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999B1 -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 Google Patents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999B1
KR100881999B1 KR1020070068810A KR20070068810A KR100881999B1 KR 100881999 B1 KR100881999 B1 KR 100881999B1 KR 1020070068810 A KR1020070068810 A KR 1020070068810A KR 20070068810 A KR20070068810 A KR 20070068810A KR 100881999 B1 KR100881999 B1 KR 10088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disk
handle
inlet
upp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627A (ko
Inventor
하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포라이프
Priority to KR102007006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9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16K3/2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with fluid passages in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었으며 측면에는 제1유출구, 제2유출구 및 제3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유출구에 대응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되고, 제2유출구에 대응하는 제2유출공이 형성되며, 제3유출구에 대응하는 제3유출공이 형성되고, 유입구에 대응하는 유입공이 형성된 하부디스크와 이 하부디스크의 상면과 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면은 밀폐되고 하면에는 유입공과 제1,제2,제3유출공을 연통하는 연통홈이 형성된 상부디스크 및 이 상부디스크와 연결되어 상부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고, 이 상부디스크의 회전에 의하여 유입공과 제1,제2,제3유출공과의 연통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가 제공된다.
개시된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에 의하면, 핸들의 회전조작만으로 3개의 유로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유로조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고압의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기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앵글밸브, 관붙이, 세라믹, 디스크

