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364B1 -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364B1
KR101174364B1 KR1020100015376A KR20100015376A KR101174364B1 KR 101174364 B1 KR101174364 B1 KR 101174364B1 KR 1020100015376 A KR1020100015376 A KR 1020100015376A KR 20100015376 A KR20100015376 A KR 20100015376A KR 101174364 B1 KR101174364 B1 KR 101174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bar
rotational force
pivot arm
housing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739A (ko
Inventor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to KR102010001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3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한 후 양 다리를 전 후로 을 좌우로 움직임이게 하는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에서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감쇠시키며 그 감쇠력의 조절이 가능한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는 제1기둥, 상기 제1기둥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기둥, 일단이 상기 제1기둥의 제2기둥을 마주보는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타단에 사용자의 한쪽 발을 지지하는 발판이 구비되는 제1레그바아, 상기 제1기둥과 제1레그바아의 사이 또는 제2기둥과 제2레그바아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레그바아 또는 제2레그바아를 상기 제1기둥 또는 제2기둥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제1레그바아와 제2레그바아의 회전력을 감쇠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감쇠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레그바아와 제2레그바아의 회전력의 조절이 가능한 회전력 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Cross-Countryt Type Exercise Apparatus Having Controlling Unit for Rotating Forc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탑승한 후 양 다리를 전 후로 을 좌우로 움직임이게 하는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에서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감쇠시키며 그 감쇠력의 조절이 가능한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파트 단지나 야외의 공원 등에 다양한 체육시설이 설치되는 곳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체육시설은 성인 뿐만 아니라 어린이 또는 노약자들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체육시설은 크로스 컨트리나 크로스 컨트리 등의 운동기구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기둥(11)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각 기둥(1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레그바아(14)가 상기 각 기둥(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바아(14)에는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1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판(160)에 올라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3)가 구비된다.
즉, 상기 크로스 컨트리 운동기구(10)는 사용자가 각 레그바아(14)에 구비된 발판(16)에 올라선 뒤에 손잡이(13)를 잡고 다리를 전 후로 움직이면서 하체를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로서 심폐기능 강화와 다리 및 허리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기능의 운동기구가 제작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부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는 상기 레그바아(14)가 기둥(11)에 단순히 힌지결합된 것으로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의 특성상 전측 또는 후측으로 회전되어 최고점에 도달한 후에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가 미숙하다거나 또는 어린이 및 노약자등이 탑승하게 될 경우 하강하는 속도가 너무 빨라 발판(16)에서 떨어져 부상을 당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야외에 노출된 운동기구의 특성상 어린이들이 아무런 제한 없이 접근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아이들이 상기 레그바아(14)를 높이 들었다가 내려놓는 경우 상기 레그바아(14)가 아무런 저항없이 자유낙하 하였다가 반대편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이 수회 반복되므로, 아이들이 다칠 우려가 있다.
