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313B1 -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 Google Patents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313B1
KR100883313B1 KR1020080023165A KR20080023165A KR100883313B1 KR 100883313 B1 KR100883313 B1 KR 100883313B1 KR 1020080023165 A KR1020080023165 A KR 1020080023165A KR 20080023165 A KR20080023165 A KR 20080023165A KR 100883313 B1 KR100883313 B1 KR 10088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taircase
bar
rail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2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의 난간에 고정되는 사각관체인 난간지주가 형성되되 하단은 계단의 수평면과 난간벽에 각각 맞닿도록 측면이 ㄱ자형상으로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공을 갖고 수직절곡된 좌우측절곡지지판이 형성되고, 난간지주 중간부위와 상부에는 계단의 경사에 따라 좌우측에 경사지게 상하측삽입바가 돌출되는 체결링이 체결고정되되 상하측삽입바에는 난간바가 억지끼움으로 연결고정되며, 난간지주 내측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하부로 유입되는 탄성고정바가 형성되되 탄성고정바 상단에는 ㄱ자형상으로 수직절곡되는 걸림절곡부가 형성되고, 걸림절곡부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삽입바가 형성되며, 상단부 외측에는 당김레버가 돌출되며, 난간지주 상단에는 탄성고정바는 승강시키면서 스프링의 이탈은 방지하는 고정캡이 고정설치되는 고정난간틀과; 다수 개의 타공을 갖고 계단의 상면에 안착되는 일정 두께의 판체로, 상기 고정난간틀의 난간지주에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 체결고정되는 연결바를 갖고, 힌지핀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단은 연결바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체에 고정되어 몸체를 회동시키는 경첩이 형성되며, 경첩에 의해 수직보관시 상기 탄성고정바의 수직삽입바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홈이 내측선단면에 형성되고, 내측 중심선단부에 손잡이홈을 갖고 필요에 따라 경첩에 의해 계단 상면에 자중에 의해 안착고정되는 경사계단판을 구비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계단의 난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고정지주에 의해 회동접철되어 기립보관되고, 필요시 계단상면으로 회동안착되어 계단대신 경사판으로 사용됨에 따라 사용이 간편하고, 장애인이 탄 휠체어나 유아가 계단을 손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난간틀, 경사계단판

