정된 고정부재(50)의 걸림편(52)에 길이측정부재(60)의 걸이부(64)를 결합시키면, 상기 받침콘크리트(10)와 완충부재(20) 및 지지부재(3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하수도관의 높이조절 또는 구배조절시 상기 길이측정부재(60)의 상단을 잡고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시공하려는 하수도관(300)을 지지부재(30)의 상면에 형성된 홈(32)에 올려 놓으면 하수도관(300)을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하수도관(300)의 구배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길이측정부재(60)의 바깥쪽면에 형성되는 도량형이 표시되는 표시부(63)를 통해 원하는 만큼씩 하수도관(300)을 정확하게 관로에서 들어 올리거나 내리면서 구배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수도관(300)의 구배 조정이 끝마친 후에는 길이측정부재(60)의 걸이부(64)와 고정부재(50)의 걸림편(52) 간의 결합상태를 해지하게 되면 길이측정부재(60)는 쉽게 분리되게 되어 또 다른 작업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수도관의 구배를 맞추는 작업을 숙련된 전문가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초보자도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하수관로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작업에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공기단축과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에 하수도관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b의 ‘A’부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 길이측정부재와 고정부재의 구성을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하수도관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참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C’부 상세도이고,
도 8은 종래의 구성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받침콘크리트
12,34: 요입부
20: 완충부재
21: 상부플레이트
22: 하부플레이트
23: 강재스프링
24,53: 체결공
25,54,66,72: 체결부재
30: 지지부재
31,51,61: 몸체
32: 홈
33: 조립부
40: 연결부재
41: 상부측
42: 하부측
50: 고정부재
52: 걸림편
60: 길이측정부재
63: 표시부
64: 걸이부
65: 영구자석
70: 보호커버
100: 지면
200: 관로
300: 하수도관

Claims (1)

  1. 지면(100)을 따라 길게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관로(200)를 굴착하여 상기 관로(200)를 따라 일정한 구배를 이루도록 하수도관(300)을 시공하는 것에 있어서,
    관로(200)의 바닥으로 안착되는 받침콘크리트(10)와,
    강철 재질의 상,하부플레이트(21,22) 사이에 강재스프링(23)이 고정되게 용접하여 상부플레이트(21)가 강재스프링(23)의 탄성을 보유하도록 하부플레이트(22)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공(24)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25)를 매개로 받침콘크리트(10)의 상면 요입부(12)에 결합되는 완충부재(20)와,
    직사각형 몸체(31)의 상면 중앙에 하수도관(300)을 수용하는 반구형상의 홈(32)이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는 서로 상반되는 조립부(33)가 형성되며 하부측에 상부플레이트(21)가 조립되는 요입부(34)가 구비되어 상부플레이트(21)와 결합되는 지지부재(30)와,
    상부측(41)은 공업용 접착제(44)를 매개로 지지부재(30)의 요입부(34)에 접착되고 하부측(42)은 완충부재(20)의 상부플레이트(21)와 자력으로 착자되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되어 완충부재(20)와 지지부재(30)를 고정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40)와,
    걸림편(52)이 몸체(51)의 한쪽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체결공(53)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재(54)를 매개로 지지부재(30)의 양쪽 조립부(33,33)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와,
    몸체(61)의 바깥쪽면에 도량형이 표시되는 표시부(63)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걸이부(64)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64)에 ‘ㄷ’모양의 영구자석(65)이 체결부재(66)를 매개로 고정되어 고정부재(50)의 걸림편(52)에 결합되는 길이측정부재(60)와,
    길이측정부재(60)와 동일 또는 그 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체결부재(72)를 매개로 길이측정부재(60)의 측면을 공유하는 양쪽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보호커버(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080066275A 2008-07-08 2008-07-08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89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275A KR100889777B1 (ko) 2008-07-08 2008-07-08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275A KR100889777B1 (ko) 2008-07-08 2008-07-08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777B1 true KR100889777B1 (ko) 2009-03-19

Family

ID=4069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275A KR100889777B1 (ko) 2008-07-08 2008-07-08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7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3753A (zh) * 2017-05-25 2017-08-04 钟耀港 一种抗震隔振支架
CN108105468A (zh) * 2017-12-18 2018-06-01 江苏科技大学 抗冲击减振装置
CN109372082A (zh) * 2018-12-11 2019-02-2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自适应软体结构边坡排水沟
CN113446438A (zh) * 2021-06-22 2021-09-28 宁夏唐徕润泽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施工用支撑保护装置
CN117364899A (zh) * 2023-12-05 2024-01-09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排水管道土建施工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466A (en) 1978-10-17 1981-02-24 Snamprogetti, S.P.A. Adjustable apparatus for supporting a pipe, laid on a deep sea bed, at a depression in the sea bed
KR100617247B1 (ko) 2006-04-19 2006-08-29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압송관 지지장치
KR20070065802A (ko) * 2005-12-20 2007-06-25 월드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배관 지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2466A (en) 1978-10-17 1981-02-24 Snamprogetti, S.P.A. Adjustable apparatus for supporting a pipe, laid on a deep sea bed, at a depression in the sea bed
KR20070065802A (ko) * 2005-12-20 2007-06-25 월드코오교오 카부시키가이샤 배관 지지구
KR100617247B1 (ko) 2006-04-19 2006-08-29 주식회사 다인그룹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압송관 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3753A (zh) * 2017-05-25 2017-08-04 钟耀港 一种抗震隔振支架
CN108105468A (zh) * 2017-12-18 2018-06-01 江苏科技大学 抗冲击减振装置
CN109372082A (zh) * 2018-12-11 2019-02-22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自适应软体结构边坡排水沟
CN113446438A (zh) * 2021-06-22 2021-09-28 宁夏唐徕润泽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施工用支撑保护装置
CN117364899A (zh) * 2023-12-05 2024-01-09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排水管道土建施工结构
CN117364899B (zh) * 2023-12-05 2024-03-12 山西一建集团有限公司 排水管道土建施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777B1 (ko) 하수매설관의 설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588445B1 (ko) 환경친화적 전주 설치 공법
US7699981B2 (en) Drain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CN206457777U (zh) 堤岸管廊一体式结构
CN208935564U (zh) 一种管道安装、定位结构
KR20160143132A (ko) 마그네틱 패킹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유닛 접합부 구조
KR100676681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952596B1 (ko) 습지용 기초 구조물
KR200409783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1259860B1 (ko) 수지재의 조립형 원형수로관 및 그 시공방법
KR10042105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US3730213A (en) Meter setter
CN206784107U (zh) 水路侧沟
CN205637044U (zh) 下开式闸门的预制混凝土拼装件
KR100827009B1 (ko) 상하수도관 매설용 토류판
CN219772997U (zh) 一种污水管网的基坑支护结构
KR100694817B1 (ko) 밸브 맨홀
KR101175907B1 (ko) 매립용 흄관의 받침 구조물
CN109440899A (zh) 排水管道施工组件及其施工方法
KR200325135Y1 (ko) 맨홀
KR200428870Y1 (ko) 흄관 관로 설치장치
KR100943001B1 (ko)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개량된 조립식 맨홀
KR100889694B1 (ko) 원형관로의 유동방지장치
KR200184230Y1 (ko) 매설관 지지장치
CN105863026B (zh) 下开式闸门的预制混凝土拼装件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