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017B1 - 친환경 바닥 보호공 - Google Patents

친환경 바닥 보호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017B1
KR100886017B1 KR1020080103916A KR20080103916A KR100886017B1 KR 100886017 B1 KR100886017 B1 KR 100886017B1 KR 1020080103916 A KR1020080103916 A KR 1020080103916A KR 20080103916 A KR20080103916 A KR 20080103916A KR 100886017 B1 KR100886017 B1 KR 100886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astening
eco
hole
gra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이호열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filed Critical (주) 에스앤비하이드로
Priority to KR102008010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등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친환경 바닥 보호공에 관한 것으로, 폐비닐로 재활용하여 제작되며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며, 내측에 자갈을 채울 수 있도록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이루는 전체면에 타공부를 형성한 블록과, 상기 블록을 연결할 수 있는 결합부재를 블록 내측에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폐비닐을 재활용한 블록을 사용함에 따른 환경오염 저감 및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하상의 자갈과 토사가 움직이는 순간의 힘인 한계소류력의 향상 및 굴요성의 향상으로 인한 블록 및 연결부재들의 파손을 줄임과 동시에 수압이 높을 때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블록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친환경 바닥 보호공에 관한 것이다.
보호공, 자갈, 하천바닥

Description

친환경 바닥 보호공{Groundsill works}
본 발명은 하천 등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친환경 바닥 보호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비닐을 재활용한 블록을 사용함에 따른 환경오염 저감 및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하상의 자갈과 토사가 움직이는 순간의 힘인 한계소류력의 향상 및 굴요성의 향상으로 인한 블록 및 연결부재들의 파손을 줄임과 동시에 수압이 높을 때에도 설치 가능하도록 블록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친환경 바닥 보호공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바닥보호공은 하천의 바닥면에서 조도 및 소류력(유수에 의해 강바닥에 작용하는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세굴(강물에 의해 강바닥이나 강둑이 패이는 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다.
이러한, 바닥보호공은 대표적으로 사석과 돌망태로 구분되며, 상기 사석을 설치하였을 때에는 큰 중량에 의해 바닥이 세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망태의 경우에는 철사 등으로 망태를 형성하고, 상기 망태 내부에 돌을 채워넣어 형성함으로써, 일부 구간에서 발생하는 큰 외력을 받았을 때에 일부 변형은 있으나 파손되지 않는 특성(굴요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사석의 경우 큰 중량에 의해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세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부피와 중량이 크기 때문에 하천 바닥토사와의 조도 및 한계소류력(강바닥의 토사와 자갈을 이동시키기 위한 최소의 힘)의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사석의 하류측에서 세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상기 사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에서 채집하여 현장에 조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채집지역의 환경피해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돌망태의 경우, 굴요성이 우수한 반면 망태를 형성하는 철사 등이 파손되는 경우가 잦았으며, 이로 인해 망태 내부에 채워진 자갈이 유실되는 등의 구조적인 안정성 문제가 대두되었다.
싱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바닥 보호공은 상측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며, 내측에는 자갈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형성하며, 바닥면 및 전, 후, 좌, 우측면에는 다수의 타공부를 형성하되, 상기 전, 후, 좌, 우측면의 상측으로는 제1 결합공을 형성한 체결부로 이루어진 폐비닐로 제작된 블록과; 상기 블록과 블록을 연결할 수 있도록 블록에 형성된 체결부의 제1 결합공과 동일형상의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체결판; 상기 블록의 체결부와 체결판에 형성된 제1, 2 결합공은 장공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제1, 2 체결공에 결합부재를 느슨하게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바닥 보호공의 블록에 형성된 체결부는 상측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하측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바닥 보호공에 형성된 블록의 체결부는 수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바닥 보호공은 블록의 바닥면 중앙에는 블록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중량물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바닥 보호공은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블록을 제작하여 환경오염의 저감 및 자원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모든 면에 다수의 타공부를 형성한 블록 내부에 자갈을 채움으로써, 강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유수에 의한 하상이 세굴되는 한계소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블록에 형성된 체결부 및 체결판의 제1, 2 체결공을 장공형태로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부분적으로 변형은 되지만 파손은 되지 않는 특성인 굴요성을 향상시켜,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큰 외력에 의해 블록 및 블록을 연결하는 체결부/체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블록 내부 바닥면의 중앙에 중량물을 더 설치하여 블록이 유수에 의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천 등의 하상(하천의 바닥)에 설치하는 것으로 크게 폐비닐을 이용해 제작된 블록(10)과 상기 블록(10)을 연결하는 체결판(20)으로 구성된다.