Description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Stairs structure for handicapped person and infant of building}
본 발명은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의 난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고정지주에 의해 회동접철되어 기립보관되고, 필요시 계단상면으로 회동안착되어 계단대신 경사판으로 사용됨에 따라 사용이 간편하고, 장애인이 탄 휠체어나 유아가 계단을 손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階段;stairs)은 사람이 오르내리기 위하여 건물이나 비탈에 만든 층층대로, 수직면인 챌판과 수평면인 디딤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딤판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인 논슬립이 선단면이나 상면에 고정되고, 측단에는 난간손잡이를 갖는 난간이 형성되어 통행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런 구조의 계단은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보폭이 작은 유아는 통행할 수 없어 장애인이나 유아에게는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빌딩에는 계단과는 별도로 계단주변에는 엘 리베이터를 만들어 노약자나 장애인이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추가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금전적인 부담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는 엘리베이터가 대피장소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단의 난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고정지주에 의해 회동접철되어 기립보관되고, 필요시 계단상면으로 회동안착되어 계단대신 경사판으로 사용됨에 따라 사용이 간편하고, 장애인이 탄 휠체어나 유아가 계단을 손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단의 난간에 고정되는 사각관체인 난간지주가 형성되되 하단은 계단의 수평면과 난간벽에 각각 맞닿도록 측면이 ㄱ자형상으로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공을 갖고 수직절곡된 좌우측절곡지지판이 형성되고, 난간지주 중간부위와 상부에는 계단의 경사에 따라 좌우측에 경사지게 상하측삽입바가 돌출되는 체결링이 체결고정되되 상하측삽입바에는 난간바가 억지끼움으로 연결고정되며, 난간지주 내측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하부로 유입되는 탄성고정바가 형성되되 탄성고정바 상단에는 ㄱ자형상으로 수직절곡되는 걸림절곡부가 형성되고, 걸림절곡부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삽입바가 형성되며, 상단부 외측에는 당김레버가 돌출되며, 난간지주 상단에는 탄성고정바는 승강시키면서 스프링의 이탈은 방지하는 고정캡이 고정설치되는 고정난간틀과;
다수 개의 타공을 갖고 계단의 상면에 안착되는 일정 두께의 판체로, 상기 고정난간틀의 난간지주에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 체결고정되는 연결바를 갖고, 힌지 핀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단은 연결바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체에 고정되어 몸체를 회동시키는 경첩이 형성되며, 경첩에 의해 수직보관시 상기 탄성고정바의 수직삽입바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홈이 내측선단면에 형성되고, 내측 중심선단부에 손잡이홈을 갖고 필요에 따라 경첩에 의해 계단 상면에 자중에 의해 안착고정되는 경사계단판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계단의 난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고정지주에 의해 회동접철되어 기립보관되고, 필요시 계단상면으로 회동안착되어 계단대신 경사판으로 사용됨에 따라 사용이 간편하고, 장애인이 탄 휠체어나 유아가 계단을 손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의 일측 경사계단판이 안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 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의 난간지주와 탄성고정바의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는, 계단(30) 난간에 고정되어 경사계단판(20,20a)을 힌지고정하는 고정난간틀(10,10a)과, 고정난간틀(10,10a)에 수직기립으로 보관되어 필요시 힌지회동으로 계단상면에 안착되는 경사계단판(20,20a)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난간틀(10,10a)은 계단(30)의 난간에 고정되어 경사계단판(20,20a)을 힌지고정하는 틀체로, 계단(30)의 난간에 고정되는 사각관체인 난간지주(11)가 형성되되, 하단은 계단(30)의 수평면(31)과 난간벽(32)에 각각 맞닿도록 측면이 ㄱ자형상으로 체결볼트(12c)가 삽입되는 볼트공(12b)을 갖고 수직절곡된 좌우측절곡지지판(12,12a)이 각각 형성되고, 난간지주(11) 중간부위와 상부에는 계단(30)의 경사에 따라 좌우측에 경사지게 상하측삽입바(13a,13b)가 상하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링(13)이 체결고정되되, 상하측삽입바(13a,13b)에는 난간바(14)가 억지끼움으로 연결고정되며, 난간지주(11) 내측에는 스프링(16)의 탄성에 의해 하부로 탄성유입되는 탄성고정바(15)가 형성되되, 탄성고정바(15) 상단에는 ㄱ자형상으로 수직절곡되는 걸림절곡부(15a)가 형성되고, 걸림절곡부(15a)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삽입바(15b)가 형성되며, 상단부 외측에는 당김레버(15c)가 돌출되며, 난간지주(11) 상단에는 탄성고정바(15)는 승강시키면서 내부 스프링(16)의 이탈은 방지하는 고정캡(17)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경사계단판(20,20a)은 다수 개의 타공(21)을 갖고 고정난간틀(10,10a)에 수직기립으로 보관되어 필요시 힌지회동으로 계단(30) 상면에 안착되는 일정 두께의 판체로, 상기 고정난간틀(10,10a)의 난간지주(11)에 계단(30)의 경사도에 따라 체결고정되는 연결바(25)를 갖고, 힌지핀(24a)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단은 연결바(25)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체에 고정되어 몸체를 회동시키는 경첩(24)이 형성되며, 경첩(24)에 의해 수직보관시 상기 탄성고정바(15)의 수직삽입바(15b)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홈(22)이 내측선단면에 형성되고, 내측 중심선단부에 손잡이홈(23)을 갖고 필요에 따라 경첩(24)에 의해 계단(30) 상면에 자중에 의해 안착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관시에는 고정난간틀(10,10a)에 경첩(24)의 힌지핀(24a)에 의해 수직기립되게 힌지회동된 상태에서 스프링(16)의 의해 하부로 탄성이동되는 탄성고정바(15)의 수직삽입바(15b)가 내측 선단면의 삽입고정홈(22)에 삽입고정됨에 따라 경사계단판(20,20a)은 고정난간틀(10,10a)에 각각 보관된다.
이 상태에서 유아나 장애자의 휠체어가 오면, 작업자는 내측 선다면의 삽입고정홈(22)에서 수직삽입바(15b)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경첨(24)의 힌지핀(24a)을 축으로 힌지회동시키면서 경사계단판(20,20a)을 계단(30) 상면에 사뿐이 안착시키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의 일측 경사계단판이 안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의 난간지주와 탄성고정바의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고정난간틀 11 : 난간지주
12,12a : 좌우측절곡지지판 12b : 볼트공
12c : 체결볼트 13 : 체결링
13a,13b : 상하측삽입바 14 : 난간바
15 : 탄성고정바 15a : 걸림절곡부
15b : 수직삽입바 15c : 당김레버
16 : 스프링 17 : 고정캡
20,20a : 경사계단판 21 : 타공
22 : 삽입고정홈 23 : 손잡이홈
24 : 경첩 24a : 힌지핀
25 : 연결바
30 : 계단 31 : 수평면
32 : 난간벽

Claims (1)