또한, 성인이라고 하더라도 각 개인마다 체력 및 근력이 다른데 중력 이외의 부하를 제공할 수 없을뿐더러, 각 사용자에게 맞는 부하를 제공할 수도 없어 운동효과가 극대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의 레그가 회전되는데 부하를 작용시켜, 상기 레그의 회전력을 감쇠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레그를 회전시키는데 보다 많은 힘이 들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극대화 하고 사용자의 체력에 적절한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는 제1기둥, 상기 제1기둥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기둥, 일단이 상기 제1기둥의 제2기둥을 마주보는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타단에 사용자의 한쪽 발을 지지하는 발판이 구비되는 제1레그바아, 상기 제1기둥과 제1레그바아의 사이 또는 제2기둥과 제2레그바아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레그바아 또는 제2레그바아를 상기 제1기둥 또는 제2기둥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제1레그바아와 제2레그바아의 회전력을 감쇠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감쇠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레그바아와 제2레그바아의 회전력의 조절이 가능한 회전력 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은, 제1기둥 또는 제1레그바아 중 어느 하나 또는 제2기둥 또는 제2레그바아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내부에 원통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구된 힌지바디, 상기 힌지바디의 개구된 부분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힌지커버, 제1기둥 또는 제1레그바아 중 어느 하나 또는 제2기둥 또는 제2레그바아 중 상기 힌지바디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바디와 힌지커버의 중앙부위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며, 상기 수용공간과의 사이에 오일이 채워지는 오일챔버를 형성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벽을 향하여 상기 힌지 샤프트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오일 챔버내에서 상기 힌지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오일 챔버내의 오일을 밀어내는 베인, 상기 베인에 의해 밀려지는 오일이 유동되는 바이패스 유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일힌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힌지 샤프트를 향해 상기 수용공간 내측벽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인에 의해 밀려지는 상기 오일 챔버 내의 오일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베인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차단블록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차단블록의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힌지바디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밸브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인스톨 홈, 상기 인스톨 홈 내측에 위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인스톨 홈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인스톨 홈 내측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연통된 부분의 개도를 조절하는 밸브바디, 상기 인스톨 홈의 개구된 부분에 치합되어 상기 인스톨 홈을 폐쇄하면서, 회전량에 따라 상기 인스톨 홈 내부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바디를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편의 반대편에서 지지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인스톨 홈 내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레그바아 및 제2레그바아가 하강할 때 회전력 조절유닛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하여 비교적 천천히 하강하게 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1레그바아 및 제2레그바아를 회전시킬 때 회전력 조절유닛에 의해 부하가 작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제1레그바아 및 제2레그바아를 회전시키기 위해 부하량 이상의 힘을 작용시켜야 하므로 운동효과가 향상된다.
셋째, 회전력 조절유닛의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제1레그바아 및 제2레그바아를 회전시키기 위해 가해져야 하는 힘을 사용자의 체력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넷째, 제1레그바아 및 제2레그바아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자체에서 감쇠력이 발생되므로, 감쇠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없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오일의 점성에 따른 유동저항을 이용하여 힌지의 회전 감쇠력을 조절하는 방식이므로, 작동횟수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조절력이 열화되지 않으므로, 조절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크로스 컨트리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오일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힌지바디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오일힌지의 힌지바디를 삭제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3의 바이패스 유로 및 조절밸브가 위치된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3의 단면도;
도 9는 도 3의 조절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따른 마찰패드가 구비된 회전력 조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A-A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B-B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1의 C-C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1의 마찰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17은 도 11에 가압부의 구성이 부가된 마찰패드가 구비된 회전력 조절유 닛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이하, '크로스 컨트리'라 칭하기로 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둥(110)과 제2기둥(120), 제1레그바아(140)와 제2레그바아(150) 및 회전력 조절유닛(170)과 손잡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기둥(110)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며, 바닥면에 대략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기둥(110)은 사용자의 하중이 더해진 작동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바닥면에 깊숙히 박힌다던지 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기둥(120)은 상기 제1기둥(110)으로부터 일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기둥(120) 또한 사용자의 하중이 더해진 작동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바닥면에 깊숙히 박힌다던지 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레그바아(140)는 일단이 상기 제1기둥(110)의 제2기둥(120)을 바라보는 면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1레그바아(140)의 하측 끝단에는 사용자의 한쪽 발이 올라설 수 있는 발판(160)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1레그바아(140)의 상기 제1기둥(110)에 결합되는 일단은 후술하는 회전력 조절유닛(170)에 결합되어 상기 제1기둥(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레그바아(150)는 