우선, 블록(10)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은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자갈(s)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11)를 이루는 바닥면(12) 및 전, 후, 좌, 우측면(13, 14, 15, 16)에는 소정크기의 타공부(h)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타공부(h)는 블록(10)의 수납부(11)에 채워지는 자갈(s)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수납부(11)에서 자갈(s)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바닥면(12) 및 전, 후, 좌, 우측면(13, 14, 15, 16)에 타공부(h)를 형성함으로써, 유수의 흐름에 의해 타공부(h)보다 크기가 작은 토사 등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 후, 좌, 우측면(13, 14, 15, 16)에는 제1 체결공(17)이 형성된 체결부(18)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8)는 블록(10)의 상측면으로 부터 일정거리(d)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여, 블록(10)과 블록(10)을 연결하여 설치할 때에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10)의 체결부(18)에 의해 블록(10)들을 결합할 수 있도록 수납부(11)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판(20)이 구성된다.
상기 체결판(2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의 체결부(18)에 형성된 제1 체결공(17)의 형상과 동일형상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블록(10)에 형성된 체결부(18)의 제1 체결공(17)과 통상의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j)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10)의 체결부(18)와 체결판(20)에 형성된 제1, 2 체결공(17, 27)은 장공의 형태로 형성한 상태에서, 결합부재(j)를 이용하여 체결할 때에 완전히 조이지 않고 느슨하게 결합하여,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외압(수압)에 의해 일부의 블록(10)에 강한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블록(10)이 밀려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록(10) 및 각각의 블록(10)을 결합하기 위해 형성하는 체결부(18), 체결판(20) 및 통상의 결합부재(j)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블록(10)의 바닥면(12)에는 중량물(w)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량물(w)은 블록(10)이 유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특히, 바닥면(12)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바닥면(12)에 형성된 타공부(h)에 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중량물(w)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친환경 바닥 보호공(5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폐비닐을 이용하여 제작된 다수의 블록(1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하도록 하고, 각각의 블록(10)에 형성된 체결부(18)에 체결판(20)을 배치하되, 체결부(18)의 제1 체결공(17)과 체결판(20)의 제2 체결공(27)이 일치할 수 있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j)를 이용하여 블록(10)들을 결합한다.
이때에, 상기 결합부재(j)를 이용한 체결은 각각의 블록(10) 및 블록(10)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판(20)과 결합부재(j)들이 큰 외압을 받았을 때에, 파손되지 않도록 각각의 블록(10)들이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조여서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블록(10)의 수납부(11)에 자갈(s)을 채움으로써 설치를 완료하며, 유속이 빠르거나 수압이 높은곳에 설치할 때에는 자갈(s)을 수납부(11)에 채우기 전에, 바닥면(12)의 중앙부분에 중량물(w)을 더 설치한 후 자갈(s)을 채워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친환경 바닥 보호공(50)은 폐비닐을 이용하여 블록(10)을 제작함으로써, 폐비닐 소각에 따른 환경저해 요소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블록(10)을 연결하는 체결부(18) 및 체결판(20)이 블록(10)의 수납부(11) 방향에 형성되어 외부경관을 저해하지 않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유수의 흐름시 일부의 구간에서는 수압이 강하게 작용하고, 일부의 구간에서는 외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하게 된다.
즉, 국부적으로 큰 외력이 작용하게 되었을 때에 만약, 각각의 블록(10)을 연결하였던 체결부(18) 및 체결판(20)의 제1, 2 체결공(17, 27)에 결합하는 볼트/너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j)를 강하게 조였을 경우, 외력에 의해 일부의 블록(10)이 파손되거나 또는 블록(10)들을 결합한 볼트/너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j) 및 블 록(10)의 체결부(18)나 체결판(20)이 파손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각각의 블록(10)이 일정한 외력이 발생하였을 때에 가동될 수 있는, 다시 말해, 굴요성을 갖을 수 있도록 볼트/너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j)를 체결함으로써 블록(10) 및 체결부(18), 체결판(20), 결합부재(j)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작용하는 것이다.
이는, 통상 기차의 량과 량 사이를 연결할 때와 같이 각각의 블록(10)이 받는 수압에 의해 유동성 있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것은 본 발명에 속하는 당업자 사이에서는 당연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바닥 보호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바닥 보호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바닥 보호공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의 가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 타공부 j : 결합부재
s : 자갈 w : 웨이트
10 : 블록 11 : 수납부
12 : 바닥면 13 : 전면
14 : 후면 15 : 좌측면
16 : 우측면 17 : 제1 체결공
18 : 체결부 20 : 체결판
27 : 제2 체결공 50 : 친환경 바닥 보호공

