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810B1 - Method and structure for building up crawfishes' habitat of spontaneous restoring typ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tructure for building up crawfishes' habitat of spontaneous restoring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810B1
KR100884810B1 KR1020080095470A KR20080095470A KR100884810B1 KR 100884810 B1 KR100884810 B1 KR 100884810B1 KR 1020080095470 A KR1020080095470 A KR 1020080095470A KR 20080095470 A KR20080095470 A KR 20080095470A KR 100884810 B1 KR100884810 B1 KR 10088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bitat
crayfish
ground
water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경영
김현돈
노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to KR102008009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8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8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A method for building natural restoration type crawfish habitat and a structure for the same are provided, which enable a crawfish to inhabit the habitat environment-friendly. A method for building natural restoration type crawfish habitat comprises: a ground waterproofing step in which the ground of the section for the crawfish habitat is hardened and the ground is formed so that drainage is possible; a habitat ground formation step which forms a plurality of habitat gaps on the top of the waterproof crawfish habitat region; a tree section development step which plants the tree beneficial to the habitat of the crawfish on the circumference of the habitat ground; and a water tub building step which builds the water tub for supplying water to the upper stream of the crawfish habitat.

Description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 및 그 구조{Method and structure for building up crawfishes' habitat of spontaneous restoring type}Method and structure for building up crawfishes' habitat of spontaneous restoring type

본 발명은 인공적인 건물이나 단지만을 건설하는 것과 달리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를 자연 친환경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자연적인 가재의 서식이나 복원을 추구한,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which seeks the habitation or restoration of a natural crawfish by constructing a habitat in which the crawfish can be inhabited in an environment-friendly manner, unlike constructing only an artificial building or complex .

대규모의 개발 사업으로 인하여 많은 지역의 산림이 훼손되고 이와 더불어 계곡의 훼손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계곡이 훼손되면서 과거에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던 가재가 사라져 추억이나 동화속의 이야기가 되어 가고 있으며, 개발사업 이후에 하천을 복원하여도 가재를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 되었다.Due to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forests in many regions are damaged and many valleys are damaged. As the valley is damaged, crawfish, which have been commonly seen in the past, have disappeared, becoming stories of memories or fairy tales, and even after restoring rivers, crayfish cannot be found.

과거의 환경 복원은 이수와 치수에 중점을 두고 행하여졌다. 따라서 생물의 서식지라던가 다양한 생태환경의 조성에 관해서는 고려되지 않고 단순하게 물의 흐름이 콘크르트호안이나 옹벽블록호안과 같이 중시되는 하천의 형태를 띠게 되었다.Past environmental restoration has been done with emphasis on completion and dimensions. Therefore, the habitats of living things and the creation of various ecological environments are not considered, and the flow of water simply takes the form of streams, such as concrete or retaining wall blocks.

그러다가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순히 치수와 이수의 기능만 을 고려한 하천이 아닌 자연환경과 유사하고 다양한 생물공간을 가진 생태환경의 조성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에서도 대부분 외관으로 관찰되는 생태환경 즉, 제방에 식물의 활착과 경관적으로 양호한 환경조성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일 뿐, 실질적으로 하천 내에 서식하고 있는 수생태계에 대한 고려는 미흡하였다. Then, as interest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creased,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creation of an ecological environment with a variety of biological spaces similar to the natural environment, not just rivers, which considered only the dimensions and the function of completion. However, even in these changes, only the focus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at is observed externally, namely, the planting of the dike and the favorable environment for landscape construction, has not been considered for the aquatic ecosystem that lives in the river.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다양한 생물서식처에 대한 비오톱 조성이나 관련연구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Recognizing these problems, biotope composition and related research on various biological habitats have recently been highlighted.

종래의 생물서식지의 환경조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가재의 서식지에 관한 특허는 존재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생물서식처 조성공법 및 특정종으로서 반딧불이 서식처의 복원방법이 개시되어 있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research on the environmental composition of the biological habitat, there is no patent for the habitat of the crayfish, and the general habitat for the habitat and the restoration method of the firefly habitat as a specific species is disclosed.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0980호에 개시된 생물다양성 복원에 적합한 인공 생태늪은 생물다양성을 효과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생태늪으로서, 하나 이상의 늪과 5 cm에서 2 m에 이르는 다양한 수심 및 수생식물을 식재하는 생태늪 조성공법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artificial ecological swamp suitable for biodiversity restora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70980 is an ecological swamp capable of effectively restoring biodiversity, with one or more swamps and various depths ranging from 5 cm to 2 m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logical swamp formation method for planting aquatic plants.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25958호에 개시된 친환경적인 반딧불이 복원장치는 반딧불이 복원시스템 및 이의 조성방법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친환경적인 반딧불이 복원장치는 만곡과 요철이 반복되는 수로 양측에 물의 유입출을 위한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수로에는 반딧불이가 생육 및 번식할 수 있도록 서식환경이 조성되는 반딧불이 생태연못이다. 또한 생태연못의 유출구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저면에 유공관이 형성되며, 그 내부 에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천연재료 및 다공질 여과재가 다수 적재되어 상층에서부터 하층으로 통과하는 물을 순차적으로 정화한 후 저면의 유공관을 통하여 방류하는 정화연못 및 방류되는 물을 뿜어내어 연못으로 공급하는 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irefly restoration device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25958 describes a firefly restoration system and its composition method. Specifically,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firefly restoring device is an inlet and outlet for water inflow and outflow on both sides of the waterway where the curved and irregularities are repeated, and the fireflies are ecological ponds in which a habitat environment is formed so that fireflies can grow and reproduce. In addition, an inlet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ecological pond is formed on one side and a perforated pipe is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and there are a lot of natural materials and porous filter media for purifying water flowing from the inlet, and the water passes from the upper layer to the lower layer. After the sequential purification of the purge pond and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pipe and the circulation system for supplying to the pond.

위와같이, 하천에서 어류의 은신처로서 어류 비오톱, 연못이나 습지에 수생식물과 얕은 수심을 이용한 곤충류 비오톱, 또는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연결성을 가진 생태통로형 비오톱 등 다양한 형태의 비오톱이 조성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적인 접근이나 유역차원의 특성을 감안하지 않고 생물서식처를 조성하는 것은 조성 이후의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지속적인 개체군 유지와 서식환경을 조성하기도 어렵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types of biotopes have been formed as fish hideouts in rivers, insect biotopes using aquatic plants and shallow waters in ponds or wetlands, or eco-pathway biotopes with connectivity for network formation. However, the creation of biological habitats without considering the scientific approach or the watershed level is expensive to maintain after creation, and it is difficult to create a continuous population maintenance and habitat environment.

또한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해 조성되는 생물서식처의 대부분이 수생식물의 식재를 통해 다양한 생육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고, 그 외에는 주로 수질개선에 중점을 맞추어 조성되고 있어 문제점 또한 적지 않다.In addition, most of the habitats for the promotion of biodiversity are focused on creating various growth environments through the planting of aquatic plants, and other problems are also mainly focused on improving water quality.

아울러 지금까지의 서식처 복원이 대부분 수생식물의 식재를 통한 서식환경개선이나 가시적인 효과가 발생되는 복원장치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어, 위에서 언급한 친환경적인 반딧불이 복원장치를 제외하고는 특정생물의 서식환경에 맞추어 서식처를 조성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In addition, most of the habitat restorations so far focus on the improvement of habitat environment through planting of aquatic plants or the development of restoration apparatuses that produce visible effects. It is rare that a habitat is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적인 서식에 문제가 없도록 가재서식처를 조성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러한 친환경적인 서식처의 조성에 대해서는 새롭고 효율적인 공법이나 대책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reating a habitat for habitation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environmentally friendly habitats, and new and efficient methods or measures are constantly required for the creation of such environmentally friendly habitats.