상기 제1레그바아(14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기둥(120)의 제1기둥(110)을 바라보는 면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2레그바아(150)의 하측 끝단에는 사용자의 한쪽 발이 올라설 수 있는 발판(160)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2레그바아(150)의 상기 제2기둥(120)에 결합되는 일단은 후술하는 회전력 조절유닛(170)에 결합되어 상기 제2기둥(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1레그바아(140)의 발판(160)과 제2레그바아(150)의 발판(160)은 사용자가 올라선 후 다리를 전/후로 움직이는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레그바아(140)와 제2레그바아(150)에 올라선 사용자가 몸을 고정할 수 있는 손잡이(13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30)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기둥(110)과 제2기둥(120)에 각각 결합되며, 사용자가 운동시에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상기 제1레그바아(140)와 제2레그바아(150)에 올라선 사용자의 가슴높이 정도에 해당하는 높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레그바아(140)와 제2레그바아(150)는 상기 제1기둥(110)과 제2기둥(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레그바아(140)와 제2레그바아(150)의 발판에 올라선 후 손잡이를 잡고 다리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1레그바아(140)와 제2레그바아(150) 또한 진자처럼 전/후방향으로 스윙되면서 허리 및 다리근육을 굴신시켜 근력 및 심폐기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70)은 상기 제1레그바아(140)와 제1기둥(110)의 사이 및 상기 제2레그바아(150)와 제2기둥(120)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레그바아(140) 및 제2레그바아(150)를 상기 제1기둥(110) 및 제2기둥(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다. 또한, 상기 제1레그바아(140) 및 제2레그바아(150)의 회전력을 감쇠하는 감쇠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제1레그바아(140) 및 제2레그바아(150)가 회전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며, 상기 감쇠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200)으로서 오일힌지(200)가 구비되는 것을 제시한다.
상기 오일힌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둥(110)과 제1레그바아(140)의 사이와 제2기둥(120)과 제2레그바아(150)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며,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바디(210)와 힌지커버(220) 및 힌지 샤프트(230)와 베인(240), 바이패스 유로(260)와 조절밸브(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 바디(21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힌지(2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수용공간(212)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힌지 바디(210)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힌지 샤프트(230)가 관통되는 구멍(215)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 바디(210)는 상기 제1기둥(110) 또는 제1레그바아(140)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2기둥(120) 또는 제2레그바아(15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기둥(110) 또는 제2기둥(12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커버(2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바디(210)의 개구된 부분에 결합되어 수용공간(212)을 폐쇄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힌지커버(220)의 중앙부에도 후술하는 힌지 샤프트(230)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2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바디(210)와 힌지커버(220)의 중앙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며, 상기 힌지 바디(210)의 수용공간(212) 내측벽과 상기 힌지 샤프트(230)와의 사이에는 오일이 봉입되는 오일챔버(214)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230)는 제1기둥(110) 또는 제1레그바아(140) 중 어느 하나 또는 제2기둥(120) 또는 제2레그바아(150) 중 상기 힌지 바디(210)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레그바아(140) 또는 제2레그바아(15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 샤프트(230)의 상기 힌지 바디(210) 및 힌지커버(220)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힌지 샤프트(2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오일이 새지 않도록 밀폐하는 베어링(23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인(2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샤프트(23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 샤프트(230)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12)의 내측벽을 향하여 상기 힌지 샤프트(230)를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베인(240)은 상기 힌지 샤프트(230)의 회전을 따라 상기 힌지 샤프트(230)를 축으로 회전되며, 상기 베인(240)은 상기 수용공간(212)의 내측벽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오일챔버(214) 내부의 오일을 밀어내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과 타단이 상기 오일챔버(214)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베인(240)에 의해 밀려지는 오일이 상기 오일챔버(214) 외측으로 우회하여 유동되는 통로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12) 내벽에서 상기 힌지 샤프트(23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차단블록(2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록(250)은 상기 베인(240)에 의해 밀려지는 오일이 계속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인(240)의 회전범위 또한 상기 차단블록(250)의 위치 및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는 상기 힌지 바디(21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블록(250)이 형성된 지점의 오일챔버(214)의 일측과 타측을 연통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는 상기 힌지 바디(2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차단블록(250)을 관통하여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인(240)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했을 때, 상기 베인(240)의 전측과 차단블록(250) 사이의 공간을 제1오일챔버(216)라 칭하고, 상기 베인(240)의 후측과 차단블록(250) 사이의 공간을 제2오일챔버(218)라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 베인(24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상기 제1오일챔버(216)내의 오일은 상기 베인(240)에 의해 밀리는데, 상기 차단블록(250)으로 인해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를 통해 제2오일챔버(218)로 유동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베인(2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도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를 통해 제2오일챔버(218)의 오일이 제1오일챔버(216)로 유동된다.
