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143B1 - Phb 및 그의 공중합체의 물리-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개선시키기 위한 가소제로서 지방 알코올의 사용 - Google Patents

Phb 및 그의 공중합체의 물리-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개선시키기 위한 가소제로서 지방 알코올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143B1
KR100885143B1 KR1020077002930A KR20077002930A KR100885143B1 KR 100885143 B1 KR100885143 B1 KR 100885143B1 KR 1020077002930 A KR1020077002930 A KR 1020077002930A KR 20077002930 A KR20077002930 A KR 20077002930A KR 100885143 B1 KR100885143 B1 KR 100885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b
composition
fatty alcohols
branched
satu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499A (ko
Inventor
데 알메이다 완데르손 부에노
비자리 파블로 실바
두라오 안토니오 세르토리
나스시멘티 헤프테르 페르난데스 도
Original Assignee
피에이치비 인더스트리얼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이치비 인더스트리얼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피에이치비 인더스트리얼 에스/에이
Priority to KR102007700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1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가소화 중합체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i) PHB, 단 PHB 및 PHB 의 공중합체가 생체중합체 추출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사전 건조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농축된 세포성 물질이, 2002년 4월 30일에 공개된 브라질 특허 PI 9302312-0 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당한 용매, 특히 상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3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갖는 사슬을 갖는 상급 알코올, 또는 그의 아세테이트 중 기타 임의의 것, 바람직하게는 이소아밀 알코올, 아밀 아세테이트,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또는 퓨젤 오일과 혼합됨을 특징으로 함; (ii) a) 6 내지 30 의 탄소 사슬 길이 (C6-C30) 의 지방 알코올, 단, 지방 알코올은 포화 또는 올레핀성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b) 6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단, 지방산은 포화 또는 올레핀성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음. (iii) 첨가제, 단, 첨가제가 하기로 구성되는 열 안정화 시스템으로 구성됨: 장애 페놀로서 1차 항산화제; 유기 포스파이트로서 2차 항산화제; 락톤으로서 열 안정화제; 핵화제로서 소르비톨 및 소듐 벤조에이트 및 충전재로서 전분, 목재 분말, 사탕수수 찌꺼기 섬유, 벼 꼬투리 섬유 및 사이살초 섬유.

Description

PHB 및 그의 공중합체의 물리-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가소제로서 지방 알코올의 사용 {USE OF FATTY ALCOHOLS AS PLASTICIZER TO IMPROVE THE PHYSICAL-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OF PHB AND ITS CO-POLYMERS}
글리세롤 지방 에스테르와 함께, 또는 글리세롤 지방 에스테르 없는, 지방 알코올은, PHB 및 그의 공중합체 조성물에서 가소제로 사용하여 가공성 및 물리-기계적 특성을 개선시킨다. 가소제는 건조 블렌드 시스템에서 혼합하여 PHB 및 그의 공중합체에 혼입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산업에서는 환경에 공격적이지 않은 공정을 통해, 재생성 원료 및 에너지원을 이용한 생물분해성 (biodegradable) 및 생물친화성 (biocompatible) 물질 제조의 필요가 알려져 있다.
시장에서, 보다 성공적인 생물분해성 생체중합체의 적용은 의학 적용 및 농업 및 화장품 패키징 (packaging) 에서와 같은 1회용 물질이다.
중요한 생물분해성 생체중합체 부류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PHA) 이다. 이는 다수의 미생물 천연 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문헌에 170 이상의 미생물이 있으며, PHA 의 상업적인 잇점은 생물분해성 특성에만 연관되는 것이 아니라, 열기계적 특성 및 낮은 제조 비용에도 연관된다.
가장 대표적인 PHA 는 하기이다: PHB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PHB-V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코-히드록시발레레이트)), P4HB (폴리-4-히드록시부티레이트), P3HB4HB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코-4-히드록시부티레이트)) 및 임의의 PHAmcl (중쇄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그리고 PHHx (폴리히드록시헥사노에이트) 가 이들 마지막 부류 전형적인 생체중합체이다. PHA 화학 구조는 하기 단위체의 반복으로 만들어진 중합체성 사슬로 기술될 수 있다:
Figure 112007011146521-pct00001
[식 중, R 은 가변성 길이의 사슬 알킬기이다. 상기 언급된 중합체에서, m 및 n 은 정수이며, R 및 M 은 하기 값을 갖는다:
PHB: R=CH3, m=1
PHB-V: R=CH3 또는 CH3-CH2, m=1
P4HB:R=H, m=2
P3HB-4HB: R=H 또는 CH3, m=1 또는 2
PHHx: R=CH3-CH2-CH2-, m=1].