위를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1) 경사와 굴곡이 구비되고, 상기 가재의 서식을 위한 다수의 서식지틈새를 포함하는 상태로, 조성할 가재서식처 구조에 따라 상기 가재서식처를 위한 구역의 지반을 다지고 방수가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지반방수단계와; (2) 상기 지반방수단계를 통해 방수된 상기 가재서식처 지역의 상부로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다수의 서식처틈새를 포함하여 지반을 형성하는 서식처지반 형성단계와; (3) 상기 단계에서 형성한 서식처지반의 수로변으로 상기 가재의 서식에 이로운 수목을 식재하는 수목서식구역 조성단계와; (4) 상기 각 단계들을 통해 형성한 상기 가재서식처의 상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가재서식처의 하류에 가재서식용 용수의 구비를 위한 용수조를 형성하는 용수조 조성단계를 포함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bove, (1) is provided with a slope and a bend, including a plurality of habitat gaps for the habitat of the crawfish, the ground of the zone for the crayfish habita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rayfish habitat to be created And ground waterproofing step to form a waterproof and possible; (2) a habitat ground formation step of forming a ground including a plurality of habitat gaps in which lobsters can inhabit the upper part of the crayfish habitat area waterproofed through the ground waterproofing step; (3) forming a tree habitat zone for planting trees beneficial to the habitat of the crawfish by the waterway side of the habitat ground formed in the step; (4) a natural restoration type comprising a spring bath forming step of forming a water bath for the provision of lobster water down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for supplying water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formed through the respective steps; To provide a method of creating a crayfish habita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가재의 서식을 위한 산소원의 공급을 풍족하게 하기 위해 평평한 지면에 비해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지구역과; 상기 경사지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재서식처 조성하기 위한 구역의 방수가 가능하도록 다져진 지반 상에 상기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다수의 서식처틈새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서식처구역과; 상기 서식처구역의 수로변으로 상기 가재의 서식에 이로운 수목 을 식재하여 형성한 수목서식구역과; 상기 서식처구역의 상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가재서식처의 하류에 가재의 서식을 위해 공급할 용수의 구비를 위한 용수조를 형성하는 용수조성구역을 포함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area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compared to the flat ground to enrich the supply of oxygen source for the habitat of the crawfish; A habitat area including the inclined area and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habitat gaps in which the crawfish can be inhabited on a ground compacted to enable waterproofing of the area for forming the crayfish habitat; A tree habitat zone formed by planting trees beneficial to the habitat of the crayfish by the waterway side of the habitat zone; It is to provide a natural restoration type crayfish habitat structure including a water composition zone for forming a water tank for the provision of water to be supplied for habitation of crayfish down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to supply water upstream of the habitat area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에 있어, 용수조의 조성과 서식환경수목의 식재는 서로 선후를 바꾸어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지반방수는, 다져질 지반의 두께 이상으로 더 깊게 파낸 후 상기 지반의 상부에 부직포를 깔아 부직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한 부직포층 상부에 자연토재를 일정 두께로 깔고 방수가 되도록 단단하게 굳혀 방수층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한 방수층 상부에 황토로 복토하고 잔골재를 일정 두께로 덮어 방수상층을 형성하도록 진행된다.In addi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of the water tank and the planting of the environment-environmental tree can be changed in advance and later; The ground waterproofing is dug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round to be compacted, and then the nonwoven fabric is lai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to form a nonwoven fabric layer. Forming a waterproof layer, covering the top of the formed waterproof layer with ocher and proceed to form a waterproof upper layer by covering the fine aggregate to a certain thickness.

여기서 상기 자연토재는, 진흙, 황토, 점토 및 석분의 어느 하나 이상을 재료로 하고; 진흙, 황토, 점토 및 석분의 어느 하나 이상에 강회를 20중량 % 이내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natural soil, mud, loess, clay and stone powder as one or more materials; It is preferable that lime is mixed in at least 20% by weight of at least one of mud, loess, clay and stone powder.

또한 상기 서식처구역은, 5 ~ 20 도 내외의 경사를 갖는 경사지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지구역의 길이는 최소 5m 정도 이상 이되, 0.3 ~ 2 m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고; 하상재료로 직경 300 ~ 600 mm 내외의 큰돌과, 직경 5 ~ 100 mm 내외의 자갈과, 직경 5 mm 이하의 모래와, 직경 10 ~ 30 cm 범위의 통나무를 사용하여, 상기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틈새가 다수 형성되며; 큰돌에 의해 10 ~ 50 cm 범위의 서식처틈새 1개 이상 그리고 1 ㎡ 범위 이내에 높이 5cm이하 폭 40cm 이하의 서식처틈새 5개 이상 형성되고, 직경 5mm 이상의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도록 형성된 통나무가 다수 구비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habitat area includes a slope area having an inclination of about 5 to 20 degrees, the length of the slope area is at least about 5m or more, is formed in a width of about 0.3 ~ 2m; As a bed bed material, a large stone of 300 to 600 mm in diameter, gravel of 5 to 100 mm in diameter, sand of 5 mm or less in diameter, and logs of 10 to 30 cm in diameter can be used. Multiple habitat gaps are formed; At least one habitation gap in the range of 10 to 50 cm and at least 5 habitation gaps of less than 5 cm in height and less than 40 cm in width within a range of 1 to 2 cm by large stones, and a plurality of logs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hole having a diameter of 5 mm or more. It is good.

그리고 상기 수목서식구역은, 교목성 수종으로는 가재의 서식에 좋은 가래나무와 졸참나무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그 하층으로 관목성 수종인 갯버들, 쉬땅나무, 신나무 및 고추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arboreal zone includes at least one of sputum and prunus oak, which are good for lobsters as arborescent species, and at least one of shrubs, willows, cypresses, cypresses, and red pepper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아울러 상기 용수조성구역은 상기 가재서식처의 운용을 위한 용수 공급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가재서식처의 규모에 적합한 크기이되, 부유물이나 이물질 등을 걸러 목적에도 부합되도록 상기 가재서식처의 하류방향에 부유물을 제거하고 수온을 낮출 수 있는 용수조가 구비되도록 조성되며; 상기 용수조는, 상기 가재서식처의 하류에 상기 조성하고자 하는 용수조의 크기에 맞추어 지면 하부 방향으로 파낸 용수조 공간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용수조지반을 형성하고, 상기 용수조지반의 상부는 그 측벽을 메우고 마감처리하여 용수조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용수조측벽 안쪽으로 상기 용수조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용수조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용수조내벽 내측 하부에 상기 가재서식처의 상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용수펌프를 설치하며, 상기 가재서식처의 상류까지 유도되도록 상기 용수펌프로부터 용수관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용수조 상부 개구부에 상기 용수조로 인입되는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이나 이물질 등을 걸러 낼 수 있도록 거름망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이때의 기초 콘크리트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고로슬래그, 맥반석, 소성황토, 소석회를 모두 포함하고 고령토, 메타카올린 및 폐유리 재생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 혼합한 조성물로 제조함으로써 기존 시멘트의 높은 pH로 인한 패해가 없도록 중성화 하는 것이 중요하며, 위에서 언급한 지금까지의 이 러한 내용들은 서로 복합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ater composition zone has a siz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crayfish habitat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supply of water for the operation of the crayfish habitat, and removes the float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crayfish habitat so as to meet the purpose by filtering the floating matter or foreign matters A water bath capable of lowering the water temperature is provided; The water bath may form a water basin formed by placing a foundation concrete in a lower part of a water tank space du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water bath to be formed down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and the upper part of the water basin is Fill the side walls and finish to form a water tank side wall, and form a water tank inner wall with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open inside the water tank side wall, supplying water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inside the water tank inner wall. In order to install a water pump to connect the water pipe from the water pump to be guided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and to filter out the floating matter o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in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tank It is desirable to form a strainer so that; At this time, the basic concrete is composed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blast furnace slag, ganban stone, calcined clay, calcined lime and at least one of kaolin, metakaolin, and waste glass regenerated powder. It is important to neutralize so that there is no damage caused, and the above-mentioned contents so far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은, 가재가 자연상태에서 친환경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가재의 자연생태적 서식처를 조성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 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ution that can create a natural ecological habitat of the crawfish so that the crawfish can be environmentally friendly in a natural state.

또한 훼손된 자연환경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과거에 산지계곡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던 가재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지역을 형성하여 1급 청정 생태 환경을 보존 및 유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lso,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damaged natural environment, it can be useful for preserving and maintaining a first-class clean ecological environment by forming an area where lobsters, etc., commonly observed in mountain valleys can inhabit in the pas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 및 그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method for forming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and its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50)에 대한 평면 형태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50)의 조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position process of FIG. 1. .

