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692B1 -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692B1
KR100884692B1 KR1020080103007A KR20080103007A KR100884692B1 KR 100884692 B1 KR100884692 B1 KR 100884692B1 KR 1020080103007 A KR1020080103007 A KR 1020080103007A KR 20080103007 A KR20080103007 A KR 20080103007A KR 100884692 B1 KR100884692 B1 KR 100884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ube
protrusions
tritium
upp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위철
Original Assignee
김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위철 filed Critical 김위철
Priority to KR102008010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의 연결호스와 정화통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상기 연결호스가 결합 가능하고, 내부가 관통되며, 하측 외주를 따라 복수 개의 돌기부들이 형성된 상부관; 및 일단과 타단에 각각 상기 상부관과 상기 정화통이 결합 가능하고, 내부가 관통되며, 상기 일단의 상면 내주에는 상기 돌기부들이 삽입 가능한 복수 개의 가이드홈들, 및 상기 가이드홈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홈들의 내측으로 삽입된 돌기부들의 일정방향 회전 이동시 상기 돌기부들이 걸림 체결되게 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판들을 형성한 하부관;을 포함하는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개시된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에 따르면, 연결호스 측의 상부관과 정화통 측의 하부관 간의 상호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호스와 정화통 사이를 간편하게 연결 및 해제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관과 하부관 사이에 고무패킹링을 부가하는 경우, 상호 간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정화통 외측에 형성되는 수분이 정화통 측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Connector for tritum self-protection respiratory}
본 발명은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삼중수소 제거를 위한 호흡기에서 연결호스와 정화통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는, 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실험실이나 원자력 발전소,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는 병원, 일반산업 현장 등의 공기중에 포함된 방사성 삼중수소를 제거하여 삼중수소의 체내피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에 관한 예로서, 본 출원과 동일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659783호가 있으며, 이외에도 보다 다양한 호흡기의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는, 도 1을 참조하면 크게 마스크(10), 연결호스(20), 정화통(30)으로 구성된다. 연결호스(20)는 마스크(10)와 정화통(30)을 사이를 연결하며, 정화통(30)은 공기 중의 삼중수소를 제거하여, 호흡시 마스크(10) 측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연결호스(20)와 정화통(30) 간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그 연결을 간단하고 손쉽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 재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의 연결호스와 정화통 사이를 간편하게 연결 및 해제 가능한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의 연결호스와 정화통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상기 연결호스가 결합 가능하고, 내부가 관통되며, 하측 외주를 따라 복수 개의 돌기부들이 형성된 상부관; 및 일단과 타단에 각각 상기 상부관과 상기 정화통이 결합 가능하고, 내부가 관통되며, 상기 일단의 상면 내주에는 상기 돌기부들이 삽입 가능한 복수 개의 가이드홈들, 및 상기 가이드홈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홈들의 내측으로 삽입된 돌기부들의 일정방향 회전 이동시 상기 돌기부들이 걸림 체결되게 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판들을 형성한 하부관;을 포함하는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관은, 상기 가이드판들의 각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들의 회전 이동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부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를 사용자의 착용물에 걸어서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관은, 상기 돌기부들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외주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하부관에 대한 상기 상부관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복수 개의 손잡이홈들을 형성한 손잡이부와, 상기 돌기부들과 상기 손잡이부들 사이에 해당되 는 상부관의 외주를 따라 설치되는 고무패킹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패킹링은, 상기 상부관의 체결시 상기 상부관의 손잡이부 하면과 상기 하부관의 상면 사이를 긴밀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에 따르면, 연결호스 측의 상부관과 정화통 측의 하부관 간의 상호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호스와 정화통 사이를 간편하게 연결 및 해제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관과 하부관 사이에 고무패킹링을 부가하는 경우, 상호 간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정화통 외측에 형성되는 수분이 정화통 측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화통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는, 마스크(10), 정화통(30), 연결호스(20)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은 이 연결호스(20)와 정화통(30) 사이를 간편하게 연결 또는 해제하기 위한 커넥터(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화통(30)은 삼중수소를 제거하여 연결호스(20)를 통해 마스크(10) 측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더 상세하게는, 마스크(10)를 착용한 작업자가 호흡하게 되면 삼중수소가 포함된 외부공기가 공기유입관(33)을 통해 유입되면서 걸림판(32)을 지나 정화통(30) 내부의 얼음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외부공기가 저온의 얼음과 접촉되면서 외부공기에 포함된 삼중수소가 냉각되고, 냉각된 삼중수소는 액화되면서 삼중수소가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삼중수소가 노출된 작업장에서 얼음이 내장된 정화통(30)에 의해 삼중수소가 여과된 신선한 공기를 마스크(10)를 통해 마실 수 있게 된다. 정화통(30) 내부의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물은 담수통(31)에 저장되며, 담수통(31)을 정화통(30)에서 분리하여 저장된 물을 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은 형태의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호스(20)와 정화통(30)을 구비한 일반적인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에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1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3은 상기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100)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도 3의 하부관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3의 상부관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100)는, 상부관(110)과 하부관(120)을 포함한다.
