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246B1 - 롤링 웨이스트 - Google Patents

롤링 웨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246B1
KR100882246B1 KR1020080049864A KR20080049864A KR100882246B1 KR 100882246 B1 KR100882246 B1 KR 100882246B1 KR 1020080049864 A KR1020080049864 A KR 1020080049864A KR 20080049864 A KR20080049864 A KR 20080049864A KR 100882246 B1 KR100882246 B1 KR 100882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ide rotating
rolling
dam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to KR1020080049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72Limiting the applied force, torque, movement or spe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링웨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아파트 단지나 공원에 설치되는 야외 체육시설물로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하고 고급화된 기능을 추가한 롤링웨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웨이스트는 하반신을 좌우로 왕복시키는 웨이스트롤링바에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회전부하를 설치함으로써 급속한 하강 및 상승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다치는 위험을 감소시킨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운동을 하는 동안에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체육시설, 운동기구, 롤링웨이스트, 댐퍼, 발전

Description

롤링 웨이스트{ROLLING WAIST MACHINE}
본 발명은 롤링 웨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좌우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허리 이하의 하반신을 좌우로 롤링시켜주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여 아파트단지, 야외의 공원 등에 다양한 체육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증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체육시설은 어린이들이 항상 접근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나 사용자를 고려한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야외 체육시설을 구성하는 운동기구 중에서 롤링 웨이스트는 좌우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허리 이하의 하반신을 좌우로 롤링시켜주는 운동기구이다.
도 5는 종래의 롤링 웨이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롤링 웨이스트는 지면에 고정된 본체(20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프레임(210)에 손잡이(212)가 설치되고 발판(216)이 구비된 웨이스트롤링바(215)가 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롤링 웨이스트는 웨이스트롤링바가 프레임상에 단순히 힌지고정된 것이었다. 공원이나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웨이스트롤링바를 손으로 높 이 들었다가 내려놓는 장난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웨이스트롤링바가 밑으로 급속히 떨어지므로 떨어졌다가 반대방향으로 다시 상승하므로 급하강 및 급상승하는 웨이스트롤링바에 의해 사람이 다칠 위험성이 큰 것이었다.
물론 급하강 및 급상승하는 웨이스트롤링바가 손잡이와 부딪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웨이스트롤링바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롤링 웨이스트의 웨이스트롤링바에 댐퍼를 설치하여 웨이스트롤링바의 급속한 하강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웨이스트롤링바의 댐퍼는 연속적인 회전부들을 통해 연결된 한 쌍의 회전부하로 되며, 각각의 회전부하는 서로 다른 일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만 부하를 주기 때문에 각각의 회전부하의 강도를 서로 다르게 부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며 일측에 발판이 형성되는 웨이스트롤링바; 및 상기 웨이스트롤링바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웨이스트롤링바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초기측회전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측회전축과 상기 중간측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초기측회전부와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감아걸어 연결되는 원통형 구조의 중간측소형회전체와 상기 중간측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중간측소형회전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형 구조인 중간측대형회전체를 포함하는 중간회전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말기측회전축과 상기 말기측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중간회전부의 상기 중간측대형회전체와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감아걸어 연결되는 원통형 구조의 말기측소형회전체와 각각이 상기 말기측 회전축에 고정되는 원통형 구조인 말기측대형회전체들을 포함하는 말기측회전부와, 상기 말기측회전부의 상기 말기측대형회전체들 중의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말기측대형회전체들 중의 하나의 정방향 회전을 방해하는 정방향회전부하 및 상기 말기측대형회전체들 중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말기측대형회전체들 중의 다른 하나의 역방향 회전을 방해하는 역방향회전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웨이스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댐퍼의 상기 중간측회전부는 2개 이상 형성되며, 2개 이상의 상기 중간측회전부들 중의 하나의 상기 중간측회전부의 중간측소형회전체는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인접한 중간회전부의 대형회전체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댐퍼의 상기 말기측회전부의 상기 대형회전체 중의 하나와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감아걸어 연결되는 제1계자 또는 제1전기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계자 또는 제1전기자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만 발전이 이루어지는 제1발전기; 및 상기 댐퍼의 상기 말기측회전부의 상기 대형회전체 중의 다른 하나와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감아걸어 연결되는 제2계자 또는 제2전기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계자 또는 제2전기자가 상기 정방향과 반대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만 발전이 이루어지는 제2발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말기측회전부의 상기 대형회전체 중의 하나로부터 상기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정방향의 회전만 을 허용하는 회전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제1계자 또는 제1전기자로 전달되고, 상기 말기측회전부의 상기 대형회전체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역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회전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제2계자 또는 제2전기자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롤링 웨이스트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는 복수개의 회전부를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형성한 댐퍼를 사용하므로 사용자 미탑승시에 웨이스트롤링바가 급하강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댐퍼의 회전부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회전부하는 서로 반대되는 일방향의 회전만을 제한하므로 각 방향에 작용하는 부하의 강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회전부하로서 발전기를 사용하면 발생된 전력을 디스플레이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 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는 지면에 고정된 지지부(1), 지지부(1)에 설치되는 본체(2), 본체(2)에 설치되는 손잡이(3) 및 웨이스트롤링바(10), 지지부(1)에 설치되는 전방프레임(20), 전방프레임(2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21) 및 보호쉴드(22)를 포함한다.
