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005B1 - 전자 부품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005B1
KR100881005B1 KR1020060108409A KR20060108409A KR100881005B1 KR 100881005 B1 KR100881005 B1 KR 100881005B1 KR 1020060108409 A KR1020060108409 A KR 1020060108409A KR 20060108409 A KR20060108409 A KR 20060108409A KR 100881005 B1 KR100881005 B1 KR 10088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lectrode film
capacitor
electrod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565A (ko
Inventor
쯔요시 마쯔모또
요시히로 미즈노
시아오유 미
히사오 오꾸다
사또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52Terminals the terminals being coated on the capaci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3Thin- or thick-film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1/0007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of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filters

Abstract

고내전압을 실현하는데 알맞은 캐패시터부를 가지는 전자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은, 기판(S)과, 캐패시터부(10A)와, 배선부(40)를 구비한다. 캐패시터부(10A)는, 기판(S) 위에 형성된 전극막(11), 해당 전극막(11)에 대향하고 또한 2∼4㎛의 두께를 가지는 전극막(12), 및, 해당 전극막(11, 12) 사이의 유전체막(13)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진다. 배선부(40)는, 전극막(12)에서의 유전체막(13)과는 반대측에 접합하는 접합부(41)를 가진다.
집적형 전자 부품, 기판, 캐패시터, 전극막, 유전체막, 코일 인덕터, 전극 패드, 배선, 접합부, 보호막

Description

전자 부품{ELECTRONIC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형 전자 부품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선 II-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 IV-IV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집적형 전자 부품의 회로 구성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집적형 전자 부품의 제조시의, 캐패시터 및 그 근방의 형성 과정의 일부의 공정도.
도 7은 도 6 이후에 계속되는 공정도.
도 8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대한 내전압 측정의 결과도.
도 9는 종래의 IPD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X : 집적형 전자 부품
S : 기판
10, 10A, 10B : 캐패시터
11, 12 : 전극막
13: 유전체막
20 : 코일 인덕터
30A, 30B, 30C, 30D : 전극 패드
40 : 배선
41 : 접합부
50 : 보호막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평4-61264호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33239호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반도체 프로세스 기술을 이용해서 기판 위에 캐패시터부가 형성된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와이어리스 LAN 등의 RF(Radio Frequency)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능적 디바이스 간의 양호한 신호 전달을 실현하기 위해, 해당 신호에 대하여 위상 매칭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각 디바이스의 신호 입출력부에는, 일반적으로, 인덕터나 캐패시터 등의 수동 부품을 구성 요소로서 포함하는 수동 소자가,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위상기로서 형성된다.
또한,RF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협대역용 주파수 필터로서 SAW 필터가 이용된다. SAW 필터는 압전 소자를 구성 요소에 포함하는 바, SAW 필터가 조립되 는 기기의 제조 과정이나 사용시 등에, 물리적인 충격이나 열적인 작용이 어떠한 이유에서 SAW 필터 또는 그 압전 소자에 가해지면, 압전 효과에 의해 압전 소자 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생긴다. 이때, SAW 필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 부품에는 소정의 전압이 가해진다. 전술한 수동 소자(위상기)에 포함되는 캐패시터는, SAW 필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해당 캐패시터에는, SAW 필터또는 그 압전 소자의 존재에 기인해서 우발적으로 생기는 전압 인가에 의해 캐패시터 전극 사이에 절연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높은 내전압(예를 들면 150V 이상)이 요구된다.
한편,RF 시스템에서는, 고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요하는 부품의 증가 등에 수반하여, 각 부품의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소형화의 관점에서, 전술한 수동 소자(위상기)로서는, 반도체 프로세스 기술을 이용해서 제조되는, 소정의 복수의 수동 부품(인덕터, 캐패시터, 저항, 필터 등)이 고밀도로 집적화된 IPD(Integrated Passive Device)가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IPD를 채용하는 경우에도, 거기에 포함되는 캐패시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패시터 전극 간에 절연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높은 내전압이 요구된다. IPD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다.
