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995A -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995A
KR20020055995A KR1020000085275A KR20000085275A KR20020055995A KR 20020055995 A KR20020055995 A KR 20020055995A KR 1020000085275 A KR1020000085275 A KR 1020000085275A KR 20000085275 A KR20000085275 A KR 20000085275A KR 20020055995 A KR20020055995 A KR 20020055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ower substrate
insulating layer
electrode layer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240B1 (ko
Inventor
김정현
서현식
안지영
Original Assignee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Priority to KR102000008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박형화를 위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 아래에 위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을 덮도록 상기 하부기판 상에 전면 증착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도포되는 형광체와, 상기 형광체 상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경량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공정수를 줄임으로써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of Refl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량박형화를 위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를 이용하여 동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브라운관에 비하여 소형화가 가능하여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노트북 컴퓨터(Note Book Computer)는 물론,복사기 등의 사무자동화기기, 휴대전화기나 호출기 등의 휴대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장치는 유전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물질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광을 투과 또는 차단하여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 표시장치는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 EL), 음극선관(Cathod Ray Tube : CRT),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등과 같이 스스로 광을 발생하는 표시소자들과는 달리, 스스로 광을 발생하지 않고 외부광을 이용하게 된다.
액정 표시장치는 광을 이용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투과형과 반사형으로 대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1)와, 램프(1)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램프 하우징(3)과, 램프(1)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평면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5)과, 반사판(7)을 구비한다.
램프(1)로는 주로 냉음극관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램프(1)에서 발생되는 광은 도광판(5)의 측면에 존재하는 입사면을 통해 도광판(5)에 입사된다. 램프 하우징(3)은 내면에 반사면이 있어 램프(1)로부터의 광을 도광판(5)의 입사면 쪽으로 반사시킨다. 도광판(5)은 경사진 배면과 수평인 전면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된다. 도광판(5)의 배면에는 반사판(7)이 대면되도록 설치한다. 반사판(7)은 도광판(5)의 배면을 통해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5) 쪽으로 재반사시킴으로써 광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램프(1)로부터의 광이 도광판(5)에 입사되면 경사면인 배면에서 소정 경사각으로 반사되어 전면 쪽으로 진행하게 되며, 액정패널(9)에 입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의 부피, 무게로 인하여 박형화·경량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의 과도한 소비전력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반면에,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도 2과 같이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Back light) 없이 자연광 및 주변광을 표시면으로 투과, 반사시키는 반사형 액정패널(2)을 구비한다.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물질이 주입되는 액정패널(2)과, 액정패널(2)의 배면에 설치되거나 액정패널(2)의 내부에 배치되어 광을 표시면 쪽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Reflector)(4)으로 이루어진다. 이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반사판(4)에 의해 자연광(또는, 주변광)을 반사시켜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는 자연광 또는 주변광이 충분하지 않은 곳에서는 휘도 레벨이 현저히 낮아져 표시된 영상을 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광 이외의 보조광을 이용하는 방식의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3은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액정패널은 게이트전극(13), 게이트절연막(15), 활성층(17), 오믹접촉층(19), 소스(21) 및 드레인전극(23)을 포함하는 TFT가 형성된 하부기판(11)과, 칼라필터(31)가 형성된 상부기판(33) 사이에 주입된 액정으로 이루어진다.
TFT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되며 액정셀을 구동하는 화소전극(29)과 접속된다. 데이터라인은 TFT 반도체층의 소스영역과 접속되고 드레인전극(23)은 상기 반도체층의 드레인영역과 접속되며, 게이트라인은 돌출된 게이트전극(13)을 가진다. 화소전극(29)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해 분할된 셀영역에 형성되고 콘택홀(28)에 의해 드레인전극(23)과 접속된다.
