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420B1 -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420B1
KR100883420B1 KR1020070006808A KR20070006808A KR100883420B1 KR 100883420 B1 KR100883420 B1 KR 100883420B1 KR 1020070006808 A KR1020070006808 A KR 1020070006808A KR 20070006808 A KR20070006808 A KR 20070006808A KR 100883420 B1 KR100883420 B1 KR 100883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glio
cooking vessel
embossed
cooking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324A (ko
Inventor
손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쿡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쿡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쿡웨어
Priority to KR102007000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420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21D51/2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pots, e.g. for coo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11)이 평면이면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조리용기(10)의 바닥(11)을 선반에 의해 음각(a)을 형성하고, 바닥(11) 전면에 코팅(c)을 하며, 상대적으로 돌출된 양각(b) 부분을 다시 선반에 의해 가공하여 코팅된 음각부분과 가공된 양각부분이 형성되게 하여, 조리용기(10) 바닥의 음각 및 양각 형성 비용이 저렴하고, 가공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조리용기의 바닥구조이다.
음각, 양각, 바닥, 용기, 코팅, 선반가공

Description

조리용기의 바닥구조{Bottom structure of cooking receptacle}
도 1은 본 발명 조리용기의 가공 전 바닥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조리용기의 가공 전 바닥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조리용기의 1차 가공 후 바닥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리용기의 1차 가공 후 바닥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리용기의 2차 가공 후 바닥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조리용기의 2차 가공 후 바닥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리용기 11 : 바닥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기의 바닥을 선반으로 가공하는 것에 의해 음각과 양각을 형성하도록 하여 프레스 및 주물에 의한 음각 및 양각을 형성시키는 것에 비하여 원가가 저렴하도록 할 뿐 아니라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조리용기는 판재상태의 재료를 프레스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원판형의 바닥구조를 가지는 조리용기의 바닥에 음각과 양각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3000톤의 프레스에 장착되는 상,하 금형 중 내부 바닥의 부위는 평면으로 형성하고, 외부 바닥의 부위는 양각으로 형성하여 압착시켜 조리용기의 바닥에 음각과 양각을 형성시켜 주었다.
그러나 상기의 프레스에 의한 음각과 양각을 형성시켜 주기 위하여 고가의 금형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 되고, 또한 3000톤의 프레스에 의하여 음각과 양각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서 판재상태의 재료를 프레스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원판형의 바닥구조를 가지는 바닥에 음각과 양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프레스에 장착되는 상하 금형 중 일측의 금형에는 양각을 타측의 금형에는 음각을 형성하여 압착시켜 조리용기의 내부바닥과 외부바닥 전체에 음각과 양각이 모두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조리용기의 바닥에 음각과 양각을 형성시키면 음식이 조리되는 내부바닥에도 음각과 양각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식을 조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재상태의 재료를 프레스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원판형의 바닥구조를 가지는 바닥 전면에 코팅을 한 후에 선반가공에 의해 양각 음각을 형성시켰으나, 이는 바닥 전면에 양각 음각을 형성시키기 위해 선반에 의해 가공되는 부위가 음각부분이 되어야 함으로써 양각 부분에는 코팅이 그대로 형성되어 음식 조리시 조리용기의 바닥이 가스렌지나 주방용품 등의 날카로운 부분에 접촉되어 조리용기의 바닥에 형성된 코팅이 벗겨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조리용기의 바닥에 음각과 양각을 형성시키지 않고 평면상태에서 바닥에 코팅을 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이 또한 상기의 경우와 같이 음식 조리시 조리용기의 바닥이 가스렌지나 주방용품 등의 날카로운 부분에 접촉되어 조리용기의 바닥에 형성된 코팅이 벗겨지거나 인쇄된 문자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주물에 의해 원판형의 바닥에 음각과 양각을 형성시키고, 주조된 바닥 전체 면에 코팅을 한 다음, 양각 면을 선반에 의해 가공하였다.
이러한 제조공정에 의해 바닥구조를 형성한 종래 조리용기는 제조공정이 많아져 제조원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조리용기의 바닥을 선반에 의해 음각과 양각을 형성하므로 바닥의 음각 양각 형성 비용이 저렴하고 가공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조리용기의 바닥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판재상태의 재료를 프레스에 의해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11)이 평면이면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조리용기(10)의 바닥(11)을 선반가공에 의해 음각(a)을 형성하고, 바닥(11) 전면에 코팅(c)을 하며, 상대적으로 돌출된 양각(b) 부분을 다시 선반에 의해 가공하여 코팅(c)된 음각부분과 가공된 양각부분이 형성되게 하는 바닥구조를 가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재상태의 재료를 프레스에 의해 기본 형상을 갖춘 조리용기(10)의 바닥(11) 전면에 먼저, 소정영역을 선반가공에 의한 음각(a)을 형성하여 가공된 음각(a)과 상대적으로 돌출되도록 양각(b)이 형성되도록 1차 가공하고, 상기와 같이 선반가공에 의해 음각(a)과 양각(b)이 형성된 바닥(11) 전면에 코팅(c)을 한다.
그리고 코팅(c)된 바닥(11) 전면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양각(b) 부분을 선반가공에 의해 코팅이 벗겨지는 범위 내에서 2차 가공하여 코팅(c)을 제거하면 제품이 완성된다.
여기에서, 선반가공에 의해 2차 가공되는 양각(b)부분의 가공은 1-2mm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판재상태의 재료를 프레스에 의해 기본 형상을 갖춘 조리용기(10)의 바닥(11)면에 선반에 의해 가공된 양각(b)의 내측에 코팅(c)이 형성된 음각(a)부분이 형성되고, 음각(a)의 바닥면에 문자부가 스크린 인쇄되어 진다.
이때,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은 음식 조리시 코팅이 형성되지 않은 양각부분에 가스렌지나 주방용품 등의 날카로운 부분이 접촉이 되도록 되어 코팅이 형성된 음각부분에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코팅 및 인쇄된 문자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내부 바닥에는 전혀 변화가 없이 평평하게 형성되면서 외부 바닥만 선반에 의해 양각과 음각이 형성되어 입체감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 조리용기의 바닥구조는 주물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나, 프레스에 의해 양각 음각을 형성시키는 것에 비하여 전체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제작시간이 단축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생산원가가 절감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음각과 양각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바닥을 선반에 의해 음각과 양각을 형성하므로 음각 및 양각 형성 비용이 저렴하고, 가공시간이 단축되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삭제
  2. 프레스로 판재상태의 재료를 프레싱가공하여 조리용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조리용기의 성형 후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선반가공으로 음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조리용기의 바닥면 전체를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한 조리용기의 바닥면에서 음각 부분에 비해 높이 돌출되는 양각 부분을 선반으로 가공하여 이 부분의 코팅을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바닥 가공방법.
KR1020070006808A 2007-01-23 2007-01-23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KR100883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808A KR100883420B1 (ko) 2007-01-23 2007-01-23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808A KR100883420B1 (ko) 2007-01-23 2007-01-23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611U Division KR200418159Y1 (ko) 2006-03-13 2006-03-13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324A KR20070093324A (ko) 2007-09-18
KR100883420B1 true KR100883420B1 (ko) 2009-02-11