도 6 및 도 8의 도면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가 힌지 바디(210)의 외부까지 연통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를 형성할 때 제작상 편의의 이유로 외측으로부터 뚫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형성된 것이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의 제작 후에는 별도의 재료로 폐쇄되어 바이패스 유로(260)를 지나는 오일이 새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조절밸브(27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내에 유동되는 오일의 유동저항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의 개도가 최대로 되면, 상기 오일의 유동저항이 최소가 되므로 감쇠력은 최소가 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의 개도가 최소가 되면 상기 오일의 유동저항이 최대가 되므로 감쇠력이 최대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절밸브(270)는 인스톨 홈(272)과, 스프링(274) 및 밸브바디(275)와 조절나사(27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스톨 홈(272)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가 상기 힌지 바디(210)에 형성되었으므로, 상기 인스톨 홈(272) 또한 상기 힌지 바디(210)에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홈(272)의 내부에 끝단에는 상기 인스톨 홈(272)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27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바디(275)는 상기 스프링(274)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인스톨 홈(272)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조절나사(279)는 상기 인스톨 홈(272)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인스톨 홈(272)의 내주면과 치합되어 상기 인스톨 홈(272)을 밀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절나사(279)는 상기 밸브바디(275)가 상기 스프링(27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편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상기 밸브바디(275)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조절나사(279)는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상기 인스톨 홈(272)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274)에 의해 지지되는 밸브바디(275)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275)는 상부 플랜지(276)와 하부 플랜지(277) 및 상기 상부 플랜지(276)와 하부 플랜지(277)의 사이에 구비되는 오링(27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링(278)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를 밀폐하기 충분한 두께 또는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오링(278)이 구비된 밸브바디(275)가 조절나사(279) 및 스프링(274)에 의해 상기 인스톨 홈(272) 내부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상기 오링(278)이 구비된 밸브바디(275)가 상기 인스톨 홈(272) 내부의 바이패스 유로(260)와 연통된 부분을 완전히 막으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가 완전히 막힘으로써 오일의 유동이 불가능해져 감쇠력이 최대가 되며, 상기 밸브바디(275)가 상기 인스톨 홈(272)의 바이패스 유로(260)와 연통된 부분을 완전히 벗어난 곳에 위치되면 상기 바이패스 유로(260)가 완전히 개방되게 되어 감쇠력이 최소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이 조절되는 오일힌지(200)가 운동기구등의 힌지부분에 결합된다면 상기 조절나사(279)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회전운동의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력 및 근력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부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운동효과가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력의 감쇠 수단으로서 점성을 가진 오일의 유동저항을 이용하므로, 사용횟수 및 기간이 늘어나도 일정한 감쇠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크로스 컨트리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70)로서 오일힌지(200)를 사용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70)로서 마찰힌지(3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컨트리(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컨트리(100)는 제1기둥(110)과 제2기둥(120), 제1레그바아(140)와 제2레그바아(150) 및 회전력 조절유닛(170)을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70)으로서 오일힌지(200)를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마찰힌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힌지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0)와 하우징(320) 및 샤프트(330)와 피봇암(340) 및 마찰패드(352, 3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0)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밑판(312)의 중심에서 소정높이 돌출된 서포트부(314)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314)는 대략 원기둥의 형태를 이루며, 끝단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310)는 상기 제1기둥(110) 또는 제1레그바아(140)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2기둥(120) 또는 제2레그바아(15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기둥(110) 또는 제2기둥(12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20)은 상기 베이스(310)의 서포트부(314) 외주면에 치합되며, 치합된 후 회전되면서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서포트부(314)의 돌출된 길이방향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20)은 그 내부에 상기 서포트부(314)와의 사이에 소정의 내부공간(326)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20)의 상기 원통형태의 서포트부(314)의 지름방향을 향하는 측면에는 개구부(328)가 서로 바라보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은 도 12 및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322)과 제2하우징(324)으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24)은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속이 빈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부(314)의 외주면에 치합되도록 상기 베이스(310)의 밑판(312)을 향하는 측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서포트부(314)와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하우징(324)은 회전방향에 따라 의해 상기 서포트부(314)의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322)은 상기 제2하우징(324)의 서포트부(314)와 치합된 맞은편에 결합된다. 