Description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MULTIFUNCTIONAL PIPE MOUNTED ANGLE VALVE}
본 발명은 앵글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데 또는 정수기 등 다수의 제품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출구가 형성된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붙이 앵글밸브는 건물의 실내 벽체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에 설치되어 실내에서 수돗물을 사용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배관 자재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관붙이 앵글밸브는 벽체에 매설되어 있는 수도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그 내부에는 물을 차단 및 공급하기 위한 밸브가 내장되어 있으며, 수돗물이 흐르는 방향을 90도 꺽이도록 하여 변기의 수조 또는 샤워기 등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사회에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비데 또는 정수기 등이 일상생활에서 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제품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의 유출구가 형성된 관붙이 앵글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다수의 유출구가 형성된 관붙이 앵글밸브는 각각의 유 출구 유로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각의 유출구마다 밸브가 필요하며 각각의 유로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밸브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유로조절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여러 가지 제품과 연결된 다수의 유출구 유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었으며 하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1유출구, 제2유출구 및 제3유출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유출구에 대응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유출구에 대응하는 제2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유출구에 대응하는 제3유출공이 형성된 하부디스크; 상기 하부디스크의 상면과 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면은 밀폐되고 하면에는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제1,제2,제3유출공을 연통하는 연통홈이 형성된 상부디스크; 및 상기 상부디스크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디스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유입공과 제1,제2,제3유출공과의 연통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공은 상기 하부디스크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홈은 상기 유입공의 위치를 포함하는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제2,제3유출공은 상기 연통홈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상부디스크 또는 상기 하부디스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세라믹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와 상기 핸들의 사이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 및 상기 이동홈과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가이드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핸들을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고정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핸들과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부디스크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디스크로 전달하는 디스크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에 따르면, 핸들의 회전조작만으로 3개의 유로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은 누른 상태에서만 회전이 가능하며, 핸들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유로조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고온고압의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기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100)는 몸체(110), 하부디스크(120), 상부디스크(130) 및 핸들(17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원통 형상이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수돗물 등의 유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11)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110)의 측면에는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제1, 제2, 제3유출구(112,113,114)가 형성된다.
한편, 하부디스크(120)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위치며, 이 하부디스크(120)의 상면에는 상부디스크(130)가 회전가능하도록 위치하는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 하부디스크(120) 및 상부디스크(13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하부디스크 및 상부디스크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하부디스크의 상면도이며, 도 5는 하부디스크의 하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디스크(120)는 중앙부에 상기 유입구(114)에 대응하는 유입공(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디스크(120)의 외곽으로 상기 제1,제2,제3유출구(112,113,114)에 대응하는 제1,제2,제3유출공(122,123,124)이 형성된다.
유입구(111) 및 제1,제2,제3유출구(112,113,114)의 유로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서 하부디스크(120)의 하면과 접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쪽으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디스크(130)는 하부디스크(120)의 상면과 접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위치하며, 상면은 밀폐되어 있다. 상부디스크(130)의 하면을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상부디스크(130)의 하면에는 상기 유입공(121)과 제1,제2,제3유출공(122,123,124)을 연통하는 연통홈(13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디스크(130)에는 핸들(170)이 연결되어 상부디스크(1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부디스크(13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유입공(111)과 제1,제2,제3유출공(112,113,114)의 연통을 단속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하부디스크(120)와 접해있는 상부디스크(13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유입공(111)과 제1,제2,제3유출공(112,113,114)이 단속되는 원리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부디스크(130)의 연통홈(135)이 하부디스크(120)의 유입공(121)과 연통되어 있으며, 나머지 제1,제2,제3유출공(122,123,124)은 상부디스크(130)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유입공(121)을 통하여 몸체(110)로 유입된 유체가 다시 유출될 수 있는 통로인 제1,제2,제3유출공(122,123,124)이 모두 막혀있으므로, 제1,제2,제3유출구(112,113,114)로 유체가 유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부디스크(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유입공(121)과 제1유출공(122)이 연통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유입공(121)으로 유입된 유체가 제1유출공(122)을 통하여 제1유출구(112)로 유출된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상부디스크(130)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유입공(121)과 제1,제2유출공(122,123)이 연통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유입공(121)으로 유입된 유체가 제1,제2유출공(122,123)을 통하여 제1,제2유출구(112,113)로 동시에 유출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디스크(130)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유입공(121)과 제1,제2,제3유출공(122,123,124)이 모두 연통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유입공(121)으로 유입된 유체가 제1,제2,제3유출공(122,123,124)을 통하여 제1,제2,제3유출구(112,113,114)로 동시에 유출된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디스크(130)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유입공(121)과 제2,제3유출공(123,124)이 연통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유입공(121)으로 유입된 유체가 제2,제3유출공(123,124)을 통하여 제2,제3유출구(112,113)로 유출되고. 제1유출공(122)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제1유출구(112)로는 유체가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디스크(130)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유입공(121)과 제3유출공(124)이 연통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제2유출공(122,123)이 차단되므로, 제3유출구(114)로만 유체가 유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100)는 상부디스크(130)의 회전에 의하여 제1,제2,제3유출구(112,113,114)의 유로가 조절되므로, 상부디스크(130)에 연결된 핸들(170)을 돌리는 매우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3개의 유로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공(121)은 하부디스크(12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연통홈(135)은 유입공(121)과 제1,제2,제3유출공(122,123,124)을 연통할 수 있도록 반원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하부디스크(120)에 형성된 유입공(121) 및 제1,제2,제3유출공(122,123,124)에는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패킹(PACKING)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100)는 커버(150) 및 스프링(160)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유로의 조절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는 커버 및 핸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커버와 핸들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150)는 몸체(110)의 상부와 결합하며 외주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 및 상기 이동홈과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으로 구성된 가이드홈(1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70)은 사용자가 편하게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핸들(170)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51)에 대응하는 고정핀(171)이 형성된다. 한편, 스프링(160)은 상기 핸들(170)을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핸들(170)이 회전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핸들(170)을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가이드핀(171)이 가이드홈(151)의 이동홈쪽으로 하강하며, 이때 핸들(170)을 회전시켜 상부디스크(130)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되도록 하고, 핸들(170)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160)에 의하여 핸들(170)이 상승하고 가이드핀(171)도 같이 상승하여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핸들(170)의 회전이 고정된다.
즉, 사용자가 핸들(170)을 누른 상태에서는 핸들(170)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여 원하는 유로조절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핸들(170)에서 손을 떼면, 핸들(170)의 회전이 고정되어 유로가 고정된다.
따라서, 핸들(170)의 회전조작만으로 다수의 유로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유로조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걸림홈이 2개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핸들(170)의 작동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단순하게 나타낸 것이며,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핸들(17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100)는 상기 핸들(170)과 상부디스 크(130)사이에 위치하여 핸들(170)의 회전력을 상부디스크(130)로 전달하는 디스크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커버(140)는 핸들(170)과 같이 회전하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핸들(170)이 상하운동을 하며 회전하더라도 상부디스크(130)에는 회전력만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디스크(130) 또는 하부디스크(120)는 세라믹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은 부식에 강하며 열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아 서로간의 기밀성이 매우 뛰어난 재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100)는 고온고압의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기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디스크와 상부디스크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디스크의 상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부디스크의 하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상부디스크의 하면도,
도 7 내지 도 12는 하부디스크와 상부디스크의 연통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크커버와 핸들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디스크커버와 핸들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110...몸체
111...유입구 112...제1유출구
113...제2유출구 114...제3유출구
120...하부디스크 121...유입공
122...제1유출공 123...제2유출공
124...제3유출공 130...상부디스크
135...연통홈 140...디스크커버
150...커버 151...가이드홈
160...스프링 170...핸들