그리고 도 3은 도 1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50)의 A-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50)에서의 지반조성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of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ound composition of the FIG. 1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50.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50)는, 가재의 서식을 위한 산소원의 공급을 풍족하게 하기 위해 평평한 지면에 비해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지구역(510)과; 상기 경사지구역(510)을 포함하고 상기 가재서식처 조성하기 위한 구역의 방수가 가능하도록 다져진 지반상에 상기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다수의 서식처틈새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서식처구역(520)과; 상기 서식처구역(520)의 수로변으로 상기 가재의 서식에 이로운 수목을 식재하여 형성한 수목서식구역(530)과; 상기 서식처구역(520)의 상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서식처구역(520)의 하류에 가재의 서식을 위해 공급할 용수의 구비를 위한 용수조를 형성하는 용수조성구역(540)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lope area 510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flat surface in order to enrich the supply of an oxygen source for habitation of the crawfish. )and; A habitat area 520 including the inclined area 510 and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habitat gaps in which the crawfish can be inhabited on a ground compacted to enable waterproofing of the area for creating the crayfish habitat; A tree habitat zone 530 formed by planting trees beneficial to the habitat of the crawfish on the waterway side of the habitat zone 520; In order to supply the water upstream of the habitat area 520 can be divided into a water composition zone 540 to form a water tank for the provision of water to be supplied for the habitat of the crawfish downstream of the habitat area 520. .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50)의 조성을 위한 본 실시예의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은, (1) 경사와 굴곡이 구비되고, 상기 가재의 서식을 위한 다수의 서식지틈새를 포함하는 상태로, 조성할 가재서식처 구조에 따라 상기 가재서식처를 위한 구역의 지반을 다지고 방수가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지반방수단계와; (2) 상기 지반방수단계를 통해 방수된 상기 가재서식처 지역의 상부로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다수의 서식처틈새를 포함하여 지반을 형성하는 서식처지반 형성단계와; (3) 상기 단계에서 형성한 서식처지반의 수로변으로 상기 가재의 서식에 이로운 수목을 식재하는 수목서식구역 조성단계와; (4) 상기 각 단계들을 통해 형성한 상기 가재서식처의 상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가재서식처의 하류에 가재서식용 용수의 구비를 위한 용수조를 형성하는 용수조 조성단계의 진행을 통해 조성되는 특징이 있다.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ethod of forming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the composition of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50), (1) is provided with a slope and bend, including a plurality of habitat gaps for the habitat of the crawfish In the state, the ground waterproofing step to form a ground and the waterproofing of the ground for the crayfish habita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rayfish habitat to be created; (2) a habitat ground formation step of forming a ground including a plurality of habitat gaps in which lobsters can inhabit the upper part of the crayfish habitat area waterproofed through the ground waterproofing step; (3) forming a tree habitat zone for planting trees beneficial to the habitat of the crawfish by the waterway side of the habitat ground formed in the step; (4) is formed through the progress of the spring tank forming step of forming a water tank for the provision of the water for crayfish in the down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to supply water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formed through the respective steps There is a characteristic.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을 진행함에 있어, 용수조 조성단계와 수목서식구역 조성단계는 진행단계의 선후를 바꾸어 진행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proceeding with the creation of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composition step and the tree habitat area creation step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progress of the progress step.

먼저 가재의 살이 및 생태적 특성 등을 살펴본다.First, look at the fleshing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rayfish.

가재는 십각목(Decapoda) 가재과(Cambaridae)에 속하는 민물 갑각류로서 몸길이는 6.4 내지 7.2 cm 정도이고 이마의 뿔을 제외한 갑각의 길이는 2.9 내지 3.2 cm 정도이며 몸은 외골격(갑각)으로 덮여 있고 갑각의 등면은 매끈한 편으로 적갈색을 띤다. 또한 석회질이나 카르틴질로 된 겉뼈대(외골격)는 몸을 보호하고 주기적으로 탈피를 한다. 또한 몸은 좌우대칭이고 많은 마디로 이루어져서 머리, 가슴 및 배의 세 부분 또는 머리가슴 및 배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머리와 가슴은 등쪽으로 약간 납작한 원기둥 모양이고 배는 납작하다. 머리가슴에는 1쌍의 겹눈과 2쌍의 더듬이, 5쌍의 다리가 있고 배에는 체절이 있고 5쌍의 헤엄다리가 있다. 앞의 큰다리는 집게다리로 되어 있고, 뒷걸음질을 잘 친다. Lobster is a freshwater crustacean belonging to the Decapoda lobster (Cambaridae), which is about 6.4 to 7.2 cm in length and about 2.9 to 3.2 cm in length except forehead horns. The body is covered with exoskeleton (crustacean). The back side is smooth and reddish brown. The calcareous or cartinous exoskeleton also protects the body and periodically peels off. The body is symmetrical and composed of many nodes, divided into three parts of head, chest and abdomen or two parts of head and abdomen. The head and chest are slightly flattened to the back and the abdomen is flat. The head has 1 pair of compound eyes, 2 pairs of antennae, 5 pairs of legs, a belly segment, and 5 pairs of swimming legs. The front big leg is made of tongs and is good at walking backward.

가재는 달팽이, 곤충의 유충, 벌레, 올챙이, 작은 동물의 사체, 물벼룩, 이끼, 수초, 지렁이, 개구리 등을 잡아먹으며 식물성 먹이보다는 동물성 먹이를 선호하고 주로 야행성으로 밤에 활동하여 먹이를 잡는다. 또한, 가재는 알에서 부화되어 어린 새끼가재와 중간가재를 거쳐서 성체가재가 될 때까지 대략 8 내지 10개월이 걸리는데, 체외 수정하여 난생을 하며 복부에 포란된 알의 알 껍질 안에서 노플리우스 (naupliuas), 조에아(zoea) 및 미시스(mysis) 등의 집게발로 어미의 배에 붙어 있다가 1주일 후에 어미를 떠나 물밑을 기어 다니며 성장하는 동안에 여러 번 탈피과정을 거친다. 또한 가재는 가을에 짝을 짓고 봄에 알을 낳아 번식하는데, 어미는 알에서 깨어난 새끼를 헤엄다리로 배에 안아서 보호하는 모성애를 보여주기도 한다. Lobsters eat snails, insect larvae, worms, tadpoles, carcasses of small animals, daphnia, moss, plants, earthworms, frogs, etc., preferring animal food to vegetable food, and are mostly nocturnal and active at night. In addition, it takes about 8 to 10 months for lobsters to hatch from eggs to adult lobsters through young and medium lobsters, which are fertilized in vitro and napliuas in egg shells of eggs nestled in the abdomen. ), Which is attached to the mother's belly with claws such as zoea and mysis, and leaves the mother one week later to crawl under water several times while growing. Lobsters also mate in the fall and lay eggs in the spring to breed, and the mother also shows maternal love to protect the babies awakened from their eggs with their legs.

알 → 새끼 가재 → 중간 가재 → 성체 가재  Egg → Crawfish → Medium Lobster → Adult Lobster

가재 서식처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가재의 서식환경 및 특성에 대해 정확히 분석해야 하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조성되고 복원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재의 특징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가재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하여 수환경복원시 상류지역으로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청정 수환경을 복원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환경의 복원이 이루어지게 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류계곡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생물들이 유입되고 이로 인하여 주거지 인접한 지역에서도 가재가 서식하는 계류를 조성할 수 있다.Cultivation of lobster habitats requires an accurate analysis of the lobster's habitat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which must be created and restored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lobsters first. Through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lobsters,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clean aquatic environment where lobsters can live upstream when restoring the aquatic environment. Invasion of living organisms can also create livestock in the sheltered neighborhoods.

구체적으로, 가재는 산골짜기의 계곡에서 떨어진 조그만 도랑에 물이 조금 흐르고 물이 고여 있는 곳의 돌밑이나 돌틈사이, 나뭇잎밑, 물속에 많이 서식하고 있어 그러한 환경을 좋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pecifically, lobsters have been reported to favor such environments because they are inhabited in small ditches away from valley valleys, and inhabited under rocks, between gaps, under leaves, and in water.