지지부(1)는 롤링 웨이스트를 지면에 고정하는 기능을 하며 상부에는 본체(2) 및 전방프레임(20)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지반속으로 일정깊이만큼 삽입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콘크리트베이스(미도시)가 형성된다.
본체(2)는 지면에서 위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위쪽에 양측으로 손잡이(3)가 형성되고 양측 손잡이(3)의 사이에 웨이스트롤링바(10)가 설치된다. 본체(2)의 상단에는 조작부(5)가 설치되어 후술할 회전부하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웨이스트롤링바(10)는 회전축(미도시)과 회전축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봉(12)과 연장봉(12)의 단부에 형성되는 발판(13)을 포함하며, 본체(2)의 전방의 위쪽 중앙에 설치된다. 본체(2)에서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부분의 위쪽에는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을 일정범위로 구속하여 웨이스트롤링바(10)가 손잡이(3)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캡(7)이 형성된다. 보호캡(7)은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축의 주변을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감싸고 있으며 보호캡(7)의 양측방향의 하단부분이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범위를 결정한다.
전방프레임(20)은 본체(2)의 후방에 본체(2)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방으로 굽어져서 연장된다. 전방프레임(20)의 소정의 높이에는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되며 전방프레임(20)의 최상부에는 태양광선의 차단 및 우천시 비를 차단하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는 보호쉴드(22)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의 본체의 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의 본체의 내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축(11)은 본체(2)로 삽입되어 베어링(103)을 통해 지지되며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축(11)의 단부에는 원통형 구조의 제1회전부(110)가 고정되어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축(11)과 동시에 회전한다. 웨이스트롤링바(10)의 제1회전부(110)는 둘레외면의 양측에 스토퍼(112)가 형성되고, 본체(2) 내부에는 양측에 한쌍의 스프링(8)이 배치되어 제1회전부(11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시에 스토퍼(112)가 스프링(8)에 닿게 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웨이스트롤링바(10)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손잡이(3)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회전부(110)의 아래에는 본체(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부(120)가 설치된다. 제2회전부(120)는 제2회전축(121) 및 제2회전축(121)에 고정되는 제2소형회전체(122)와 제2대형회전체(123)를 포함한다. 제1회전부(110)와 제2회전부(120)의 제2소형회전체(122)는 타이밍벨트(125)에 의해 연결되어 제1회전부(110)가 회전시에 제2소형회전체(122)가 회전하여 결국 제2회전부(120)가 회전한다.
제2회전부(120)의 아래에는 본체(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회전부(130)가 설치된다. 제3회전부(130)는 제3회전축(131) 및 제3회전축(131)에 고정되는 제3소형회전체(132)와 제3대형회전체(133)를 포함한다. 제3회전부(130)는 제3소형회전체(132)가 제2회전부(120)의 제2대형회전체(123)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3대형회전체(133)가 제2소형회전체(122)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제2회전부(120)의 제2대형회전체(123)와 제3회전부(130)의 제3소형회전체(132)는 타이밍벨트(135)에 의해 연결되어 제2회전부(120)의 제2대형회전체(123)가 회전시에 제3소형회전체(132)가 회전하여 결국 제3회전부(130)가 회전한다.
