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311B1 -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311B1
KR100888311B1 KR1020070130515A KR20070130515A KR100888311B1 KR 100888311 B1 KR100888311 B1 KR 100888311B1 KR 1020070130515 A KR1020070130515 A KR 1020070130515A KR 20070130515 A KR20070130515 A KR 20070130515A KR 100888311 B1 KR100888311 B1 KR 100888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cable connector
vehicl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01R4/646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for cables or flexible cylindrical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성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 FFC)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전자장치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케이블의 이탈을 억제하는 후크; 상기 하우징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유동판;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판을 상기 후크 측으로 가압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차량, 케이블, 커넥터, 하우징, 후크

Description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CABLE CONNECTO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성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 FFC)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장품들이 있으며 이들은 케이블을 통해 다른 전장품이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케이블을 전장품이나 전원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에는 작업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커넥터를 이용해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단부가 접속되는 터미널(Terminal)과, 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누전되지 않도록 절연재로 제작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 대신 플랫 케이블을 사용하고 이를 커넥터 상에 간편하게 고정하기 위한 기술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연성 플랫 케이블 커넥터는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 대신 플랫 케이블을 사용하고, 이 플랫 케이블의 일측 단부를 커넥터 하우징에 올려놓고 하우징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로 플랫 케이블을 가압하여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는 연성 플랫 케이블에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케이블 각각에 터미널을 설치한 후에 이 터미널을 하우징에 결합하여 연결작업을 이루기 때문에 다수 개의 케이블이 구비되는 연성 플랫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전자장치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케이블의 이탈을 억제하는 후크; 상기 하우징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유동판;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판을 상기 후크 측으로 가압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와 상기 유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유동판에 대응되는 내벽에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커 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버는, 상기 유동판의 내측 단부에 대응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통로에 구비되며,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수 개의 상기 조작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는 다수 개의 터미널과 다수 개의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성 플랫 케이블에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케이블이 동시에 터미널과 연결됨과 동시에 하우징에 연결되므로 다수 개의 케이블이 구비되는 연성 플랫 케이블의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는 다른 전자장치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접속부(52)를 구비하는 하우징(50)과, 하우징(50)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케이블(90)의 이탈을 억제하는 후크(60)와, 하우징(50)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케이블(90)과 접속부(52)를 연결하는 유동판(70)과, 하우징(50)에 구비되어 유동판(70)을 후크(60) 측으로 가압하는 레버(80)를 포함한다.
이로써, 하우징(50) 일측으로 케이블(90)을 삽입한 후에 레버(80)를 조작하면 유동판(70)이 케이블(90)을 후크(60) 측으로 가압하여 케이블(90)과 하우징(50)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유동판(70)이 케이블(90)과 접속부(5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하우징(50)에 결합되는 전자장치와 케이블(9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우징(50)은 케이블(90)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통로(54)가 형성되고, 통로(54)의 일측에는 후크(60)와 유동판(70)이 구비되며, 유동판(70)에 대응되는 내벽에는 절곡부(56)가 형성되므로 케이블(90)을 후크(60)와 유동판(70) 사이로 삽입한 후에 레버(80)를 조작하면 유동판(70)이 절곡부(56)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케이블(90)을 후크(60)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절곡부(56)는 하우징(50)의 바닥면에 경사면(58)이 시작되는 부위로서, 지렛대와 같이 회전하는 유동판(70)에 지지대 역할을 행하게 되고, 경사면(58)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서 유동판(7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레버(80)는, 유동판(70)의 내측 단부에 대응되고, 회전 가능하게 통로(54)에 구비되며,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회전부(82)와, 회전부(82)로부터 하우징(50)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부(84)를 포함한다.
이로써, 후크(60)와 유동판(70) 사이로 케이블(90)을 삽입한 다음에 조작부(84)를 잡아당기면 회전부(82)가 회전되면서 유동판(70)의 내측 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유동판(70)은 절곡부(56)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되면서 유동판(70)의 외측 단부가 케이블(90)을 후크(60)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도체로 이루어지는 유동판(70)이 케이블(90)과 밀착됨과 동시에 접속부(52)와 접촉되면서 케이블(90)과 접속부(52)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아울러, 하우징(50)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조작부(84)는 모두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한번의 조작으로 다수 개의 케이블(90)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의 작 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에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에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하우징(50)의 통로(54) 타측에 전자장치를 설치하는데, 하우징(50)의 접속부(52)가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하우징(50)의 통로(54) 일측, 즉 후크(60)와 유동판(70) 사이로 케이블(90)을 삽입한다.
이후에 조작부(84)를 잡아당기면 회전부(82)가 회전되면서 지름이 큰 쪽의 둘레면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유동판(70)의 내측 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로써, 유동판(70)의 외측 단부가 케이블(90)을 상측으로 밀어 후크(60) 측으로 가압하면서 케이블(9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체로 이루어지는 유동판(70)이 케이블(90)과 밀착됨과 동시에 접속부(52)와 접촉되므로 케이블(90)과 전자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블(9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에 사용되는 케이블 커넥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의 부분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에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에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하우징 52 : 접속부
54 : 통로 56 : 절곡부
58 : 경사면 60 : 후크
70 : 유동판 80 : 레버
82 : 회전부 84 : 조작부
90 : 케이블

