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320B1 -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320B1
KR100881320B1 KR1020070040953A KR20070040953A KR100881320B1 KR 100881320 B1 KR100881320 B1 KR 100881320B1 KR 1020070040953 A KR1020070040953 A KR 1020070040953A KR 20070040953 A KR20070040953 A KR 20070040953A KR 100881320 B1 KR100881320 B1 KR 100881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ing
high brightness
light
hours
weigh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059A (ko
Inventor
우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즈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즈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즈필
Priority to KR1020070040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3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광반사 소자의 광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휘도 반사용 잉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반사 소자의 측면과 바닥면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광 반사율을 향상시키고, 저렴한 반사층의 형성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광반사 소자의 광손실을 막아 광량 상승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 광 반사율, 박막 알루미늄, 아크릴수지

Description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및 제조 방법 {High reflective ink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high brightness }
도 1은 종래의 램프 타입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알루미늄 페이스트 및 혼합 교반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를 인쇄한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사진.
도 5는 도 4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를 PET 필름에 인쇄한 인쇄막의 2000배 확대 사진.
도 7은 도 6에 따른 인쇄층의 단면도.
*** 도면의 간단한 설명 ***
1: 잉크 층 2: 에폭시 수지
3: 양극 리드 4: 음극 리드
5: 양극 본딩 패드 6: 다이패드
8: 리드프레임 컵 9: 발광다이오드칩
10: 금선 11: 음극 본딩 패드
12: 아크릴 수지 층 13: 알류미늄 박막
14: PET 필름
본 발명은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발광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광반사 소자의 광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휘도 반사용 잉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램프 타입(Lamp type)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나타낸 것으로, 니켈 또는 은으로 도금된 리드 프레임 컵(8)의 다이패드(6)에 발광다이오드칩(9)을 실장하고, 다이패드(6)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칩(9)과 양극 본딩패드(5)로 연결한다. 이때, 양극 본딩 패드(5)와 음극 본딩 패드(11)는 각각 양극 리드(3)와 음극 리드(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에 에폭시 수지(2)로 몰딩하고 이를 트리밍하여 개별화함으로써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통상적으로 패키지 측면의 광손 실율이 40%를 차지한다. 특히 팸프형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경우 리드 프레임컵(8)을 통하여만 전면에 반사된다.
한편, 리드 프레임컵(8)이 없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경우는 전반사의 효과로 5% 미만이 전면 반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소자들은 광손실이 많았다.
또한 일부 발광다이오드 소자는 다이패드(6) 면에 광반사율이 떨어지는 층을 이룸으로써, 바닥면으로 반사된 손실광 30%중 일부만이 전면 반사에 기여하여 발광다이오드칩(9)의 보유 발광의 50% 수준만을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발광다이오드칩(9)이 방사하는 빛의 50% 이상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전방으로 방사 광량을 줄임으로써, 발광다이오드 소자의 광휘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다이오드(LED) 등과 같은 광반사 소자의 측면과 바닥면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빛 손실을 줄임과 동시에 광반사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그와 같은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를 저렴한 제조 비용과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디메틸 글루타레이트(Dimethyl glutarate)와 디메틸석시네이트(Dimethyl succinate)를 3 : 5 : 2의 무게비로 혼합한 용매 용액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65 : 35의 무게비로 혼합한 후, 60℃로 승온하여 5시간 이상 용해하여 아크릴 수지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제조한 아크릴 수지 바인더 20%, 박막 알류미늄 페이스트 75%, 실리콘계 소포제 1%, 침강 방지제 2%, 습윤제 2%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서서히 약 2시간 이상 교반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및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알루미늄 페이스트 및 혼합 교반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를 인쇄한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사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를 PET 필름에 인쇄한 인쇄막의 2000배 확대 사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인쇄층의 단면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는 다음과 같은 공정 순서에 따라 제조된다.
(A) 아크릴수지 바인더의 제조 공정
용매로 사용하기 위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디메틸 글루타레이트(Dimethyl glutarate)와 디메틸석시네이트(Dimethyl succinate)를 무게비(이하, 함량비율은 모두 '무게비' 임) 30 : 50 : 20으로 혼합하여 용매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된 용매 용액에 아크릴계 공중합체인 메타크릴산 중합체를 서서히 투입하여 용매 용액과 메타크릴산 중합체를 65 : 35의 무게비로 혼합한 후, 60℃로 승온하여 5시간 이상 용해하여 아크릴 수지 바인더를 제조한다.