도 9는, 종래의 IPD(90)의 부분 단면도이다. IPD(90)는, 기판(91)과, 캐패시터(92)를 포함해서 기판(91) 위에서 집적화된 복수의 수동 부품과, 배선부(93)와, 보호막(94)을 구비한다. 캐패시터(92)는, 전극막(92a)(하위 전극막), 전극막(92b)(상위 전극막), 및 유전체막(92c)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진다. 배 선부(93)는, 전극막(92b)과 접합하는 접합부(93a)를 가진다.
전극막(92b)의 두께는 약 1㎛이다. 전극막(92b)의 형성에서는, 기판(91) 위에 미리 형성된 전극막(92a) 및 유전체막(92c)을 피복하도록 전극막(92b) 형성용의 도체막이 기판(91) 위에 형성되고, 전극막(92b)에 대응하는 패턴 형상을 가지는 레지스트막이 해당 도체막 위에 형성되고, 해당 레지스트막을 마스크로서 이용하여 행하는 이온 밀링법에 의해 도체막이 패터닝된다. 이러한 서브트랙티브법에 의한 전극막(92b)의 형성에서는, 도체막 또는 전극막(92b)의 두께가 작을수록, 패턴 형상 정밀도(따라서 면적 정밀도)가 높은 전극막(92b)을 얻을 수 있다. 전극막(92b)의 면적 정밀도는 캐패시터(92)의 정전 용량 정밀도에 영향을 주므로, 종래의 IPD(90)에서는, 높은 정전 용량 정밀도를 실현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전극막(92b)의 두께는 약 1㎛로 설정된다.
한편, 배선부(93)(접합부(93a)를 포함함)는 비교적 두껍게 설정된다. 배선부(93)가 두꺼울수록, 배선부(93)의 저항은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 IPD(90)의 신호 손실 저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배선부(93)는 예를 들면 10㎛ 정도로 설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IPD(90)의 캐패시터(92)에서는, 실용상 요구되는 정도의 내전압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내전압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캐패시터(92)의 내전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전체막(92c)을 두껍게 설정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유전체막(92c)을 두껍게 할수록 전극막(92b)의 면적을 크게 하지 않으면, 캐패시터(92)의 정전 용량을 유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유전체막(92c)의 두 께의 증대는, 캐패시터(92) 내지 IPD(90)의 소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 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고내전압을 실현하는데 알맞은 캐패시터부를 가지는 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부품은, 기판과, 캐패시터부와, 배선부를 구비한다. 캐패시터부는,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전극막(하위 전극막), 해당 제1 전극막에 대향하고 또한 2∼4㎛의 두께를 가지는 제2 전극막(상위 전극막), 및, 해당 제1 및 제2 전극막 사이의 유전체막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진다. 배선부는, 제2 전극막에서의 유전체막과는 반대측에 접합하는 접합부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부품에는, 캐패시터 소자 자체, 및, 캐패시터 소자가 다른 소자와 일체화된 집적형 전자 부품이 포함된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바에 의하면, 전술한 종래의 IPD(90)의 캐패시터(92)에서는, 절연 파괴에 이르면, 유전체막(92c) 내에서의, 배선부(93)의 접합부(93a)의 연단을 따른 개소에서, 막 조직의 파괴가 발생하기 쉬운 것을 알았다. 비교적 두꺼운 접합부(93a)의 연단부에는 응력 왜곡이 집중하고 있는 바, 절연 파괴에 이르기 전의 캐패시터(92)에서는, 이 응력 왜곡이, 두께 약 1㎛의 얇은 전극막(92b)을 거쳐서 유전체막(92c)에 전해지는 것에 기인하고, 유전체막(92c) 내에서의 접합부(93a)의 연단을 따른 개소쪽이, 유전체막(92c) 내의 다른 개소보다도, 막 조직에 많은 결함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캐패시터(92)에서는, 유전체 막(92c) 내에서의 접합부(93a)의 연단을 따른 개소에서 막 조직의 파괴가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바에 의하면, 전극막(92b) 대신에 두께 10㎛의 상위 전극막을 채용하면, 유전체막(92c) 내에서의 접합부(93a)의 연단을 따른 개소보다도, 유전체막(92c) 내에서의 해당 상위 전극막의 연단을 따른 개소에서, 고전압 인가시에 막 조직의 파괴가 발생하기 쉬운 것을 알았다. 두꺼운 해당 상위 전극막 자체의 연단부에는 응력 왜곡이 집중하고 있는 바, 절연 파괴에 이르기 이전에는, 이 응력 왜곡이 유전체막(92c)에 전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유전체막(92c) 내에서의 해당 상위 전극막의 연단을 따른 개소쪽이, 유전체막(92c) 내의 다른의 개소보다도, 막 조직에 많은 결함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유전체막(92c) 내에서의 해당 상위 전극막의 연단을 따른 개소에서 막 조직의 파괴가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상의 검토를 근거로 하여, 예를 들면 반도체 프로세스 기술을 이용해서 제조되는 캐패시터 소자에서, 상위 전극막의 두께가 내전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이를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에서는, 캐패시터부의 유전체막과 배선부의 접합부 사이에 개재하는 캐패시터부의 제2 전극막(상위 전극막)의 두께는, 2㎛ 이상으로 설정된다. 