다수의 PHA 는 양호한 가공성을 위해 너무 큰 개질제 없이 흔한 사출 성형, 압출기 상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식품 공업용 팩 (pack) 과 같은 적용을 위해 주형 및 코팅 필름 시스템에서 이러한 중합체를 가공할 가능성이 있다. 개발 수준에 따라 이러한 중합체는 고속 방출 및 낮은 두께의, 개인 위생을 위한 팩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생물분해 특성이 필요한 경우에도, PHA 는 콤포스타지 (compostage) 팩, 골프 탑 (golf top), 낚시 용품 및 기타 것들과 같이 개방지에서 취급되는 플라스틱 물질에 직접, 매우 명료한 기술적 및 상업적 기초 적용을 갖는다.
농업에서, PHA 는 화분, 작은 튜브의 재조림 (reforesting), 재배물 코팅 필름 및 주로, 영양분, 제초제, 살충제 등을 위한 유리 시스템 (liberation system) 제어에 적용될 수 있다.
생물의약 적용에 있어서, PHA 는 유리 제어 화합물의 미세캡슐화, 의학 봉합술 및 골절 고정 핀에 사용될 수 있다.
지난 이십년 동안 자연 과학, 특히 바이오테크놀로지의 큰 발전은, PHA 의 상업적 제조에서 천연 또는 유전자 변형된 여러 미생물의 사용을 허용하였다.
특허 US-3107172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성형가능한 물질과 같이, 다수의 적용이 "인 나투라 (in natura)" (PHA 용매제 없이) 박테리아 세포로 제조되지만, PHA 상업 적용은 대부분의 경우에 양호한 플라스틱 특성을 위해 높은 순도 수준이 필요했다. PHA 추출을 위한 용매의 이용 및 충분한 가공성 순도 수준을 위한 잔류 바이오매스의 회복이 중요하다.
특허 EPA-01455233 A2 에서, 비(非)-PHA 물질 가용화를 위한 계면활성 제제 또는 효소를 사용하여, PHA 수성 현탁액으로의 세포 소화의 방법 가능성이 일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용매 추출 방법에 관하여, 증가된 제조 비용에 따 른 가능한 제한을 나타낸다. 그러나, 증가된 순도 생성물이 요망된다면 용매 단계가 제거되지 않는다.
PHA 추출 및 박테리아 바이오매스의 회복에 대해 문헌에서 흔히 인용되는, 유기 용매 추출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용매, 예컨대 클로로포름 (특허 US-3275610), 에탄올/메탄올 염소 (US-3044942), 65 내지 170℃ 의 비등점을 갖는 클로로에탄 및 클로로프로판, 1,2-디클로로에탄 및 1,2,3-트리클로로프로판 (특허 EP-0014490 B1 및 EP 2446859) 을 이용한다.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및 디클로로프로판과 같은, 또한 할로겐화된 기타 공급원이 미국 특허 US-4.562.245 (1985), US-4.310.684 (1982), US-4.705.604 (1987) 및 유럽 특허 O36.699 (1981) 및 독일 239.609 (1986) 에 인용된다.
할로겐화 용매를 이용하는 생체중합체 추출 및 바이오매스의 정제 방법은 현재 완전히 금지된다. 상기는 인간 건강 및 환경에 매우 적대적이다. 따라서, PHA 추출 및 정제를 위한 용매는 우선 환경 친화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어떠한 제조 단계에서도 환경에 해로운 공급원의 사용은 피해야 한다.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원 또한 재생성 공급원으로부터 나와야 한다. 예를 들어, 제조 중 비(非)재생성 공급원만이 이용된다면; 환경적 충격에 낮은 플라스틱을 가지는 것은 무의미하다.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매우 흥미로운 방법은 농업 산업, 특히 당 및 알코올 산업을 위한 바이오플라스틱 제조 사슬의 전체 혼입이다 (Nonato, R.V., Mantelatto, P.E., Rossell, C.E.V., "Integrated Production of Biodegradable Plastic (PHB), Sugar and Ethanol", Appl. Microbiol. Biotechnology. 57:1-5, 2001).