(B) 박막 알류미늄 페이스트 제조 공정
도 3을 참고하면, 얇은 PET필름(100)에 알류미늄으로 진공증착하고(B1), 이 진공 증착된 필름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에 담그고 4~5시간이 경과되면 진공증착된 알류미늄 막(110)과 PET필름(100)간의 분리가 일어난다(B2).
이때, PET 필름만을 건져내고, 분해되어 있는 알류미늄 박을 분산기로 고속 회전하여 미립화하여 박막 알류미늄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이때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와 알류미늄 박의 무게 비를 90 : 10 내지, 89 : 11 정도로 유지하여야 최대의 분산력과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다. 알류미늄 박의 입자 크기는 10~12㎛을 유지해야 한다. 함량비가 미량이거나 초과할 경우 휘도 저하의 원인이 되며 또한 박막의 입자 크기(13)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잉크 표면의 불균일로 인하여 반사 휘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C) 혼합 교반 공정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단계(B)를 통해 제조된 박막 알류미늄 페이스트 75%와, 상기 단계(A)에서 혼합 제조한 아크릴 수지 바인더 20%, 실리콘계 소포제 1%, 침강 방지제 2%, 습윤제 2%를 혼합(표1의 ⓓ)하고(C1), 상온에서 서서히 2∼3시간 이상 교반 혼합하면 제조 공정이 끝난다.(C2)
이렇게 얻게 된 함량비는 각 구성 성분 간의 함량비를 달리했을 때의 광 반사율과 발광다이오드 면과의 밀착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함량비로서, 이는 하기의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결론적으로 제조된 고휘도 잉크를 원하는 곳에 다양한 방법으로 코팅을 하면(도12) 빛 손실을 막고 반사를 증대시켜 고휘도의 발광다이오드를 얻을 수 있다.
(표1. 잉크 조성 함량별 반사율과 부착 시험)
비 고
알류미늄페이스트 60 65 70 75 80
아크릴Binder 35 30 25 20 15
소포제 1 1 1 1 1 실리콘계 소포제
침강방지제 2 2 2 2 2
습윤제 2 2 2 2 2
합계(wt%) 100 100 100 100 100
광택 측정치 75 87 89 95 99 BYK-Garder사(社) 광택측정기 60°광반사율(%)을 측정한 것임
밀착력(100/100) 0/100 0/100 0/100 0/100 2/100 1mm간격으로 100칸을 cross cut 하여 스카치 테입 밀착시험으로 100칸중 박리되는 칸수를 기록
이상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는 다양한 광반사 소자의 광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일 예로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를 딥핑(Deeping)의 방법으로 코팅한 발광 다이오드 사진이고, 도 5는 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에폭시 수지(2) 층의 측면과 바닥면에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를 코팅(1)하여 줌으로서, 기존의 도금이나 진공증착법보다 간단하고 비용도 저렴하며, 반사효과도 우수하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는 그 적용예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차의 헤드램프나 각종 조명기구 등과 같이 빛을 이용하는 조명기구들 즉 빛을 이용하여 배후 면의 빛 손실을 차단하여 반사되어 전면으로 반사되어 휘도를 높이고자 하는 기구들은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로 간단하고 손쉽게 코팅하거나 실크스크린 인쇄, 스프레이 코팅 등의 기법으 로 코팅하여 높은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의 적용 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PET 필름(14)에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를 실크스크린 인쇄하여 인쇄막을 형성하면 알류미늄 박막층(13)과 아크릴 수지층(12)을 형성하여 고휘도 반사막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등과 같은 광반사 소자의 측면과 바닥면에 반사층을 형성하게 되면 저렴한 비용과 쉬운 공정으로 반사율이 높은 고휘도의 발광다이오드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헤드램프나 각종 조명기구 등과 같이 빛을 이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광반사 소자의 빛 손실을 막기 위한 반사판의 코팅으로 보다 광 반사율이 향상된 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디메틸 글루타레이트(Dimethyl glutarate)와 디메틸석시네이트(Dimethyl succinate)를 3 : 5 : 2의 무게비로 혼합한 용매 용액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65 : 35의 무게비로 혼합한 후, 60℃로 승온하여 5시간 이상 용해하여 아크릴 수지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제조한 아크릴 수지 바인더 20%, 박막 알류미늄 페이스트 75%, 실리콘계 소포제 1%, 침강 방지제 2%, 습윤제 2%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서서히 2시간 이상 교반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알류미늄 페이스트는;
    얇은 PET필름에 알류미늄으로 진공증착하고, 그 진공 증착된 필름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에 담그고 4~5시간이 경과되어 진공 증착된 알류미늄 막과 PET필름간의 분리되면, PET 필름을 분리 제거하고, 분해되어 있는 알류미늄 박을 분산기로 고속 회전하여 미립화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와 알류미늄 박은 90 : 10 내지 89 : 11의 무게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의 제조 방법.