제4회전부(140)는 제3회전부(130)의 아래에서 본체(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4회전축(141) 및 제4회전축(141)에 고정되는 제4소형회전체(142) 및 제4소형회전체(14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역시 제4회전축(14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4대형회전체들(143, 144)을 포함한다. 제4소형회전체(142)는 제3회전부(130)의 제3대형회전체(133)의 아래에 위치하며 제3대형회전체(133)와 타이밍벨트(145)를 통해 연결되어 제3대형회전체(133)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여 결국 제4회전부(140)가 회전한다.
제4회전부(140)의 아래방향의 양측으로 제1회전부하 및 제2회전부하가 각각 설치된다. 제1회전부하는 제4회전부(140)의 상기 제4대형회전체(143, 144)들 중의 어느 하나(143)와 벨트(151)를 통해 연결되며 제4대형회전체(143)의 일방향으로의 회전만을 방해하며 그 반대방향의 회전은 방해하지 않는다. 제2회전부(120)는 상기 제4대형회전체(143, 144)들 중의 다른 하나(144)와 벨트(153)를 통해 연결되며 제4 대형회전체(144)의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만을 방해하며 그 일방향의 회전은 방해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회전부하는 발전기가 될 수 있다. 제1회전부하는 제1발전기(150)로 제2회전부하는 제2발전기(152)가 된다. 제1발전기(150) 및 제2발전기(152)는 각각이 일방향의 회전입력에 대해서만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채택한다. 일방향의 회전입력에 대해서만 발전이 이루어지는 효과는 제4회전부(140)의 제4대형회전체로부터 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이 일방향의 클러치베어링(103)(미도시)을 통해 제1발전기(150)로 입력되는 것에 의한다. 제2발전기(152)로의 회전력의 전달은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반대방향의 클러치베어링(103)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발전기(150)는 정방향 회전입력시에 발전이 수행되고 제2발전기(152)는 역방향 회전입력시에 발전이 수행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웨이스트롤링바(10)는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는 것이므로 회전의 방향이 계속하여 반대방향으로 변한다. 따라서 각각의 발전기에 클러치베어링(103)을 거쳐 웨이스트롤링바(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해당 발전기는 일방향으로 웨이스트롤링바(10)가 회전시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아 발전을 하고 반대방향으로 웨이스트롤링바(10)가 회전시에는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이미 전달받은 일방향으로의 회전력은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방향이 변하는 것에 관계없이 유지되어 발전에 사용된다. 이후 웨이스트롤링바(10)가 다시 회전방향을 바꾸어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다시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력이 발전기로 전달된다. 즉 웨이스트롤링바(10)에 의해 발생하는 일방향의 회전력은 제1발전 기(150)로 모두 전달되며 웨이스트롤링바(10)에 의해 발생하는 반대방향의 회전력은 제2발전기(152)로 모두 전달되어 발전에 이용된다. 이렇게 클러치베어링(103)을 통해 서로 다른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2개의 발전기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웨이스트롤링바(10)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은 중간에 소실됨이 없이 모두 발전에 사용되게 된다. 클러치베어링(103)을 사용하지 않으면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방향 변경시에 회전부하방향의 급격한 전환으로 큰 충격이 발생하게 되어 장치에도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충격을 주게 된다. 오직 일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단은 클러치베어링(103) 이외에 래칫 등 공지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제1발전기(150) 및 제2발전기(152)로 입력된 회전력은 계자 또는 전기자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전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에 사용될 수 있는 회전부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하의 다른 예는 일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하기 위해 클러치베어링(161)을 통해 연결되는 회전축(162)과, 상기 회전축(162)에 고정되는 구동마찰판(163)과, 스프링(165)에 의해 상기 구동마찰판(163)에 밀착하여 구동마찰판(163)의 회전을 방해하는 마찰패드(164)로 구성된 마찰부(160)가 될 수 있다. 이 때 마찰패드의 스프링을 조정하면 마찰패드가 구동마찰판에 가압되는 정도가 조절되어 회전부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는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축(11)을 제1회전부(110), 제2회전부(120), 제3회전부(130) 및 제4회전부(140)의 복수개의 회전부 들에 연속적으로 연결하고 마지막으로 회전부하에 연결하였다. 또한 각각의 회전부들은 소형회전체 및 대형회전체를 구비하여 서로 인접한 회전부들은 타이밍벨트를 통해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연결되었다. 따라서 웨이스트롤링바(10)의 왕복운동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른 하강운동시에는 하강운동에너지가 회전체들의 운동에너지 및 회전부하에 대한 일로 변환되므로 하강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댐퍼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람이 롤링 웨이스트에 탑승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논외로 하고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들이 웨이스트롤링바(10)를 힘껏 들어올렸다가 놓는 경우에 웨이스트롤링바(10)는 댐퍼에 의해 하강속도가 감소되므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종래의 댐퍼가 없는 롤링 웨이스트의 경우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의 웨이스트롤링바(10)를 위로 들어올렸다가 놓을 경우 웨이스트롤링바(10)가 빠른 속도로 하강하여 반대방향으로 급상승하므로 반대방향에 서 있던 사람이 다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는 다단의 회전체들 및 회전체들의 회전을 방해하는 회전부하를 갖는 댐퍼에 의해 웨이스트롤링바(10)의 하강속도의 감속이 이루어지므로 사고의 발생을 줄이게 된다.