미국 특허 6,127,512 는 약 470,000 초과의 분자량 (Mw) 을 갖는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PHA) 및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제의 가소화 양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펠렛 조성물을 개시한다:
■ A.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고비등점 에스테르:
Figure 112007011146521-pct00002
[도 1] 의 화학식의 프탈레이트 및 이소프탈레이트 (식 중, R1 은 C1-20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벤질임); (ii) [도 2] 의 화학식의 시트레이트 (식 중, R1 은 수소 또는 C1-10 알킬, 및 R2 는 C1-10 알킬, C1-10 알콕시 또는 C1-10 알콕시알킬임);
Figure 112007011146521-pct00003
화학식 R1-O-C(O)-(CH2)4-C(O)-OR2 (식 중,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Rl 및 R2 는 C2-12 알킬 또는 C2-12 알콕시알킬임) 의 아디페이트;
Figure 112007062879373-pct00004
화학식 R1-C(O)-(CH2)8-C(O)-O-R1 (식 중, R1 은 C2-15 알킬 또는 C2-15 알콕시알킬임) 의 세바케이트
Figure 112007062879373-pct00005
화학식 R1-O-C(O)-(CH2)7-C(O)-R1 (식 중, R1 은 C2-12 알킬, 벤질, 또는 C2-12 알콕시알킬임) 의 아젤레이트;
Figure 112007011146521-pct00006
■ B. 화학식 R2-(O)-CH2-CH2)n-O-R1 (식 중, R1 은 알킬 또는 -C(O)-알킬이며, R2 은 알킬이며, n 은 2 내지 100 임; 또는 R1 은 수소이고, R2 는 알킬이 C2-12 알킬인 알킬페닐이고, n 은 1 내지 100 이거나; 또는 R2 는 CH3-(CH2)10-C(O)- 이고, n 은 5, 10, 또는 R2 는 CH3-(CH2)7 CH=CH-(CH2)7-C(O)- 이고 n 은 5 또는 15 임) 의 알킬 에테르/에스테르;
■ C. 화학식 CH3-(CH2)n-A-(CH2)n-R (식 중, A 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알켄 (즉, 불포화 지방산) 이고, n 은 1 내지 25 이고, R 은 C2-15 알킬임) 의 에폭시 유도체; 또는 C6-26 사슬 길이의 지방산 사슬 당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에폭시 유도체.
■ D.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라우릴 에테르, 및 부틸 아세틸 리시놀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된 지방산; 및
■ E. 화학식 -0-C(O)-R1-C(O)-O-R2-O- (식 중, R1 및 R2 는 모두 독립적으로 C2-12 알킬렌이거나, R2 는 디올로부터 유도될 수 있음) 의 중합체성 에스테르.
상기 특허에 관련되는 기타 특허는 하기이다:
WO9923146A1 및 AU1281499A1.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된 PHB 및 그의 공중합체의 물리/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PHB 및 그의 공중합체를 위한 가소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PHB 는 생물분해성 중합체인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수지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하기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i) PHB, 단 PHB 및 PHB 의 공중합체가 생체중합체 추출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사전 건조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농축된 세포성 물질이, 2002년 4월 30일에 공개된 브라질 특허 PI 9302312-0 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당한 용매, 특히 상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3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갖는 사슬을 갖는 상급 알코올, 또는 그의 임의의 기타 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이소아밀 알코올, 아밀 아세테이트,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또는 퓨젤 오일과 혼합됨을 특징으로 함.
(ii) a) 6 내지 30 의 탄소 사슬 길이 (C6-C30) 의 지방 알코올, 단, 지방 알코올은 포화 또는 올레핀성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b) 6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단, 지방산은 포화 또는 올레핀성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음.
가소제로 사용되는 지방 알코올 및 글리세롤 에스테르와 PHB 및 그의 공중합체의 건조 블렌드 조성물은, PHB 및 그의 공중합체를, 90℃ 에서 5 분간 건조 블렌드 믹서에서 혼합하며, 혼합 하, 가소제를 서서히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가소제 조성물은 화합물 (i) 및 (ii) 를, 화합물 (i) 및 (ii) 의 중량비가 95:5 내지 50:50 범위 내, 및 특히 90:10 내지 75:25 범위 내인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가소제 (ii) 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며, 단, 이들은 하기에 의해 구성된다:
a) - 포화 또는 올레핀성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인, 6 내지 30 탄소 사슬 길이 (C6-C30) 의 지방 알코올
b) - 6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단, 지방산은 포화 또는 올레핀성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임.