  4. 광반사 소자에 도포되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와 디메틸 글루타레이트(Dimethyl glutarate) 및 디메틸석시네이트(Dimethyl succinate)를 3 : 5 : 2의 무게비로 혼합한 용매 용액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65 : 35의 무게비로 혼합한 후 60℃로 승온하여 5시간 이상 용해하여 아크릴 수지 바인더 20%, 박막 알류미늄 페이스트 75%, 실리콘계 소포제 1%, 침강 방지제 2%, 습윤제 2%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서서히 2시간 이상 교반 혼합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소자는 발광다이오드, 헤드램프, LCD Back-Light, 조명기구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KR1020070040953A 2007-04-26 2007-04-26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및 제조 방법 KR100881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953A KR100881320B1 (ko) 2007-04-26 2007-04-26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953A KR100881320B1 (ko) 2007-04-26 2007-04-26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059A KR20080096059A (ko) 2008-10-30
KR100881320B1 true KR100881320B1 (ko) 2009-02-02

Family

ID=4015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953A KR100881320B1 (ko) 2007-04-26 2007-04-26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039B1 (ko) 2022-08-16 2023-03-14 주식회사 에스에스씨아이 고휘도 거울 효과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4566B2 (ja) 1993-12-22 1998-08-06 ヤマックス株式会社 金属光沢を有する光輝印刷物
JP2003344662A (ja) 2002-05-30 2003-12-03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導光板の製造方法、及び紫外線硬化型インキ
JP2004175965A (ja) 2002-11-28 2004-06-24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インキ及びその製造方法、インキを製造するための材料並びに印刷物
JP2006257333A (ja) 2005-03-18 2006-09-28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インキおよび印刷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4566B2 (ja) 1993-12-22 1998-08-06 ヤマックス株式会社 金属光沢を有する光輝印刷物
JP2003344662A (ja) 2002-05-30 2003-12-03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導光板の製造方法、及び紫外線硬化型インキ
JP2004175965A (ja) 2002-11-28 2004-06-24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インキ及びその製造方法、インキを製造するための材料並びに印刷物
JP2006257333A (ja) 2005-03-18 2006-09-28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インキおよび印刷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039B1 (ko) 2022-08-16 2023-03-14 주식회사 에스에스씨아이 고휘도 거울 효과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059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657B1 (ko) 저온 동시소성 세라믹 (ltcc) 테이프 조성물, 발광다이오드 (led) 모듈, 조명 장치 및 이들의 형성 방법
CN103400929B (zh) 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DE102008021402B4 (de) Oberflächenmontierbares Leuchtdioden-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berflächenmontierbaren Leuchtdioden-Moduls
EP2281316B1 (de) Optoelektronisches halbleiterbauteil
DE102007021042A1 (de) Leuchtdiodenmodul für Lichtquellenreihe
WO2008014750A2 (de) Dünnfilm-halbleiterbauelement und bauelement-verbund
KR20080091483A (ko) 발광 모듈과 그것을 이용한 백 라이트 및 액정 표시 장치
US20120146494A1 (en) Light-emitting device
CN106887511A (zh) 封装件和发光装置以及它们的制造方法
US10873016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48338A (ko) 광학소자용 패키지 기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4207037A1 (de)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17117273A1 (de)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US20150200336A1 (en) Wafer level contact pad standoffs with integrated reflector
JP2015211058A (ja) 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81320B1 (ko) 고휘도 광반사용 잉크 및 제조 방법
JP4776175B2 (ja)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0853412B1 (ko) 반도체 패키지
CN102104105A (zh) 用于光学元件的封装基板及其制备方法
DE102012006924A1 (de) LED-Beleuchtungsmodul mit gleichförmiger Lichtabgabe
US20230197911A1 (en) Side emitting led package with bevel light emitting surface
CN102299238A (zh) 发光装置和使用该发光装置的led照明器具
CN109980067A (zh) 高光效白光芯片及其制备方法
US9954144B2 (en) Wafer level contact pad solder bumping for surface mount devices with non-planar recessed contacting surfaces
US1174977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