  1. 계단 난간에 고정되어 경사계단판을 힌지고정하는 고정난간틀과, 고정난간틀에 수직기립으로 보관되어 필요시 힌지회동으로 계단상면에 안착되는 경사계단판을 구비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난간틀은 계단의 난간에 고정되는 사각관체인 난간지주가 형성되되 하단은 계단의 수평면과 난간벽에 각각 맞닿도록 측면이 ㄱ자형상으로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공을 갖고 수직절곡된 좌우측절곡지지판이 형성되고, 난간지주 중간부위와 상부에는 계단의 경사에 따라 좌우측에 경사지게 상하측삽입바가 돌출되는 체결링이 체결고정되되 상하측삽입바에는 난간바가 억지끼움으로 연결고정되며, 난간지주 내측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하부로 유입되는 탄성고정바가 형성되되 탄성고정바 상단에는 ㄱ자형상으로 수직절곡되는 걸림절곡부가 형성되고, 걸림절곡부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삽입바가 형성되며, 상단부 외측에는 당김레버가 돌출되며, 난간지주 상단에는 탄성고정바는 승강시키면서 스프링의 이탈은 방지하는 고정캡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경사계단판은 다수 개의 타공을 갖고 계단의 상면에 안착되는 일정 두께의 판체로, 상기 고정난간틀의 난간지주에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 체결고정되는 연결바를 갖고, 힌지핀에 의해 축결합되어 일단은 연결바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체에 고정되어 몸체를 회동시키는 경첩이 형성되며, 경첩에 의해 수직보관시 상기 탄성고정바의 수직삽입바가 삽입되는 삽입고정홈이 내측선단면에 형성되고, 내측 중심선단부에 손잡이홈을 갖고 필요에 따라 경첩에 의해 계단 상면에 자중에 의해 안착고정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20080023165A 2008-03-13 2008-03-13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088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65A KR100883313B1 (ko) 2008-03-13 2008-03-13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65A KR100883313B1 (ko) 2008-03-13 2008-03-13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313B1 true KR100883313B1 (ko) 2009-02-11

Family

ID=40681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165A KR100883313B1 (ko) 2008-03-13 2008-03-13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816B1 (ko) 2012-08-30 2013-03-0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자전거레일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US11396755B2 (en) * 2017-10-23 2022-07-26 Homecare Products, Inc. Handrail system for ramp assembly and handrail adaptor having angled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393Y1 (ko) 2004-10-25 2005-01-15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지하철 계단용 경사로 가설장치
KR100518633B1 (ko) 2005-05-27 2005-10-07 주식회사 제일.원 종합 건축사 사무소 건축용 계단난간 지주조립체
KR100592434B1 (ko) * 2005-11-16 2006-06-22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화물의 운반이 용이한 건축용 회동난간
KR100738261B1 (ko) * 2006-11-28 2007-07-11 (주)홍주산업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393Y1 (ko) 2004-10-25 2005-01-15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지하철 계단용 경사로 가설장치
KR100518633B1 (ko) 2005-05-27 2005-10-07 주식회사 제일.원 종합 건축사 사무소 건축용 계단난간 지주조립체
KR100592434B1 (ko) * 2005-11-16 2006-06-22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화물의 운반이 용이한 건축용 회동난간
KR100738261B1 (ko) * 2006-11-28 2007-07-11 (주)홍주산업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816B1 (ko) 2012-08-30 2013-03-04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자전거레일이 구비된 건축물용 계단
US11396755B2 (en) * 2017-10-23 2022-07-26 Homecare Products, Inc. Handrail system for ramp assembly and handrail adaptor having angled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7993B2 (ja) 折り畳み式梯子
KR100738261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0689065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0911171B1 (ko) 환자와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JP2009235816A (ja) 階段
KR100883313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
KR102014084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KR101129439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AU2021215192B2 (en) Temporary Stairway with Void Cover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470226B1 (ko) 이동식 가변 계단 매트장치
KR100993942B1 (ko)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KR200486260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접이식 발판형 안전사다리
KR100937838B1 (ko) 절첩 가능한 계단식 사다리
ES2299642T3 (es) Dispositivo de barrera de seguridad.
KR101871371B1 (ko) 경사로를 갖는 건축용 계단장치
KR20210022205A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CN211549567U (zh) 一种家庭使用的拉伸楼梯
JPS6311280Y2 (ko)
KR102131817B1 (ko) 완강기 발판
CN212053886U (zh) 一种平行入户的旧楼电梯走道
KR102627075B1 (ko) 계단 추락 및 전도 방지 장치
JPH0240240Y2 (ko)
JP4631638B2 (ja) 階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941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18

Effective date: 200901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18

Effective date: 2009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