두께 2㎛ 이상의 제2 전극막은, 배선부의 접합부를 비교적 두껍게 설정하는 경우(예를 들면, 접합부의 두께를 1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해당 접합부의 연단부에 집중하는 응력 왜곡의 유전체막에의 전달을 상당히 억제하여, 접합부 의 응력 왜곡이 유전체막에 전해지는 것에 기인하는 유전체막의 막 조직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라고 하는 지견을 본 발명자들은 얻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부품에서는, 제2 전극막의 두께는 4㎛ 이하로 설정된다. 두께가 4㎛ 이하인 제2 전극막은, 내부에 부당하게 큰 응력 왜곡을 생성하지 않아서, 유전체막의 막 조직 결함의 발생을 크게는 유발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지견을 본 발명자들은 얻었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는 것으로서, 유전체막의 막 조직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서 고내전압을 실현하는데에 알맞은 캐패시터부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배선부의 접합부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제2 전극막의 두께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접합부가 두꺼울수록, 접합부 또는 배선부의 저항은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캐패시터부의 유전체막은 1㎛ 이하의 두께를 가진다. 유전체막이 얇을수록, 캐패시터부의 정전 용량은 크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전극막은, 도금막이다. 2∼4㎛의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제2 전극막은, 도금법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자 부품은, 기판 위에 형성된 수동 부품을 더 구비하고, 배선부는, 해당 수동 부품과 캐패시터부의 제2 전극막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러한 구성과 함께, 혹은, 이러한 구성 대신에, 본 발명의 전자 부품은, 기판 위에 형성된 전극 패드를 더 구비하고, 배선부는, 해당 전극 패드와 캐패시터부의 제2 전극막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은,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집적형 전자 부품이어도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형 전자 부품(X)을 나타낸다. 도 1은, 집적형 전자 부품(X)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선 II-II 및 선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 IV-IV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집적형 전자 부품(X)은, 기판(S)과, 캐패시터(10A, 10B)와, 코일 인덕터(20)와, 전극 패드(30A, 30B, 30C, 30D)와, 배선(40)과, 보호막(50)(도 1에서 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도 5에 도시하는 회로 구성을 가진다.
기판(S)은,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 석영 기판, 글래스 기판,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 SOQ(Silicon on Quartz) 기판, 또는 SOG(Silicon on Glass) 기판이다. 반도체 기판은, 예를 들면, 단결정 실리콘 등의 실리콘 재료로 이루어진다.
캐패시터(10A, 10B)는, 각각, 도 2 및 도 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극막(11, 12) 및 유전체막(13)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진다. 전극막(11)은, 기판(S) 위에 패턴 형성된 하위 전극막으로서, 예를 들면 Cu, Au, Ag, 또는 Al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가져도 된다. 전극막(11)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2㎛이다. 전극막(12)은, 유전체막(13)을 개재해서 전극막(11)에 대향하는 상위 전극막으로서, 예를 들면 Cu, Au, Ag, 또는 Al로 이루어진다. 전극막(12)의 두께는 2∼4㎛이다. 유전체막(13)은, 예를 들면 산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산화 알루미늄, 산화 탄탈, 또는 산화 티탄으로 이루어진다. 유전체막(13)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1㎛이다. 유전체막(13)이 얇을수록, 캐패시터(10A, 10B)에 대해서 큰 정전 용량을 설정하기 쉽다.
