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157B1 -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157B1
KR100886157B1 KR1020010088607A KR20010088607A KR100886157B1 KR 100886157 B1 KR100886157 B1 KR 100886157B1 KR 1020010088607 A KR1020010088607 A KR 1020010088607A KR 20010088607 A KR20010088607 A KR 20010088607A KR 100886157 B1 KR100886157 B1 KR 10088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atterns
diffus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212A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8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1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9/00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 C03B29/04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in a continuous way
    • C03B29/06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in a continuous way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products
    • C03B29/08Glass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3Function characteristic scat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제 1 투명 기판과, 상기 제 1 투명 기판 상부에 형성된 어레이 소자부로 구성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 기판과, 상기 제 2 투명 기판 하부에 형성된 컬러필터부로 구성되는 제 2 기판을 서로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투명 기판 바깥면에 다수의 볼록한 PR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PR패턴이 형성된 합착기판의 양 바깥면을 일정 두께 식각 처리하여, 상기 제 2 투명 기판의 바깥면에 상기 다수의 PR패턴과 대응되는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Diffusion layer}
도 1은 종래의 확산판이 구비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용 액정셀 제조 공정을 단계별로 각각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4 : 제 1 초박형 투명 기판 120 : 제 1 기판
122 : 반사 전극 130 : 제 2 초박형 투명 기판
132 : 확산층 140 : 제 2 기판
T : 박막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액정표시장치는 소비전력이 낮고, 휴대성이 양호한 기술집약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차세대 첨단 표시장치 소자로 가장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투명 전극이 형성된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여, 이 액정의 이방성에 따른 빛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해 영상효과를 얻는 방식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 중에서도, 각 화소를 개폐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가 각 화소마다 위치하는 능동행렬 액정표시장치(AM-LCD ;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액정표시장치로 약칭함)가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능력이 우수하여 가장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기본 소자인 액정패널 하부에는 통상적으로 별도의 광원인 백라이트가 포함되며, 이와 같이 일종의 비발광 소자인 액정패널에 별도의 광원이 구비되어 화면을 구현하는 액정표시장치를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라 한다.
그러나, 백라이트에서 생성된 빛은 액정표시장치의 각 셀을 통과하면서 실제로 화면상으로는 7% 정도만 투과되기 때문에, 고휘도의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백라이트를 더욱 밝게 해야 하므로, 충분한 백라이트의 전원 공급을 위해서는 전원 공급 장치의 용량을 크게 하여, 무게가 많이 나가는 배터리(battery)를 사용해왔으나, 이 또한 사용시간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별도의 백라이트를 생략하고, 외부광에 의한 반사광으로 화면을 구현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가 소개되었다. 즉,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외부광을 이용하여 동작하므로, 백라이트의 전력 소모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장시간 휴대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여 전자수첩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용 표시소자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의 반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외부광과 근접한 액정패널의 외부면에 확산판(diffusion film)을 포함한 구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확산판이 구비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필터 기판인 상부 기판(10)과 어레이 기판인 하부 기판(30) 사이에는 액정층(50)이 개재되어 있고, 상부 기판(10)의 바깥면에는 확산판(16 ; diffusion layer)이 구비되어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하부 기판(30)의 투명 기판(1) 상부에는 게이트 전극(32), 반도체층(34), 소스 및 드레인 전극(36, 38)으로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T)는 미도시한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이 교차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화소 영역(P) 단위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되어 반사특성이 우수한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반사 전극(4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반사 전극(42)은 휘도 향상을 목적으로 저유전율을 가지는 절연막(40)이 개재된 상태에서 박막트랜지스터(T)를 덮는 영역까지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기판(10)의 투명 기판(1) 하부에는 컬러필터층(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컬러필터층(12) 하부에는 투명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기판(10)의 투명 기판(1) 상부에는 확산판(16)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확산판(16)은 빛을 산란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캐터링 소스(18 ; scattering source)를 다수 개 내포하는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확산판(16)이 구비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확산판(16)을 거치는 빛에 의한 제 1차 산란 및 액정층(50)을 경유하여 외부로 투과되는 빛에 의한 제 2차 산란이 발생됨에 있어서, 제 1, 2 산란 영역(Ia, Ib)간의 빛의 간섭 현상에 의해 화질 특성을 저하시키는 이미지 흐림(image blurring)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이미지 흐림 현상은 고해상도 모드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