가재가 집단 서식하기에 알맞은 환경은 도랑의 폭이 1 m 정도이고 돌이 많으며 썩은 낙엽이 물에 많이 있고, 산골짜기의 표고는 200 내지 400 m 정도인 곳이다. 또한 수온은 손이 차가울 정도의 찬물인 5~20℃ 정도이고 물에는 부유물질과 낙엽의 부식물 등이 있으며 농약이 검출되지 않은 1급수의 물이 적당하다. 또한 가재의 서식을 위해서는 밑에 돌틈이 형성되는 큰돌 및 통나무 등이 있는 도랑이 조성되어야 한다. 큰돌은 갑작스런 유속 증가나 도랑에서 노는 아이들에 의해 쉽게 옮겨질 수 없는 크기여야 하고, 조약돌이나 자갈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야 한다. 또한, 하도의 중간이나 가장자리에 여울, 소 등이 위치하고 40 cm 정도의 직경을 갖는 돌틈이 있으며 모래나 진흙으로 돌틈이 막히지 않아야 한다. 이외에도 크고 작은 돌들에 의해 돌틈이 많이 형성되고, 하도에 쓰러진 통나무에 의해 구멍이 생겨있으면 더 좋다. Suitable for crayfish populations, the ditch is about 1 m wide, rich in stone, many decayed leaves, and the valley has an altitude of 200 to 400 m. In addition, the water temperature is about 5 ~ 20 ℃, which is cold enough to cool your hands, and the water contains floating substances and deciduous corrosives. In addition, for habitation of lobsters, ditches with large stones and logs are formed. Big stones should be of a size that cannot be easily moved by sudden flow increases or children playing in the ditch and should be surrounded by pebbles or gravel. Also, in the middle or at the edge of the channel, there are rocks, cows, etc., and there is a stone gap with a diameter of about 40 cm.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stone gaps are formed by small and large stones, and it is better if holes are formed by logs that have fallen on the roadway.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50)를 위한 본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은 다수의 단계들로 구분되며, 아래에서 각각의 진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forming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for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eps, and each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먼저 처음의 지반방수단계에서는, 경사와 굴곡이 구비되고 가재의 서식을 위한 다수의 서식지틈새를 포함하는 상태로 가재서식처를 위한 구역의 지반을 다지고 방수가 가능하도록 형성하게 된다.In the first ground waterproofing step, the slopes and bends are provided, and the ground for the crayfish habitat is formed to be waterproof and include a plurality of habitat gaps for lobster habitat.

이를 위해서는 먼저, 본 지반방수단계를 통해 다져지는 지반의 두께 이상으로 더 깊게 파낸 다음, 좋지 않는 바위나 자갈, 돌맹이 기타 잡석 등을 골라낸 후 이를 단단하게 굳혀 지반(501)을 다지게 된다(P552).To this end, first, dug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round to be ground through the ground waterproofing step, then pick out bad rock, gravel, boulder, and other rubble, and then harden it to solidify the ground (501) (P552).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50)에는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서식처구역(520)에, 비교적 평평한 지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지)(510')가 형성된 경사지구역(510)을 포함하고 있다.As mentioned above, in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habitat area 520 formed as a whole, the inclined area 510 formed with a slope 510 'inclined with respect to a relatively flat surface. It includes.

이러한 경사지구역(51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바닥면을 이루는 서식처구역(520)을 완성한 다음에 형성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본 지반방수단계에서 경사지구역(510)을 포함하여 가재서식처(50)를 구축하는 예를 보인다. The slope area 510 may be formed after completing the habitat area 520 forming a flat bottom as a whole,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ayfish habitat 50 is constructed by including the slope area 510 in the ground waterproofing step. See an example.

본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50)은 약 5 ~ 20 도 내외의 경사(지)(510')를 갖는 경사지구역(510)을 포함하고, 최소 5m 정도 이상 이되, 0.3 ~ 2 m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하며, 본 경사지구역(510)의 경사지(510')는 평평한 지반으로부터 5~20도 내외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2~3 m 이내에 물넘이를 하나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50 includes a slope area 510 having a slope (510 ') of about 5 to 20 degrees, at least 5m or more, 0.3 ~ 2 m wide It is formed to have, the slope 510 ′ of the slope area 51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about 5 to 20 degrees from the flat groun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t least one water fall within 2 to 3 m.

본 실시예서는 본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50)가 약 7도 정도의 경사로 2m 정도의 물넘이가 포함되도록 하고, 1m 정도의 폭을 갖는 10m 길이의 가재서식처(50)를 구축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50) is about 7 degrees inclined to include about 2m of water, and the center of the 10m long crayfish habitat 50 having a width of about 1m description do.

이렇게 지반(501)이 다져지고 나면 다져진 지반(501) 상부에 두세겹 정도로 부직포(502')를 깔아 부직포층(502)을 형성한다(P554).After the ground 501 is compacted, the nonwoven fabric 502 'is formed on the ground ground 501 to form a nonwoven fabric layer 502 (P554).

본 발명에서는 자연복원적인 가재서식처(50)의 효율적 조성을 위한 지반 하부의 방수하기 위해서, 친환경 골재인 황토, 점토 또는 석분에 강회의 비율을 조절하여 방수 및 화확적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waterproof the bottom of the ground for the efficient composition of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50), by adjusting the ratio of lime to earth-friendly aggregate, clay, or stone dust, the waterproof and chemical changes were investigated. Same as

< 표 > 강회함량에 따른 방수효율 및 화학적 성질 변화표<Table> Changes in Waterproofing Efficiency and Chemical Properties According to Steel Content

강회함량(%)Reduction Content (%) Ph변화Ph change 방수여부Waterproof 비고Remarks 0~50-5 변화없음No change 소규모 누수Small leaks 환경변화에 강함(유동성 있음)Strong against environmental changes (with liquidity) 5~105-10 미미한 변화A slight change 방수Waterproof 환경변화에 강함Strong in environment change 10~2010-20 알카리성증가Alkaline increase 방수Waterproof 환경변화시 일부 균열Partial Crack in Environmental Change 20~3020-30 알카리성증가Alkaline increase 방수Waterproof 환경변화에 약함(충격에 깨짐)Weak in environment change (break in shock)

본 조사에 따르면, 황토, 점토, 석분의 경우 물과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독성을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강회의 경우 방수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함유율이 적을 경우 방수효율이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며, 함유율이 높을 경우 알카리의 증가와 방수층이 유동성이 떨어져 환경변화에 의해 깨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 방수를 위하여 황토, 점토 및 석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과 강회를 중량비 20% 이내로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survey, ocher, clay, and stone powder do not react chemically with water and produce no toxicity. In the case of the lecture, it is confirmed that the waterproofing efficiency decreases when the content rate is low 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waterproofing efficiency, and when the content rate is high, the increase of alkali and the waterproofing layer are broken due to the environmental change due to the lack of fluidity.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waterproof, it is preferable to mix the at least one selected from ocher, clay, and stone powder with lime within 20% by weight.

이러한 조사에 근거하여 본 부직포층(502)의 상부에는 진흙, 황토, 점토, 석분 등과 같은 자연토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20~50 cm 정도의 두께로 방수층(503)을 형성한다. 또한 이외에도 본 방수층(503)은 앞서 언급한 진흙, 황토, 점토, 석분 등과 같은 자연토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강회를 20중량% 이내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차후 강회가 굳는 것을 고려 더욱 견고한 상태로 조성하는 것도 가능하다.(P556).Based on the irradiation, at least one of natural soils such as mud, loess, clay, and stone powder is selec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layer 502 to form a waterproof layer 503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to 50 cm. In addition to this, the waterproof layer 503 may be mixed with any one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natural soils such as mud, loess, clay, and stone powder at a ratio of less than 20% by weight to further solidify the steel. It is also possible to formulate (P556).

다음으로 위에서 형성한 방수층(503) 상부에 황토로 복토한 후 잔골재를 일정한 두께 예컨대 10 ~ 30 cm 정도 내외로 덮어 방수상층(504)을 형성함으로써 지반방수단계를 완성하게 된다(P558).Next, after covering the top of the waterproof layer 503 formed with ocher, the ground aggregate is covered by covering the fine aggreg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example, about 10 to 30 cm, to form a waterproof upper layer 504 (P558).

이렇게 지반방수단계를 통해 가재서식처(50)의 지반을 방수가 가능한 상태로 조성한 후에는, 방수된 가재서식처(50) 지역의 상부로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다수의 서식처틈새나 공극을 포함하여 지반을 형성하는 서식처지반 형성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After the ground of the crayfish habitat 50 is formed to be waterproof through the ground waterproofing step, the ground including a plurality of habitat gaps or voids in which the crayfish can inhabit the upper part of the waterproofed crayfish habitat 50 area. The habitat site forming step of forming a.