코일 인덕터(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S) 위에 패턴 형성된 평면 스파이럴형 코일로서, 단부(21, 22)를 가진다. 또한, 코일 인덕터(20)는, 예를 들면 Cu, Au, Ag, 또는 Al로 이루어진다.
전극 패드(30A∼30D)는, 외부 접속용의 패드이다. 전극 패드(30A, 30B)는 그라운드 접속용 단자로서 기능하며, 전극 패드(30C, 30D)는, 전기 신호 입출력용 단자로서 기능한다. 이들 전극 패드(30A∼30D)는, 예를 들면, Ni 모체 및 그 상위표면을 피복하는 Au막으로 이루어진다.
배선(40)은, 기판(S) 위의 각 컴포넌트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패시터(10A, 10B)의 전극막(12)과 직접 접합하는 접합부(41)를 가진다. 또한, 배선(40)은, 예를 들면 Cu, Au, Ag, 또는 Al로 이루어진다. 배선(40) 내지 접합부(41)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이다. 배선(40)이 두꺼울수록, 배선(40)의 저항은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 집적형 전자 부품(X)의 신호 손실 저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패시터(10A)는, 전극 패드(30A, 30C) 및 코일 인덕터(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캐패시터(10A)의 전극막(11)은 전극 패드(30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캐패시터(10A)의 전극막(12)은 전극 패드(30C) 및 코일 인덕터(20)의 단부(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캐패시터(10B)는, 전극 패드(30B, 30D) 및 코일 인덕터(20)와 전기적 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캐패시터(10B)의 전극막(11)은 전극 패드(30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캐패시터(10B)의 전극막(12)은 전극 패드(30D) 및 코일 인덕터(20)의 단부(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보호막(50)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나 BCB(Benzocyclobutene)로 이루어지고, 전극 패드(30A∼30D)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면서, 캐패시터(10A, 10B), 코일 인덕터(20), 및 배선(40)을 피복한다.
도 6 및 도 7은, 집적형 전자 부품(X)의 제조시의, 캐패시터(10A, 10B) 및 그 근방의 형성 과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에서는, 도 7의 (d)에 도시하는 캐패시터(10)(캐패시터(10A, 10B)에 상당함), 배선(40)에서 캐패시터(10)에 접속하는 개소, 및, 캐패시터(10) 근방의 보호막(50)의 형성 과정을, 도 4에 상당하는 단면의 변화로서 나타낸다.
캐패시터(10)의 형성에서는, 우선,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막(11)을 기판(S) 위에 형성한다.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에 의해 소정의 금속 재료를 기판(S) 위에 성막한 후, 소정의 웨트 에칭 또는 드라이 에칭에 의해 해당 금속막을 패터닝 함으로써, 전극막(11)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막(13)을 전극막(11) 위에 형성한다.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에 의해 소정의 유전체 재료를 적어도 전극막(11) 위에 성막한 후, 소정의 웨트 에칭 또는 드라이 에칭에 의해 해당 유전체막을 패터닝함으로써, 유전체막(13)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극막(11) 및 유전체막(13)을 피복하도록 전기 도금용 시드층(도 시 생략)을 기판(S) 위에 형성한다. 시드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을 채용할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막(12) 형성용 레지스트 패턴(61)을 형성한다. 레지스트 패턴(61)은, 전극막(12)의 패턴 형상에 대응하는 개구부(61a)를 가진다. 레지스트 패턴(61)의 형성에서는, 우선, 기판(S) 위에, 전극막(11) 및 유전체막(13)의 위쪽으로부터, 액상의 포토레지스트를 스핀코팅에 의해 성막한다. 다음으로, 노광 처리 및 그 후의 현상 처리를 거쳐, 해당 포토레지스트막을 패터닝한다.
다음으로,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도금법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61)의 개구부(61a)에서 전극막(12)을 형성한다. 해당 전기 도금시에는, 전술한 시드층이 통전된다. 2∼4㎛의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전극막(12)은, 전기 도금법에 의해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소정의 박리액을 작용 시킴으로써, 레지스트 패턴(61)을 제거한다. 시드층(전극막(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드라이 에칭 또는 웨트 에칭 처리에 의해)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50)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는 절연막(51)을 형성한다. 절연막(51)은, 전극막(12)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51a)를 가진다.