도 4a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TFT의 제조공정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투명기판(11) 상에 스퍼터링(sputtering)등의 방법으로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 등을 증착하여 금속박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금속박막을 습식방법을 포함하는 포토리쏘그래피방법으로 패터닝하여 투명기판(11)상에 게이트전극(13)을 형성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투명기판(11)상에 게이트전극(13)을 덮도록 게이트절연막(15), 활성층(17) 및 오믹접촉층(19)을 화학기상증착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 이하 "CVD" 라함)으로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게이트절연막(15)은 질화실리콘 또는 산화실리콘으로 절연물질을 증착하여 형성하고, 활성층(17)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비정질실리콘 또는 다결정실리콘으로 형성된다. 또한, 오믹접촉층(19)은 N형 또는 P형의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된 비정질실리콘 또는 다결정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오믹접촉층(19) 및 활성층(17)을 게이트전극(13)과 대응하는 부분에만 잔류되도록 이방식각을 포함하는 포토리쏘그래피방법으로 게이트절연막(15)이 노출되도록 패터닝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게이트절연막(15) 상에 오믹접촉층(19)을 덮도록 CVD방법 또는 스퍼터링방법으로 몰리브덴(Mo), MoW, MoTa 또는 MoNb등의 몰리브덴 합금(Mo alloy)을 증착하여 금속박막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오믹접촉층과 금속박막은 오믹접촉을 이룬다.
그리고, 금속박막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게이트전극(13)의 양측과 대응하는 부분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마스크로 사용하여 금속박막을 오믹접촉층(19)이 노출되도록 습식식각하여 소스 및 드레인전극(21)(23)을 형성한다. 그리고 ,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노출된 오믹접촉층(19)을 활성층(17)이 노출되도록 건식 식각한다. 이 때, 식각되지 않고 잔류하는 오믹접촉층(19) 사이의 게이트전극(13)과 대응하는 부분의 활성층(17)은 채널이 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 패턴(25)을 제거한다. 그리고, 게이트절연층(13)상에 소스 및 드레인전극(21)(23)을 덮도록 페시베이션층(27)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페시베이션층(27)은 질화실리콘 또는 산화실리콘등의 무기절연물질 또는 아크릴계(acryl)유기화합물, 테프론(Teflon), BCB(benzocyclobutene), 사이토프 (cytop)또는 PFCB(perfluorocyclobutane)등의 유전상수가 작은 유기절연물로 형성된다.
페시베이션층(27)을 포토리쏘그래피방법으로 패터닝하여 드레인전극을 노출시키는 접촉홀(28)을 형성한다. 페시베이션층(27)상에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이하"ITO"라 함), 인듐-틴-아연-옥사이드(Indium-Zinc-Oxide ; 이하"IZO"라 함), 인듐-틴-아연-옥사이드(Indium-Tin-Zinc-Oxide ; 이하"ITZO"라 함)등의 투명한 도전성물질을 접촉홀(28)을 통해 드레인전극(23)과 접촉되게 증착하고 포토리쏘그래피방법으로 패터닝하여 화소전극(29)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은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 유닛이 반드시필요하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공정을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표시장치를 경량박형화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공정수를 줄임으로써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패널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램프 3 : 램프 하우징
5 : 도광판 4,7 : 반사판
2,9 : 액정패널 13,43 : 게이트 전극
15,45 : 게이트 절연막 17,47 : 활성층
19,49 : 오믹접촉층 21,51 : 소스 전극
23,53 : 드레인전극 40 : 반사판
27,57 : 페시베이션층 28,58 : 접촉홀
29,59 : 화소전극 41 : 하부기판
63 : 상부기판 61 : 컬러필터
65,73 : 편광판 67,77,81 : 전극층
69,75 : 절연층 71,83 : 형광체
79 : 버퍼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 아래에 위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을 덮도록 상기 하부기판 상에 전면 증착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도포되는 형광체와, 상기 형광체 상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하부기판(41)과, 반사판(40)과, 하부기판(41)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67) 및 제1 절연층(69)과, 제1 절연층(69) 상에 도포된 형광체(71)와, 형광체(71)와 게이트전극(43) 및 게이트절연막(45)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편광판(73)과, 형광체(71) 상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75) 및 제2 전극층(77)과, 제2 전극층(77) 상에 형성되는 버퍼층(buffer layer)(79)와, 버퍼층(79)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전극(43), 게이트절연막(45), 활성층(47), 오믹접촉층(49), 소스(51) 및 드레인전극(53)을 포함하는 TFT와, 칼라필터(61)가 형성된 상부기판(63)과, 상부기판(63) 상에 위치된 제2 편광판(65)과, 상부기판(63)과 하부기판(41) 사이에 주입된 액정(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다.