Claims (5)

  1. 원통형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었으며 측면에는 제1유출구, 제2유출구 및 제3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유출구에 대응하는 제1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유출구에 대응하는 제2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유출구에 대응하는 제3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 대응하는 유입공이 형성된 하부디스크;
    상기 하부디스크의 상면과 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상면은 밀폐되고 하면에는 상기 유입공과 상기 제1,제2,제3유출공을 연통하는 연통홈이 형성된 상부디스크; 및
    상기 상부디스크와 연결되어 상기 상부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디스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유입공과 제1,제2,제3유출공과의 연통을 단속하며,
    상기 유입공은 상기 하부디스크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홈은 상기 유입공을 연통하는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제2,제3유출공은 상기 연통홈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디스크 또는 상기 하부디스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세라믹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4. 제 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핸들의 사이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 및 상기 이동홈과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는 가이드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핸들을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고정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부디스크의 상부와 결합하여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디스크로 전달하는 디스크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KR1020070068810A 2007-07-09 2007-07-09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KR100881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10A KR100881999B1 (ko) 2007-07-09 2007-07-09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10A KR100881999B1 (ko) 2007-07-09 2007-07-09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27A KR20090005627A (ko) 2009-01-14
KR100881999B1 true KR100881999B1 (ko) 2009-02-04

Family

ID=4048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10A KR100881999B1 (ko) 2007-07-09 2007-07-09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9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936Y1 (ko) * 1998-05-12 2001-10-25 박신규 자동수전의온/냉수혼합조절장치및이를이용한급수제어시스템
KR200403476Y1 (ko) * 2005-09-16 2005-12-09 석길래 2개의 노즐을 갖는 비데의 급수제어장치
KR100639669B1 (ko) * 2005-06-22 2006-10-30 정경희 자동 온도 조절 기능이 구비된 기계식 비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936Y1 (ko) * 1998-05-12 2001-10-25 박신규 자동수전의온/냉수혼합조절장치및이를이용한급수제어시스템
KR100639669B1 (ko) * 2005-06-22 2006-10-30 정경희 자동 온도 조절 기능이 구비된 기계식 비데
KR200403476Y1 (ko) * 2005-09-16 2005-12-09 석길래 2개의 노즐을 갖는 비데의 급수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27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6123B1 (en) Insertion to a single-grip, rotation-operated mixing faucet
US68745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two valves
US6237622B1 (en) Flow diverter assembly
CN100511070C (zh) 恒温混合阀
CA2488693A1 (en) Water guard pressure balancer
KR20080075417A (ko) 수도밸브용 슬라이딩 카트리지
KR100881999B1 (ko) 다기능 관붙이 앵글밸브
KR20090071507A (ko) 온냉수혼합꼭지
WO2013018402A1 (ja) 湯水混合水栓
KR100567657B1 (ko) 수도밸브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JP2008133932A (ja) 水栓における弁機構
US20100044610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utlets of a fluid distributor valve
KR200289789Y1 (ko) 온도조절밸브
KR20080025488A (ko) 수도밸브 카트리지
CN206309990U (zh) 一种出水混合阀芯
KR102360862B1 (ko) 밸브 장치
KR200260321Y1 (ko) 에너지 절약형 냉ㆍ온수 혼합 수도꼭지
KR200459490Y1 (ko) 2방향 밸브 및 이를 채용한 수도꼭지
KR100445456B1 (ko) 냉온수의 온도 조절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KR20100005396A (ko) 밸브
KR200213323Y1 (ko) 밸브용 실링의 기밀구조
KR101496264B1 (ko)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CN214789184U (zh) 一种调温模组及龙头
KR101339986B1 (ko) 물의 공급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전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