상기 제1하우징(322)은 상기 서포트부(314)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하우징(322)의 제2하우징(324)과 결합하는 측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324)과 결합했을 때 개구부(328)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330)는 상기 베이스(310)와 상기 하우징(320)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샤프트(330)와 하우징(320)의 사이에는 베어링(302)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3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피봇암(340)은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20)과 서포트부(31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326)에서 상기 샤프트(330)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320)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328)를 통해 상기 하우징(320)의 외측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피봇암(340)은 상기 서포트부(314)의 윗면과 대략 평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봇암(340)의 양 끝단에는 결합공(34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42)은 제1기둥(110) 또는 제1레그바아(140) 중 어느 하나 또는 제2기둥(120) 또는 제2레그바아(150) 중 상기 베이스(310)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레그바아(140) 또는 제2레그바아(15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샤프트(330)가 상기 하우징(3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므로, 상기 피봇암(340) 또한 상기 하우징(320) 및 베이스(3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봇암(340)은 상기 하우징(320)의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320)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봇암(340)의 회전범위(304)는 실질적으로 상기 개구부(328)가 형성된 각도 범위만큼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피봇암(340)과 결합된 팬들럼 바아(130)도 상기 피봇암(340)의 회전을 따라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찰패드(352, 35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되어 상기 피봇암(340)의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와 같은 마찰패드(352, 354)는 상기 하우징(32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부(31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하우징(320)의 내측벽면에 의해 상기 피봇암(340)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마찰패드(352, 354)는 상기 피봇암(340)의 샤프트(330)와 직각을 이루는 면, 즉, 상기 서포트부(314)의 윗면과 평행을 이루는 면과 마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샤프트(330)와 피봇암(340)과의 사이에는 스페이서(332)가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332)는 상기 샤프트(330)가 중앙에 관통되며, 상기 샤프트(330)와 키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33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피봇암(340)은 상기 샤프트(330)와 압착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피봇암(340)은 상기 샤프트(330)와 반드시 압착고정될 필요는 없으며 자유회전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마찰패드(352, 354)는 도 12 및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찰패드(352)와 제2마찰패드(3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마찰패드(352)와 제2마찰패드(35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략 원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상기 샤프트(330) 및 스페이서(332)가 관통되는 홀(35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마찰패드(352)와 제2마찰패드(354)의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되는 부분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주면까지 연장된 홈(358)이 소정간격 형성되어 마찰패드(352, 354)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분진 등이 마찰면에 잔류하지 않고 홈(358)에 모인 후 외부로 배출 되어 마찰력을 향상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마찰패드(352, 354)는 석면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최근 석면에 대한 인체의 유해성이 대두되고 있어 유리섬유나 암면 세라믹 섬유나 철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케블러 섬유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마찰패드(352)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322)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322)과 피봇암(340)의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마찰패드(354)는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봇암(340)과 베이스(310)의 서포트부(314) 사이에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하우징(320)이 상기 서포트부(314)의 외주면에 치합되어 상기 서포트부(314)의 길이방향의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마찰패드(352) 및 제2마찰패드(354)가 상기 피봇암(340)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달라진다.