다음으로,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막(51)의 개구부(51a)에서 전극막(12)과 접합하는 접합부(41)를 가지는 배선(40)을 형성한다. 배선(40)의 형 성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절연막(51) 위 및 개구부(51a) 내에 걸쳐 전기 도금용의 시드층(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배선(40) 형성용의 소정의 개구부를 가지는 레지스트 패턴을 시드층 위에 형성하여, 해당 레지스트 패턴의 개구부에 전기 도금법에 의해 소정의 도전 재료를 성장시키고, 그 후,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고, 시드층(배선(4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40)을 피복하는 절연막(52)을 형성한다. 집적형 전자 부품(X)의 제조시에, 이상과 같이 해서, 캐패시터(10)(10A, 10B) 및 그 근방을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IPD(90)의 캐패시터(92)에 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프로세스 기술을 이용해서 제조되는 캐패시터 소자에서의 전극막 사이의 유전체막에 부당한 응력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 유전체막의 해당 응력 작용 개소는, 막 조직에 결함을 발생시켜, 고전압 인가시에 파괴되기 쉽다. 그 때문에, 유전체막에 부당한 응력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 캐패시터에서 고내전압을 실현하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적형 전자 부품(X)의 캐패시터(10A, 10B)에서는, 고내전압을 실현하기 쉽다.
집적형 전자 부품(X)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선(40) 내지 그 접합부(41)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으로 비교적 두껍게 설정되고, 캐패시터(10A, 10B) 각각의 전극막(12)의 두께는 2∼4㎛로 설정된다. 비교적 두꺼운 접합부(41)의 연단부에는 응력 왜곡이 집중되기 쉽지만, 전극막(12)의 두께가 2㎛ 이상이기 때문에, 해당 응력 왜곡의 유전체막(13)에의 전달은 상당히 억제된다. 이에 의해, 접합부(41)의 응력 왜곡이 유전체막(13)에 전해지는 것에 기인하는, 유전체막(13)의 막 조직 결함의 발생은 억제된다. 아울러, 두께가 4㎛ 이하인 전극막(12) 자체는, 내부에 부당하게 큰 응력 왜곡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 유전체막(13)의 막 조직 결함의 발생을 크게는 유발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패시터(10A, 10B)에서는, 고내전압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4에 도시하는 캐패시터(10A) 및 그 근방의 구조에서 다음의 조건을 채용한 캐패시터 소자를 제작하였다. 기판(S)은 석영 기판이다. 전극막(11)은, 기판(S) 위의 Ti막(두께 50nm)과, 그 위의 Au막(두께 500nm)과, 그 위의 Ni막(두께 50nm)과, 그 위의 Au막(두께 500nm)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진다. 전극막(12)은, Cu의 전기 도금막(두께 2㎛)이다. 유전체막(13)은, SiO2막(두께 220nm)이다. 접합부(41)를 포함하는 배선부(40)는, 캐패시터(10)측의 Ni의 전기 도금막(두께 10㎛)과, 그 위의 Ai의 전기 도금막(두께 2㎛)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진다.
[실시예 2]
전극막(12)인 Cu의 전기 도금막의 두께를 2㎛ 대신에 4㎛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실시예 2의 캐패시터 소자를 제작했다.
[비교예 1, 2]
두께 2㎛의 Cu의 전기 도금막으로 이루어지는 전극막(12) 대신에 두께 1㎛(비교예 1) 또는 두께 10㎛(비교예 2)의 Cu의 전기 도금막으로 이루어지는 상위 전극막을 형성한 이외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 2의 캐패시터 소자를 제작하였다.
[내전압 측정]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캐패시터 소자에 대해서, 내전압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의 캐패시터 소자의 내전압은, 각각, 185V 및 172V이었다. 또한, 비교예 1, 2의 캐패시터 소자의 내전압은, 각각, 130V 및 133V이었다. 이들 결과를 도 8의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8의 그래프에서는, 횡축에서 전극막(12)(상위 전극막)의 두께[㎛]를 나타내고, 종축에서 내전압[V]을 나타내고,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캐패시터 소자에 관한 측정 결과를 각각 플롯(El, E2, C1, C2)으로 나타낸다.