상기에 명시된 바와 같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화합물 (a) 및 (b) 의 중량비가 100:0 또는 95:5 또는 75:25 내지 50:50 범위 내, 및 특히 100:0 내지 75:25 범위 내인 양으로 화합물 (a) 및 (b) 를 포함한다. 배타적으로 화합물 (a) 및 (b) 를 포함하는 가소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제공되는 PHB 및 그의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의 300,000 내지 1,000,000 의 Mw 를 갖는다:
Figure 112007011146521-pct00007
[식 중, R 은 가변성 길이의 알킬기이며, m 및 n 은 정수이고, PHB 및 그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R 및 m 은 하기 값을 갖는다:
PHB: R=CH3, m=1
PHB-V: R=CH3 또는 CH3-CH2-, m=1
P4HB: R=H, m=2
P3HB-4HB: R=H 또는 CH3, m=1 또는 2
PHHx: R=CH3-CH2-CH2-, m=1].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중합체는 400,000 내지 800,000 의 분자량을 갖는 순수한 PHB 이다.
본 발명에 따라, PHB 및 그의 공중합체는 할로겐화 용매의 사용 없이 용매 추출 공정을 이용하는 공정 (브라질 특허 PI 9302312-0) 으로부터 온다.
추출 공정은 3 개의 탄소 원자 보다 상급인 사슬 길이를 가진 상급 알코올 또는 아세테이트 유도체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아밀 알코올 (3-메틸-1-부탄올), 아밀 아세테이트 및 퓨젤 오일 또는 주성분이 이소아밀 알코올인 알코올 발효 공정으로부터의 부산물로서 상급 알코올의 혼합물.
공정은 연속 또는 간헐성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두 경우 모두에서, 생체중합체를 포함하는 세포는 단일 단계 공정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용매에 의한 공정이다.
상기 공정에서, 사전 건조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농축된 세포성 물질이 적당한 용매, 상급 알코올 및/또는 그의 에스테르로 추출된다. 이후, 세포성 잔류물은 침전, 부유, 여과, 원심분리 또는 또한 이러한 방법의 조합일 수 있는, 통상적인 기계적 기법에 의해 분리되어, 케이크 및 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액을 초래한다. 후자에 결정화 단계가 수행되고, 이는 용해를 방지하는 제제의 부재하에서 용매 중 용해되지 않는 중합체로 전환된다. 결정화는 평균 온도의 저하에 기인한 용액의 포화에 관련되거나 관련되지 않은, 용매의 제거 (예를 들어, 증발) 에 의해, 용액 중 중합체의 증가된 농축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두 경우 모두에서, 중합체는 용해방지제의 첨가 없이 용액 중 고형화될 것이며, 이는 이후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기계적 분리에 의해 용액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용액은 추출 단계로 바로 재순환될 수 있다.
중합체의 건조 및 추출은, 예를 들어 이소아밀 알코올과 같은, 수불용성 또는 부분적으로 수불용성인, 적당한 용매가 선택된다면 단일 단계로 수행될 수 있고; 물은 추출 동안 혼합물을 그의 비등점에서 증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후, 증류된 물질은 2 개의 상을 형성하며 냉각될 수 있다. 수성상이 제거되고 용매는 추출 공정으로 바로 되돌아 간다.
상기 시스템에 따라 작업하기 위해, 적당한 압력 및 온도 조건이 중합체의 열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선택되어야 한다.
결정 크기를 증가시키고 결정화를 보다 용이 하기 위해, 물질에 결정화 세균으로 작용하는 선택 결정이 접종될 수 있다.
중합체 추출을 위해 더욱 적절한 온도 범위는 보통 40℃ 초과 내지 용매 비등점 (건조 세포의 경우) 이거나, 수성 혼합물 비등점 (습윤 세포의 경우) 이다.
열 용해가 수행된 후, 대기 온도까지, 용액의 냉각으로 인해 생성물 침전이 일어난다. 이러한 냉각은 결국 불순물 퍼징 (purging) 후 일어날 수 있다.