먼저, 도 3 및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관(110)은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일단에 상기 연결호스(20)가 결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호스(20)는 상기 상부관(110)의 상측 외주를 둘러싸도록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상부관(110)은 상기 하부관(120)과 결합되는 하측 외주를 따라 복 수 개의 돌기부들(11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관(120)은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상기 상부관(110)과 상기 정화통(30)이 결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정화통(30)은 상기 하부관(120)의 하측 내주에 형성된 나사선(127)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 방식이 반드시 상술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관(120)에서 그 일단의 상면(124) 내주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들(121)과 복수 개의 가이드판들(122), 걸림턱들(1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들(121)은 상기 상면(124) 내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돌기부들(111)이 삽입 가능한 부분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들(122)은 상기 가이드홈들(121)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홈들(121)의 내측으로 삽입된 돌기부들(111)의 일정방향 회전 이동시 상기 돌기부들(111)이 걸림 체결되게 한다. 상기 걸림턱들(123)은 상기 가이드판들(122)의 각 일측에 구비되되, 가이드판들(122)의 일측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들(111)의 회전 이동시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관(110)은 손잡이부(112)와 고무패킹링(114)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112)는 상기 상부관(110)에서 상기 돌기부들(11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외주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하부관(120)에 대한 상기 상부관(110)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복수 개의 손잡이홈들(113)을 형성한 부분이다. 즉, 상기 체결 및 분리시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이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링(114)은 상기 돌기부들(111)과 상기 손잡이부(112)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관(110)의 외주를 따라 설치된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고무패킹링(114)은, 상기 하부관(120)에 상기 상부관(110)의 체결시, 상기 상부관(110)의 손잡이부(112) 하면과 상기 하부관(120)의 상면(124) 사이를 긴밀히 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정화통(30) 내의 얼음의 냉각 작용으로 인해 정화통(30) 외부에 수분(물)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분이 다시 정화통(30) 내부로 들어가 역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화통(30) 내의 냉각 효율을 증가시키고 얼음의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상부관(110)과 하부관(120)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제조 가능한데, 이러한 경우, 제품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반복되는 체결 및 해제 사용에도 해당 결속 부분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100)는, 상기 하부관(12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100)를 사용자의 착용물(옷, 허리 밸트 등)에 걸어서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13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고리(130)의 설치예는 다음과 같다. 일측에 고리(131)가 달린 볼트(132)의 타측을, 상기 하부관(120)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구(126)를 통해 삽입시킨 다음, 하부관(120)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나온 볼트(132)의 타측 끝에 너트(133)를 체결하여 구성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고리(130)의 구성품인 볼트(132), 너트(133), 고리(131)는 모두 SUS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130)가 SUS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정화통(30)의 외벽을 타고 올라올 수 있는 수분의 침입에도 녹슬지 않으며, 잦은 착용 및 해제에도 내구성이 강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관(120)에서 상면(124)의 상측 표면에는, 상기 고무패킹링(114)과의 접촉 효율을 개선하고 밀폐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돌기라인들(125)이 일정 간격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상면(124)의 상측 표면에 3개의 돌기라인들(125)이 형성된 모습이다. 물론,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에 대응되어 상기 고무패킹링(114)의 하측 표면 또한, 각각의 돌기라인들(125)이 삽입되어 긴밀히 접촉되기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밀폐홈들(115)이 일정 간격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은 고무패킹링(114)의 표면에 3개의 밀폐홈들(115)이 형성된 모습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정화통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의 분해 정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하부관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3의 상부관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110: 상부관 111: 돌기부
112: 손잡이부 113: 손잡이홈
114: 고무패킹링 115: 밀폐홈
120: 하부관 121: 가이드홈
122: 가이드판 123: 걸림턱