본 발명에서는 자연복원적인 가재서식처(50)의 효율적 조성을 위한 서식처지반의 형성을 위해서, 하상재료의 주요 골재 구성에 따른 가재의 생존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vival rate of the crawfish according to the main aggregate composition of the bed material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form the habitat ground for the efficient composition of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50, the results are as follows.

< 표 > 하상재료의 구성비에 따른 가재의 생존율<Table> Survival rate of crayfish according to composition of bed materials

구분division 구성비Composition ratio 비고Remarks 큰돌Big stone 100~ 90100 ~ 90 90~ 8090 ~ 80 80~ 7080- 70 70~ 6070 ~ 60 60~ 5060 ~ 50 50~ 4050-40 40~ 3040 ~ 30 30~ 2030 ~ 20 20~ 1020 ~ 10 10~ 010 ~ 0 기타Etc 0~ 100 ~ 10 10~ 2010-20 20~ 3020 ~ 30 30~ 4030-40 40~ 5040-50 50~ 6050 ~ 60 60~ 7060 ~ 70 70~ 8070 ~ 80 80~ 9080 ~ 90 90~ 10090-100 생존율Survival rate 5050 7070 7070 8080 8080 9090 8080 8080 100100 9090

구분division 구성비Composition ratio 비고Remarks 자갈Pebble 100~ 90100 ~ 90 90~ 8090 ~ 80 80~ 7080- 70 70~ 6070 ~ 60 60~ 5060 ~ 50 50~ 4050-40 40~ 3040 ~ 30 30~ 2030 ~ 20 20~ 1020 ~ 10 10~ 010 ~ 0 기타Etc 0~ 100 ~ 10 10~ 2010-20 20~ 3020 ~ 30 30~ 4030-40 40~ 5040-50 50~ 6050 ~ 60 60~ 7060 ~ 70 70~ 8070 ~ 80 80~ 9080 ~ 90 90~ 10090-100 생존율Survival rate 6060 8080 9090 8080 9090 8080 100100 8080 9090 9090

구분division 구성비Composition ratio 비고Remarks 모래sand 100~ 90100 ~ 90 90~ 8090 ~ 80 80~ 7080- 70 70~ 6070 ~ 60 60~ 5060 ~ 50 50~ 4050-40 40~ 3040 ~ 30 30~ 2030 ~ 20 20~ 1020 ~ 10 10~ 010 ~ 0 기타Etc 0~ 100 ~ 10 10~ 2010-20 20~ 3020 ~ 30 30~ 4030-40 40~ 5040-50 50~ 6050 ~ 60 60~ 7060 ~ 70 70~ 8070 ~ 80 80~ 9080 ~ 90 90~ 10090-100 생존율Survival rate 8080 8080 9090 9090 100100 100100 9090 8080 8080 9090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본 서식처지반 형성단계를 진행함에 있어, 선택할 하상재료로는 큰돌, 자갈, 모래 및 통나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생육환경조성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통나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large stones, gravel, sand, and logs as the bedding material to be selected, and to further include logs for various growth environments.

따라서 여기서의 하상재료로는 직경 300 ~ 600 mm 내외의 큰돌과, 직경 5 ~ 100 mm 내외의 자갈과, 직경 5 mm 이하의 모래와, 직경 10 ~ 30 cm 범위의 통나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d use the gravel material of about 300 to 600 mm in diameter, gravel of about 5 to 100 mm in diameter, sand of 5 mm or less in diameter, and logs of 10 to 30 cm in diameter. .

본 서식처지반 형성단계에서는 앞서의 하상재료들을 이용하여 지반을 형성하되,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틈새나 공극이 다수 형성되도록 배치시키게 된다(P560).In the habitat formation site forming step, the ground is formed using the above-described bed materials, and is disposed so as to form a large number of habitat gaps or voids that can be inhabited by the crayfish (P560).

이러한 서식처틈새는 서식하는 가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겠지만, 본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50)의 조성시에 형성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며, 조성과정에서 외형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모래나 자갈 보다는 큰돌과 통나무에 의해 형성되도록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habitat gap may be formed by the crayfish inhabiting, but it is important to form at the time of the creation of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50, the appearance of the formation process in large stones and logs rather than sand or gravel It is preferable to form so that it may form.

본 실시예에서 큰돌은 사용 또는 적층 시, 10 ~ 50 cm 범위의 서식처틈새(공극) 1개 이상 그리고 다양하고 오밀조밀한 크기의 각종 틈새가 1 ㎡ 범위 이내에 높이 5cm이하 폭 40cm 이하의 크기로 다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5개 이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통나무에는 직경 5mm 이상의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도록 하되 비교적 다수 형성시키며, 이러한 통나무도 다수개 사용하는 것이 좋다. In this embodiment, the large stone has a plurality of sizes of at least one habitation gap (pore) in the range of 10 to 50 cm and various densities of various densities in a range of 5 cm or less in height and 40 cm or less in a range of 1 m 2 when used or stacked. In this embodiment, five or more are preferable. And the log to be included at least one or more holes 5mm in diameter or more, and to form a relatively large number, it is good to use a plurality of such logs.

이러한 하상재료를 저면에 대부분 모래를 깔고 그 상부에 큰돌과 자갈, 그리고 통나무가 서로 조화되도록 흩어지는 형태로 배열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큰돌과 통나무는 모래나 자갈에 일부가 묻히도록 구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good to arrange most of these bed materials in the form of sand, and arrange them in the form of large stones, gravel, and logs scattered to harmonize with each other. It is also desirable to build large stones and logs so that some are buried in sand or gravel.

이렇게 하여 서식처지반이 형성된 다음에는, 서식처지반 형성단계에서 형성한 서식처지반의 수로변으로 가재의 서식에 이로운 수목을 식재하는 수목서식구역 조성단계를 진행하게 된다(P562).In this way, after the habitation ground is formed, a tree habitat area is formed to plant trees that are beneficial for crayfish to the waterway side of the habitat ground formed at the habitat formation stage (P562).

이 단계에서 식재하는 수목은 그늘을 형성하고 수온을 낮추며 낙엽으로 져서 먹이원을 공급하고 다양한 수환경을 제공하게 된다.Trees planted at this stage will shade, lower the water temperature and fall into fallen leaves to provide food sources and provide a variety of aquatic environments.

이때 식재하는 수목으로서는 교목성 수종으로 가재의 서식에 좋은 가래나무와 졸참나무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그 하층으로 관목성 수종인 갯버들, 쉬땅나무, 신나무 및 고추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나무의 식재시 온도의 저감 및 먹이원 공급을 위하여 식재로 인하여 그늘이 40~80%정도 형성되도록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rees to be planted include at least one of sputum and prunus oak, which are arboreal species, which are good for lobsters, and include at least one of shrubs such as pussy willow, bark tree, new tree, and red pepper tree. It is preferable to plant the trees so that the shade is formed by 40 to 80% due to the planting in order to reduce the temperature and supply the food source.

이렇게 서식처지반이 형성되고 주변으로 수목의 식재가 완료된 후에는, 가재서식처(50)의 상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하류에 가재서식용 용수를 준비하기 위한 용수조를 형성하는 용수조 조성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After the habitation ground is formed and the planting of the trees is completed, the water tank formation step of forming the water tank for preparing the crayfish water in the downstream to supply the water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50 is carried out. Done.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의 하류에 형성되는 용수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bath formed downstream of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용수조(540')는 조성하고자 하는 가재서식처(50)의 운용을 위한 용수 공급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가재서식처(50)의 규모에 적합한 크기이되, 부유물이나 이물질 등을 걸러 목적에도 부합되도록 본 가재서식처(50)의 하류방향에 부유물을 제거하고 수온을 낮출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ater tank 540 ′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iz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crayfish habitat 50 so that there is no problem in supplying water for the operation of the crayfish habitat 50 to be formed, but also meets the purpose of filtering suspended matter or foreign matter.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unction having the function to remove the suspended matter and lower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crayfish habitat 50 as possible.