하부기판(41)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유리기판, 폴리머 플라스틱 기판, 스테인레스 기판 등으로 제작된다. 하부기판(41)의 재료를 투명한 유리기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반사판(40)이 하부기판(41) 아래에 위치하게 되지만, 하부기판(41)의 재료를 불투명한 유리기판 등을 사용한 경우에는 반사판(40)이 하부기판(41)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전극층(67)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제2 전극층(77)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는데, 투명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CTO, 유기 고분자 중합체로 이루어 진다. 제1 절연층(69) 및 제2 절연층(75)은 질화실리콘 또는 산화실리콘으로 절연물질을 증착하여 형성된다. 형광체(71)는 무기재료 또는 유기재료로 형성되며, 제1 전극층(67)과 제2 전극층(77)에 의한 방전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제1 편광판(73)은 형광체(71)에 의해 발광된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1 편광판은 액정을 경화시켜서 편광판 역할을 하게 하거나, 필름을 코팅 또는 증착방법으로 형성된다. 반사판(40)은 형광체(71)로부터 발광된 광을 표시면쪽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TFT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되며 액정셀을 구동하는 화소전극(59)과 접속된다. 데이터라인은 TFT 반도체층의 소스영역과 접속되고 드레인전극(53)은 상기 반도체층의 드레인영역과 접속되며, 게이트라인은 돌출된 게이트전극(43)을 가진다. 화소전극(59)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해 분할된 셀영역에 형성되고 콘택홀(58)에 의해 드레인전극(53)과 접속된다. 상부기판(63) 아래에 형성된 컬러필터(61)는 형광체로부터 발광된 광을 적색, 녹색, 청색에 해당하는 파장만을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부기판(63) 상에 위치된 제2 편광판(65)은 컬러필터(61)에서 선택적으로 투과된 광을 편광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하부기판(41)과, 반사판(40)과, 하부기판(41)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67) 및 제1 절연층(69)과, 제1 절연층(69) 상에 도포된 각각의 화소에 대응되도록 도포된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83)와, 형광체(83)와 게이트게이트전극(43) 및 게이트절연막(45)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편광판(73)과, 형광체(83) 상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75) 및 제2 전극층(77)과, 제2 전극층(77) 상에 형성되는 버퍼층(79)와, 버퍼층(79)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전극(43), 게이트절연막(45), 활성층(47), 오믹접촉층(49), 소스(51) 및 드레인전극(53)을 포함하는 TFT와, 투명전극(81)이 형성된 상부기판(63)과, 상부기판(63) 상에 위치된 제2 편광판(65)과, 상부기판(63)과 하부기판(41) 사이에 주입된 액정으로 이루어진다.