Claims (5)

  1. 상측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며, 내측에는 자갈(s)을 수납하는 수납부(11)를 형성하며, 바닥면(12) 및 전, 후, 좌, 우측면(13, 14, 15, 16)에는 다수의 타공부(h)를 형성하되, 상기 전, 후, 좌, 우측면(13, 14, 15, 16)의 상측으로는 제1 체결공(17)을 형성한 체결부(18)로 이루어진 폐비닐로 제작된 블록(10)과;
    상기 블록(10)과 블록(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블록(10)에 형성된 체결부(18)의 제1 결합공(17)과 동일형상의 제2 체결공(27)이 형성된 체결판(20);
    상기 블록(10)의 체결부(18)와 체결판(20)에 형성된 제1, 2 체결공(17, 27)은 장공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제1, 2 체결공(17, 27)에 결합부재(j)를 느슨하게 체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친환경 바닥 보호공.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체결부(18)는 수납부(1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친환경 바닥 보호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바닥면(12) 중앙에는 블록(10)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중량물(w)을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친환경 바닥 보호공.
KR1020080103916A 2008-10-23 2008-10-23 친환경 바닥 보호공 KR100886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16A KR100886017B1 (ko) 2008-10-23 2008-10-23 친환경 바닥 보호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916A KR100886017B1 (ko) 2008-10-23 2008-10-23 친환경 바닥 보호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017B1 true KR100886017B1 (ko) 2009-02-26

Family

ID=4068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916A KR100886017B1 (ko) 2008-10-23 2008-10-23 친환경 바닥 보호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0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234B1 (ko) * 2005-12-06 2006-08-01 (주)평화엔지니어링 하천 제방 하부 세굴방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234B1 (ko) * 2005-12-06 2006-08-01 (주)평화엔지니어링 하천 제방 하부 세굴방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017B1 (ko) 친환경 바닥 보호공
KR200461655Y1 (ko) 평탄작업판 결합용 굴삭기의 버킷 투스
KR100641355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방법
US6588978B2 (en) Block assembly for protecting embankment
JP7099785B2 (ja) 消波ブロック
KR20070005775A (ko) 옹벽격자블록
KR100855150B1 (ko) 토목용 다용도 생태블럭
CN203795747U (zh) 一种带有滑动支座的抗震楼梯
JP2012202042A (ja) 排水機能を有する組合せ鋼矢板および該鋼矢板を用いた壁体構造
KR100541835B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설치구조
KR100524394B1 (ko) 콘크리트암거
JP2006002435A (ja) 法面補強工法
KR101426766B1 (ko)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JP2017048647A (ja) 補強土一体型プレキャスト格子枠工法
KR200327422Y1 (ko)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KR100787593B1 (ko) 격자망 합성 강재틀 옹벽구조
CN211340542U (zh) 一种工程施工道路阻隔装置
KR100481968B1 (ko) 하천제방블록 설치구조
KR200229224Y1 (ko) 흙막이 공사용 토류판 설치구조
KR100685715B1 (ko) 도로 교량의 기초파일 상단 보강구조
CN220644098U (zh) 一种水利护坡装置
JP5843550B2 (ja) 補強土擁壁及びその施工法
KR102426108B1 (ko)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KR200454341Y1 (ko) 중장비용 습지작업 장치
KR20060127322A (ko) 게비온 옹벽블록 및 그 시공구조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