또한 기초 콘크리트 타설시 결합재에 고령토, 폐유리 재생분말 또는 메타카올린 등을 혼합하여 강도의 향상과 콘크리트의 독성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mprove the strength and reduce the toxicity of concrete by mixing kaolin, waste glass regenerated powder or metakaolin with the binder when the foundation concrete is poured.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조성한 가재서식처(50)의 크기를 고려하여 1.2m의 직경을 갖되 약 3.6 m의 깊이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rayfish habitat 50 prepared above, a case having a diameter of 1.2 m but a depth of about 3.6 m is taken as an exampl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수조(540')를 형성하기 위해, 조성될 가재서식처(50)의 하류에 직경 2m, 깊이 4 m로 우물 정도의 공간을 굴착해 낸다(P564).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form the water tank 540 ′ of the present embodiment, a well about 2 m in diameter and 4 m in depth is excavated down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50 to be formed (P564).

다음으로 조성할 용수조(540') 공간의 최하부에는 기초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견고하게 용수조지반(541)을 형성한다(P566). 이때 기초 콘크리트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고로슬래그, 맥반석, 소성황토, 소석회를 모두 포함하고 고령토, 메타카올린 및 폐유리 재생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 혼합한 조성물로 제조함으로써 기존 시멘트의 높은 pH로 인한 패해가 없도록 중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Next,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540 'space to be formed, the foundation concrete is poured to form a water tank ground 541 (P566). At this time, the basic concrete is composed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blast furnace slag, ganban stone, calcined ocher, calcined lime, and made of a composi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kaolin, metakaolin, and waste glass regenerated powder is additionally mixed. It is important to neutralize to avoid damage.

이 후 용수조(540')의 기저부로부터 높이 약 2m 정도, 용수조(540')의 직경 1.2m 정도에 맞게 자갈이나 돌멩이, 흙 등에 의해 용수조(540') 측면 하부를 메우고 측벽을 매끄럽게 마감 처리한 다음, 한냉사를 덧댄 후 용수조 하부측벽(542)을 형성한다.Thereafter, the bottom of the side of the water tank 540 'is filled with gravel, stones, soil, etc. to fit about 2 m in height from the base of the water tank 540' and about 1.2 m in diameter. After the treatment, the cold water is padded to form a water bath lower side wall 542.

형성한 하부측벽(542)의 상부로는 가재서식처(50)의 지반 형성과 어느 정도 연장선상의 과정으로서, 앞서의 용수조(540') 측면 하부의 상부에 장섬유 부직포를 깐 다음 약 1m 정도 높이로 왕사를 채운 후 그 상부의 측벽을 마감 처리하며, 다시 역시 한냉사를 덧댄 후 용수조 상부측벽(543)을 형성한다(P568).The upper part of the formed lower side wall 542 is a process of forming the ground of the crayfish habitat 50 and extending to a certain extent, and then covering the long fiber nonwoven fabric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540 'and then about 1 m high. After filling the royal royal furnace and finishing the side wall of the upper, and again to add a cold yarn to form a water tank upper side wall 543 (P568).

이 후 이 용수조 상부측벽(543)의 상부는 앞서 살펴본 서식처지반과 같은 형태로 조성하되, 용수조(540')의 직경 정도 구역이 개방되도록 형성한다.Thereafter,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ide wall 543 of the bath is formed in the same form as the habitat ground described above, but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area of the bath 540 'is opened.

본 실시예에서 조성하고자 하는 용수조(540')의 직경에 맞게, 실제 용수조(540')가 형성되는 중앙부위 약 1.2m에는 용수조(540')를 위한 기초콘크리트(544)를 타설한다(P570).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of the water tank 540 'to be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undation concrete 544 for the water tank 540' is poured at about 1.2 m in the center where the actual water tank 540 'is formed. (P570).

이렇게 어느 정도 용수조(540')의 형태를 갖추었으면, 다시 콘크리트 블록 등을 이용하여 용수조(540')의 내부에 용수조 내벽(545)을 형성한다. 이러한 용수조 내벽(545)은 벽돌이나 바위 등으로 쌓거나 미장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P572).When the water tank 540 'is formed to some extent, the water tank inner wall 545 is formed inside the water tank 540' by using concrete blocks or the like again. The water tank inner wall 545 may be formed by stacking or plastering with brick or rock (P572).

다시 본 용수조(540')에 비축된 용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재서식처(50)의 상류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용수조(540') 내측 하부에 용수공급시설로서 용수펌프(540m)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재서식처(50)의 상류까지 유도되도록 본 용수펌프(540m)에는 용수관(540p)을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P574).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540 'is supplied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this end, a water pump 540m is installed as a water supply facility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540 '. Then, the water pump 540m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540p so as to be introduced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50 (P574).

그리고 본 용수조(540')의 상부 개구부에는 용수조(540')로 인입되는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이나 이물질 등을 걸러 낼 수 있도록 거름망체(540f)나 필터장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이머를 장착시켜 제어함으로써 유량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도록 운영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용수조(540')와 가까이 가재서식처(50) 주변에 용수펌프(540m)의 작동을 조정하기 위한 펌프제어기(540c)를 설치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용수조(540') 조성을 완성하게 된다(P576).In addition,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tank 54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filtering net 540f or a filter device to filter out suspended matter o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drawn into the water tank 540', and a timer. It is good to operate to ensure the flow rate continuously by controlling it. In addition, by installing a pump controller 540c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540m around the crayfish habitat 50 near the water tank 540 ', the composition of the water tank 5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leted. (P576).

본 용수조(540')는 가재가 살기에 좋은 5 ~ 15℃ 내외의 맑은 저온의 용수를 확보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is water tank (540 ') is to provide a clear low-temperature water of about 5 ~ 15 ℃ good to live crawfish.

일반적으로 깊이 2m 이내의 경우에는 수온의 저감효과가 낮고, 4m 이상으로 깊어질 경우 온도저감 효과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어, 용수조(540')는 자연적인 상태에서 수온 저감효과가 좋은 약 3 ~ 4 m의 범위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when the depth is less than 2m, the effect of reducing the water temperature is low, and when it is deeper than 4m, it is confirmed that the efficiency of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s inferior, and the water tank 540 'has a good water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n a natural state. It is preferable to form in the range of about 3-4 m.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수조(540')를 우물과 같이 둥근 형태로 만들고 있지만 이것은 하나의 예시로서 사각이나 육각 등 그 단면 형태의 모양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tank 540 'is made to have a round shape, such as a well, but this can be variously form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square or hexagon as one example.

아울러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장치나 시스템 이외에 사용자나 관리자의 편리를 위한 각종 시설들을 설치하고 각각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설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ll and control various faciliti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or administrato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evice or system.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se various implementation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에 대한 평면 형태의 도면.1 is a plan view of the natural restoration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의 조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composition process of Figure 1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도 3은 도 1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의 A-A'에서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도 4는 도 1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에서의 지반조성에 대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ound composition in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의 하류에 형성되는 용수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bath formed downstream of the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가재서식처(가재서식처 조성구조)50: Crayfish Habitat (Shrimp Habitat Creation Structure)

501 : 지반 501: Ground

502 : 부직포층 502' : 부직포502: nonwoven fabric layer 502 ': nonwoven fabric

503 : 방수층503: waterproof layer

503 : 방수상층503: waterproof upper layer

510 : 경사지구역 510' : 경사지510: slope area 510 ': slope

520 : 서식처구역520: Habitat Area

530 : 수목서식구역530: tree habitat

540 : 용수조성구역 540' : 용수조540: water formation zone 540 ': water tank

540c : 펌프제어기 540f : 거름망체540c: Pump controller 540f: Filter network

540m : 용수펌프 540p : 용수관540m: Water Pump 540p: Water Pipe

541 : 용수조지반 542 : 용수조 하부측벽541: water tank ground 542: water tank lower side wall

543 : 용수조 상부측벽 544 : 기초콘크리트543: water tank upper side wall 544: foundation concrete

545 : 용수조 내벽545: inner wall of the bath

Claims (24)