즉, 상기 하우징(320)이 상기 베이스(310)의 밑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하우징(320)이 상기 제1마찰패드(352)를 상기 피봇암(340)측으로 가압하고 그에 따라 상기 피봇암(340)은 상기 제2마찰패드(354)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마찰패드(352, 354)와 피봇암(340)간에 마찰력이 증대되어 회전에 대한 감쇠력이 강해지며, 반대로 상기 하우징(320)이 상기 베이스(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마찰패드(352) 및 제2마찰패드(354)가 상기 피봇암(340)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약해지므로 마찰력 또한 약해져 상기 피봇암(340)의 회전에 대한 감쇠력이 약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피봇암(340)의 회전 전범위(304)에 걸쳐 상기 마찰패드(352, 354)와 접촉하게 되므로 균일한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마찰패드(352, 354)는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함으로써 피봇암(340)의 회전력을 감쇠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마찰횟수가 증가할수록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마모될수록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패드(352, 354)간의 간격이 발생하거나 벌어지게 되어 마찰패드(352, 354)가 피봇암(340)에 눌려지는 압력이 줄어들어 감쇠력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마모된 만큼 상기 마찰패드(352, 354)를 상기 피봇암(340)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360)가 더 구비될 수 도 있다.
도 17은 가압부(360)가 더 구비된 마찰힌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힌지는 베이스(310) 및 하우징(320), 샤프트(330), 피봇암(340), 마찰패드(352, 3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는 전술한 마찰힌지(360)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힌지는 전술한 실시예의 마찰힌지에 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마모된 만큼 상기 마찰패드(352, 354)를 상기 피봇암(340)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마찰패드(352, 354)를 피봇암(340)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시한다.
즉,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상기 스프링(360)에 의해 상기 마찰패드(352, 354)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마찰패드(352, 354)가 마모되어도 마모된 만큼 피봇암(340)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피봇암(340)과의 접촉을 항시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우징(3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360) 또한 신축하여 변위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마찰패드(352, 354)를 피봇암(340) 측으로 가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감쇠력 또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프링(360)이 제2마찰패드(354)와 서포트부(314)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개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하우징(322)과 제1마찰패드(352)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양측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피봇암(340)과 마찰패드(352, 354)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레그바아(140) 및 제2레그바아(150)의 회전에 감쇠력이 작용됨으로써 상기 제1레그바아(140) 및 제2레그바아(150)의 회전력 및 상기 제1레그바아(140) 및 제2레그바아(15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크로스 컨트리 110: 제1기둥
120: 제2기둥 130: 손잡이
140: 제1레그바아 150: 제2레그바아
160: 발판 170: 회전력 조절유닛
200: 오일힌지 210: 힌지바디
212: 수용공간 214: 오일챔버
215: 구멍 216: 제1오일챔버
218: 제2오일챔버 220: 힌지커버
230: 힌지 샤프트 232: 베어링
240: 베인 250: 차단블록
260: 바이패스 유로 270: 조절밸브
272: 인스톨 홈 274: 스프링
275: 밸브바디 276: 상부 플랜지
277: 하부 플랜지 278: 오링
300: 마찰 조절유닛 302: 베어링
304: 회전범위 310: 베이스
312: 밑판 314: 서포트부
320: 하우징 322: 제1하우징
324: 제2하우징 326: 내부공간
328: 개구부 330: 샤프트
332: 스페이서 340: 피봇암
342: 결합공 352: 제1마찰패드
354: 제2마찰패드 356: 홀
358: 홈 360: 스프링

Claims (12)

  1. 바닥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는 제1기둥;
    상기 제1기둥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기둥;
    일단이 상기 제1기둥의 제2기둥을 마주보는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타단에 사용자의 한쪽 발을 지지하는 발판이 구비되는 제1레그바아;
    일단이 상기 제2기둥의 제1기둥을 마주보는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타단에 사용자의 다른 한쪽 발을 지지하는 발판이 구비되는 제2레그바아; 및
    상기 제1기둥과 제1레그바아의 사이 또는 제2기둥과 제2레그바아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레그바아 또는 제2레그바아를 상기 제1기둥 또는 제2기둥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제1레그바아와 제2레그바아의 회전력을 감쇠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감쇠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레그바아와 제2레그바아의 회전력의 조절이 가능한 회전력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은,