또한 회전부하로서 발전기를 사용하면 발생될 전력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는 축전지를 구비하여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방프레임(20)의 디스플레이(21)를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의 댐퍼의 제2회전부(120), 제3회전부(130) 및 제4회전부(140)에 포함된 소형회전체들과 대형회전체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에 있어서 보호캡(7)이 웨이스트롤링바(10)의 회전축(11)을 위에서 아래로 감싸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회전축(11) 부분에 손을 대어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보호캡(7)의 양측하단에서 웨이스트롤링바(10)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웨이스트롤링바(10)가 너무 높이 상승하여 손잡이(3)에 충돌하여 손잡이(3)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다치는 위험을 방지한다.
댐퍼의 회전부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회전부하는 서로 반대되는 일방향의 회전만을 제한하므로 각 방향에 작용하는 부하의 강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근력운동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회전부하의 크기 조절은 제1회전부(110), 제2회전부(120), 제3회전부(130) 등에 추가적으로 마찰을 가하고 마찰의 강도를 조절하는 등의 여러가지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의 본체의 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의 본체의 내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링 웨이스트에 사용될 수 있는 회전부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롤링 웨이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되며 일측에 발판이 형성되는 웨이스트롤링바; 및
    상기 웨이스트롤링바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웨이스트롤링바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초기측회전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간측회전축과 상기 중간측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초기측회전부와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감아걸어 연결되는 원통형 구조의 중간측소형회전체와 상기 중간측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중간측소형회전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형 구조인 중간측대형회전체를 포함하는 중간회전부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말기측회전축과 상기 말기측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중간회전부의 상기 중간측대형회전체와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감아걸어 연결되는 원통형 구조의 말기측소형회전체와 각각이 상기 말기측회전축에 고정되는 원통형 구조인 말기측대형회전체들을 포함하는 말기측회전부와, 상기 말기측회전부의 상기 말기측대형회전체들 중의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말기측대형회전체들 중의 하나의 정방향 회전을 방해하는 정방향회전부하 및 상기 말기측대형회전체들 중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말기측대형회전체들 중의 다른 하나의 역방향 회전을 방해하는 역방향회전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웨이 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상기 중간측회전부는 2개 이상 형성되며, 2개 이상의 상기 중간측회전부들 중의 하나의 상기 중간측회전부의 중간측소형회전체는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인접한 중간회전부의 대형회전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웨이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상기 말기측회전부의 상기 대형회전체 중의 하나와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감아걸어 연결되는 제1계자 또는 제1전기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계자 또는 제1전기자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만 발전이 이루어지는 제1발전기; 및
    상기 댐퍼의 상기 말기측회전부의 상기 대형회전체 중의 다른 하나와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감아걸어 연결되는 제2계자 또는 제2전기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계자 또는 제2전기자가 상기 정방향과 반대방향인 역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만 발전이 이루어지는 제2발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웨이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말기측회전부의 상기 대형회전체 중의 하나로부터 상기 감아걸기전동수 단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정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회전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제1계자 또는 제1전기자로 전달되고,
    상기 말기측회전부의 상기 대형회전체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감아걸기전동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역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회전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제2계자 또는 제2전기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웨이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웨이스트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링 웨이스트.