가재의 서식을 위한 가재서식처의 조성에 있어서,In the creation of crayfish habitats for crayfish habitats, (1) 경사와 굴곡이 구비되고, 상기 가재의 서식을 위한 다수의 서식지틈새를 포함하는 상태로, 조성할 가재서식처 구조에 따라 상기 가재서식처를 위한 구역의 지반을 다지고 방수가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지반방수단계와;(1) a ground provided with slopes and bends, and having a plurality of habitat gaps for habitation of the crawfish, in which the ground for the crayfish habitat is compacted and waterproof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rayfish habitat; A waterproofing step; (2) 상기 지반방수단계를 통해 방수된 상기 가재서식처 지역의 상부로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다수의 서식처틈새를 포함하여 지반을 형성하는 서식처지반 형성단계와;(2) a habitat ground formation step of forming a ground including a plurality of habitat gaps in which lobsters can inhabit the upper part of the crayfish habitat area waterproofed through the ground waterproofing step; (3) 상기 단계에서 형성한 서식처지반의 수로변으로 상기 가재의 서식에 이로운 수목을 식재하는 수목서식구역 조성단계와;(3) forming a tree habitat zone for planting trees beneficial to the habitat of the crawfish by the waterway side of the habitat ground formed in the step; (4) 상기 각 단계들을 통해 형성한 상기 가재서식처의 상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가재서식처의 하류에 가재서식용 용수의 구비를 위한 용수조를 형성하는 용수조 조성단계를;(4) a water tank forming step of forming a water tank for provision of lobster water in a down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for supplying water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formed through each of the steps;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Natural restoration type crayfish habitat creation method comprising th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목서식구역 조성단계와 상기 용수조 조성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ee planting zone forming step and the water tank forming step 상기 가재서식처를 용이하게 조성하기 위해, 상기 두단계 중 어느 한 단계가 먼저 실행되고 이후 다른 한 단계가 실행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In order to easily create the crayfish habitat, any one of the two steps is carried out first, and then another step is possible to form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반방수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ound waterproofing step (11) 상기 지반방수단계를 통해 다져지는 지반의 두께 이상으로 더 깊게 파낸 후 다지는 단계와;(11) digging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round to be ground through the ground waterproofing step and then chopping; (12) 상기 다진 지반의 상부에 부직포를 깔아 부직포층을 형성하는 단계와;(12) forming a nonwoven layer by spreading a nonwoven on top of the ground; (13) 상기 형성한 부직포층 상부에 자연토재를 일정 두께로 깔고 방수가 되도록 단단하게 굳혀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와;(13) forming a waterproof layer by hardening the natural earth material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formed nonwoven fabric layer to be waterproof; (14) 상기 형성한 방수층 상부에 황토로 복토하고 잔골재를 일정 두께로 덮어 방수상층을 형성하는 단계를;(14) forming a waterproof upper layer by covering the top of the formed waterproof layer with ocher and covering the fine aggreg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Natural restoration type crayfish habitat creation method comprising th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연토재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natural earth 진흙, 황토, 점토 및 석분의 어느 하나 이상을 재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A method for forming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s any one or more of mud, loess, clay and stone powd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연토재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natural earth 진흙, 황토, 점토 및 석분의 어느 하나 이상에 강회를 20중량% 이내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A method for forming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 of mud, loess, clay, and stone powder mixed with lime at a ratio within 20% by weigh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반방수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ound waterproofing step 5 ~ 20 도 내외의 경사를 갖는 경사지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지구역의 길이는 최소 5m 정도 이상 이되, 0.3 ~ 2 m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And a slope area having an inclination of about 5 to 20 degrees, wherein the length of the slope area is at least about 5 m or more, and has a width of about 0.3 to 2 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식처지반 형성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bitat formation step 하상재료로 직경 300 ~ 600 mm 내외의 큰돌과, 직경 5 ~ 100 mm 내외의 자갈과, 직경 5 mm 이하의 모래와, 직경 10 ~ 30 cm 범위의 통나무를 사용하여, 상기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틈새를 다수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As a bed bed material, a large stone of 300 to 600 mm in diameter, gravel of 5 to 100 mm in diameter, sand of 5 mm or less in diameter, and logs of 10 to 30 cm in diameter can be used. Natural restoration type crayfish habitat cre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large number of habitat gap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식처지반 형성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or claim 7, wherein the habitat forming step 큰돌에 의해 10 ~ 50 cm 범위의 서식처틈새 1개 이상 그리고 1 ㎡ 범위 이내에 높이 5cm이하 폭 40cm 이하의 서식처틈새 5개 이상 형성되도록 하고, 직경 5mm 이상의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도록 형성한 통나무를 다수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At least one habitation gap in the range of 10 to 50 cm and at least 5 habitation gaps of 5 cm or less in height and 40 cm or less in width within the range of 1 to 2 cm by large stones, and a plurality of logs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hole having a diameter of 5 mm or more. Method of creating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haracterized in that the dog is u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목서식구역 조성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nting zone creation step 식재하는 수목으로서 교목성 수종으로는 가재의 서식에 좋은 가래나무와 졸참나무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그 하층으로 관목성 수종인 갯버들, 쉬땅나무, 신나무 및 고추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목성 수종을 각각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As a planting tree, arborescent species include at least one of sputum and prunus oak, which are good for lobsters, and at the bottom of which include at least one of shrub species such as willow, barberry, cypress, and red pepper. A method for forming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haracterized by planting shrub species respectivel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수조 조성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th composition step (41) 상기 가재서식처의 하류에 상기 조성하고자 하는 용수조의 크기에 맞추어 지면 하부 방향으로 파내어 공간을 굴착하는 단계와;(41) digging a space in a downward direction to the 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water bath to be formed down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42) 상기 단계에서 형성한 용수조 공간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용수조지반을 형성하는 단계와;(42) forming a concrete basin by pouring the foundation concrete in the lower part of the bath space formed in the step; (43) 상기 형성한 용수조지반의 상부는 그 측벽을 메우고 마감처리하여 용수조측벽을 형성하는 단계와;(43) forming a water tank side wall by filling an upper sidewall of the water bath ground and finishing the formed water bath; (44) 상기 용수조측벽 안쪽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용수조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용수조내벽을 형성하는 단계와;(44) forming a water tank inner wall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to be formed into the water tank side wall opened; (45) 상기 용수조내벽 내측 하부에 상기 가재서식처의 상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용수펌프를 설치하며, 상기 가재서식처의 상류까지 유도되도록 상기 용수펌프로부터 용수관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와;(45) installing a water pump to supply water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in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water tank, and connecting and installing a water pipe from the water pump to be led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46) 상기 용수조 상부 개구부에 상기 용수조로 인입되는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거름망체를 형성하는 단계를;(46) forming a filtering mesh in the upper opening of the bath so as to filter out suspended matter o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bath;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Natural restoration type crayfish habitat creation method comprising th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base concrete 고로슬래그 시멘트, 고로슬래그, 맥반석, 소성황토 및 소석회를 모두 포함하고 고령토, 메타카올린 및 폐유리 재생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 혼합한 조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방법.Composition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blast furnace slag, ganban stone, calcined ocher and calcined lime and formed of a composition material additionally mixed with at least one of kaolin, metakaolin and waste glass regeneration powder Way. 가재의 서식을 위한 가재서식처의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of the crayfish habitat for the crayfish 상기 가재의 서식을 위한 산소원의 공급을 풍족하게 하기 위해 평평한 지면에 비해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지구역과;An inclined area having an angle with respect to a flat surface to enrich the supply of an oxygen source for the habitat of the crawfish; 상기 경사지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재서식처 조성하기 위한 구역의 방수가 가능하도록 다져진 지반 상에 상기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다수의 서식처틈새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서식처구역과;A habitat area including the inclined area and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habitat gaps in which the crawfish can be inhabited on a ground compacted to enable waterproofing of the area for forming the crayfish habitat; 상기 서식처구역의 수로변으로 상기 가재의 서식에 이로운 수목을 식재하여 형성한 수목서식구역과;A tree habitat zone formed by planting trees beneficial to the habitat of the crayfish by the waterway side of the habitat zone; 상기 서식처구역의 상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가재서식처의 하류에 가재의 서식을 위해 공급할 용수의 구비를 위한 용수조를 형성하는 용수조성구역을;A water composition zone for forming a water tank for the provision of water to be supplied for habitation of crawfish down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for supplying water upstream of the habitat area;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구역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lope area 평평한 지반으로부터 5~20도 내외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2 ~ 3 m 크기의 물넘이를 하나 이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form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around 5 to 20 degrees from the flat ground, and at least one or more water drops of 2 to 3 m are installed.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식처구역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habitat area, 다져지는 지반의 두께 이상으로 더 깊게 파낸 후 다진 상부에 부직포를 깔아 형성한 부직포층과;A non-woven fabric layer formed by digging deep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round to be chopped and then spreading the non-woven fabric on the chopped top; 상기 부직포층 상부에 자연토재를 일정 두께로 깔고 방수가 되도록 단단하게 굳혀 형성한 방수층과;A waterproof layer formed on the nonwoven fabric layer by hardening the natural earth material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rdening it to be waterproof; 상기 방수층 상부에 황토로 복토하고 잔골재를 일정 두께로 덮어 형성한 방수상층을;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waterproof layer with ocher and covering the fine aggregat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waterproof upper layer;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자연토재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natural earth 진흙, 황토, 점토 및 석분의 어느 하나 이상을 재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comprising at least one of mud, loess, clay and stone powder.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자연토재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natural earth 진흙, 황토, 점토 및 석분의 어느 하나 이상에 강회를 20중량 % 이내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me is mixed in at least 20% by weight of at least one of mud, loess, clay and stone powde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식처구역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habitat area is 5 ~ 20 도 내외의 경사를 갖는 경사지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지구역의 길이는 최소 5m 정도 이상 이되, 0.3 ~ 2 m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And a slope area having an inclination of about 5 to 20 degrees, wherein the length of the slope area is at least about 5 m or more, and has a width of about 0.3 to 2 m.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서식처구역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habitat area is 하상재료로 직경 300 ~ 600 mm 내외의 큰돌과, 직경 5 ~ 100 mm 내외의 자갈과, 직경 5 mm 이하의 모래와, 직경 10 ~ 30 cm 범위의 통나무를 사용하여, 상기 가재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틈새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As a bed bed material, a large stone of 300 to 600 mm in diameter, gravel of 5 to 100 mm in diameter, sand of 5 mm or less in diameter, and logs of 10 to 30 cm in diameter can be used. A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rea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large number of habitat gaps.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서식처구역은The method of claim 13 or 19, wherein the habitat area is 큰돌에 의해 10 ~ 50 cm 범위의 서식처틈새 1개 이상 그리고 1 ㎡ 범위 이내에 높이 5cm이하 폭 40cm 이하의 서식처틈새 5개 이상 형성되고, 직경 5mm 이상의 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도록 형성된 통나무가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At least one habitation gap in the range of 10 to 50 cm and at least 5 habitation gaps of less than 5 cm in height and less than 40 cm in width within a range of 1 to 2 cm by large stones, and a plurality of logs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hole having a diameter of 5 mm or more. Natural restore type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목서식구역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ree planting zone 교목성 수종으로는 가재의 서식에 좋은 가래나무와 졸참나무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그 하층으로 관목성 수종인 갯버들, 쉬땅나무, 신나무 및 고추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목성 수종이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Arboreal species include at least one of sputum and prunus oak, which are good for lobsters, and a shrub species including at least one of shrub species such as willow, barberry, cypress, and red pepper. Natural restoring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ting. 삭제delet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용수조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bath 상기 가재서식처의 하류에 상기 조성하고자 하는 용수조의 크기에 맞추어 지면 하부 방향으로 파낸 용수조 공간의 하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한 용수조지반을 형성하고, 상기 용수조지반의 상부는 그 측벽을 메우고 마감처리하여 용수조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용수조측벽 안쪽으로 상기 용수조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용수조내벽을 형성하고, 상기 용수조내벽 내측 하부에 상기 가재서식처의 상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용수펌프를 설치하며, 상기 가재서식처의 상류까지 유도되도록 상기 용수펌프로부터 용수관을 연결 설치하고, 상기 용수조 상부 개구부에 상기 용수조로 인입되는 용수에 포함된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거름망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Down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forming a basin ground formed by pouring foundation concrete in the lower part of the bath space dug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of the ground to fit the size of the bath to be formed, and the upper part of the bath basin filling the side wall Finishing to form a water tank side wall, to form a water tank inner wall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inside the water tank side wall, the water pump for supplying water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inside the water tank inner wall And installing a water pipe from the water pump so as to be guided upstream of the crayfish habitat, and forming a sieve mesh to filter the suspended matter o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in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tank. Natural restored crayfish habitat composition structure.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는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foundation concrete 고로슬래그 시멘트, 고로슬래그, 맥반석, 소성황토 및 소석회를 모두 포함하고 고령토, 메타카올린 및 폐유리 재생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 혼합한 조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복원형 가재서식처 조성구조.Composition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blast furnace slag, ganban stone, calcined ocher and calcined lime and formed of a composition material additionally mixed with at least one of kaolin, metakaolin and waste glass regeneration powder rescue.
KR1020080095470A 2008-09-29 2008-09-29 Method and structure for building up crawfishes' habitat of spontaneous restoring type KR100884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470A KR100884810B1 (en) 2008-09-29 2008-09-29 Method and structure for building up crawfishes' habitat of spontaneous restoring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470A KR100884810B1 (en) 2008-09-29 2008-09-29 Method and structure for building up crawfishes' habitat of spontaneous restoring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810B1 true KR100884810B1 (en) 2009-02-20