    밑판과 상기 밑판의 중앙부에 원기둥의 형태로 소정높이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서포트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서포트부 외주면에 치합되며 회전되면서 상기 서포트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서포트부의 지름방향의 측면에 서로 대칭적인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부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와 하우징을 관통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측까지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범위만큼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봇암; 및
    상기 베이스의 서포트부와 치합된 하우징에 의하여 상기 피봇암 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피봇암과 마찰함으로써 상기 피봇암의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 1 기둥과 제 1 레그바아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제 2기둥과 제 2 레그바아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피봇암의 양 끝단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은 제1기둥과 제1레그바아 중 어느 하나 또는 제2기둥과 제2레그바아 중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서포트부와 치합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되며, 결합되면서 상기 개구부 및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
    을 포함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피봇암 사이에 구비되는 제1마찰패드;
    상기 피봇암과 서포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마찰패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서포트부에 치합되어 서포트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피봇암측으로 가압되는 압력이 변화되어 피봇암과의 마찰력이 조절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피봇암과의 사이에는 상기 샤프트와 키결합되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은,
    상기 마찰패드가 마모된 만큼 상기 마찰패드를 상기 피봇암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마찰패드가 마모에 상관없이 항상 상기 피봇암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마찰패드를 상기 피봇암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KR1020100015376A 2010-02-19 2010-02-19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KR101174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376A KR101174364B1 (ko) 2010-02-19 2010-02-19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376A KR101174364B1 (ko) 2010-02-19 2010-02-19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739A KR20110095739A (ko) 2011-08-25
KR101174364B1 true KR101174364B1 (ko) 2012-08-16

Family

ID=4493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376A KR101174364B1 (ko) 2010-02-19 2010-02-19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3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3455A (zh) * 2019-07-23 2019-11-12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可调式摆腿健身器材
KR20220011757A (ko) 2022-01-11 2022-01-28 주영훈 야외운동기구 온몸근육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43Y1 (ko) * 2005-06-02 2005-08-18 정길균 하체 단련용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0882246B1 (ko) * 2008-05-28 2009-02-10 (주)디자인파크개발 롤링 웨이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43Y1 (ko) * 2005-06-02 2005-08-18 정길균 하체 단련용 공중걷기 운동기구
KR100882246B1 (ko) * 2008-05-28 2009-02-10 (주)디자인파크개발 롤링 웨이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3455A (zh) * 2019-07-23 2019-11-12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可调式摆腿健身器材
KR20220011757A (ko) 2022-01-11 2022-01-28 주영훈 야외운동기구 온몸근육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739A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3655A1 (en) Adjustable Prosthesis Leg
US20030032535A1 (en) Magnetic control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KR101174364B1 (ko)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크로스 컨트리형 운동기구
JP2007037974A (ja) 可動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運動器具
KR101174365B1 (ko)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
CN106039636B (zh) 户外健身器材
KR101174366B1 (ko) 회전력 조절유닛이 구비된 양팔 줄다리기형 운동기구
KR20000049739A (ko) 판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조절가능 뜀뛰기 운동기구
CN208591500U (zh) 一种简易式腿部康复行走器
KR101160587B1 (ko) 좌식운동 기능을 갖는 바이크용 안장
KR101252421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KR101962746B1 (ko) 스탠드형 스피닝 놀이기구
KR20130053612A (ko) 복합실내운동기구
KR101170439B1 (ko) 마찰패드가 구비된 회전력 감쇠유닛
CN209437980U (zh) 一种锻炼腿力的体育器械
KR200261719Y1 (ko) 더블 트위스트 판
CN107467952A (zh) 一种带有健身功能的智能沙发
ES1031204U (es) Aparato gimnastico y de rehabilitacion.
KR200334981Y1 (ko) 사이클 운동기구
CN110075472A (zh) 体育训练用阻尼结构
KR20020084047A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CN214150327U (zh) 一种pm10监测用微颗粒物在线检测装置
CN215461735U (zh) 一种安全性高的楼梯机
CN217246686U (zh) 用于虚拟游戏的弓箭道具
KR20050019230A (ko) 걸상용 발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