가열, 냉각 및 퍼징 작업은 시스템의 온도 제어 및 작동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동일 용기 또는 연속으로 위치한 2 개의 용기에서 수행된다. 용기는 또한 추출을 촉진하는 교반 시스템 및 침전을 향상하는 흐름-지시 플레이트 (flow-direction plate) 와 함께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매 중 세포 현탁액은 열 교환기를 통해 연속 흐름으로 가열되고, 그 후, 냉각 및 침전 용기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된 용매의 양은 세포 내의 생체중합체 함량 및 추출 시간에 의존한다. 용매 질량 및 세포의 질량 간의 비는 2.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으로 가변성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하기로 구성되는 열 안정화 시스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장애 (hindered) 페놀로서 1차 항산화제 (0.02% 내지 0.5% 의 함량 - PHB 및 가소제 포함, 전체에 대한 % 질량); 유기 포스파이트로서 2차 항산화제 (0.02% 내지 0.5% - PHB 및 가소제 포함, 전체에 대한 % 질량); 락톤으로서 열 안정화제 (0.02% 내지 0.5% 의 함량 - PHB 및 가소제 포함, 전체에 대한 % 질량).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르비톨 및 소듐 벤조에이트를 핵화제 (nucleant) 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핵화제는 중합체성 조성물에서 PHB 결정화의 열역학적 및 동역학적 공정 (핵형성 및 성장) 제어에 사용된다. 요망되는 결정 형태 및 결정도에 따라 핵화제 함량이 그 마지막 공정 중 중합체성 물질에 부가되는 냉각 정도와 조합된 형태로 변화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가소제 조성물에서 충전재의 사용에 관련되며, 단, 상기 충전재는 전분, 목재 분말, 사탕수수 찌꺼기 (cane bagasse) 섬유, 벼 꼬투리 섬유 및 사이살초 섬유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충전재는 PHB/가소제/첨가제에 기재한 중합체 조성물로 제조된 특정 생성물에 요망되는 특정 공정-구조-특성-비용 관계에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청구된 조성물을, 사출 성형 조각 및/또는 포장을 위한 필름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순수한 PHB 및 6 개의 상이한 가소제 조성물로 기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PHB 및 가소제 조성물의 건조 블렌드 혼합물을, 100℃ 내지 110℃ 에서 5 분간 믹서에서 혼합하고 50℃ 로 5 분간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건조 블렌드를 압출로 펠렛화시키고, 하기와 같은 사출 성형에 의해 바디 실험 (body test) 을 생성하였다.
압출:
- 동시-회전형 2축 압출기 (co-rotational double screw extruder) - Werner & Pfleiderer ZSK-30 (30 mm)
- 조건:
Figure 112007011146521-pct00008
사출 성형:
Figure 112007011146521-pct00009
사출 기계 - ARBURG 270 V - 30 톤
Figure 112007011146521-pct00010
(바디 실험을 위한) 주형, ASTM D 638 (인장 강도 I) 및 ASTM D 256 (이조드 충격).
사출 성형 조건:
온도 프로파일 (℃): 압력/시간 프로파일
구역 1: 152 압력 (bar): 400
구역 2: 156 여압 (bar): 380
구역 3: 172 흐름 (㎤/s): 20
구역 4: 172 유지 (bar): 300
구역 5: 170 유지 시간 (s): 12
주형 (℃): 35 역압 (bar): 40
냉각 시간 (s): 32 투여 속도 (mm/분): 12
Figure 112007011146521-pct00011
실험 결과:
Figure 112007011146521-pct00012

Claims (9)

  1. 하기를 포함하는 가소화 중합체성 조성물:
    (i) PHB 또는 PHB 의 공중합체; 및
    (ii) a) 6 내지 30 의 탄소 사슬 길이 (C6-C30) 의 지방 알코올, 단, 지방 알코올은 포화 또는 올레핀성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b) 6 내지 2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단, 지방산은 포화 또는 올레핀성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음.