또한, 기존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의 확산판의 추가는 전체 액정패널 두께를 증가시키게 되어 경량/박형화 특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흐림현상 및 제품의 두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확산판없이도 반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액정표시장치용 투명 기판을 이루는 유리 기판의 양 바깥면을 일부 식각하는 것으로, 기판의 두께를 줄여 경량/박형화 기판을 제작하는 초박형화 공정을 이용하며, 이러한 초박형화 식각 공정중에 투명 기판의 바 깥면에 빛의 산란을 유도할 수 있는 패턴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현재, 액정표시장치용 기판은 약 0.7mm 두께의 유리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기판의 면적이 대형화됨에 따라 보다 얇고 가벼운 액정표시장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기판 뒷면을 갈아내거나 불산(HF) 등을 이용한 화학적 연마(polishing)를 실시하여 기판의 일정 두께를 깎아내는 방법에 의해 기판 휨이나 고속 회전 스핀 코팅 시의 충격에서도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 한도내에서 유리 기판의 두께를 0.6mm ~ 0.5mm 정도로 하는 초박형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물리적이나 화학적 방법으로 기판의 표면을 연마하여 초박형 기판을 형성하는 방법은 기판 표면 거칠기나 두께 균일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일정 농도를 가지는 불산 용액에 기판을 디핑(dipping)하는 방법으로 초박형 기판을 제작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참고로,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용 액정셀 전체 공정은 액정 분자의 배향을 위한 배향막 형성공정, 셀 갭(cell gap) 형성공정, 합착(alignment) 공정, 셀 절단(cutting) 공정, 액정주입 및 봉지 공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초박형 액정셀 공정에서는 상기 합착 공정과 셀 절단 공정 사이에 초박형화를 위한 식각공정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1 투명 기판과, 상기 제 1 투명 기판 상부에 형성된 어레이 소자부로 구성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 기판과, 상기 제 2 투명 기판 하부에 형성된 컬러필터부로 구성되는 제 2 기판을 서로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투명 기판 바깥면에 다수의 볼록한 PR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PR패턴이 형성된 합착기판의 양 바깥면을 일정 두께 식각 처리하여, 상기 제 2 투명 기판의 바깥면에 상기 다수의 PR패턴과 대응되는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 1, 2 투명 기판을 이루는 재질은 유리 기판이며, 상기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다수의 PR패턴이 형성된 합착기판을 불산(HF)용액이 담긴 챔버내에 디핑(dipping)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PR패턴에 따라 제 1, 2 투명 기판의 바깥면을 일정 두께로 식각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PR패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확산층 패턴의 지름은 5 ㎛ ~ 20 ㎛이고, 높이는 지름의 5 % ~ 15 %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2 기판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셀로 구성되며, 상기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 다음에는, 셀 단위로 절단하는 공정, 액정 주입 및 봉지 공정을 더욱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확산층 패턴은 다수 개의 볼록부 패턴이며, 상기 제 1,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는 제 1, 2 기판의 내부면에 각각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 기판 중 어느 한 기판에 씰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산층이 구비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 기판(120, 14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향되어 있고, 이 제 1, 2 기판(120, 140) 사이에는 액정층(160)이 개재되어 있다.
제 1 기판(120)의 제 1 초박형 투명 기판(104) 상부에는 화소 영역(P)별로 게이트 전극(10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게이트 전극(106) 상부 및 기판 전면에 걸쳐 게이트 절연막(108)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108) 상부의 게이트 전극(106)을 덮는 위치에는 반도체층(110)이 형성되어 있고, 반도체층(110) 상부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게이트 전극(106)과 일정간격 오버랩되는 위치에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2, 114)이 형성되어 있고,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2, 114) 상부에는 드레인 전극(114)을 일부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116)을 가지는 보호층(1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보호층(118) 상부에는 드레인 콘택홀(116)을 통해 드레인 전극(114)과 연결되는 반사 전극(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 전극(122)은 반사특성이 우수한 금속 물질에서 선택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 alloy)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사 전극(122) 대신에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반사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반도체층(110)은 비정질 실리콘(a-Si)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active layer)과, 액티브층 상부에 위치하며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n+ a-Si)으로 이루어진 오믹 콘택층(ohmic contact lay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판(140)의 제 2 초박형 투명 기판(130)의 하부에는 컬러필터층(142), 공통 전극(144)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있고,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컬러필터층(142)은 특정 파장대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적, 녹, 청 컬러필터 및 컬러필터의 컬러별 경계부에 위치하여 빛샘 현상을 방지하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로 구성되고, 상기 컬러필터층(142)과 공통 전극(144) 사이에는 별도의 오 버코트층(overcoat layer)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액정층(160)과 접하는 공통 전극(144) 및 반사 전극(122) 사이 영역에는 상부 및 하부 배향막을 더욱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통 전극(144)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ITO(indium tin oxide)로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초박형 