Family

ID=4068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470A KR100884810B1 (en) 2008-09-29 2008-09-29 Method and structure for building up crawfishes' habitat of spontaneous restoring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8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68B1 (en) 2009-06-17 2010-01-27 주식회사 에코탑 Spontaneous restoring equipment for nannophya
CN105613372A (en) * 2015-12-24 2016-06-01 苏州市阳澄湖三家村蟹业有限公司 High-yield lobster breed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6708A (en) 1986-11-10 1988-04-12 Yoder Daniel C Portable habitat and havesting apparatus for stone crabs, lobster and crayfish
JPH11151040A (en) 1997-11-21 1999-06-08 Isao Ogata Production of imitation stone product with vegetation environment by recycling industrial waste
KR100204451B1 (en) 1997-02-20 1999-06-15 방욱 Working method for plantation embarkment protection block at river
KR100415528B1 (en) 2001-02-02 2004-01-31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Method of making the natural anti-erosion material for flow limit area and its produ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6708A (en) 1986-11-10 1988-04-12 Yoder Daniel C Portable habitat and havesting apparatus for stone crabs, lobster and crayfish
KR100204451B1 (en) 1997-02-20 1999-06-15 방욱 Working method for plantation embarkment protection block at river
JPH11151040A (en) 1997-11-21 1999-06-08 Isao Ogata Production of imitation stone product with vegetation environment by recycling industrial waste
KR100415528B1 (en) 2001-02-02 2004-01-31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Method of making the natural anti-erosion material for flow limit area and its produ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68B1 (en) 2009-06-17 2010-01-27 주식회사 에코탑 Spontaneous restoring equipment for nannophya
CN105613372A (en) * 2015-12-24 2016-06-01 苏州市阳澄湖三家村蟹业有限公司 High-yield lobster breed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77572B (en) Ecological and landscape combined urban river water body purification system
CN113557334A (en) Lake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KR101294897B1 (en) Attaching uneven groove seaweed having a trapezoidal-type artificial reefs and production methods
CN208533453U (en) A kind of gabion type landscape revetment conducive to urban water-body reparation
KR101343099B1 (en) Sea-cucumber habitat reef with multi-function
JP3907044B2 (en) Coastal wetland breeding method using natural degradable plant material and coastal wetland
JP2002102880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quatic livings
KR101015059B1 (en) Concrete wall type artificial reef
JP3654487B2 (en) Seaweed community creation method
CN114014444A (en) Construction method of high-ecological-elasticity small-micro wetland ecosystem
CN114262062A (en) Submerged plant purifies blanket and ecological remediation system under water
KR100884810B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building up crawfishes&#39; habitat of spontaneous restoring type
CN210459118U (en) Cascaded ecological bank protection dyke
KR101272219B1 (en) Underground reclamation style pool for fishing banks having application on riffle and spur
CN110178771A (en) A kind of Babylonia auto purification type spray breeding facility and cultural method
JP2007231543A (en) Creation method for artificial tideland, and artificial tideland
CN114590902A (en) Fish and grass symbiotic ecological fishing pond and fishery culture sewage treatment method
CN215836569U (en) Tree-shaped fish reef device with planting bed
JP2001198593A (en) Vegetation box and method for cleaning waterside using the vegetation box
JPH08322428A (en) Device for culturing firefly
JP2003210068A (en) System and method for successively rearing firefly
JP2002171850A (en) Circulating waterway
JP2006109782A (en) Fish bank and method for culturing abalone
JP3963430B2 (en) Marine wetland breeding method and coastal wetland
KR100608931B1 (en) Firefly resto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