[평가]
도 8의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1, 2의 캐패시터 소자의 내전압은, 모두 135V를 초과하지 않았다. 내전압 측정에서 절연 파괴된 비교예 1의 캐패시터 소자의 유전체막(13)을 조사한 바, 유전체막(13)에서의, 배선(40)의 접합부(41)의 연단을 따른 개소에서 주로, 막 조직의 파괴가 발생하고 있었다. 비교적 두꺼운 접합부(41)의 연단부에는 응력 왜곡이 집중하고 있는 바, 절연 파괴에 이르기 전의 비교예 1의 캐패시터 소자에서는, 이 응력 왜곡이, 두께 1㎛의 얇은 상위 전극막을 거쳐서 유전체막(13)에 전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유전체막(13) 내에서의 접합부(41)의 연단을 따른 개소쪽이, 유전체막(13) 내의 다른 개소보다도, 막 조직에 많은 결함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비교예 1의 캐패시터 소자에서는, 유전체막(13) 내에서의 접합부(41)의 연단을 따른 개소에서 주로, 막 조직의 파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내전압 측정에서 절연 파괴된 비교예 2의 캐패시터 소자의 유전체막(13)을 조사한 바, 유전체막(13)에서의 상위 전극막의 연단을 따른 개소에서 주로, 막 조직의 파괴가 발생하고 있었다. 비교예 2에서의 비교적 두꺼운 상위 전극막의 연단부에는 응력 왜곡이 집중하고 있는 바, 절연 파괴에 이르기 전의 비교예 2의 캐패시터 소자에서는, 이 응력 왜곡이 유전체막(13)에 전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유전체막(13) 내에서의 상위 전극막의 연단을 따른 개소쪽이, 유전체막(13) 내의 다른 개소보다도, 막 조직에 많은 결함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비교예 2의 캐패시터 소자에서는, 유전체막(13) 내에서의 상위 전극막의 연단을 따른 개소에서 주로, 막 조직의 파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의 캐패시터 소자의 내전압은, 모두 170V를 초과하여, 비교예 1, 2의 캐패시터 소자의 내전압보다도 35V 이상 컸다. 이것은, 실시예 1에서의 두께 2㎛의 전극막(12), 및, 실시예 2에서의 두께 4㎛의 전극막(12)이, 모두, 비교예 1에서의 상위 전극막보다도, 접합부(41)로부터 유전체막(13)에의 응력 왜곡의 전달을 억제함과 함께, 비교예 2에서의 상위 전극막 근처에는 응력 왜곡을 내부에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유전체막(13)의 막 조직 결 함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부당하게 유발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에 따르면, 유전체막의 막 조직 결함의 발생이 억제되어서 고내전압을 실현하는데에 알맞은 캐패시터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전극막, 상기 제1 전극막에 대향하고 또한 2∼4㎛의 두께를 갖는 제2 전극막,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막 사이의 유전체막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갖는 캐패시터부와,
    상기 제2 전극막에서의 상기 유전체막과는 반대측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갖는 배선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부의 두께는, 상기 제2 전극막의 두께보다 큰 전자 부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막은 0.1∼1㎛의 두께를 갖는 전자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막은 도금막인 전자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수동 부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수동 부품과 상기 캐패시터부의 상기 제2 전극막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자 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전극 패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캐패시터부의 상기 제2 전극막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자 부품.