투명 기판(130)의 바깥면을 다수 개의 볼록부(133) 패턴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볼록부(133) 패턴을 확산층(132)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예로, 상기 볼록부(133) 패턴은 지름 5 ㎛ ~ 20 ㎛, 높이는 지름의 약 10 %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초박형 투명 기판(104, 130)은 노광, 현상, 식각 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패터닝(patterning)공정인 사진식각공정(photolithography)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액정셀 공정 중 합착 공정과 셀 단위 절단 공정 사이 단계에서 초박형화 식각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투명 기판의 바깥면에 확산층 패턴을 형성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투명 기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확산층을 통해 외부광이 유입되므로 빛의 투과성이 높아져 기존의 확산판보다 유입되는 외부광에 대한 산란 현상은 감소되고, 액정층을 투과한 반사광에 대해서는 다수 개의 볼록 패턴에 의해 기존과 같은 산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초박형 식각 공정시 외부광과 인접 구성되는 투명 기판의 바깥면에 빛의 산란시킬 수 있는 패턴을 형성하므 로써, 이러한 패턴 형성부를 확산층으로 하여 외부광이 최초 유입되는 확산층 영역(IIa)에서의 산란 현상과, 액정층을 경유한 빛이 투과되는 확산층 영역(IIb)에서의 산란 현상 간의 빛의 간섭차를 줄일 수 있어 이미지 흐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초박형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는 확산층의 패턴을 볼록 패턴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오목 패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용 액정셀 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나의 원판 글래스에 두 개의 액정셀을 제작하는 공정을 일 예로 하며, 확산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초박형 식각 단계를 본 발명의 특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기판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a은 제 1, 2 기판(210, 230)을 합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1, 2 기판(210, 230)은 각각 초기 세정을 거쳐 배향막이 형성된 컬러필터 기판 및 어레이 기판에 해당되며, 제 1 기판(210)은 제 1 투명 기판(212)과, 제 1 투명 기판(212) 상에 형성된 어레이 소자부(214)로 구성되고, 제 2 기판(230)은 제 2 투명 기판(232)과, 제 2 투명 기판(232) 하부에 형성된 컬러필터부(234)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씰패턴(252)에 의해 합착된 제 1, 2 기판(210, 230)은 합착기판(250)을 이루며, 한 예로 합착기판(250)은 씰패턴(252)에 의해 제 1, 2 셀 영역(IIIa, IIIb)으로 정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컬러필터 및 어레이 공정을 거쳐 형성된 두 기판 상에 배향막을 도포하기 전에 기판 상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세정된 기판 상에 배향막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와, 도포된 배향막 표면을 러빙(rubbing)처리하는 단계와, 러빙처리된 기판 상에 씰패턴(seal pattern)를 형성하고 스페이서를 산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씰패턴은 액정 주입을 위한 갭을 형성하고, 주입된 액정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 및 초박형화 식각공정에서 에천트가 패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씰패턴 구조를 더욱 포함한다.
그리고, 스페이서는 두 기판 간의 갭을 정밀하고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단계를 거친 두 기판은 합착 및 열 압착하는 단계로서, 두 기판의 얼라인먼트(alignment) 정도는 두 기판의 설계시 주어지는 마진(margin)에 의해 결정되는데 보통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두 기판의 얼라인먼트가 주어지는 마진을 벗어나면 빛이 새어 나오게 되어 구동시 원하는 특성을 가지지 못한다.
도 3b에서는 상기 제 2 투명 기판(232)의 바깥면에 PR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와, 이 PR 물질을 이용하여 다수의 볼록한 PR패턴(238)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다수의 볼록한 PR패턴(238)은 제 2 투명 기판(232) 상에 확산층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다수의 볼록한 PR패턴(238) 테이퍼(taper)를 완만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회절 노광 또는 하프 톤 마스크(half tone mask)를 이용한 노광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3c에서는, 상기 도 3b 단계를 거친 합착기판(250)을 초박형화 식각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초박형화 공정용 식각장비에 투입하기 전에 합착기판의 표면을 세정하는 단계와, 세정된 합착기판(250)을 불산(HF) 용액(310)이 채워진 챔버(300) 내에 디핑한 후, 소정시간 합착기판(250)의 양 표면을 식각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합착기판(250)의 제 1, 2 투명 기판(도 3a의 212, 232)은 각각 제 1, 2 초박형 투명 기판(216, 240)으로 형성되며, 특히 제 2 초박형 투명 기판(240)의 바깥면에는 다수의 PR패턴(도 3b의 238 에 따라 볼록부(244)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예로, 상기 볼록부(244) 패턴은 지름 5 ㎛ ~ 20 ㎛, 높이는 지름의 약 10 %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3d에서는, 초박형화 식각 단계를 거쳐 기판의 표면에 묻어있는 잔류 HF용액을 세정한 후, 건조과정을 거쳐 다수 개의 볼록부(244) 패턴을 가지는 확산층(242)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삭제
도 3e에서는, 상기 확산층(242)이 형성된 합착기판(250)을 셀 단위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셀 절단 공정은, 합착기판(250)의 양면을 유리보다 경도가 높은 다이아몬드 재질의 펜 또는 텅스텐 카바이드(Tungsten Carbide) 재질의 커팅휠(cutting wheel)을 이용하여 기판 표면에 절단선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scribe)공정과, 상기 절단선에 힘을 가하여 개개의 셀로 파단 분리하는 브레이크(break)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단계에서는, 어레이 기판인 제 1 기판(210)과 외부회로와의 연결을 위하여, 제 1 기판(210)의 외부 영역 일부가 제 2 기판(230)보다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셀 단위 절단 공정 다음에는 액정을 주입 및 봉지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를 모두 거친 액정셀은 품질검사를 통해 선별된 액정셀의 외측에 각각 편광판을 부착한 후 구동회로를 연결하면 액정표시장치로 완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별도의 확산판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경량/박형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다양한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