Family

ID=3868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808A KR100883420B1 (ko) 2007-01-23 2007-01-23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4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52A (ko) * 1999-07-13 1999-10-05 한필원 전자파유도가열기용의자성체알루미늄조리기의제조방법
KR200206881Y1 (ko) * 2000-07-24 2000-12-15 주식회사세진 이미지가 표현된 저면을 형성한 조리 기구
KR20010001424A (ko) * 1999-06-04 2001-01-05 박해원 열간 단조공법을 통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010090243A (ko) * 2000-03-24 2001-10-18 김용국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KR100481602B1 (ko) * 2003-02-15 2005-04-08 백봉기 알루미늄 도금강판을 이용한 프라이팬
KR20050086400A (ko) * 2005-08-09 2005-08-30 김정식 불소 수지가 코팅 돤 내열세라믹 냄비,솥 및내열세라믹구이
KR100524524B1 (ko) * 2005-03-23 2005-10-28 주식회사 라이프키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424A (ko) * 1999-06-04 2001-01-05 박해원 열간 단조공법을 통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9990073452A (ko) * 1999-07-13 1999-10-05 한필원 전자파유도가열기용의자성체알루미늄조리기의제조방법
KR20010090243A (ko) * 2000-03-24 2001-10-18 김용국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KR200206881Y1 (ko) * 2000-07-24 2000-12-15 주식회사세진 이미지가 표현된 저면을 형성한 조리 기구
KR100481602B1 (ko) * 2003-02-15 2005-04-08 백봉기 알루미늄 도금강판을 이용한 프라이팬
KR100524524B1 (ko) * 2005-03-23 2005-10-28 주식회사 라이프키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86400A (ko) * 2005-08-09 2005-08-30 김정식 불소 수지가 코팅 돤 내열세라믹 냄비,솥 및내열세라믹구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324A (ko) 200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038C (zh) 具有消除底部变形功能的炊具
EP1886604B1 (en) Additional bottom adapted to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a vessel
KR100804387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US20070051731A1 (en) Cookware with flat interior surface
US580963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ulinary vessel with reinforced bottom
KR10189466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JP2010088868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底部およびフェライト系または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ボウルを有する食物調理機器
PL358477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ooking vessels and vessel obtained according to such process
KR100883420B1 (ko)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KR20050053550A (ko) 주방용기
CA2258660C (en) Article of cookware with non-stick coating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0418159Y1 (ko)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KR20180116837A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351209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468795B1 (ko) 조리용기
CN104942180A (zh) 一种铝铁金属复合锅及其加工方法
CN108019798B (zh) 凹形面板和凹形面板成型方法
KR101922667B1 (ko) 동 도금을 이용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239774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160115104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64884A (ko) 조리용기
CN216822760U (zh) 一种易于倾倒的自动炒菜机
JP2002178071A (ja) 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CN213259234U (zh) 一种电子移动设备中的便于拆卸logo的底壳
AU630639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ormed piece of me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