Claims (4)

  1. 다른 전자장치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접속부(52)를 구비하는 하우징(50);
    상기 하우징(50)에 구비되어 삽입되는 케이블(90)의 이탈을 억제하는 후크(60);
    상기 하우징(50)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90)과 상기 접속부(52)를 연결하는 유동판(70); 및
    상기 하우징(50)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판(70)을 상기 후크(60) 측으로 가압하는 레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케이블(90)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통로(54)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54)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60)와 상기 유동판(70)이 구비되며, 상기 유동판(70)에 대응되는 내벽에는 절곡부(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80)는,
    상기 유동판(70)의 내측 단부에 대응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통로(54)에 구비되며,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회전부(82); 및
    상기 회전부(82)로부터 상기 하우징(50)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부(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조작부(8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KR1020070130515A 2007-12-13 2007-12-13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KR100888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515A KR100888311B1 (ko) 2007-12-13 2007-12-13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515A KR100888311B1 (ko) 2007-12-13 2007-12-13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311B1 true KR100888311B1 (ko) 2009-03-11

Family

ID=4069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515A KR100888311B1 (ko) 2007-12-13 2007-12-13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768A (ko) 2016-08-31 2018-03-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20190076453A (ko) 2017-12-22 2019-07-0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0510A (en) * 1994-04-07 1997-11-25 Sumitomo Wiring Systems, Inc. Flat cabl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flat cable and a connector housing
KR20030075990A (ko) * 2002-03-22 2003-09-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KR20040062170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0510A (en) * 1994-04-07 1997-11-25 Sumitomo Wiring Systems, Inc. Flat cabl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flat cable and a connector housing
KR20030075990A (ko) * 2002-03-22 2003-09-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프린티드 케이블의 커넥터
KR20040062170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768A (ko) 2016-08-31 2018-03-0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20190076453A (ko) 2017-12-22 2019-07-0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3957A1 (en) Communication Jack
CN101479914B (zh) 具有配电盘的定子
US20080176448A1 (en) Plug-in connector
EP1936747A3 (de) Anschlussvorrichtung für Mehrleiterkabel
JP2010094014A (ja) 電気モータインタフェース、そのための電気プラグ部品、電気モータ端子、及び電気モータ
US20110034063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structure strength thereof
CN103247910A (zh) 柔性电路电缆连接器
CN102292876A (zh) 电连接器
CN102771014B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装体
CN105789944A (zh) 电连接器
US5951311A (en) Rotary connector
KR100888311B1 (ko) 차량용 케이블 커넥터
US6371779B2 (en) Rotary connector
JP2008048532A (ja) 電気接続箱への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JP4462398B2 (ja) アンテナ装置
JP2005286471A (ja) 制御機能付コネクタ装置
CN105429433A (zh) 电力转换装置
KR101794338B1 (ko) 조인트 커넥터
JP2002270323A (ja) 電気接続装置
JP7008394B2 (ja) 防水構造を備える電源接続装置
CN101958483B (zh) 接口可旋转的电连接器
CN202058886U (zh) 连接器
CN208508091U (zh) 用于电动压缩机的端子组件
JP7386528B2 (ja) 速結端子ユニット、及び配電盤
CN220421857U (zh) 中框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