KR1020080049864A 2008-05-28 2008-05-28 롤링 웨이스트 KR100882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64A KR100882246B1 (ko) 2008-05-28 2008-05-28 롤링 웨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64A KR100882246B1 (ko) 2008-05-28 2008-05-28 롤링 웨이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246B1 true KR100882246B1 (ko) 2009-02-10

Family

ID=4068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864A KR100882246B1 (ko) 2008-05-28 2008-05-28 롤링 웨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2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272B1 (ko) 2010-05-19 2010-08-18 (주)디자인파크개발 진자운동을 이용한 공회전 유도기어 타입의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동기구
KR100984120B1 (ko) 2010-05-19 2010-09-28 (주)디자인파크개발 진자운동을 이용한 베벨기어 타입의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동기구
KR101101275B1 (ko) 2010-02-01 2012-01-04 이재홍 허리운동기구
KR101174365B1 (ko) * 2010-02-19 2012-08-16 (주)디자인파크개발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
KR101174364B1 (ko) * 2010-02-19 2012-08-16 (주)디자인파크개발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KR101174366B1 (ko) 2010-02-19 2012-08-16 (주)디자인파크개발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양팔 줄다리기형 운동기구
KR101225258B1 (ko) 2010-09-17 2013-01-22 천창호 회전운동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803A (ja) * 2002-06-19 2004-01-22 Nakamura Giken:Kk バランス感覚健康運動器具
KR100693202B1 (ko) 2006-01-10 2007-03-13 오광길 허리강화 걷기운동기구
KR100810670B1 (ko) 2007-01-12 2008-03-07 김대환 허리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803A (ja) * 2002-06-19 2004-01-22 Nakamura Giken:Kk バランス感覚健康運動器具
KR100693202B1 (ko) 2006-01-10 2007-03-13 오광길 허리강화 걷기운동기구
KR100810670B1 (ko) 2007-01-12 2008-03-07 김대환 허리 운동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75B1 (ko) 2010-02-01 2012-01-04 이재홍 허리운동기구
KR101174365B1 (ko) * 2010-02-19 2012-08-16 (주)디자인파크개발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
KR101174364B1 (ko) * 2010-02-19 2012-08-16 (주)디자인파크개발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KR101174366B1 (ko) 2010-02-19 2012-08-16 (주)디자인파크개발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양팔 줄다리기형 운동기구
KR100976272B1 (ko) 2010-05-19 2010-08-18 (주)디자인파크개발 진자운동을 이용한 공회전 유도기어 타입의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동기구
KR100984120B1 (ko) 2010-05-19 2010-09-28 (주)디자인파크개발 진자운동을 이용한 베벨기어 타입의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동기구
KR101225258B1 (ko) 2010-09-17 2013-01-22 천창호 회전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246B1 (ko) 롤링 웨이스트
KR101218316B1 (ko) 안전장치를 갖는 하늘걷기 운동기구
KR100882247B1 (ko) 크로스컨트리장치
KR100914492B1 (ko) 구동부 안전장치가 장착된 운동기구
KR100854579B1 (ko) 승마형 운동기구 및 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
CN209790790U (zh) 一种安全稳定型篮球架
CN205516184U (zh) 一种环保多功能跑步机
KR101230029B1 (ko) 안전장치를 갖는 역기내리기 운동기구
CN216934576U (zh) 一种具有自锁回弹保护功能的卧推架
KR101064309B1 (ko) 하체 운동기구
CN109078336A (zh) 一种基于娱乐风洞具有安全防护性能的防护垫
CN202777760U (zh) 一种健身器
CN205994509U (zh) Ct机倾斜防坠系统
CN211827661U (zh) 一种仿太空失重装置和仿太空失重系统
KR200445147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101654765B1 (ko)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
WO2005030341A1 (en) Weightlifting apparatus
CN204261266U (zh) 一种安全性能高的滚筒式跑步机
KR20060114874A (ko) 완강기
CN208406043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儿童游乐设备
CN206942272U (zh) 一种立体车库的防坠装置
CN207627903U (zh) 一种便于移动的儿童运动跷跷板
CN207950455U (zh) 浮动式跑步机
CN219251545U (zh) 一种爬绳机
CN210422896U (zh) 一种摆动式动力机用摆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91207

Effective date: 201012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