하부기판(41)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유리기판, 폴리머 플라스틱 기판, 스테인레스 기판 등으로 제작된다. 하부기판(41)의 재료를 투명한 유리기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반사판(40)이 하부기판(41) 아래에 위치하게 되지만, 하부기판(41)의 재료를 불투명한 유리기판 등을 사용한 경우에는 반사판(40)이 하부기판(41)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전극층(67)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제2 전극층(77)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는데, 투명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CTO, 유기 고분자 중합체로 이루어 진다. 제1 절연층(69) 및 제2 절연층(75)은 질화실리콘 또는 산화실리콘으로 절연물질을 증착하여 형성된다. 형광체(83)는 무기재료 또는 유기재료로 형성되며, 제1 전극층(67)과 제2 전극층(77)에 의한 방전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형광체(83)는 각각의 화소에 적색, 녹색, 청색이 대응하도록 한다. 반사판(40)은 형광체(83)로부터 발광된 광을 표시면쪽으로 재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편광판(73)은 형광체(83)에 의해 발광된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편광판은 액정을 경화시켜서 편광판 역할을 하게 하거나, 필름을 코팅 또는 증착방법으로 형성된다. TFT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되며 액정셀을 구동하는 화소전극(59)과 접속된다. 데이터라인은 TFT 반도체층의 소스영역과 접속되고 드레인전극(53)은 상기 반도체층의 드레인영역과 접속되며, 게이트라인은 돌출된 게이트전극(43)을 가진다. 화소전극(59)은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해 분할된 셀영역에 형성되고 콘택홀(58)에 의해 드레인전극(53)과 접속된다. 상부기판(63) 상에 위치된 제2 편광판(65)은 형광체(83)로부터의 광을편광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에 형광체가 형성됨으로써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방전에 의해 형광체가 발광되어 광원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과 대비하여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의 공정을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의 공정에 적용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경량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없으므로 불필요한 공정수를 줄임으로써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안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 아래에 위치되는 반사판과,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을 덮도록 상기 하부기판 상에 전면 증착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도포되는 형광체와,
    상기 형광체 상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 상에 형성되는 버퍼층과,
    상기 버퍼레이어 상에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배선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의 배면 상에 형성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필터와,
    상기 상부기판의 전면 상에 형성되는 제2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의 재료는 유리, 폴리머 플라스틱 및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의 재료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층은 ITO(Indium Tin Oxide), CTO, 유기 고분자 중합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는 무기 또는 유기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와 게이트전극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은 액정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하부기판 상에 필름을 코팅하거나 증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11.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 액정패널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을 덮도록 상기 하부기판 상에 전면 증착되는 제1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화소에 대응하도록 도포된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와,
    상기 형광체 상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의 배면 상에 형성되는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1020000085275A 2000-12-29 2000-12-29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KR10069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275A KR100698240B1 (ko) 2000-12-29 2000-12-29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275A KR100698240B1 (ko) 2000-12-29 2000-12-29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995A true KR20020055995A (ko) 2002-07-10
KR100698240B1 KR100698240B1 (ko) 2007-03-21

Family

ID=2768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275A KR100698240B1 (ko) 2000-12-29 2000-12-29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557B1 (ko) * 2001-02-14 2004-11-0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22950B1 (ko) * 2005-10-07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475514Y1 (ko) * 2012-08-16 2014-12-09 주식회사 나노브릭 반사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4740A (ja) * 1982-11-22 1984-05-3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890009287Y1 (en) * 1987-02-27 1989-12-22 Park Jong Sik Coffin
KR910001622A (ko) * 1989-06-23 1991-01-31 이헌조 액정 칼라 디스플레이
KR100243104B1 (ko) * 1997-09-12 2000-02-01 정선종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방법
JPH11211864A (ja) * 1998-01-28 1999-08-06 Kawaguchiko Seimitsu Kk 液晶パネルを用いた時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557B1 (ko) * 2001-02-14 2004-11-0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22950B1 (ko) * 2005-10-07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475514Y1 (ko) * 2012-08-16 2014-12-09 주식회사 나노브릭 반사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240B1 (ko)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766B2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010016982A (ko)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장치
JP2010009068A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これの製造方法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ー基板の製造方法
KR20060100872A (ko) 반투과 액정 표시 장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1866B1 (ko) 듀얼 액정표시장치
KR20090079779A (ko) 듀얼 액정표시장치
KR20100000234A (ko) 듀얼 액정표시장치
US711006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wo surface display function
JP3369502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359344A (zh) 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以及液晶显示装置
JP2004145332A (ja) デュアル・ディスプレイの液晶ディスプレイの構造
US7852438B2 (en) Trans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7908054B (zh) 显示装置、半透半反的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US8570466B2 (en)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thin film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70002197A (ko)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47095A (ko)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장치
KR100698240B1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WO2015096220A1 (zh) 阵列基板及用该阵列基板的液晶显示面板
US10461102B2 (en) Display device, transflective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84867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KR100757786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8150A (ko) 반사-투과형 박막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93723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40244B1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52171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