둘째, 확산층이 일체로 구성된 초박형 투명 기판을 이용하므로써, 빛의 경로차에 의한 이미지 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화질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셋째, 대면적/고해상도 제품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시장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투명 기판과, 상기 제 1 투명 기판 상부에 형성된 어레이 소자부로 구성되는 제 1 기판과, 제 2 투명 기판과, 상기 제 2 투명 기판 하부에 형성된 컬러필터부로 구성되는 제 2 기판을 서로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투명 기판 바깥면에 다수의 볼록한 PR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PR패턴이 형성된 합착기판의 양 바깥면을 일정 두께 식각 처리하여, 상기 제 2 투명 기판의 바깥면에 상기 다수의 PR패턴과 대응되는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투명 기판을 이루는 재질은 유리 기판이며, 상기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다수의 PR패턴이 형성된 합착기판을 불산(HF)용액이 담긴 챔버내에 디핑(dipping)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PR패턴에 따라 제 1, 2 투명 기판의 바깥면을 일정 두께로 식각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PR패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확산층 패턴의 지름은 5 ㎛ ~ 20 ㎛이고, 높이는 지름의 5 % ~ 15 %로 형성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기판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셀로 구성되며, 상기 확산층을 형성하는 단계 다음에는, 셀 단위로 절단하는 공정, 액정 주입 및 봉지 공정을 더욱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 패턴은 다수 개의 볼록부 패턴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는 제 1, 2 기판의 내부면에 각각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 기판 중 어느 한 기판에 씰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10088607A 2001-12-29 2001-12-29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0088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607A KR100886157B1 (ko) 2001-12-29 2001-12-29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607A KR100886157B1 (ko) 2001-12-29 2001-12-29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212A KR20030058212A (ko) 2003-07-07
KR100886157B1 true KR100886157B1 (ko) 2009-02-27

Family

ID=3221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607A KR100886157B1 (ko) 2001-12-29 2001-12-29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283B1 (ko) 2006-11-01 2008-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방출 어레이형 발광 유닛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8026A (ja) * 1990-03-28 1991-12-09 Koudo Eizou Gijutsu Kenkyusho:Kk 反射型液晶表示素子
KR19990079773A (ko) * 1998-04-09 1999-11-05 손욱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소자
KR20000019079A (ko) * 1998-09-08 2000-04-06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유리기판의 식각장치
KR20000029159A (ko) * 1998-10-20 2000-05-25 다카노 야스아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JP2001117091A (ja) * 1999-10-18 2001-04-27 Nec Corp 反射型カラー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8026A (ja) * 1990-03-28 1991-12-09 Koudo Eizou Gijutsu Kenkyusho:Kk 反射型液晶表示素子
KR19990079773A (ko) * 1998-04-09 1999-11-05 손욱 반사형 칼라 액정표시소자
KR20000019079A (ko) * 1998-09-08 2000-04-06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유리기판의 식각장치
KR20000029159A (ko) * 1998-10-20 2000-05-25 다카노 야스아키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JP2001117091A (ja) * 1999-10-18 2001-04-27 Nec Corp 反射型カラー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212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734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47600B1 (ko)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US766780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3513409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8868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KR20030016761A (ko) 액정표시장치의 셀 절단 공정용 씰 패턴
KR20030090422A (ko) 액정표시장치용 씰패턴
US696770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30026088A (ko) 기판 흡착용 진공 척 구조
KR100886157B1 (ko) 확산층을 가지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US2002008516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35470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sulating resin layer, substrate for electro-optical devices,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optical device
KR100685912B1 (ko)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
KR100793723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65737B1 (ko) 액정표시소자
KR100599618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595311B1 (ko) 액정표시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46384B1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의 제조방법
KR20020055995A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100632729B1 (ko)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
KR100448050B1 (ko) 액정표시장치의 패널 제조방법
KR100744397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어레이기판 제조방법
KR10046387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0414A (ko) 액정표시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31156A (ko) 컬러필터기판,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05

Effective date: 200901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