KR1020060108409A 2005-11-08 2006-11-03 전자 부품 KR100881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23335A JP4684856B2 (ja) 2005-11-08 2005-11-08 電子部品
JPJP-P-2005-00323335 2005-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565A KR20070049565A (ko) 2007-05-11
KR100881005B1 true KR100881005B1 (ko) 2009-02-03

Family

ID=3800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409A KR100881005B1 (ko) 2005-11-08 2006-11-03 전자 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73981B2 (ko)
JP (1) JP4684856B2 (ko)
KR (1) KR100881005B1 (ko)
CN (1) CN10059456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4856B2 (ja) * 2005-11-08 2011-05-1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部品
JP2011030208A (ja) * 2009-07-03 2011-02-10 Panasonic Corp 弾性波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たデュプレクサ
KR102225215B1 (ko) * 2014-11-07 202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WO2017111910A1 (en) * 2015-12-21 2017-06-29 Intel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integrated rf passives using dual lithography process
WO2018221228A1 (ja) * 2017-05-31 2018-12-06 Tdk株式会社 薄膜コンデンサ及び薄膜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7063019B2 (ja) * 2018-03-09 2022-05-09 Tdk株式会社 薄膜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薄膜コンデンサ
JP7266996B2 (ja) 2018-11-20 2023-05-01 太陽誘電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フィルタ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8284A (en) 1995-03-20 1998-01-13 Sharp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KR20010097673A (ko) * 2000-04-25 2001-11-08 박호군 박막형 슈퍼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1069A (ko) * 2002-12-11 200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20050054029A (ko) * 2003-12-03 2005-06-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1264A (ja) 1990-06-29 1992-02-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Lc複合素子
EP1170797A3 (en) * 2000-07-04 2005-05-25 Alps Electric Co., Ltd. Thin-film capacitor element and electronic circuit board on which thin-film capacitor element is formed
JP2002033239A (ja) * 2000-07-14 2002-01-31 Hitachi Ltd Lcフィルタ
JP2002270788A (ja) * 2001-03-14 2002-09-20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934366B2 (ja) 2001-07-02 2007-06-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薄膜キャパシタ素子の製造方法
US6998696B2 (en) * 2001-09-21 2006-02-14 Casper Michael D Integrated thin film capacitor/inductor/interconnect system and method
JP3882779B2 (ja) * 2002-05-27 2007-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薄膜キャパシタ、薄膜キャパシタを含む複合受動部品、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内蔵した配線基板
JP2004079701A (ja) * 2002-08-14 2004-03-11 Sony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79801A (ja) * 2002-08-19 2004-03-11 Fujitsu Ltd コンデンサ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TE520140T1 (de) * 2002-09-16 2011-08-15 Imec Geschaltete kapazität
US7161793B2 (en) * 2002-11-14 2007-01-09 Fujitsu Limited Layer capacitor element and production process as well as electronic device
JP4106034B2 (ja) * 2004-02-17 2008-06-25 京セラ株式会社 可変減衰回路
JP4491214B2 (ja) * 2003-09-29 2010-06-30 富士通株式会社 キャパシタ素子
JP2005136074A (ja) * 2003-10-29 2005-05-26 Kyocera Corp コンデンサおよび直列コンデンサならびに可変コンデンサ
JP4684856B2 (ja) * 2005-11-08 2011-05-1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8284A (en) 1995-03-20 1998-01-13 Sharp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KR20010097673A (ko) * 2000-04-25 2001-11-08 박호군 박막형 슈퍼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1069A (ko) * 2002-12-11 200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MIM(Metal-Insulator-Metal)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20050054029A (ko) * 2003-12-03 2005-06-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34380A (ja) 2007-05-31
JP4684856B2 (ja) 2011-05-18
US7473981B2 (en) 2009-01-06
KR20070049565A (ko) 2007-05-11
CN1963963A (zh) 2007-05-16
CN100594567C (zh) 2010-03-17
US20070102784A1 (en)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213B1 (ko) 전자 부품
US7948056B2 (en) Integra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973246B2 (en) Electronic component
KR100881005B1 (ko) 전자 부품
KR100763740B1 (ko) 전자 부품 제조 방법 및 전자 부품
US7898792B2 (en) Thin-film capacitor
KR100647180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캐패시터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0599A (ko) 전자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4499548B2 (ja) キャパシタ部品
JP4811406B2 (ja) キャパシタ搭載型半導体装置
JP4869991B2 (ja) キャパシタ内蔵ウェハレベル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US6781229B1 (en) Method for integrating passives on-die utilizing under bump metal and related structure
JP3967964B2 (ja) 薄膜電子部品
JP2007081267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61297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79469A (ja) 薄膜素子、薄膜lcフィルタ素子、薄膜lcフィルタ部品及び薄膜素子の製造方法
CN109791840B (zh) 电子部件
KR100379900B1 (ko) 다공성 산화 실리콘층을 이용하여 형성한 초고주파용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829435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7378021A (zh) 电子部件
JP2003045746A (ja) 薄膜コンデンサ
JP2000021636A (ja) 電子部品
JP2001345233A (ja) 薄膜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法並びに基板
JP2003347156A (ja) 薄膜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