124: 상면 125: 돌기라인
126: 관통구 127: 나사선
130: 연결고리 131: 고리
132: 볼트 133: 너트

Claims (4)

  1.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의 연결호스와 정화통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 상기 연결호스가 결합 가능하고, 내부가 관통되며, 하측 외주를 따라 복수 개의 돌기부들이 형성된 상부관; 및
    일단과 타단에 각각 상기 상부관과 상기 정화통이 결합 가능하고, 내부가 관통되며, 상기 일단의 상면 내주에는 상기 돌기부들이 삽입 가능한 복수 개의 가이드홈들, 및 상기 가이드홈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홈들의 내측으로 삽입된 돌기부들의 일정방향 회전 이동시 상기 돌기부들이 걸림 체결되게 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판들을 형성한 하부관;을 포함하는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은,
    상기 가이드판들의 각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들의 회전 이동시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형성한,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를 사용자의 착용물에 걸어서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하게 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는,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은,
    상기 돌기부들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외주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하부관에 대한 상기 상부관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복수 개의 손잡이홈들을 형성한 손잡이부와, 상기 돌기부들과 상기 손잡이부들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관의 외주를 따라 설치되는 고무패킹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패킹링은, 상기 상부관의 체결시 상기 상부관의 손잡이부 하면과 상기 하부관의 상면 사이를 긴밀히 하는,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KR1020080103007A 2008-10-21 2008-10-21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KR10088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007A KR100884692B1 (ko) 2008-10-21 2008-10-21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007A KR100884692B1 (ko) 2008-10-21 2008-10-21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692B1 true KR100884692B1 (ko) 2009-02-18

Family

ID=4068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007A KR100884692B1 (ko) 2008-10-21 2008-10-21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128Y1 (ko) * 2010-11-29 2013-06-04 한국원자력연구원 삼중수소용 얼음충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9091A1 (en) 1995-09-01 1997-03-13 Besha, Richard, G. Personal emergency breathing system for supplied air respirators
KR100659783B1 (ko) 2006-08-17 2006-12-20 김위철 삼중수소 방어용 호흡기
KR100838214B1 (ko) 2007-10-12 2008-06-13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삼중수소 제거용 호흡기의 정화통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9091A1 (en) 1995-09-01 1997-03-13 Besha, Richard, G. Personal emergency breathing system for supplied air respirators
KR100659783B1 (ko) 2006-08-17 2006-12-20 김위철 삼중수소 방어용 호흡기
KR100838214B1 (ko) 2007-10-12 2008-06-13 케이엔디티앤아이 주식회사 삼중수소 제거용 호흡기의 정화통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128Y1 (ko) * 2010-11-29 2013-06-04 한국원자력연구원 삼중수소용 얼음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0295C (en) Portable air-purifying system utilizing enclosed filters
RU2397705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подачи/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KR100375045B1 (ko) 재활용이용이한방독면정화통의제조및재활용방법
KR101076160B1 (ko) 정수기필터의 설치구조
US20050145249A1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that has a permanent or semi-permanent bayonet connection
KR20060136416A (ko)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 바이요넷 연결부를 갖는 개인용호흡기 보호장치
US20130097769A1 (en) Emergency filter system for encapsulated suit
KR102055155B1 (ko) 필터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샤워기 연결바
KR100884692B1 (ko) 삼중수소 방어 호흡기용 커넥터
KR101124463B1 (ko)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KR100838213B1 (ko) 삼중수소 제거용 호흡기의 정화통 구조
KR100838214B1 (ko) 삼중수소 제거용 호흡기의 정화통 구조
KR100659783B1 (ko) 삼중수소 방어용 호흡기
KR101542428B1 (ko) 반도체 공정에서의 잔류 셀레늄 포집장치
CN203763985U (zh) 一种y型过滤器
KR200442748Y1 (ko) 방진 마스크
CN102228732B (zh) 隔绝式正压氧气呼吸器用二氧化碳吸收装置
CN204816882U (zh) 供水系统用y型过滤器
KR101371187B1 (ko) 케미컬 흡입기
CA2546908A1 (en) High efficiency half face mask for tritium protection
KR200467128Y1 (ko) 삼중수소용 얼음충전장치
CN203483935U (zh) 一种采用小型通用圆柱形塑料滤壳的袋式过滤器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KR20090004242U (ko) 삼중 수소 차단용 호흡기
KR100981193B1 (ko) 필터를 구비한 공기호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