  2. 제 1 항에 있어서 (ⅲ)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장애 (hindered) 페놀로서 1차 항산화제, 유기 포스파이트로서 2차 항산화제 및 락톤으로서 열 안정화제로 구성되는 안정화 시스템;
    소르비톨 및 소듐 벤조에이트로 구성되는 핵화제; 및
    전분, 목재 분말, 사탕수수 찌꺼기 (cane bagasse) 섬유, 벼 꼬투리 섬유 및 사이살초 섬유로 구성되는 충전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합물 (i) 및 (ii) 의 중량비가 90:10 내지 75:25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합물 (i) 이 하기 화학식으로 정의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112007062879373-pct00013
    [식 중, R 은 가변성 길이의 알킬기이며, m 및 n 은 정수이고, PHB 및 그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R 및 m 은 하기 값을 갖는다:
    PHB: R=CH3, m=1
    PHB-V: R=CH3 또는 CH3-CH2, m=1
    P4HB:R=H, m=2
    P3HB-4HB: R=H 또는 CH3, m=1 또는 2
    PHHx: R=CH3-CH2-CH2-, m=1].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PHB 분자량이 300,000 내지 1,000,000 범위 내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조성물의, 사출 성형 조각 및/또는 포장용 필름으로서의 사용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HB 또는 PHB 의 공중합체가 생체중합체 추출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사전 건조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농축된 세포성 물질이 이소아밀 알코올, 아밀 아세테이트,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및 퓨젤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르부터 선택되는 용매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77002930A 2007-02-06 2004-08-06 Phb 및 그의 공중합체의 물리-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개선시키기 위한 가소제로서 지방 알코올의 사용 KR100885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2930A KR100885143B1 (ko) 2007-02-06 2004-08-06 Phb 및 그의 공중합체의 물리-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개선시키기 위한 가소제로서 지방 알코올의 사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2930A KR100885143B1 (ko) 2007-02-06 2004-08-06 Phb 및 그의 공중합체의 물리-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개선시키기 위한 가소제로서 지방 알코올의 사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499A KR20070062499A (ko) 2007-06-15
KR100885143B1 true KR100885143B1 (ko) 2009-02-23

Family

ID=3835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930A KR100885143B1 (ko) 2007-02-06 2004-08-06 Phb 및 그의 공중합체의 물리-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개선시키기 위한 가소제로서 지방 알코올의 사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1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8061A1 (en) * 1993-06-02 1994-12-08 Zeneca Limited Polyester composition
WO1994028047A1 (en) * 1993-06-02 1994-12-08 Zeneca Limited Processing of polyesters
US6127512A (en) 1997-10-31 2000-10-03 Monsanto Company Plasticized polyhydroxyalkanoa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the production of shaped polymeric articles
KR20030096324A (ko) * 2001-04-20 2003-12-2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핵제 및 가소제를 사용한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의 가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8061A1 (en) * 1993-06-02 1994-12-08 Zeneca Limited Polyester composition
WO1994028047A1 (en) * 1993-06-02 1994-12-08 Zeneca Limited Processing of polyesters
US6127512A (en) 1997-10-31 2000-10-03 Monsanto Company Plasticized polyhydroxyalkanoa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the production of shaped polymeric articles
KR20030096324A (ko) * 2001-04-20 2003-12-2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핵제 및 가소제를 사용한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의 가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499A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5273C (en) Use of fatty alcohols as plasticizer to improve the physical-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of phb and its co-polymers
AU664168B2 (en) Biodegradable polymeric compositions based on starch and thermoplastic polymers
JP5608562B2 (ja) ポリ乳酸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乳酸樹脂用添加剤
US5693389A (en) Polyester composition
CA2580603C (en) Nucleating agents for polyhydroxyalkanoates
US20130220173A1 (en) Macrophyte-based bioplastic
US20090030112A1 (en) Biodegradable polymer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polymeric composition
EP2256149B1 (en) Method for plasticizing lactic acid polymers
US20170198136A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formed from such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molded article
JP2021063234A (ja)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のための結晶核形成剤
CN117795004A (zh) 可生物降解的树脂组合物及分别使用其的可生物降解膜和可生物降解地膜
KR101525332B1 (ko) 유기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사용된 생물량으로부터 안정화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의 회수 방법
KR100885143B1 (ko) Phb 및 그의 공중합체의 물리-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개선시키기 위한 가소제로서 지방 알코올의 사용
JP6172795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樹脂組成物から形成される成形体
ZA200700727B (en) Use of fatty alcohols as plasticizer to improve the physical-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of PHB and its co-polymers
JP4163060B2 (ja) 農業用樹脂組成物及び農業用資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